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외한인 연구의 성찰과 과제

        송석원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9 민족연구 Vol.0 No.74

        Korean emigration already has a history of over 150 years, and at present, July 2019, the counts are as high as 7.4 million. Overseas Koreans each have various emigration backgrounds and they have been leading different lives according to the country they moved to. Up to this day, there has been numerous studies conducted on their emigration history and present living conditions, and from time to time there has been studies that summed up the researches and inquiries conducted up until then. The number of researchers studying about Overseas Koreans have continuously increased, including researchers who are Overseas Koreans themselves. However, it is true that the subjects of study haven’t been expensive compar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researchers. In fact, when one looks into the subjects of the studies conducted up to this day, one can summarize them as: background reason for emigration, characteristics of emigrants, emigrants’ motherland identity, and emigrants’ acculturation. Commonly, one can assume that the explicit objective of not insisting on the borders of countries or races is inherent in emigration as today’s transnational act itself. It is true that people with such awareness is increasing within Overseas Koreans. Nevertheless, studies on Overseas Koreans haven’t been able to fully cross the borders between countries or races. Such aspects suggest that in order for studies on Overseas Koreans to develop further, the researchers need to ensure the diversity of the topics being studied. 한국인의 해외 이민은 이미 15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2019년 7월 현재740만 명을 헤아리고 있다. 재외한인(Overseas Koreans)은 각각 다양한 이민 배경을갖고 있으며 거주 국가별로 상이한 일상생활을 영위해왔다. 오늘날까지 이들의 이민 역사와 현재적 삶의 양상에 대해서는 실로 많은 연구가 축적되어 왔으며, 때때로그동안의 연구 및 조사 성과를 총괄한 것도 이미 수차례 있었다. 재외한인에 관해연구하는 연구자는 스스로도 재외한인인 연구자도 포함해서 꾸준히 증가해왔다. 그러나 연구자의 증가에 비해 연구주제는 그다지 확장적이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재외한인을 대상으로 한 그동안의 연구주제를 살펴보면, 대체로 이민 배경요인, 이민자 특성, 이민자의 모국 정체성, 이민자의 문화변용 등으로 정리할 수있을 것 같다. 일반적으로, 오늘날의 트랜스내셔널한 행위로서 국경을 넘는 행위그 자체에는 국가 혹은 민족의 경계에 고집하지 않겠다는 명시적인 목표가 잠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재외한인 가운데도 이러한 인식의 소유자가 늘어나고 있는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외한인 연구는 아직도 국가 혹은 민족이라는경계를 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 그런 점에서 향후의 재외한인 연구가 한단계 발전된 연구가 되기 위해서는 주제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할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70세 이상의 식도암 환자에서 식도절제술 및 재건술

        송석원,이현성,김문수,이종목,조재일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6

        Background: Advanced age in Esophagectomy increases the risk of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However, the recent development of operative technique and perioperative care might have decreased the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esophagectomy. Material and Method: From March 2001 to July 2004, 174 patients underwent esophageal resection for esophageal cancer in the Center for Lung Cancer, National Cancer Center.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group 1 consisted of 27 patients aged 70 years or more, and group 2 consisted of 147 patients under 70 years of age.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ccording to preoperative risk factors, postoperative morbidity, operative mortality and survival. Result: The mean age was 63.4. There were 159 men. 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93.1% had squamous cell carcinoma. On the locations, 78.7% were in mid and lower esophagus. Curative resections for esophageal cancer were possible in 162 (93.1%) patients. Mean hospital stay was 19.4 days with ou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overall postoperative morbidity were occurred in 61 patients (35.1%). The most frequent morbidity was pulmonary complication in 30 (17.2%). Preoperative incidence of hypertension, cardiac and pulmonary dysfunction were more common in Group I.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overall postoperative morbidity, operative mortality and survival rat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Esophagectomy for esophageal cancer could be carried out safely in patients over 70 years of age with satisfactory short-term results. Advanced age is no longer a risk factor for esophagectomy. 배경: 식도암의 수술 시 고령은 수술 합병증 및 사망의 고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수술 술기와 수술 전후 환자 관리의 발전으로 고령의 식도암 환자에서도 식도절제술 후 합병증 및 사망률이 많이 감소하였다. 이 연구는 70세 이상의 식도암 환자에서 식도절제술 및 재건술 후 결과를 70세 미만의 군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1년 3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국립암센터 폐암센터에서 식도암으로 식도절제술 및 재건술을 시행한 17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환자를 70세 이상(제1군, n=27, 15.5%)과 70세 미만(제2군, n=147, 84.5%)으로 나누어 수술 전 상태, 수술 후 합병증 발생, 수술 사망 및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연령은 평균 63.4세였으며, 남자가 159명이었다. 병리조직 소견은 93.1%가 편평상피세포암이었다. 병변의 위치는 78.7%에서 중부 및 하부 식도였다. 근치적 절제는 162명(93.1%)에서 가능하였다. 평균 재원기간은 19.4일이었으며, 두 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61명(35.1%)에서 발생하였다. 이 중 호흡기계 합병증이 30예(17.2%)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제1군에서 수술 전 고혈압 및 심장과 폐기능의 저하가 더 많았으나(p=0.064, p=0.002, p=0.057),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에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44.4% vs. 33.3%, p=0.28). 수술 사망은 7명(4.0%)이었으며,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3.7% vs. 4.1%). 평균 생존은 27.6개월로, 1년 생존율 85.4%, 3년 생존율은 42.3%이었고, 생존율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p=0.57). 결론: 70세 이상의 식도암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조기 결과로 안전하게 식도절제술 및 재건술을 시행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령의 식도암 환자에서도 식도 절제술 및 재건술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폐암 수술 후 발생한 유미흉의 옥트레오타이드를 이용한 보존적 치료 -2예 보고-

        송석원,이현성,김문수,이종목,김재현,조재일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7

        폐절제술 후 발생하는 유미흉은 드물지만 심각한 합병증이다. 두 명의 폐암 환자에서 폐엽 절제술 및 종격동 림프절 청소술 후에 유미흉이 발생하였으나, 고전적·보존적 치료에 피하 옥트레오타이드 주사 요법을 추가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다.

      • KCI등재후보

        일본에서의 아태지역 연구의 현황과 과제 - 한국에의 함의를 중심으로 -

        송석원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8 아태연구 Vol.15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historically examine a trend of the Asia-Pacific research in Japan since modern nationalism setablished there. The main focus is on who has researched the Asia-Pacific region in Japan, why has studied it and which area has been studied so far. Also, I move on to examine who has helped the study and what precisely has done as a time order. By dwelling upon these examination, I will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ia-Pacific area study carried out in Japan. Edward Said has pointed out that an area study is an outgrowth of imperialism and the study itself is 'ugly neologism.' Said's opinion can be applied to the Asia-Pacific study during the pre-war period. The area study in Japan was for the purpose of the war under the theme of imperialism during the pre and inter-war period. As a result, the study made a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identifying of the Asia-Pacific area and Japanese holding a prominent position. The study about the Asia-Pacific area in the post-war period pays attention to a power of Asia under reflection on pre-war period and shifts its work frame from 'domination' to 'living together.' Reorganization of the study system also gives an energy to the Asia-Pacific area study. 본 연구는 근대 민족주의 형성기 이래의 일본에서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의 동향을 역사학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일본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에 대한 연구가 누가, 어떠한 의도로, 어떠한 정치적·정책적 고려 및 학문적 관심에 의해, 어떠한 지역을, 어떠한 시각으로, 어떠한 조력을 얻어, 구체적으로 동 지역의 무엇에 대해 연구하였는지를 시계열로 분석, 정리하고, 이러한 분석의 결과 일본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가 갖는 특징적인 요소를 도출해내고자 한 것이다. 지역연구가 제국주의 정책의 파생물로서 그 자체가 ‘추악한 용어’라는 사이드의 지적은 전전(戰前, pre-war)기 일본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전전기 및 전간o(戰間, inter-war)기, 일본의 아태지역연구는 제국주의적 전쟁 수행의 목적에 부응하는 형태로 진행되었고, 그 당연한 귀결로서 아태지역의 정체성과 일본의 지배적 우월권의 확립에 이바지하였다. 전후(戰後, post-war) 일본의 아태지역연구는 전전기의 반성에 서서 아시아의 역동성에 주목하는 연구하는 한편, ‘지배’에서 ‘공생(共生)’의 모색이라는 연구 프레임의 전환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체계의 재정비가 아태지역연구의 새로운 활력이 되고 있다.

      • KCI등재후보

        헤파린 기인성 혈소판감소증 환자에서의 개심술

        송석원,홍유선,곽영란,안신기 대한흉부외과학회 200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5 No.6

        42세 남자환자가 내원 3개월전부터의 호흡곤란, 복부팽만 및 식욕부진으로 내원하였다. 이학적 검사상 심잡음이 청진되어 심초음파를 시행한 결과, 좌심방 혈전을 동반한 승모판협착증 및 삼첨판폐쇄부전이 진단되어 수술전 헤파린 지속 주입을 시작하였다. 내원 11일째 혈소판수치가 감소하여 시행한 항체검사 및 혈소판응괴능 검사에서 음성이 나왔지만 임상적으로 헤파린 기인성 혈소판감소증을 진단하였다. 수술중 심폐우회술시 헤파린 대체약물인 히루딘(hirudin)을 사용하였으며, ACT, aPTT를 측정하며 수술대에서 육안적으로 혈전 형성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수술을 하였다, 수술 중 및 수술 후 헤파린 접촉은 없었으며, 수술 후 과다 출혈 및 전신적 혈전색전증 등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Open Heart Surgery in Patient with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

      • KCI등재

        당뇨 환자에서 시행한 Off-Pump CABG와 On-Pump CABG의 비교 연구

        송석원,유경종,임상현,홍순창,조수진,장병철,강면식,신혜란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7

        Background: Avoiding cardiopulmonary bypass (CPB) in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has been known to reduce early mortality and morbidity. Diabetes Mellitus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adverse early and late outcomes after CABG. We compared the clinical results of off-pump CABG versus on-pump CABG in diabetes patients. Material and Method: 682 patients (424 off-pump CABG and 258 on-pump CABG) underwent isolated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between January 2001 and June 2003. Data were collected 242 patient who had diabetes. Among them, 154 patients underwent off-pump CABG and 90 patients underwent on-pump CABG. We analyzed the preoperative risk factors and postoperative results between 2 groups. Result: Two groups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s in age, sex, coronary and operative risk factors. Operative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off-pump CABG, however, number of grafts was fewer in off-pump CABG. Postoperative inotropic usage was lower in off-pump CABG. Postoperative CK-MB level was lower in off-pump CABG, and ICU stay and ventilation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off-pump CABG.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2 groups in operative mortality, reoperation rate, perioperative myocardial infarction, wound infection, renal failure, neurological complications and hospital stay. Conclusion: Off-pump CABG group showed less myocardial damage and early recovery. We concluded that off-pump CABG is the more reasonable technique in diabetes patients although two techniques showed good results. The long-term follow up and prospective study may be warranted. 배경: 심장 박동상태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off-pump CABG)은 심폐체외순환하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on-pump CABG)에 비해 수술 후 유병률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특히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당뇨환자에 있어서 off-pump CABG와 on-pump CABG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여 off-pump CABG가 당뇨환자의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심장혈관병원에서 관상동맥우회술만을 시행받은 682명(off-pump CABG군: 424명, on-pump CABG: 258명)의 환자들 중 당뇨가 있는 환자 2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off-pump CABG는 154명, on-pump CABG는 90명의 환자들에서 시행하였다. 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전 위험요소들과 수술 후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연령, 남녀 비 및 수술 전 고혈압 등의 위험요소와, 수술 전 뇌경색이나 심근경색의 기왕력 등 수술위험 요소도 두 군 간의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식편수는 on-pump CABG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나, 수술 시간은 off-pump CABG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고, 수술 후 강심제 사용빈도는 off-pump CABG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수술 사망은 차이가 없었으며, 수술 후 측정한 CK-MB, 중환자실 입원기간 및 호흡기 사용시간은 off-pump CABG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출혈로 인한 재수술, 수술 후 심근경색증, 감염, 신부전증, 신경학적 합병증 및 수술 후 입원 기간 등은 두 군 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당뇨환자에서 시행한 off-pump CABG는 on-pump CABG에 비해 심근의 손상이 적으면서 수술 후 회복이 빨랐다. 따라서 두 방법 모두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으나, off-pump CABG가 당뇨환자에서 좀 더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전향적인 연구 등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메이지(明治) 민족주의에 관한 연구 : 시가 시게다카(志賀重昻)와 오카쿠라 텐신(岡倉天心)을 중심으로

        송석원 한국동북아학회 2010 한국동북아논총 Vol.15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underpinned by a theoretical discussion on nationalism, to investigate how Japanese nationalism had established during a formative period in the modern nation, observing an attitude of the Japanese intellectuals in the Meiji era. As Gellner and Anderson had pointed out, it is the Meiji era that nationalism is firmly established, if nationalism is a result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I examine characteristics of the Meiji Nationalism, especially focused on the theories of Siga Sigetaka and Okakura Tensin, who made an outstanding impact during the period. Two of them sought to find a way of "non-western" like modernization, that is, modernization in Japanese style. Siga and Okakura had kept holding a negative position on a strong tendency of westernization over the Meiji Society. Therefore, they played a significantly important role to set up nationalism in Japan. The common factor found between 'Explorer Siga' and 'Artist Okakura' is that they had started to describe Japanese traditional beauty in western language, English, even though learning western culture was considered as a social norm at that time. Seen from this point of view, Siga, who highlighted the natural beauty, the scenery, and Okakura, who gave emphasis to the spiritual beauty, Dado, represent Japanese 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they also had open-mindness from the fact that they used western language. 본 연구는 민족주의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를 바탕으로, 메이지 시대 일본 지식인들의 동향에 주목하면서 일본의 근대 국민국가 형성기에서의 민족주의 확립 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겔너나 앤더슨이 지적하고 있는 바와 같이, 민족주의를 근대 산업사회의 산물로 규정할 수 있다면, 바로 메이지 시기야말로 일본에서의 민족주의가 확립되는 시기였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 시기에 활약한 지식인 가운데 특히 시가 시게다카(志賀重昻)와 오카쿠라 덴신(岡倉天心)의 사상을 중심으로 메이지 민족주의의 논리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시가와 오카쿠라는 모두 대체로 비서구적인 근대화의 길, 환언하면 일본의 주체적인 근대화의 방향을 모색(이들이 당시의 사회 전반에 걸쳐 압도적인 서구화의 경향에 대해 비판적인 자세로 시종일관하였던 것은 이 때문이었다)하였다. 따라서 국수주의 혹은 국민주의적인 민족주의가 일본에서 확립되는 데 있어 이들이 차지하는 위상은 결정적으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탐험가 시가’와 ‘예술가 오카쿠라’에 공통되는 것은 두 사람 모두 서구를 학습하는 것이 사회적 규범이 되어 있던 시기에 서구를 향해 서구의 언어(영어)로 일본의 전통적 미를 표출하기 시작하였다는 점이다. 일본의 자연적 미(풍경)를 강조한 시가와 정신세계의 미(다도)를 강조한 오카쿠라는 바로 그러한 점에서 일본 국수주의를 대표하지만, 한편으로는 국수주의의 표출방식으로서의 서구 언어의 활용에서 보는바와 같이, 서구의 배제를 사정(射程)에 두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개화적이다. 이들의 국수주의 사상은 서구화의 진행 속에 비로소 일본적인 것에 대한 동경을 일본사회에 촉발시켰다는 점에서 국수주의의 원점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문명의 외연(外延)화와 지배의 정당성: 후쿠자와 유키치(福沢諭吉)를 중심으로

        송석원 한국동북아학회 2011 한국동북아논총 Vol.16 No.3

        After the Meiji Restoration, Japan consistently pursued a policy to enhance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and as a result, they fully accepted a Western-style modernization. And, these series of processes rapidly brought Japanese society into a civilization stage which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state and citizen by the measure of civilization. Initially, the spread of enlightenment within the Japanese community was to let the general public do away from with old customs and understand the value of Western civilization, and it had been transformed into a lens to recognize of neighboring countries interm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The distinction between order of state and citizen by the progressing measure of civilization became a trend of thought in a period of time by thinkers like Fukuzawa Yukichi. The Civilization considered a goal that human beings should pursue and for that, more emphasis was put onto the severance of the so-called old customs. The overall penetration of civilization in Japanese society continued to spread civilization outside Japan and thi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 Imperial violation. Japan in a pre-modern traditional period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civilization, but the achievement of modernization as the first one among three East Asian countries served as a momentum to give a self-authority to transplant Western modernization in East Asia. The Colonization of Korea and Taiwan could be considered as a process of an ‘Extension of Civilization’ which Japan preoccupied.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logic spread over by Japanese thinkers like Fukuzawa Yukichi that a justification of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and Taiwan, which they argued it is a natural outcome of an ‘Extension of Civilization.’ 메이지(明治)유신 이후, 부국강병의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해온 일본은 그 당연한 귀결로서 서구적 근대화를 전면적으로 수용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일본사회를 빠르게 문명화과정에 진입하게 하였으며, 급기야 문명을 척도로 한 국가와 개인의 구분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원래 일본사회 내부에서 일반인들을 구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서양 문명의 가치를 이해시킬 목적으로 전개된 계몽은 일본의 대외정책에서 주변국을 인식하는 렌즈로 변화해갔다. 문명의 진척 정도에 따른 개인이나 국가의 서열 구분은 후쿠자와 유키치(福沢諭吉)를 비롯하여 다수의 지식인, 정치인들의 언설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인식 틀로서 곧바로 인간과 세계를 인식하는 시대적 사조가 되었다. 문명은 인간생활이 지향해야 할 목표로 여겨졌고, 이를 위해서는 구습으로 치부되는 것들과의 단절이 강조되었다. 일본사회 전반으로의 문명의 침투는 일본 외부로의 문명의 전파로 이어졌는데, 후자의 경우 제국주의적 폭력을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전근대 전통시대에 일본은 중국문명의 주변에 속하였지만, 메이지 이후의 일본은 동아시아 3국 가운데 가장 먼저 근대화에 성공한 것을 계기로 동아시아에 서양문명을 이식하는 사명을 스스로에게 부여하였다. 대만과 조선의 식민지화는 곧 일본이 앞장서 선취한 ‘문명의 외연(外延)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후쿠자와 유키치를 중심으로 조선에 대한 일본 지배가 문명의 외연화 과정의 필연적 귀결이라는 논리로 정당화되어간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