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재난 방송정보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한 방송?통신 시스템에 관한 연구

        송미화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내외에서 자연재난뿐만 아니라 사회재난 또한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2014년 국내에서 발생한 세월호 사건을 살펴보면 재난 경보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기존보다 더욱 진보된 재난 경보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통신∙방송망을 이용하여 재난 방송정보를 기존보다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현재 통신 시스템에서는 CBS(Cell Broadcast Servic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재난 방송정보를 전송한다. 하지만 CBS 프로토콜을 이용한 재난 방송정보의 수신 실패 시 재전송 요청 방법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무선인지 기법을 이용한 CBS 재난 방송정보의 재전송 기법을 제안하며 제안된 기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스펙트럼 검출이 필요하다. 기존의 스펙트럼 검출 방법을 이용하면 낮은 전력의 통신에서 높은 미검출 오류(miss-detection)가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콘센서스(consensus) 기반의 스펙트럼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국내의 방송 시스템에서는 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를 이용하여 재난 방송정보를 전송한다. 재난이 발생 시, 비활성화된 T-DMB 수신기는 재난 방송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동인지 T-DMB를 위한 T-DMB와 CBS의 다중화 기법과 프리앰블(preamble)과 플래그(flag) 검출을 이용한 자동인지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분할 정복(divide-and-conquer) 기반의 시간 영역 LS(Least Square) 채널 추정 기법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기존보다 더욱 정확한 재난 방송정보를 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동일 채널 중계기는 동일한 송∙수신 주파수로 인해 T-DMB 재난 방송정보 전송 성능이 좋지 않다. 따라서 기존 동일 채널 중계기의 성능 개선을 위해 파일럿(pilot)을 기반으로 한 피드백(feedback) 채널 추정 기법과 트래킹(tracking) LMS(Least Mean Square)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적응 채널 추정기법과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를 기반으로 한 시간 영역 채널 등화기를 제안하며 이를 이용하여 T-DMB 재난 방송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 제안된 기법을 이용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통신∙방송 시스템에서 재난 방송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으며, 재난 방송 서비스의 신뢰성을 더 높여줄 것을 기대한다. The natural disaster as well as social disaster has occurred constantly. In particular, a lot of attention has increasingly been paid to emergency alert systems since the occurrences of the severe disasters such as the 2014 calamity of Sewol ferry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dvanced emergency alert systems than conventional systems. In this paper, we study efficient transmission of emergency broadcast-information using broadcast and communication systems. In current communication systems, cellular networks can deliver emergency information using a broadcasting technique called cell broadcast service (CBS) protocol. Furthermore, the CBS protocol has been standardized for emergency alert service. However, the standard does not specify a retransmission request mechanism in the case that users fail in receiving emergency information. Therefore, we propose a retransmission request scheme based on cognitive radio for the CBS technology. In the proposed method, a spectrum detection is required. When the conventional spectrum detection is used, detection errors frequently occur in low-power communications. In order to overcome this flaw, we propose the spectrum detection method based on a consensus approach. Currently, most mobile stations such as smartphones include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DMB) receivers in Korea. Therefore, T-DMB can be considered a practical broadcasting method for emergency alert service. The emergency broadcasting method for T-DMB is already standardized in Korea. However, current T-DMB receiver cannot receive any emergency information if the receiver is disabled in the mobile st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ultiplexing method of T-DMB and CBS to activate the T-DMB receiver in emergency alert systems. We also propose preamble and flag detection techniques in order to wake up T-DMB. In order to enhance a detection performance for emergency alert service, the T-DMB receiver usually requires sophisticated channel estimation. Therefore, we propose a channel estimation scheme based on a divide-and-conquer algorithm, which effectively utilizes the pilot symbol of T-DMB. In addition, T-DMB systems usually rely on on-channel repeaters in order to fill the service gaps and extend the service coverage in the configuration of single frequency network. However, the on-channel repeaters cause feedback interference to T-DMB signals since the repeaters retransmit the signals on the same carrier frequency that they receive, which may degrade T-DMB system performance drastically. To overcome the feedback drawback of on-channel repeater, we propose novel feedback cancellation and time-domain channel equalization for on-channel repeater. For the feedback cancellation, we suggest pilot-based feedback-channel estimation and tracking LMS methods, which exhibit rapid convergence and excellent cancellation performance in time-varying feedback channels. We also propose a minimized mean squared error (MMSE) equalization technique in order to enhance the equalization performance. Using the proposed methods, users can accurately receive the emergency broadcast-information for emergency alert service. In addition, the proposed schemes guarantee more reliable emergency alert service.

      • 가족기능이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연구

        송미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Circumplex Model을 토대로 가족의 기능이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인터넷 중독과 관련한 변인을 밝힘으로써, 인터넷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사회복지 개입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중학교에 재학중인 남·여학생을 40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가족의 적응력과 응집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FACESⅢ(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 ScaleⅢ)와 부모와 자녀 사이의 의사소통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청소년용 PACI(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인터넷의 중독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Young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을 이용한 기술통계,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저학년보다는 고학년이, 그리고 인터넷 사용기간과 이용시간이 길고 많을수록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적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의 적응력·응집력은 인터넷 중독과 상관관계는 있으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부모와 자녀사이의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부모와 자녀 사이의 의사소통 정도가 낮을수록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자녀 간 의사소통의 하위변인인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은 인터넷 중독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청소년 자녀가 인터넷을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가족에 대한 개입시는 가족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가족체계 변화의 초석이 되는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되어야 한다. 특히 남학생 및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지만 저학년부터 조기 예방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how family functioning influences on internet addic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impact of family functioning (i.e., family cohesion, adaptability,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internet addiction is examined based on Circumplex Model. Four hundred seven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recruited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FACES Ⅲ (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 Scale Ⅲ) was used to measure the adaptability and cohesion and PACI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were also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their parents. For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a scale developed by Young was used. Data analysis method included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al analysis, and backwar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le participants tended to be more addictive to internet than did their counterpart females, and the higher grade they were than did their counterpart females, and the higher grade they were in the school and the longer they used internet, the severer they tended to be addicted to internet. Second, although the adaptability and cohesion of the family had negative correlational relationship with internet addiction,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ather, the degree of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their parents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for internet addiction. That is, the more the family had open communication, the less the participant had internet addiction. The results indicates a program development for prevention of internet addiction by enhancing communication between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particularly for males and those in the lower grades. Implication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discussed.

      • 字의 傳統과 現代的 活用에 관한 硏究

        송미화 嶺南大學校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전통관례를 올리면서 지어주는 字a young man after the 에 사용된 단어를 분석하고, 자의 의미와 교훈을 담아주는 자사나 자설의 내용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여 조선시대이상적인 선비 상을 통하여 청소년들에게 이상적인 인간상을 제시하려고 한다. 또한 전통관례와 계례의 근본정신과 현대 성년식을 비교하고 字와 字辭나 字說에 담긴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전통관례와 전통계례(Traditional Keilye)를 현대에 활용하는 방안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자의 전통을 살려 현대에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남과방록에 기록된 조선시대문과합격자를 대상으로 자를 사용한 비율을 조사한 결과 합격자의 54%가 사용하였다는 것은 과거 시험에 응시하는 연령에 이르러서도 관례를 올리지 않았거나 자와 자설을 지어주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를 작자경향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 이름과 뜻이 동일한 자가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의 이름과 자는 훌륭한 뜻이 함유되어 있고 이름과 자가 품고 있는 의미를 생각하고 그에 합당한 행동을 하도록 지었다. 둘째, 조선중기부터 조선후기까지 영남지방 문과 합격자 가운데 자를 지을 때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는 성(聖)이고 그 다음이 문(文), 크다(景), 사(士), 덕(德)의 순서인데 유학에서 추구하는 이상형이 성인이며 한 글자의 字를 통해 선비들이 지향해야 할 삶의 지표와 이상적인 인간형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자사와 자설의 비교에서도 조선시대 선비들이 추구하던 도덕적 가치와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가치가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조선시대를 통하여 字의 전통이 이어져오면서 자사와 자설을 통하여 도덕적 자질을 갖춘 유교의 이상형을 제시하고 평생을 통하여 이를 내면화 하도록 하는 인성교육의 한 방법으로 중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넷째, 字를 현대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관례(Kwanlye)나 계례(Keilye)를 통하여 字라고 하는 새 이름을 부여하고, 특히 자사나 자설을 지어 자를 짓는 의미와 자의 상세한 뜻을 전달하면서 한 집안,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일생동안 명심하고 지켜가야 할 가치와 규범을 일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사회가 그 구성원을 성인으로 인정하는 현재의 성년례에서 가정이 중심이 되고 부모도 자녀가 성인이 됨을 인식하는 의례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것은 단순한 통과의례가 아니라 집안과 문중의 행사로서 성년례의 주인공에게 새로운 지위를 부여하고 사회에 참여하는 구성원으로 인정하고 받아들인다는 의미이다. 나아가 인격적으로도 평생을 통하여 완성된 인간이 되도록 당부하며 집안의 대를 이어 자신이 소중한 존재임을 자각하게 해주는 가정의례로 자리매김하기를 제안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anguage used to describe 'Ja', the name given to a young man after participating in 'Kwanlye', the traditional Confucian coming-of-age ceremony, and the meanings of 'Ja-sa' or 'Ja-seol' that further explain the implications and instructions associated with ‘Ja’, thus suggesting to young people the ideal type of man (or woman) based on the ideal scholar in the Chosun Dynasty. Moreover,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spirit of the traditional 'Kwanlye' ceremony (for boys) and 'Keilye' ceremony (for girls) with modern coming-of-age celebrations and investigate ways of utilizing the two traditional ceremonies in modern times, in which the profound meanings of 'Ja' and 'Ja-sa' or 'Ja-seol' are communicated. The fou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A close look at the 'Gyonamgwabangrok', the lists of people who passed the classical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Gyeongsang Province during the middle and lat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1603-1905 A.D.) revealed that 54 percent of all who passed the examination used the name 'Ja'. That indicates that nearly half on the list neither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Kwanlye' ceremony nor were given the name 'Ja' and 'Ja-seol', though they had attained the required age to apply for the examin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Ja' status of the those who passed the exam, it was determined that 'Ja' held the same meaning as the person’s real name, and most of names and the associated 'Ja' indicated the young peoples' considerate practice after reflecting on the meanings their name and 'Ja', (b) A further review of those who passed the aforementioned civil service examination, disclose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 was 'Sung' (a sage), followed by 'Moon' (literary arts), 'Gyung' (generosity), 'Sa' (scholar), and 'Duk' (virtue). These words illustrate that a sage or a saint is the ideal type of man in Confucian philosophy, and the word 'Ja' functions as the suggested overall guidelines for life and the ideal a classical scholar should emulate; (c) Almost no difference could be detected between the moral values of the Chosun dynasty and those of modern society. Moreover, the 'Ja' tradition in the Chosun dynasty functioned as a decisive component in character education in which the elders suggested the ideal type of man based on Confucian ideas and this concept was internalized with the help of 'Ja-sa' or 'Ja-seol'; and (d) Modern utilization of 'Ja' could include elders bestowing the new name of 'Ja' on young people through the Kwanlye or Keilye ceremonies in order to transmit its significant meaning. Furthermore, by giving the name 'Ja' to teenagers with the addition of 'Ja-sa' or 'Ja-seol', the elders would pass on to the young people the important values and norms to keep in mind and put into practice in their lifetime. This study implies that the traditional Kwanlye ceremony in modern families holds great significance in celebrating young people's coming of age. This ceremony can lead a young man or woman to set his or her own life goals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Furthermore, the role of a Bin (an officiate) implies a lifetime mentorship to a young man or woman.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necessity to reconsider the value of a coming-of-age celebration, focusing on the role of the family and parents' recognition of their sons and daughters as significant members of the family. A coming-of-age celebration is not only a rite of passage, but is also a public banquet involving the whole family or clan where membership is formally given to a young man or woman to welcome them as responsible members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celebration, the elders would ask the young man or woman to be of strong character throughout his or her lifetime, and to realize they are valuable representatives of the family. Further researches and practices should focus on the modern revival of the traditional 'Kwanlye' ceremony based on the modern reconstruction of 'Ja-sa' or 'Ja-seol' in order to strengthen character education and establish sound laws and order in our society.

      • 중학교 사회과 통합형 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 <사회1>교과서 고대 이집트 문명을 사례로

        송미화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볼 때 1980년대 이후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이 종래의 분과형에서 통합형으로 개편,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외형적으로는 통합을 지향하고 있으나 지리, 역사, 일반사회 영역은 아무런 유기적 연계성을 가지지 못한 채 대단원이나 중단원별로 병렬적으로 나열되어 있다. 구체적인 학습 내용 구성에 있어서는 통합의 이점을 살릴 수 있는 실질적인 통합이 미흡한 실정이다. 학교 현장에서는 불완전한 교과서를 가지고 불완전한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사회과의 학습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 인식 아래 본 연구는 현행 제7차 교육과정과 사회 교과서를 대상으로 통합의 실태와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집트 문명을 사례로 통합형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이를 설문 조사를 통한 피어 디브리핑(peer debriefing : 동료 연구자에 의한 조언과 지적)방법에 의해 구체적인 교수․학습 수준에서 통합의 가능성과 학습 효과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된 연구의 문헌과 중학교 10종의 1학년 사회교과서들을 비교, 분석 하면서 살펴보았다. 둘째,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인 통합교육과정의 개념, 필요성, 유형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사회과 통합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은 어떤 모습인지 살펴보았고 교육과정과 교과서 상에 나타난 통합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셋째, 현행 교육과정에서 형식적인 통합을 탈피하여 교수․학습 수준에서 통합이 가능한 내용을 재구성하여 이집트 문명을 사례로 통합형 수업 모형을 설계함으로써 통합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넷째, 통합형 수업 모형을 동료 교사들의 설문 조사를 통하여 통합의 가능성과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게 되었다. 첫째, 교육과정 차원의 통합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은 현재로서는 교수․학습 수준에서 통합 밖에 없다. 교수․학습 수준에서의 통합은 가능성과 효율성을 아울러 갖고 있다. 둘째, 통합적 교육과정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과서를 재구성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이다. 통합적 교수․학습 모형에서는 각각 분과 전공을 갖고 있는 교사 혼자 지식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작업은 대단히 고난도의 작업이다. 지리, 역사, 일반사회처럼 전공이 다른 교사들의 분업적 원리에 의한 상호 연대가 중요하다. 즉, 교과 모임이나 교사 협의회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는 협동 작업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이집트 문명에 한정하여 통합형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집트 문명 뿐만 아니라 통합이 가능한 단원인 경우는 통합형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는 교수․학습 수준에서 문답법 위주로 통합을 시도하면서 그림 자료를 사용하였다. 문답법뿐만 아니라 역할 놀이, 협동 학습 등 다양한 수업 방법과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참여를 유도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수업 자료를 활용할 필요도 있다. 끝으로 제언을 한다면, 현재의 형식적인 통합을 탈피하여 통합이 가능하고 바람직한 단원은 내용면에서 확실하게 통합하고 나머지는 분리하여 분과형으로 구성하는 방안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In the transition of a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the social subject in the middle school has been revised from subdivision to integration since 1980. Although the revision is to integrate social subjects, the subjects such as geography, history and general social subjects are not closely connected. The subjects are just arranged in separate units. When looking into the composition of learning contents in detail, the integration even for its advantage needs improvements in practical manner. By teaching students with such incomplete textbook, the curriculum leads to hampering the efficiency of social subjects learning. This study reviews the subjects of the 7th curriculums and the textbooks for social studies critically, and attempts to suggest an integrated social studies units, Egyptian civilization as an exmaple gearing effective learning in classroom teaching. The proces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10 different kinds of the first graders'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s are compared and analyzed. Second, unified curriculums are considered with the concepts, necessity and patterns of contents.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are discussed in the integration on the curriculum and text book. Third, the contents are reconstructed that can be unified at the level of teaching and learning by avoiding the formal unity in the current curriculum. In such, an integrated teaching model was made on Egyptian civilization seeking the possibility of its unification. Finally, I analyzed the possibility of the integration and the effect of studying with the unified teaching model from the questionnaire of my fellow teachers. Less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Integration can provide efficient teaching and thus its necessit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is integrated curriculum is teachers' ability to reconstruct the textbooks. It's very difficult for a teacher who majored in each specific section to gather and organize information. Teachers need to cooperate on the basis of their specialized principle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have group work exchanging useful information in school subjects or teachers council. As this study used graphic materials for the integration focused on the interrogatory method of teaching at the teaching and learning levels, it is necessary to use a wide range of teaching methods like role-playing, group studying as well as answers and questions method, and various teaching materials to encourage students to have interests and take part in their classes. The units of social subjects which need or should to be integrated should be integrated in their contents. But other units if not easy to be integrated or ineffective in integration would be taught in separate as branches of social subjects.

      • 학습자 중심의 지능형 학습 시스템 설계

        송미화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ITS) is the interdisciplinary field that investigates how to devise educational systems that provide instruction tailored to the needs of individual learners, as many good teachers do. Research in this field has successfully delivered techniques and systems that provide adaptive support for student problem solving in a variety of domains. There are, however, other educational activities that can benefit from individualized computer-based support, such as studying examples and exploring interactive simulations. Providing individualized support for these activities poses unique challenges, because it requires an ITS that can model and adapt to student behaviors, skills and mental states often not as structured and well-defined as those involved in traditional problem solving. Meta-cognition refers to “one’s knowledge concerning one’s own cognitive processes and products or anything related to them”[40]. Metacognitive skills are therefore domain-independent abilities that are an important aspect of knowing how to learn in general. Examples include, among others, the tendency to explain instructional material to oneself in terms of the underlying domain knowledge (self-explanation), the ability to learn from examples (analogical reasoning), the ability to appropriately seek tutoring help. Individuals vary significantly in these abilities, and thus several ITS researchers have been investigating how to devise tutors that can help students acquire the relevant meta-cognitive skills.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interface and student module controlling and scaffolding for supporting metacognitive skills is designed on the point of the theoretical aspects, thus inquiring the design elements for the effective module i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proposed as follows: 1. What were the design elements for the metacognitive support in conventional intelligent tutoring system? 2. What will be the design elements for the metacognitive support i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Conventional intelligent tutor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test the valid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techniques i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teaching rather than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Thus, having focused on the applications of AI technique, such as diagnosing a current knowledge state of students and representing instructional rules, intelligent tutoring system couldn't be adaptive to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In future work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intelligent tutoring system based on the design element for supporting metacognitive suggested by this study, and to test th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of it.

      • 조선 중기 이후 영남지역 관례의 구성 체계와 그 문화적 의미 변화

        송미화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중국관례가 한국에 수용, 정착되면서 변화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조선 중기이후 영남지역 관례의 구성 체계와 그 문화적 의미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이해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조선왕조실록과 사족층의 문집기록을 중심으로 관례의 수용과정과 제도적 실천양상을 파악하였으며,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관례의 거행 주체인 주인과 관자, 빈의 인식과 경험을 파악하고 행례를 시행한 집단과 사회구조를 중심으로 관례의 문화적 의미변화를 고찰하였다. 또한 관례를 통시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조선 중기 1기에 해당하는 16세기 중반~17세기 전반, 조선 중기 2기에 해당하는 17세기 중반~18새가 전반, 조선 후기에 해당하는 18세기 중반~20세기 전반, 그리고 근현대로 구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건국에서 16세기 전반까지는 중국관례를 수용하고 국가에서 제도적으로 실천을 권장하는 시기이다. 관례를 올리는 연령을 15세로 정하고, 관례에 사용하는 관을 정하는 등, 관례를 보편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관례시행이 점차 확산되는 시기이나 『주자가례』에 의한 관례가 사회전반에 뿌리내리지는 않았다. 둘째, 16세기 중반이후 사족충의 문집과 일기를 분석하여 세 시기로 관례를 구분하였다. 1550년에서 1650년까지는 ‘입지를 위한 관례기’이고, 1650년에서 1750년까지는 ‘이행기’이며, 1750년 이후는 ‘혼례를 전제로 하는 관례기’이다. 셋째, 관례의 중심 행례절차는 영남지역에서 출간된 예서와 『주자가례』가 거의 동일했다. ‘혼례를 전제로 한 관례기(1750년 이후)’에 가장 많은 자사(자설)가 남아 있으며 사회적으로 큰 격변기에 해당하는 1910년 이후에도 계속 자를 짓고 자사를 지었다. 넷째, 영남지역 관례의 행례과정별 의례 구성요소는 예서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대부분의 예서들이 『주자가례』의 행례과정을 따랐으며 『의례』도 참조하였다. 관례는 안채와 구분된 공간인 사랑채에서 이루어졌다. 다섯째, 관례 참례자의 사회관계는 관례를 올린 후 학문에 뜻을 두고 스승의 문하로 나아가 사승관계를 맺거나 가학의 계승을 통하여 관례를 시행하였다. 또 관례를 올릴 때 초청하는 빈과 손님은 대부분 문인관계이거나 선대의 우의가 대를 이어 친구가 된 경우였다. 아들이나 손자가 유자(儒者)로 입문하는 자리에 친구를 초대함으로써 그들로부터 아들이나 손자를 사회적으로 인정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여섯째, 행례절차의 변화는 사대부들이 삼가(三加)를 하고 초를 하며 자를 지어주는 관례의 원형을 벗어나지 않으려 하였다. 그러나 19세기 후반부터 시가(始加)만 하고 사당에 고하는 것으로 간소화하였고, 문중 어른들을 모신 자리에서 한 분을 주빈으로 하여 관례를 올렸다. 무엇보다 갑오개혁과 단발령은 관례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하였고, 일제강점기를 거치고 유교적 전통사회가 해체되면서 가정의례에서 정부주도나 민간단체 주도의 행사로 변형되어 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관례는 영남지역의 종가를 중심으로 명맥을 유지해 오고 있다. 마지막으로. 관례를 주관하는 빈의 축사, 관례에 참석한 빈이나 손님들의 축하 시, 자와 함께 지어 주는 자사(자설)을 통하여 관례의 의미와 선비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방법을 전하였다. 이는 관례를 통하여 관자에게 기대하는 “인간완성”의 지향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의 논의와 같이 조선중기 이후 영남지역 관례의 구성 체계와 그 문화적 의미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적 관례의 전통을 파악하였으며, 중국관례가 유학적 실천을 중시하는 조선의 유학자들에 의해 한국적 풍토에서 재해석되고 실행되어진 성인례라는 것을 규명하였다. 우리나라의 전통관례는 문자를 통해 수용한 중국 관례를 한국인의 사고방식으로 재해석하여 관습화한 의례로서 ‘입지를 위한 관례’의 성인식이 ‘어른’이라는 관념과 결합하여 ‘혼례를 전제로 하는 관례’로 관습이 굳어지고 전통관례로 지속된 것이다.

      • 특수아동 관련 음악치료 연구의 경향 분석(1999-2012)

        송미화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12년까지의 국내 특수아동 관련 음악치료 석·박사 연구와 학술지 논문 324편 내용을 수집 및 분석하여 전체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집된 논문을 연구분포, 연구대상, 연구유형, 연구목적, 연구자의 전공 및 논문 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 분포 동향을 살펴보면, 1999년부터 2012년까지 특수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연구는 총 324편이 발표되었고, 전체 연구 중 2012년의 연구 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9년에 비해 10배가량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 중 정서·행동 장애 연구가 95편으로 전체의 29.3%를 보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지적장애 72편(22.2%), 자폐장애 56편(17.3%)이 연구되었다. 이 외, 시각장애, 청각장애, 그리고 건강장애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중반부터 나타나고 있다. 셋째, 연구 유형은 양적 연구가 264편(81.4%)이며, 그 중에서도 실험 연구가 166편(51.4%)을 차지한다. 다음으로, 응용연구 31편(9.6%), 문헌 연구 16편(4.9%), 질적 연구 8편(2.5%), 양적·질적 연구 5편(1.5%)이 발표되었다. 넷째, 특수아동을 위해 사용된 음악치료 연구 목적은 총 409개로 나타났다. 그 중 정서 영역 94개(23%), 사회성 영역 69개(16.9%), 언어 영역 60개(14.7%)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특수아동 음악치료 연구자의 전공은 음악치료 전공자의 연구가 191편(59%), 음악치료 외 전공자가 133편(41%)를 차지한다. 음악치료 외 전공자 중에서도 특수교육 전공자가 46편, 음악교육 전공자가 36편이며, 그 외 상당·심리 전공자가 15편, 재활 전공자 5편, 언어치료 전공자 3편, 그리고 기타로 한의대, 가족학과, 행정대, 신학대 전공자 등이 있었다. 여섯째, 논문의 형태는 석사학위가 269편으로 전체의 83%를 차지하고 있다. 박사학위 4편(1.3%), 학술지 51편(15.7%)로 나타난다. 박사학위 중에서는 1편만 제외하고 모두 음악치료 외 전공자에게서 발표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로 보아, 국내 특수아동 관련 음악치료 연구물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세부적으로도 다양한 대상과 방법들이 나타나면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앞으로의 특수아동 음악치료 연구에서는 다양한 대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으로 실질적인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전문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송미화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릿은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변인 간의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Y와 O 전문대학의 재학생 1,446명을 대상으로 진로스트레스 척도, 그릿 척도, 진로미래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고, 유효한 설문 1,358부를 대상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진로스트레스와 그릿, 진로미래는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성별에 따라 진로스트레스 중 취업압박 만이 남성보다 여성이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그릿은 노력의 꾸준함과 관심의 일관성 모두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진로미래는 지지를 제외한 진로주체성, 일-삶 균형, 직업의식, 부정적 진로전망에 대해서도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학년에 따라, 진로스트레스 중 취업압박 만이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사후분석 결과 고학년인 3학년이 가장 높았다. 전공만족도에 따른 진로스트레스, 그릿, 진로미래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공에 만족한 그룹일수록 진로스트레스는 낮게 인식되었고, 그릿과 진로미래는 높게 인식하였다. 학점에 따라 진로스트레스 중 진로모호성, 외부갈등, 그릿의 경우 노력의 꾸준함, 진로미래는 진로주체성, 일-삶 균형, 부정적 진로전망이 유의하였다. 학점이 낮을수록 진로모호성과 외부갈등이 높고, 노력의 꾸준함이 낮게 나타났다. 진로미래의 진로주체성, 일-삶 균형, 부정적 진로전망은 학점이 높을수록 높게 인식되었으며 사후검정 결과 가장 높은 학점인 4.0∼4.5가 높게 나왔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그릿, 진로미래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전문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그릿,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래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 그릿과 진로미래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전문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높으면 높을수록 그릿과 진로미래에 대한 인식도는 낮아지고, 그릿의 인식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진로미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진로미래 하위변인 진로주체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진로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진로모호성이며 개인통제 변인은 남학생 중 전공만족도와 학점이 높을수록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진로스트레스 요인은 정보부족이며 전공만족도가 만족 이상의 경우 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삶 균형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진로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정보부족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이며 전공만족도와 학점이 높을수록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의식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진로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외부갈등이며, 부정적 진로전망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진로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진로모호성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그릿의 매개효과 검증단계 1단계에서 독립변인인 진로스트레스가 매개 변인인 그릿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2단계에서 독립변인인 진로스트레스가 종속 변인인 진로미래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마지막 3단계에서 독립변인인 진로스트레스와 매개변인인 그릿이 종속 변인 진로미래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진로스트레스, 그릿이 모두 유의한 영향 관계를 나타내었고, 독립변인인 진로스트레스의 회귀계수의 변화량을 통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2단계보다 3단계에서 회귀계수의 값이 감소하였으므로 그릿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스트레스, 그릿, 진로미래는 전문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요인에 따라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고,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매개변인인 그릿을 통제해도 진로미래에 대한 진로스트레스는 진로미래에 여전히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진로스트레스는 그릿을 통해서도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과 진로스트레스와 그릿이 진로미래를 높이는 예측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진로스트레스를 낮추며 적정한 수준의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그릿을 높이는 진로·취업 프로그램과 상담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ed effects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Futures Inventory-Revised(CFI-R) of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 two-week survey of 1,446 students at Y and O colleges in Gyeonggi-do was conducted on September 16, 2019 through September 30, 2019. 1,358 surveys among them were used i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return analysis, Sobel-test. Twenty questions were used to measure a student’s career stress, 27 questions were used to measure the CFI-R, 12 questions were to measure grit, and including personal variables total of 64 questions were used. From an result of analyzed this survey, this study could be get to four conclusion for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Futures Inventory-Revised(CFI-R) of college students. First of all, with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 have relevant differences between the sex, school year, grade point average, and major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Secondly, the result also have som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stress and grit, the career stress and CFI-R, and the grit. Mostly, career stress have a negative correlations with grit and CFI-R. Beside, grit and CFI-R have a high positive correlations. In conclusion, the higher career stress of the college students is the lower perception of grit and CFI-R. And The higher grit is the higher CFI-R. Thirdly, although the career stress of a college student have a obvious opposite relationship with CFI-R, partially, the career stress of a college student lead to impacts on CFI-R.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grit had a role as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areer stress and CFI-R, and college students' career stress and grit were predictors that would lead to enhance their CFI-R. Ultimately this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Futures Inventory-Revised(CFI-R) of college students come to the conclusio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stress is a main factor affected CFI-R. From this conclusion, it became to be clear that the student guidance considering career stress and grit are needed for college students.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 the programs and counseling on CFI-R that would not only reducing College Student's career stress, but also enhancing their grit. Key word : College student, Career stress Career Futures Inventory-Revised(CFI-R), Gr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