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안의 누정시(樓亭詩) 고찰

        송기섭 ( Gi Seop So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2 漢文古典硏究 Vol.24 No.1

        누정(樓亭)는 일부 상류층 및 식자층의 문화와 휴식공간으로 사용되어 오다가 조선 이후 유가(儒家)정신과 결합함으로써 풍류를 즐기고 이념 등을 논하면서, 자연과 교감하는 장소로 그 역할을 다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 느낌을 시로 읊었으며, 그 내용의 양상이 누정의 역사, 위치,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천안의 누정에서도 역시 역사, 지리, 그리고 환경의 특색에 따라 시의 내용적 양상이 달리 나타나는데 북부지역은 백제 초기의 도읍이었고 삼남(三南)으로 통하는 기로(岐路)였기에 내용상 백제 망국의 슬픔과 갈림길에서의 자신의 유수(幽愁)를 표현하는 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중부지역은 고려태조의 자취가 많이 남아있고 선비들이 남북으로 오가면서 머물렀던 곳이어서 누정의 많은 시들이 태조의 발자취와 향수를 달래며 고민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남부지역은 아름다운 승지(勝地)가 많고 이곳의 정자들은 자연 속에 위치해 있어 자연산수를 소재로 노래한 시가 대부분이다. 이에 천안 누정의 지역적 특색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시의 특성을 살펴보면 서거정의 제원루(濟源樓)와 구봉령의 차직산제원루운(次稷山濟源樓韻)에서는 망백제국의 슬픔을, 박장원(朴長遠)의 제천안군루(題天安郡樓)와 금종직(金宗直)의 등천안선화루(登天安宣化樓)에서는 고려 태조의 자취를, 숙종의 영소정(靈召亭)은 조선 임금의 자취를 남기고 있어 우리 역사의 흔적이 고스란히 누정에 배어 있다. 이승소(李承召)의 선화루(宣化樓)와 오(吳)의 천안수선정(天安水仙亭)에서는 향수 때문에 그 고민을 노래하고 있는 반면 申濡의 척수루(滌愁樓)와 임방(任防)의 한식등척수루(寒食登滌愁樓)에서는 자신의 시름을 씻어내려는 노력이 엿보이고 있어 이곳을 지나다 머무르며 느끼는 감정이 다양하게 시로 표현되고 있다. 따라서 이곳의 지리적 특색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승지(勝地)에 위치한 정자에서 읊은 시들은 산수를 벗 삼고 또한 가까운 벗과 화답하며 주변의 경관을 그리고 노래함으로써 옛 선비들의 교유와 철학적사고를 느끼게 하고 있다. 유광흥의 자한정(自閑亭)과 한상욱(韓相旭)의 용주정(龍珠亭)에서는 정자에서의 선비들의 일상을 그리고 있고, 금득신(金得臣)의 복귀정(伏龜亭)과 곽시징(郭時徵)의 경한정(景寒亭)에서의 자연에 동화되어 즐기는 모습이 한 폭의 그림처럼 그려져 있으며 박윤원(朴胤源)의 등복귀(登伏龜)는 우주만물의 생성소멸과 순환의 이치를, 신광한(申光漢)의 시제안정(題安亭)에서는 안빈낙도(安貧樂道)를 깨닫고자 하는 고뇌에 찬 모습을 잘 그리고 있어 이곳의 환경적 요소가 깊이 가미되어 있다하겠다. 이처럼 누정의 위치에 따라 역사적, 지리적, 환경적 요인이 내용에 적극 반영되어 있음은 이곳의 누정시 만이 가질 수 있는 가치이고 이외에 누정 속에서 그들의 인간적인 면모를 읽을 수 있어 누정(樓亭)이 우리의 훌륭한 문화로 발전하는데 그 역할이 매우 지대했음을 능히 짐작할 수 있다. Nujeong had been used as a cultural space and rest place of some high classes and intellectuals, then it was a place they enjoyed the arts and discussed ideologies and communed with nature as an influence of the Confucian idea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such a rest, they recited poems to express their feelings. Aspects of those poems vary depending on Nujeong`s history, region and natural environment. This is same in Nujeong of Cheonan. Because the northern Cheonan was early Baekje`s capital and crossroads, there were mainstream poems that implied the poets` sorrow about ruination of Baekje and worry at a crossroads in there. In the central Cheonan, there remained the first king`s vestige of Goryeo Dynasty and scholars stayed on their way from north to south. Therefore, there were mainstream poems that implied worry and the first king`s vestige. This helped scholars to deal with their homesickness. However the southern Cheonan had many areas of scenic beauty and pavilions in this place were located in nature, and so most poems` material was nature. Here are some features of poems related to Cheonan Nujeong`s regional characteristic. We can see sorrow for ruination of Baekje form Jewonru by Geojeong Seo and Chajiksanjewonruun by Bongryeong Gu, the first king`s vestige of Goryeo from Jecheongangunru by Jangwon Park and Deungcheonanseonhwaru by Jongjik Kim and the king`s vestige of Chosun from Yeongsojeong by King Sukjong. Our historical trace remains intact in these works. Seonhwaru by Seungso Lee and Cheonansuseonjeong by Suk Oh are poems about concern from homesickness. On the other hand, in Cheoksuru by Yu Sin and Hansikdeungcheoksuru by Bang Lim, they tried to be free from anxiety and variously expressed their feelings while passed by. Thus, these works show they reflected regional features well. Poems recited in pavilions of scenic beauty show old scholars`` friendship and philosophical thought by representing landscape and responding to friends`` poems. Jahanjeong by Gwangheung Yu and Yongjujeong by Sanguk Han represent scholars`` daily life on pavilion. The image they assimilated with nature in Bokgujeong by Deuksin Kim and Gyeonghanjeong by Sijing Gwak is like a picture. In addition, Deungbokgwi by Yunwon Park tells about birth and death of all things in universe and order of cycle and Jeanjeong by Gwanghan Sin represents well his anguish over the situation he wanted to enjoy Tao in poverty. This shows poets brought natural environment to poems. And to conclude, the poem actively reflected historical, regional and natural elements by location of Nujeong. Therefore, this means Nujeong had a big effect on our great culture from their humanity in Nujeong as well as the only value of Nujeong.

      • KCI등재

        백곡 김득신의 누정시(樓亭詩) 연구

        송기섭 ( Gi Seop So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6 漢文古典硏究 Vol.32 No.1

        백곡은 조선 후기 우리 문학사에 시로써 뚜렷한 족적을 남긴 사람이다. 그는 유수한 가문에서 태어났지만 어릴 때의 앓았던 심한 천연두의 후유증으로 학문의 각득함이 지둔하였다. 이로 인해 학문에 대한 만류가 있었음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부단한 노력으로 시로 名振했으며 일생동안 1500여 수의 많은 시를 남겼다. 본고는 백곡 김득신의 시와 생애, 그리고 누정시에 나타난 공간 활용 유형과시의 소재를 통한 動과 靜의 조화를 고찰해 본 것이다. 여기에서 누정의 공간활용하면서 나타난 성정과 심상을 네 가지 유형으로 도출할 수 있는데, 그 유형을 살펴보면 누정은 첫째, 시상을 발하기 위함이었다. 누정에서 詩品을 올리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모습, 그리고 적절한 시구를 찾지 못해 고뇌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둘째, 인간사에서 오는 愁心을 달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절벽에 위태롭게 서 있는 누각과 자신의 수심을 동일시하며, 그 수심을 한 잔의 술로녹이는 모습에서 그의 인간적 고뇌를 더욱 짙게 느끼게 한다. 셋째, 정자주변의 풍광을 즐기기 위함이었다. 이곳의 풍광을 牧歌的으로,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있는데, ‘詩中有畵’의 당풍을 잘 살려내고 있다. 넷째, 이별과 만남의 공간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별에 대한 情恨과 벗과 회포를 푸는데, 여기에서 그의 온정적인 인간미를 엿볼 수 있다. 또한 靜과 動의 시어 배열과 시구 배치의 조화를 통해 詩感을 높여주고 있는 것도 그의 누정시의 특징이다. 백곡은 作詩할 때 시어, 시구를 배열하거나배치함에 있어 靜的 詩語, 詩句와 動的 詩語, 詩句를 조화롭게 하여 시의 묘미를 꾀하고 있다. 즉 내용상 詩語, 詩句를 靜的으로 표현할 것인가, 動的으로 표현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형식상 어디에 어떻게 배열, 또는 배치할 것인가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여기에서 그가 작시를 함에 있어 彫琢과 推敲의 고민을 엿보이며, 이러한 작시 기법이 그의 시를 절묘한 조화로 이끌고 있다. 이로써 그의 누정시가 진솔하고 청아한 성정과 미적인 심상의 발현과 또 이시 속에 나타난 動靜의 조화에서 오는 절묘함이 苦吟하고 心脾를 쥐어짜며 一字千鍊하여 나온 결과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Baekgok is a person who has left an indelible mark on the literature history of late Joseon dynasty. Although he was born rich as a member of eminent family, he was the slower intellects because of smallpox aftereffect that he has suffered from when young. However, inspite of dissuasion, he has tried to be known for his poems and he has left approximately 1500 poems with endless effort. This writing has its aim to study poems and life of Baekgok Deukshin Kim, space application type appeared at a Nujeong poem, and harmony between movement and tranquility. He has utilized space of Nujeong at Nujeong poem through nature and image that Baekgok has felt at Nujeong, and harmony between movement and tranquility contained in the poem. An utilization is displayed with four types. First, it is to display poetic concept. The appearance to put endless effort to compose poems, and to deliberate because he could not find line. Second, he has used space as a tool to relieve anxiety coming from affairs of men. He has relieved anxiety and nostalgia with a drink by identifying his anxiety with the risk of castle. Third, it is to enjoy scenery of pavilion. He has described the scenery pastorally and realistically, and it has allowed to realize ``poem describing scenery realistically``. Forth, it is used as a space for farewell and meeting. The appearance to unburden oneself on emotion and pity from farewell with companions. When Baekgok composing a poem, he has attempted to display subtlety of poem by harmonizing tranquil poetic diction and dynamic poetic diction when it comes to an arrangement of poetic diction. Thus, he has place a premium on arrangement of dynamic and tranquil poetic diction over the decision to use dynamic and tranquil expression. Because of that, an arrangement of movement and tranquility appeared in his peom is harmonious and fantastic. Therefore, the genuine and pure nature, aesthetic image and superb harmony between movement and tranquility contained in his poem are results of consideration.

      • KCI등재

        만전당 홍가신의 생의 자취와 삶의 지향

        송기섭 ( Song Gi-seop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6 漢文古典硏究 Vol.33 No.1

        만전당 홍가신은 삶을 영위하면서 많은 고난을 겪으며 살아온 분이다. 기축옥사, 임진·정유왜란, 이몽학의 난 등 大患亂의 중심에 있었고, 또한 개인적으로 가난과 身病으로 점철된 생애였다. 이처럼 공적, 사적으로 험난한 인생길을 걸어오면서 훌륭한 자취를 남기고 있는데, 관리로서의 혁신적 행정력과 善治는 물론 임진왜란 시 의병활동, 이몽학의 난 평정 등이 이것을 말해준다. 이러한 만전당의 자취에서 그가 추구하고 지향하고 있는 것을 조명해 보면 그 결과를 유추할 수 있다. 『만전집』을 비롯하여 『선조실록』 등 여러 기록에서 정직성, 청렴정신, 충정심이 읽혀지고 있으며, 그가 남긴 詩文에서 자연귀의에 대한 욕구, 求道에 대한 갈망, 나라를 향한 충정으로 그가 지향했던 삶이 잘 드러나고 있다. 이를 역사적 기록과 그의 시문을 根底로하여 파악해 보면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진다. 첫째, 만전당의 삶의 자취에서 ①花潭 서경덕에서 習靜 민순으로 이어지는 도통을 만전당이 계승하였다. ②정직을 신념으로 한 원칙에 입각하여 엄격한 법집행을 구현하고 있다. ③그는 평생을 청렴한 삶으로 일관하고 있으며, 그가 벼슬하고 있는 동안 보여준 혁신적 행정은 후대에 귀감이 될 만하다. ④기축옥사, 임진왜란, 이몽학의 난 등 역사적으로 큰 사건에서 현명하게 대처하는 모습에서 충정의 진정성이 느껴진다. 둘째, 그의 삶에서 지향하고자 하는 모습이 그의 시문을 통하여 살펴보면 ①벼슬길에 있으면서도 늘 자연에 의지하고 싶은 마음을 구가하고 있다. ②學道에 대한 갈망이 主靜의 경지를 지향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③군주에게 荒言을 서슴지 않은 것은 忠을 실천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만전당의 정직, 청렴, 荒言(직언), 귀거래, 求道 그리고 충정심은 그의 私意私慾이 없는 정신에서 비롯되었고, 이러한 정신은 화담, 습정으로부터 이어받은 주정적 관점에서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만전당은 생활자체를 主靜에 바탕을 두고 이를 실천한 결과이다. Life of Manjeon-dang Hong Ga-sin has been a series of hardships and frustrations. He was not only at the center of political turmoil that was characterized by Literati Purge of 1589, Imjin-Jeongyu Waeran of 1592~1598, and the Rebellion of Lee Mong-hak, he also suffered greatly from poverty and poor health. Nevertheless, while enduring all the hardships in his official and private capacity, he left behind an exemplary record as an innovative administrator, a leader in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y during Japanese invasion, and in pacification of the Rebellion of Lee Mong-hak. An illumination of his life track will make it readily available what he wanted to pursue throughout his life. In a reading of Man-jeon Jib --literary collections of his writings― and the Annal of King Seon-jo, one cannot fail to discover traces of his honesty, integrity, and patriotism, and from the poems and literary essays he left behind, one can easily grasp his orientation of life, a genuine desire to return to nature, a thirst for Confucian learning, and patriotism that drove his official and private life. What follows is the result of an analysis of his life track and orientation of his life based on available historical writings and his literary works: First, with regard to his life track, 1) Manjeon-dang inherited the legacy of Neo-Confucian learning that was transmitted from Hwadam Seo Gyeong-deok to Seupjeong Min Soon, 2) His uprightness based on honesty is expressed in a series of his official and private actions, 3) His entire life was characterized by integrity, and this quality is nowhere better illustrated than in his career as an innovative administrator. 4) His patriotism is revealed in a series of actions he has taken on such occasions as Literati Purge of 1589, Imjin Waeran, and the Rebellion of Lee Mong-hak. Second, his orientation in life is revealed eloquently through his poems and literary essays as follows: 1) He always entertained his desire to return to nature while serving the country as an official, 2) His thirst for Neo-Confucian learning bordered on the realm of ju-jeong (`emphasizing tranquility`), 3) His loyalty to the King is nowhere better illustrated than in his forthright or straight statement. As can be seem from the above examples, Manjeon-dang`s honesty, integrity, forthrightness, longing for homecoming, quest for Neo-Confucian truth, and patriotism were based on genuine unselfishness, and the meaning of this spirit can be grasped from the perspective of tranquility that was transmitted from Hwadam and Seupjeong. In this sense, his entire life can be regarded as grounded on a practice of tranquility principle (ju-jeong).

      • KCI등재

        한시를 통해 본 의암 유인석의 반개화(反開化) 논리와 화이적(華夷的) 서양인식 연구

        송기섭 ( Gi Seop So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5 漢文古典硏究 Vol.30 No.1

        일본은 에도시대 쇄국정책으로 서구열강의 개항요구에 반대하였으나 미국과 1854년 미·일화친조약, 1858년 미·일수호통상조약으로, 조선도 병인년과 신미년의 두 양요에 강력히 항거하여 물리치기는 하였으나 1875년 운양호 사건을 계기로 朝日守護條規에 의해 개항하게 되었다. 이렇게 개항하는 과정에서 조선과 일본이 斥外의 입장은 같았으나 개방 후 개화의 입장과 서양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조선은 華夷적 차원에서 서양을 인식하여 유학자 중 대부분이 中華 중심의 문화를 崇好하고 華夷的 思考로 인하여 쇄국과 전수의 반개화적 논리로 대응하고 있었다. 이에 운양호 사건 이전에는 개항여부에 대하여 戰守派와 交流派, 운양호 사건 이후에는 개화에 있어 守舊派와 開化派의 갈등으로 甲論乙駁하였지만 戰守입장인 수구파의 세가 훨씬 강하게 나타남으로써 양이에 대항으로 맞섰다. 그러나 일본은 조선과 달리, 메이지정권이 들어서면서 서양의 기술과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고, 그 결과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할 수 있었다. 또한 이렇게 하여 모아진 자본을 토대로 군사력을 크게 신장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당시 華夷論的 차원에서 서양을 인식하는 대표적인 학자가 화서 이항로며, 이 뜻을 이어받아 계승한 이가 의암 유인석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의암 유인석의 시를 통하여 당시의 교화 또는 개화파 논리에 대하여 우려하고 그의 서양관을 화이적 관점에서 알아 본 것으로 抄記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암은 왜양식의 개화현상을 보면서 대단히 우려하고 있다. 「今曰維新守舊」 등 10수의 시에서 개화로 인해 우리 생활에 스며드는 서양문물에 대한 부당함을 반박하고 있다. 둘째, 그의 시에 서양에 대한 인식이 잘 드러나 있다. 「洋曆二首」 등 9수의 시에서 서양의 책력, 종교, 과학 등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이 짙다. 또 이러한 내용들이 그가 지은 「宇宙問答」에 잘 정리가 되어 있어서 시와 더불어 의암의 서양인식을 이해하는데 매우 도움이 되었다. 이처럼 의암은 倭洋으로 개화되는 현상을 우려하고 서양에 대하여 화이적 입장에서 바라봄으로써 그와 뜻을 같이하는 수구적 유림들의 분위기를 잘 반영하고 있다. Japan objected to the opening to the Western powers influenced by the closed-door policy in Edo period, but entered into a treaty of peace and amity with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1854 and a treaty of amity and commerce with the same country 1858. Likewise, Joseon strongly resisted against the two invasion cases of Korea by a Western power: French campaign against Korea and United States expedition to Korea, but opened even to Japan under the Japan-Korea Treaty of 1876, influenced by the Un-Yang-Ho Accident happened in 1875. In this process of opening to Western countries, both Joseon and Japan showed the same position of opposing to the foreign countries, but after the opening, their position and awareness of opening and Western powers are clearly different. Joseon recognized the Western powers from the Hwayiron perspective: most of Confucian scholars formed a China-oriented culture and were negative on the opening to other countries. Accordingly, before the Un-Yang-Ho accident, there were two sects: military necessary sect and exchange sect and after the accident, there were extreme conservatives and reformatives. Among the two different forces, military necessity sect and extreme conservatives were much stronger. Unlike Joseon, Japan actively accepted western technologies and products in Meiji regime and resultingly could grow significantly in terms of economy. Based on the capital accumulated in this way, Japan could improve their military power. The representative scholar who had a Hwayiron perspective in recognizing the Western powers was Hwaseo Lee Hang-Ro, who was followed by Uiam Yu In-Seok.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Uiam Yu In-Seok’s concern with opening and recognition of the Western powers and his belief to overcome such a phenomenon based on his poetry in order to infer then-social atmosphere. Specifically,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Uiam was too concerned with the phenomenon of opening. He refuted unfairness penetrated into our society by Western products, as shown in 「Geum-Wal-Yu-Sin-Su-Gu」and other 10 poems. Second, his awareness of the West is well revealed. He had a thick negative view on almanac, religion, and science of the Western society as shown in 「Yang-Ryeok-I-Su」 and other 9 poems. And these same contents are well summed up in his 「Cosmic Question and Answer」, which was very helpful for understanding his awareness of the Western countries with his poems. Like this, Uiam Yu In-Seok’s concern with the opening to the Western countries and Japan and awareness of Western societies are reflecting then-social atmosphere well.

      • 의암(毅菴) 유인석(柳麟錫)의 리(理)·기(氣)에 대한 견해와 의리(義理)정신

        송기섭 ( Song Gi-seop ) 의암학회 2019 의암학연구 Vol.18 No.-

        의암 유인석의 생애는 온통 외세의 침입과 내홍의 연속이었다. 이러한 시련 속에서 그는 늘 保華와 國家守護를 위해 노력했다. 당시 외세에 대한 대응방식에서 있어 그는 和親과 戰守의 갈등 속에서 尊華攘夷적 衛正斥邪도 맞섰고, 국내적으론 개화변혁의 요구에 守舊的 華脉保全으로 대응하였다. 이러한 대응방식은 의암의 사상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당시 儒林들의 사상은 대체로 主理論的 입장과 主氣論的 입장이 대립하고 있었는데, 의암은 주리론적 입장에서 우주만물의 이치를 밝히려 하였다. 의암의 이러한 사상은 화서 이항로→ 중암 김평묵, 성재 유중교 → 의암 유인석으로 이어지는 윤리관과 가치론적사상이었고 이를 생활의 근간으로 삼아 실천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사상의 근거와 실천사례가 그의 저서 『의암집』에 잘 기록되어 있어 이를 토대로 그의 사상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心說’에서 화서는 시대와 현실에 제약되거나 매몰될 수 없는 보편적이고 주재적인 理의 본질을 강조한 ‘心卽理’설에 대하여 의암도 理主氣客의 主理論的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성재의 설 ‘明德은 理이고 아울러 心을 불러 理라한 것에 대해서는 조금 치우친바가 있다’라고 한 것에 대하여 스승의 宗旨를 훼손했다는 비판이 있었다. 이때 의암은 스승의 宗旨를 배반한 것이 아니라 편중된 곳을 보충한 것이라고 하여 省齋의 心說은 화서의 心說을 한 단계 발전시킨 것임을 주장하고 있다. 둘째, 의암은 기본적으로 理·氣에 대해 ‘발현하는 것은 氣요, 발현하게 하는 것은 理이다’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지만 理·氣에 있어서 理의 능동성을 인정하고 있다. 또한 ‘理가 먼저고 氣가 나중이다’,‘理가 氣를 주관(주재)한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어 主理的 입장을 취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춘추대의에 있어 중화사상을 유지하는 것이 의리이고, 守義를 하는 것이 국가수호의 원천이 되므로 華脈을 잘 보전함으로써 국가를 존속시킬 수 있다는 생각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尊華攘夷的 衛正斥邪가 守華 = 國家守護임을 주장하고 이를 실천하고 있다. When Uiam Yu In-seok’s settled down to study in his one’s whole life was a series of internal bickering and from foreign invasions. He was always tried BoHwaee(Keeping the history of china)’ and protect country in these trials. He opposed with JonHwaeeYangI and WiJeongCheokSa in response to foreign powers in peace and war of conflict. At the request of the flowering in the national transformation in response to the HwaeeMaek BoJeon. This approach was in Uiam of idea. The ideas of the Confucian scholar at the time largely JuRiRon and JuGiRon is pitted against each other. Uiam was a JuRiRon the order of the universe did to make a statement. This idea lead to HwaeeSeo Lee Hang-ro → JungAm Kim Pyeong-muk, SeongJae Yu Jung-gyo → Uiam Yu In-seok. This idea is of ethics and values. Serve as he did this for academic foundation and tried to put into practice. In the basis of ideology and practice cases are recorded on his book. His book is a 『UiamJib』 In his ideas based on the item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waeeSeo argued for ‘SimJeukRi’ to ‘Simseol’. ‘Simseol’ is in reality, that can not be restricted or buried under the universal and embassies, and emphasized the nature of ‘Ri’ Uiam , too, the point of view ‘JuRiRon’ of ‘RiJuGiGak’ But SeongJae disagreed how about this ‘Simseol’of HwaeeSeo. SeongJae said. “‘MyeongDeok’ is ‘Ri’. But ‘Sim’ is ‘Ri’. that is too much.” Responding ot the claim of the SeongJae people criticized it for the damage to teacher’s will. Uiam is about this explanation. ‘To make up for teacher bias not betray the will of the idea.’ This is ‘SimSeol’ of SeongJae is meaning that one step further to ‘SimSeol’ of HwaeeSeo Second, The meaning of Uiam is as follows about ‘Ri’ and ‘Gi’: Development is ‘Gi’. Development that is ‘Ri’. But ‘Ri’ positive admits about ‘Ri’ and ‘Gi’ In other words, ‘Ri’ is first and ‘Gi’ is a later date. ‘Ri’ oversee to ‘Gi’ Third, It is to keep Chinese culture duty at ‘ChunChuDaeUi’. be maintained. A solution to this is a JonHwaeeYangI and WiJeongCheokSa. ‘BoHwaee(Keeping the history of china)’ and protect country the same.

      • KCI등재

        의암 유인석 시에 나타난 斥邪의식과 현실대응에 관한 연구

        송기섭(Song, Gi-seop)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1 No.-

        毅菴 柳麟錫(1842∼1915)이 살았던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은 우리의 역사상 가장 어두운 시기였다. 서구열강들의 강제적 개항요구와 일본의 식민지 정책 등 국외적 영향으로 인하여 국내는 몹시 혼란한 상황이었다. 이때 의암은 斥和戰守論을 펼치고 있는 스승 화서 이항로(1792∼1868)를 따라 외세에 항거함으로써 斥邪활동이 시작되었는데, 이로부터 생을 마칠 때까지 斥洋?斥倭를 선도하였다. 이는 화서의 위정척사사상을 몸소 실천하려는 의지에서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암의 척사에 대한 주된 의식은 도의 보전에 있었다. 따라서 그는 외침과 서양문화 수용이 우리의 도가 타락하는 근원이라고 보고 도를 회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척사에 앞장섰던 것이다. 이런 까닭으로 의암의 문학 속에 척사에 대한 精神과 動靜이 고스란히 스미어 있는데, 특히 그의 시 속에 척사에 대한 의식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척사로 현실의 상황을 극복하려는 심경이 응축되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의암이 암울한 시대를 살아오면서 시에 나타나는 척사의식과 邪類에 대응하는 모습을 통해 그의 심정을 고찰해 보았다. 「洋禍二首」등 8편의 시를 척사명분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는 ‘도의 보전과 화맥보존’ 그리고 ‘국가수호’의 정당성에 대한 외침인데, 그 근거를 춘추대의에서 찾을 수 있다. 이는 의암의 척사적 실천이 의리의 명분에서 작용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有恃無恐」등 8편의 시에서는 척사에 대한 의지를 피력하고 천시의 기회를 엿보고 있다. 이 시들을 살펴보면 의암의 척사에 대한 강한 의지에는 변함이 없다. 하지만 일본의 식민정책 강화에 따른 그의 활동에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척사활동을 하는데 처한 상황에 따라 대응방법이 전환되고 있음을 시를 통해서도 느껴진다.「夜坐讀易」에서처럼 倡義的 척사형태를 보이기도 하고,「夜坐口吟」처럼 守義的 척사형태를 보이면서 천시를 기다리거나 천우신조를 바라고 있는 것이다. When Uiam lived, from the mid-nineteenth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t was the darkest period in Korean history. Domestic circumstances were in a state of confusiondue to foreign influences such as the forced demand of Western powers for the opening of ports and the colonial policy of Japan, and aggression. At this time, Uiam launched the Cheokyang activity to reject heterodoxy by resisting foreign powers, along with his teacher, Hwaseo, who was spreading Cheokhwajeonsuron, the argument to reject heterodoxy and defend the country from foreign powers. After that and until he died, he took the lead in the Cheoksa(rejecting heterodoxy) movement, a process which included spreading Cheokyang (which aimed at excluding the West) and Cheokwae(excluding Japan) at the same time, and this is the result of fulfilling Hwaseo"s concept of Wijeongcheoksa(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This paper will shed light on Uiam’s feelings while he was waiting for the day that the justification and will for Cheoksa and morality would recover, based o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and his poetry. The justification for Cheoksa upon which Uiam insisted, was to regain morality. He claimed that accepting the invasion of foreign powers and Western cultures was the reason for the corruption of morality. Thus, Cheoksa was the expedient to regain morality and he firmly stuck to his belief in Cheoksa until he died. Uiam"s feelings for overcoming this are well expressed in his poetry. In eight poems, including “Yanghwayisu”, he insisted on “the preservation of morality and the country” and the legitimacy of Hwamaeksuho. This was founded on Chunchueuiriand the practice of this was the justification, to Uiam, for Cheoksa. In these eight poems, including “Yusimugong”, his will for Cheoksa is changed. But his Cheoksa activity was restricted a lot, due to the progressive reinforcement of Japanese colonial policy. Additionally,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 domestic environment became unfavorable to spreading Cheoksa activity thus, the method of Cheoksa activity vari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that he faced. As shown in “Yajwadokyeok”, the form of Cheoksa was creative, while, as shown in “Yajwagueum”, the form of Cheoksa was to uphold justicefor the grace of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