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홍가신(洪可臣) 경세사상(經世思想) 연구(硏究) ― 상소문(上疏文)을 중심으로 ―
복대형 ( Bok Dae-hyoung ) 한국한문고전학회 2016 p.43-74
두곡(杜谷) 홍우정(洪宇定)의 은둔사상(隱遁思想)과 문학세계(文學世界) 연구(硏究)
신두환 ( Shin Doo-hwan ) 한국한문고전학회 2016 p.75-121
두곡(杜谷) 홍우정(洪宇定)의 일생과 시작 활동에 관한 고찰 ― 천안 유배기를 중심으로 ―
신영주 ( Shin Young-ju ) 한국한문고전학회 2016 p.123-141
주자(朱子)의 「남악창수시(南嶽唱酬詩)」에 대한 조선 문인의 수용과 변주 ― 이행(李荇)과 조종진(趙琮鎭)의 화운시(和韻詩)를 중심으로 ―
이훈 ( Lee Hoon ) 한국한문고전학회 2016 p.143-189
『천차대관(天?大觀)』의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 수용양상(受容樣相) 고찰(考察) ― 산동(山東) 육로(陸路) 구간(區間)을 중심(中心)으로 ―
이성형 ( Lee Soung-hyung ) 한국한문고전학회 2016 p.275-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