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老子와 孔子의 道개념과 社會正義 고찰

        손흥철,박용석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6

        “도(道)”는 많은 함의를 가진 개념이다. 이 도는 도가(道家)의 대표개념이기도 하지만, 유가(儒家)도 도를 중시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유가는 인도(人道)를, 도가는 천도(天道)를 중시한다. “정의(正義. Justice)”는 서양철학에서 유래한 개념이다. 정의는 개인과 사회 그리고 국제간의 평화와 번영을 유지하는데 필수불가결한 가치이다. 그런데 동양의 도개념으로부터 “정의”의 원형을 설명할 수 있으며, 정의의 실현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도가를 대표하는 노자(老子)와 유가를 대표하는 공자(孔子)가 말하는 도와 정의(正義)의 의미를 찾아보고, 도의 실천과 함께 정의의 실천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필자는 공자가 주장하는 인도의 핵심개념으로 인(仁)의 의미와 인의 실천방법을 알아보고, 이 ‘인’의 실천이 곧 사회정의의 실천임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노자는 자연법칙으로서의 천도의 의미와 천도의 실천방법을 살펴보고, 이 천도의 실천이 곧 정의의 실천임을 밝혔다. 그리고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공자의 정의는 인간존중과 정치사회적 특성이 강하며, 노자의 정의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을 통한 자연합일(自然合一)을 중시하고 있음을 알아보았다. The Conception of the Dao(道) have a large number of implication. The Dao is Taoism’s representative concept, also the Confucianists considered the Dao important. But relatively the Confucianists emphasize the way of Human(人道), Taoists stress the way of Heaven(天道) The Justice is the western philosophical conception. The Justice is necessary for the peace and prosperity in interindividual, inter-social, and international. If closely consider, We can explain the real nature of Justice from the Dao, and know practicing the Dao is namely practicing the Justice. In this paper, I studied the conception of Dao and it’s meaning in the philosophy of Lao-tzu (B.C. 604?∼531?) and Confucius(B.C. 552∼479), and researched the method of practicing the Justice. Through this study, I ascertain that Confucian’s the way of Human is the Benevolence(仁), practicing the Benevolence is namely practicing the Justice. And Lao-tzu’s he way of Heaven is the real nature of Justice, Nature itself remained intact(無爲自然) is namely practicing the Justice.

      • KCI등재

        諺解佛典 연구의 학술사적 의미 고찰 - 『楞嚴經諺解』를 중심으로 -

        손흥철,박용석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98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조선초에 간행된 『능엄경언해(楞嚴經諺解)』를 중심으로 언해불전 연구의 의미를 고찰하고, 불경언해의 과정에서 형성된 우리말 개념의 형성과 그 특징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언해불전(諺解佛典) 연구의 필요성을 종합적으로 논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능엄경언해』를 비롯한 언해불전의 간행은 국가의 정치적 목 적과 왕실보호 및 개국 과정에서의 벌어진 많은 정적을 죽인 데 대한 속죄의 의미가 있었 다고 논증하였다. 제3장에서는 불경언해의 과정을 통하여 범어(梵語)-한어(漢語)-언해 (諺解)로 이어지는 학문적 개념이 정립되었음을 논증하였다. 특히 과문구조(科文構造)가 언해의 중요한 방법이자 특징임을 논증하였다. 아울러 언해의 과정에서 우리 민족의 사유 와 개념이 비로소 우리 말로 개념화되었다는 것도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언해불전에 관한 연구가 우리 말의 원형을 발굴하고, 이것이 우리말로 사고하고 우리말로 인문학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 종합적 연구임을 논증하였다. 종합적으로 『능엄경언해』는 단순한 번역이 아니라 역사적 정치적 문헌학적 교리연구의 의 미뿐만아니라, 우리말의개념사적의미가있음을확인하였다. 그리고언해불전의연구는학술사 적으로우리나라인문학에대한종합적인새로운시각을열수있는분야임을논증하였다. 따라서 언해불전의 연구는 절실한 시대적 과제이며, 민족적 정신문화의 저변을 넓히는 과제라고 보았다.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meaning of the study of the Korean ann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諺解佛典) based on the book of {The Korean annotation of Shurangama Sutra(楞嚴經諺解)} publish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studied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ncept formed during the process of the Korean ann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諺解佛典). Through this study, we comprehensively demonstrate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Korean ann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 To this end, Chapter 2 demonstrated that {The Korean annotation of Śūraṅgama Sūtra}, including the Venerable Admonitions, meant atonement for the political purposes of the state and for the killing of many political opponents in the process of protecting the royal family and opening the country. Chapter 3 demonstrates that academic concepts leading to Sanskrit(梵語) - Chinese language(漢語) - Korean annotation(諺解. Eonhae)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he Korean ann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 In particular, it was proved that the structure of Ke-wen(科文構造) is an important method and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annotation. It also recognized that the reasons and concepts of the Korean people were conceptualized in Korean language in the process of the Korean annotation. Chapter 4 demonstrates that the study of the Korean ann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 discovers the original form of Korean language, and that it is a comprehensive study that lays the foundation for thinking in Korean and humanities in Korean. Over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annotation of Shurangama Sutra(楞嚴經諺解)} is not just a translation, but also a conceptual historical meaning of Korean words, as well as historical, political, philological, and a study of Buddhist scripture. In addition, the Korean ann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 proved that academic history is a field that can open a new horizon for humanities in Korea. Therefore, the study of the Korean ann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 was seen as an urgent task of the times and a task of expanding the base of national spiritual culture.

      • 동중서(董仲舒)의 인간관(人間觀) 연구

        손흥철 南冥學硏究院 2012 南冥學 Vol.17 No.-

        이 글은 동중서(董仲舒 BC 170? - BC 120?)의 인간관(人間觀)을 천인감웅설(天人感應說)과 정치관과의 연관관례를 중 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그 주요 내용은 성삼품설(性三品說), 지식론(知識論), 그리고 교화론(敎化論)이다. 동중서는 인간의 성(性)을 유일한 본질로 보지 않고, 성과 함께 정(情)을 동등한 차원으로 중시하였다. 이런 면에서 그의 인간관은 성정론(性情論)이라고 할 수 있다. 천의(天意)는 최고의 진리이자 인간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다. 인간사회의 도덕적 정의는 바로 이 천의(天意)를 정확하게 이해 하고 실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성인(聖人)은 이 천의를 먼저 이해하고 일반인으로 하여금 이 찬의를 이해하고 따르도록 교화해야 한대 그것이 천명(天命)이다. 천명은 하늘의 대행자인 천자(天子)에게 이 교화의 의무를 위탁하지만, 천자가 천의를 부정하거나 실천하지 않을 때는 징벌(懲罰)을 내리며, 선정(善政)을 베풀 때는 상을 내린다. 동중서는 상벌(賞罰)을 내릴 수 있는 천의를 강조함으로써 최고권력자인 천자를 징벌할 수 있는 견제장치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동중서의 이러한 인간관은 한(漢) 나라가 "춘추(春秋) 대의를 중심으로 건립된 대통일" 곧 춘추대일통(春秋) 대의를 국가임을 강조하기 위한 정치이념에 맞추어 재정립한 갓이라고 할 수 있다. 著編文章以天人感應說和政治觀僞性中心來硏究董仲舒(BC170? - BC120?)的人間關的。基主要內容是性三品說, 知識論化畵論。董仲舒不認爲性是人類的唯一本質, 認爲性和情應該同等重視, 種著方面他的人間倫也可以叫做性情論。天意以最高的眞理爲人類應該指向的目標。人間社會的道德性正義就是正確地理解天意而實施倂形成。聖人先理解天意才能敎化普通人理解倂根着天意。著就是天命。天命需然是上天委託給代行者天子著個敎化義務, 但是天子否定天意或是不實時天意的時候就會降下懲罰。董仲舒强挑他給予嘗罰別人的權力是天意。他創造了可以懲罰天子的著種机制。董仲舒的著樣的人間關爲基黜把各種人間觀重合幷針對自己主張的春秋大一統的政治理念能構在謔立。

      • 동중서(董仲舒)의 정치사상에 관한 해석학적 이해

        손흥철 한국교육현상해석학회 2010 현상해석학적 교육연구 Vol.7 No.2

        이 글에서는 동중서 철학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 근거한 역사관과 춘추대일통의 정치관과 그 의미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동중서의 음양오행설은 사실 양존음비(陽尊陰卑)라는 가치개념으로 이해하여 사회의 신분적 계급질서를 옹호하고, 한(漢)왕조의 지배논리를 정당화하려는 이론임을 밝혔다. 그리고 동중서가 주장한 춘추대일통의 정치관은 왕권을 신성화하려는 왕권신수설(王權神授說)에 다름 아니며, 한 왕조의 항구적 지배를 강화하는 논리인 동시에 중화사상(中華思想)의 시작임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동중서의 정치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석학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왜냐하면 동중서의 학문의 배경이 되는 기초이론들은 유학의 중요이론들을 재해석함으로써 확립되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

        「타카하시 토오루의 조선유학사 서술의 문제점」 그 극복과 방향

        손흥철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5 No.-

        이 글은 이형성 박사의 「타카하시 토오루(高橋亨: 1878-1967)의 조선유학사 서술의 문제점」을 읽고 논평과 함께 한국유학연구에서 가장 먼저 극복해야 할 문제의 내용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 일본의 어용학자였던 타카하시 토오루의 조선유학사의 왜곡된 관점을 극복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여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critical comment on Dr. Lee( Hyung-sung)'s "The Problem of Writing of Dakahashi Toru(高橋亨: 1878-1967)'s The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In this paper, I present necessary six solutions to overcome the distorted view in a government-patronized scholar, Dakahashi Toru's The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 KCI등재

        「太極問」의 太極에 관한 고찰

        손흥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6 남명학연구 Vol.51 No.-

        There is a doubt about 『Gubongjip(龜峯集)』 Vol.3 「TàiJíwèn(太極問)」’s original author, but the contents’s self have good reference for the school of Yulgok’s the theory of LǐQì and TTàiJí. In this article. I consider 「TàiJíwèn」’s author is Gubong Song Yikpil(宋翼弼. 1534~1599), and I will study his philosophical thought in there. For this purpose first, I researched about the concept of Wújí(無極) and TàiJí(太極), and there inter-relationship. Gubong said that Wújí and TàiJí are the eternal substance, and the genuine of Wújí is just TàiJí. Next, I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TàiJí and LǐQì. Gubong regarded TàiJí that is Lǐ, Lǐ and Qì is “one, but it's where Two(一而二), two and, as one”. Lǐ and Qì is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不相離), not mix together(不相雜)”. Lǐ have the ability of the communication, Qì have the limitations, also Lǐ and Qì they forming the diversity and unification in nature. Lastly, I studied the Moving and stopping of Yīn·Yáng(陰陽) in Gubong’s philosophy. He explained the Moving and stopping of Yīn·Yáng is the principle of TàiJí, and that is the mandate from Heaven(天命). In this study, I sought after the Gubong’s Concept of TàiJí have another Characteristic with Zhūxī(朱熹. 1130~1200) and Lǐěr(李珥. 1536~1584), and how we can utilize “the TàiJí” in modern viewpoint.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e need developing Korean bland using the draw a TàiJí(太極) symbol. 『구봉집(龜峯集)』 권3의 「태극문(太極問)」은 원작자가 누군가에 대한 진위 문제는 있지만, 그 내용 자체로 조선중기 율곡학파의 태극관(太極觀)과 리기관(理氣觀)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는 「태극문」의 저자를 구봉(龜峯)으로 보고, 그 속에 담긴철학사상을 객관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무극(無極)과 태극(太極)의 개념과의 상호관계를알아보았다. 구봉은 무극과 태극이 차제(次第)없는 하나의 실체이며, 무극지진(無極之眞)이 곧 태극이라고 하였다. 다음으로는 태극과 리기(理氣)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봉은 태극이 곧 리(理)며, 리(理)와기(氣)는 ‘하나면서 둘이며, 둘이면서 하나’라는 ‘불상리 불상잡(不相 離 不相雜)의 관계이며, 리(理)는 소통성을 가지고 기(氣)는 국한(局 限)성을 가져 다양성과 통일성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기인 음양(陰陽)의 ‘움직임과 정지(靜止)함’, 즉 동정(動靜)에 대한 구봉의 이해를 살펴보았다. 구봉은 음양이 움직이고 정지하는 원리를 태극으로 설명하고, 이러한 동정의 원리가 천명(天命)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구봉의 태극관(太極觀)은 주희(朱熹)나 이이(李珥) 와 다른 독창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태극을 현대적 의미로 활용 가능한지 그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세계화시대의 국제경쟁에서는 국가의이미지와 그 이미지브랜드의 상품가치는 매우 중요하다. 현재 한국을대표하는 문화적 국가브랜드를 만들어야 한다면 이 태극(太極)이 가장의미 있는 내용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栗谷 性理學과 21세기 리더십

        손흥철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40 No.-

        Today in the 21st century desperately needs a leader and leadership that will lead to the right The Change. This article is aimed at examining the leadership of Yulgok(栗谷) Lee-Yi(李珥, 1536~1584)'s ideas and exploring its modern feasibility. In this article, I first studied the academic spirit of Yulgok along with the course of his academic achievement. Yulgok did extensive reading the Three Thought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Through this, I argued that the study of Yulgok, which sought truth extensively, could be the basis for communication and convergence. Second, I explained that Yulgok’s the theory of the all penetrating Li(理) and defining Qi(氣) became a metaphysical basis for enabling the special meaning and universal communication of things and people. Third, we looked at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activities of Yulgok and his the view of dealing with worldly affairs. Here I confirm that Yulgok has fulfilled its patriotism, respect for humanity and justice through religious piety. Fourth, it is a thorough sense of mission to national society. The reason why Yulgok opposed the party was because of the national interest. Yulgok proposed many reform theories, such as the Daedongbeop, for the sake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This is the spirit of practical philosophy. Lastly, Yulgok's philosophy is not truly evaluated due to its academic research attitude, such as heresy and the enemy of disrupting Confucianism(斯文亂賊). The philosophy of Yulgok contains a genuine academic spirit, patriotism and leadership that is needed in this era. However, the philosophy of Yulgok contains a genuine academic spirit, patriotism and leadership needed in this era, which should be revived as a problem of today. 21세기 현대는 올바른 변혁을 이끌어 갈 지도자와 지도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이 글은 한국의 대유학자이면서 위대한 경세가(經世家)였던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와 그의 사상에 담긴 지도력을 탐구하고 그 현대적 실현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율곡의 학문성취 과정과 함께 그의 학문 정신을 연구하였다. 주지하듯이 율곡은 유·불·도(儒佛道) 삼교를 섭렵하였다. 필자는 이를 통하여 폭넓게 진리를 추구한 율곡의 학문은 소통과 융합의 토대가 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둘째, 율곡의 리통기국론(理通氣局論)이 사물과 사람의 특수(特殊)와 보편(普遍)의 의미 및 상호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형이상학적 근거가 됨을 설명하였다. 셋째, 율곡의 경세(經世)와 처세관(處世觀)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필자는 율곡이 종교적 경건함으로 애국정신, 인간존중, 정의를 실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국가사회에 대한 투철한 사명의식이다. 율곡이 붕당을 반대한 이유는 국익(國益)을 위해서였다. 율곡은 국가와 백성을 위하여 대동법과 같은 많은 개혁적 이론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실천철학의 정신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율곡의 철학은 이단(異端)과 사문난적(斯文亂賊)과 같은 편 가르기식의 학문연구 태도 때문에 진정한 평가를 받지 못한다. 그러나 율곡의 철학에는 진정한 학문 정신과 애국정신 그리고 이 시대에 필요한 리더십이 담겨있으며, 이를 오늘의 문제로 되살려야 한다.

      • KCI등재

        南冥學 硏究著述에 관한 簡考-哲學思想을 중심으로-

        손흥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2 남명학연구 Vol.36 No.-

        이 글의 주제는 “南冥 曺植(1501–1572)의 학문에 대한 연구저술의 성과에 관한 분석”이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다섯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남명집』과 譯註本의 종류와 그 특징. 둘째, 초기 남명학연구의 문제형성과 관련된 저술. 셋째, 남명학연구의 다양화와 심화정도. 넷째, 퇴계학과의 비교연구의 내용과 의미. 다섯째, 南冥學의 傳承에 관한 두 유형에 관한 분석이다. 이상의 문제에 대한 연구결과 첫째, 『남명집』에 대한 판본정리와 定本化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남명학의 학문적 사상적 특성을 정리할 때 틀에 박힌 類型化를 지양해야 한다. 셋째, 단순한 비교보다는 남명학의 독창적 성격이 무엇인가를 밝혀야 한다. 넷째, 南冥評傳의 저술이 꼭 필요하다. 다섯째, 남명학파와 門人 등 남명학 전반에 관한 체계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그동안 남명학 연구저술은 대부분 개인이 이미 발표하였던 연구논문을 주제별로 엮어서 출판하였거나, 기획된 목적에 따라 전문연구자들의 개별적 연구논문을 모아서 편집한 책들이다. 이러한 상황은 남명학의 정확한 정체성을 밝히거나, 남명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함을 말하는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예송(禮訟)의 특징(特徵)과 의미(意味)

        손흥철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2 儒學硏究 Vol.26 No.-

        이 글은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예론을 중심으로 조선중기의 예송(禮訟)의 배경과 현대적 의미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예송(禮訟)은 비정상적인 왕위계승과 능력이 부족한 왕의 역할 때문에 일어났음을 밝힐 것이다. 다음으로 예송은 노론의 독주가 아닌 왕권(王權)과 신권(臣權)의 대립과 왕권의 정통성에 대한 시비(是非)에서 비롯되었음을 논증할 것이다. 그 결과 우암의 예론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암은 적장자계승(嫡長子繼承)의 원칙을 고수하였다. 2. 王士同禮를 주장하였다. 3. 우암의 예론의 이론적 근거는 『朱子家禮』와 『儀禮』이다. 4. 왕통과 종통을 분리함으로써 왕가의 권위를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왕의 심기를 불편하게 함으로써 결국 몰락의 원인이 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조선 중기의 예송은 단순한 黨爭이 아니라, 각 정파의 사회이념이며, 정치적 소통(疏通)의 방법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這個文章目的是硏究朝鮮中期禮訟的背景和現代的意味以宋時烈(號,尤庵. 1607~1689)的禮訟。首先, 要證明禮訟的發生原因是非正常的王位繼承和無能力的王權. 再次, 要論證禮訟幷不是老論獨走,而是由王權和臣權之對立與王權的正統性的問題上引起了. 整理尤庵禮論的特竟如下 ;一,他主張"嫡長子繼承"的原則。二,王士同禮的禮法。三,他的理論的根據是「朱子家禮」和「儀禮」。四,他分以離王統和宗統引起了强下王權,這惹人王的念頭,而且就是他沒落的原因。結果,通過這個硏究,我們確認朝鮮中期的禮訟幷不是簡單的黨爭,反而是各正派的社會理念和政治上的疏通方法。

      • KCI등재

        漁村 沈彦光의 선비정신

        손흥철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Sim Eon-gwang (沈彦光, 1487~1540) passed the primary state examination at the age of Twenty one and served the state for thirty years. When he started government service as a provincial governor of Hamgyeong-do, it was a kind of demotion to him. But apart from showing a good example of honesty, he performed his duties well with intelligence and strength conducted a good moral life. In this paper, an effort has been made to study Sim Eon-gwang’s classical scholarship by classifying the relevant aspects in to three categories. Firstly, the spirit of fidelity to his principle was reviewed. Sim Eon-gwang’was appointed as important officer in the Court. Eochon(漁村) was appointed to an important post, but experienced many political adversities. In the process, Eochon followed great loyalty and justification. The paper tries to reveal that the origin integral spirit served as foundation in reaching the ideals of royal politics and played a central role in establishing the causes of loyalty. Furthermore, it explores the Confucian ideals. The contemporary writings of Eochon is mainly focused on the primitive thoughts of Confucianism. However, it can be discerned that Eochon had comprehensive knowledge of Neo-Confucianism. Observing these facets, it has been attemp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Gobeoulgoron(觚不觚論)’ and explore some aspects of Metaphysical ontology. Through this study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Eochon’s Confucian scholarship can be identified. At last, scrutinizing the ethical views on economy in order, it is intended to study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To acquire an idea of Eochon’s classical scholarship, his court writings submitted to the Kings will be studied and based on these sources it is to endorse that the political ideology asserted by Eochon had elements of Confucian politics. Eochon laid emphasis on the discipline and learning of the highest ruler. The meaning of making an upright heart means detaching the self from prejudice and personal affairs. It articulates about acquiring the objective knowledge and impartial judgement. It further advocates that, “Heart controls the private matters”, declares that the heart determines all the thoughts, actions and decisions. 어촌(漁村) 심언광(沈彦光)은 조선 중기의 명신(名臣)으로 많은 요직을 역임하기도 하였지만, 정치적 역경(逆境)도 많이 겪었다. 그러나 어촌은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유교적 의리와 명분을 중시하는 선비의 정신을 실천하였다. 이 글에서 필자는 『어촌집(漁村集)』에서 어촌의 선비정신을 고찰하여 그 현대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촌의 절의정신(節義精神)은 왕도정치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정신적 바탕이었고, 출처에는 명분과 의리를 중시하였다. 어촌의 절의정신과 출처관은 그의 유학사상의 핵심이었다. 둘째, 어촌의 유학사상은 시문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주로 오경(五經)의 사상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논문에서는 「고불고론(觚不觚論)」의 내용을 분석하여 어촌의 형이상학적 존재론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어촌은 사림(士林)으로서 절의(節義)를 드러냄과 아울러 리일분수(理一分殊)에 대해서도 매우 정밀한 조예를 드러내었다. 셋째, 어촌의 상소(上疏)와 부(賦) 등을 통해 그의 도학적 경세관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어촌은 매우 강하게 사림의 도학정치의 이념을 주창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어촌은 최고통치자인 왕의 수양과 공부를 강조하였다. ‘마음을 바르게 한다.’는 말은 마음에 사사로운 생각이나 편견이 없어야 하며, 오로지 객관적이고 공평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마음이 일신을 주재한다.’는 말은 마음이 모든 생각과 판단과 행동을 결정한다는 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