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嶺南地域 原三國時代 臺附廣口壺와 臺附直口壺의 登場과 展開

        손태수 嶺南大學校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부광구호와 대부직구호는 기원후 2세기 중반에 등장하여 3세기까지 존속하며 한반도 동남부인 영남지역에서 등장하는 목곽묘 부장용 토기인 원삼국시대 후기와질토기의 기종이다. 대부광구호는 목곽묘 출현과 궤를 같이하며 이전의 전기와질토기의 조합식우각형파수부호에서 그 조형을 찾을 수 있고 대부직구호는 대부광구호에서 파생하여 그것과 공존하다 전자가 소멸하면서 대체하는 기종이다. 환원염 소성과 대각의 부착, 마연, 고운 태토, 마연 기법과 다양한 문양이 돋보인다. 그러나 기존 연구 성과를 검토했을 때 지나친 양식론에 입각한 해석과 이에 따른 소단위별 등장과 전개에 대한 이해 부족, 개개 기종에 대한 분석 미흡, 논란의 소지가 있을 수 있는 문헌사의 인용을 문제점으로 보았다. 이에 기존의 기초 자료와 새로 축적된 자료를 6곳의 소지역별로 분리하여 정리, 검토하고 대부광구호와 대부직구호의 등장과 전개를 명확히 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 연구 성과의 재검토를 바탕으로 속성과 형식 분류를 시도하여 각각 5형식과 3형식으로 구분하여 5단계로 편년하고 기존 연구 성과의 편년, 연대안을 존중하여 연대를 설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대구·경산, 경주·포항, 울산, 부산, 김해 및 서부경남의 6개의 지역으로 분리한 소지역을 한 지역씩 내의 단계별 등장과 전개의 흐름을 분석했다. 대구·경산지역은 대구에서 대부광구호가 출현기의 것이 등장하지만 경산에서는 출현하지 않고 늦게 등장한다. 또 각각 독자적인 전개 경향도 확인된다. 경주·포항지역은 처음엔 포항을 중심으로 문양이 시문되지 않으며 울산 지역과 유사한 면도 보인다. 3단계에 경주를 중심으로 타 지역과 유사한 형태가 지속되며 대부직구호가 출현하여 대부광구호와 공존하는 양상을 보이며 이로 보아 대부직구호의 발생 중심지로 보인다. 울산지역의 경우 출현과 전개가 명확하게 드러나 타 지역과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3세기 이 후엔 경주와 유사한 문양 형태를 보이며 이 후의 전개도 거의 같다. 부산지역은 대구·경산과 유사한 면도 보이지만 일부 단계가 공백이며 4단계에는 경주지역과 유사한 면도 있지만 경남지역 정확히는 김해지역의 고분군과 유사한 면도 보인다. 경주와 김해와의 관계형성에 따른 현상이 중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경남지역의 경우 김해·창원과 서부경남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김해지역은 1단계에는 타 지역과 유사하게 조합식우각형파수부호를 계승한 대부광구호가 등장하지만 이 후에는 공백기를 보이며 4단계에 이르러 타 지역과 유사한 형태의 대부광구호가 등장한다. 그러나 대부직구호가 거의 등장하지 않으며 대부단경호가 출현하지만 경질제로 볼 수 있으며 이로 미루어 보아 경질토기로의 전환이 다른 지역보다 빠르게 이루어 졌으며 서부경남지역은 극소수에 불과하여 단편적인 설명과 추정으로만 할 수 밖에 없었다. 각 지역의 전개를 검토한 결과 1~2단계와 3~5단계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으며 1~2단계에는 이전의 것을 계승하면서 독자적인 경향을 보인다고 할 수 있고 목관묘-전기와질토기에서 목곽묘-후기와질토기로의 전환이 지역적으로 다양성을 보이는 것에 기인하며 그 배경에는 제작기술 수준과 혁신의 정도, 선택, 숙련 정도가 깔려 있다고 본다. 그 이후는 공통적인 전개를 보이며 관계망 형성에 유리한 지리, 지형적 조건과 그에 따른 기술정보, 인적 자원, 교류의 용이함이 관계망의 강화로 이어졌다고 보고 있으며 이것이 1~2단계와 그 이후의 전개양상과의 차이점으로 볼 수 있다. 그러면서 대부직구호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차이 나는데 기반 조건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현상은 묘제의 변화와도 관계가 있으며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문양이 그러하다. 목관묘에서 목곽묘로 전환할 때 다양성을 보이는데 이는 전환의 속도 차이와 선택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이 다양성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3단계 이후에는 공통성을 보인다. 그리고 대부광구호로의 전환이 동시에 그리고 산발적임을 감안하면 묘제와 토기 전환의 주체는 별개의 가능성이 있으며 대부직구호로의 전환은 기반 조건과 연관되며 이 현상은 일방적인 수용이 아닌 능동적인 수용과 대응으로 볼 수 있으며 원삼국시대 후기와질토기의 기술혁신과 생산체계의 구축 속도, 전개가 지역마다 다르며 기술적, 문화적 선택에 의한 지역성과 다양성을 증명함과 동시에 상호 관계망의 강화에 의한 발전과 제작 기술의의 발전과 기술통합을 보여주는 기종으로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Mounted Jar With Wide Lip and Mounted Jar with stand erect Lip appeared in the middle of the second century and existed until the third century, which were of the same types as those ‘Wazil’ Pottery in the latter part of Proto-Three-Kingdom Period which were grave pottery for outer coffin tomb seen in Yeungnam Area which is located at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Mounted Jar With Wide Lip started to be made and used at the time of the advent of outer coffin tomb, whose model can be seen at Mounted Jar with horn-shaped handles of the previous Early-‘Wajil’ Pottery, and Mounted Jar with stand erect Lip was derived from Mounted Jar With Wide Lip and existed along with it until replacing it when it disappeared. Its features are reducing flame burning, attachment of Mounted Jar, surface grinding, fine earth-particles, grinding method and various patterns. However, the review of previous study results found the problems of the way of interpretation based on excessive “Stilistik”, insufficient appreciation of the advent and development by sub-unit due to the excessive stilistik, unsatisfying analysis on each type and controversial quotation of literatures. Accordingly, to classify existing basic and newly accumulated data into those of 6 sub-areas for review, clarify the advent and development of Mounted Jar With Wide Lip and Mounted Jar with stand erect Lip and understand their meanings,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were reviewed for classification them into 5 properties and 3 types with the chronology divided into 5 stage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chronology of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m, the advent and development by stage of each subarea out of 6 areas – Daegu/Gyoungsan, Gyoungju/Pohang, Ulsan, Pusan, Kimhae and Western Gyoungnam were analyzed. In the area of Daegu/Gyoungsan, the Mounted Jar With Wide Lip at the time of appearance is found in Daegu but its advent in Gyoungsan was later. Also the way of each independent development is confirmed. In Gyoungju/Pohang, the pattern was not tried first in Pohang but similar to that of Ulsan Area. At stage 3, it continued its similar type to those of other areas, especially that of Gyoungju, and Mounted Jar with stand erect Lip appeared to co-exist with Mounted Jar With Wide Lip, which suggests that Ulsan was the center for the appearance of Mounted Jar with stand erect Lip . In Ulsan Area, its advent and development is very clear to show the definite difference from those of other areas. From the 3rd century, it started to have similar patterns to those of Gyoungju and so was the development since then. Those of Pusan Area show some similarity but some stage is blank. Those of stage 4 show the same aspects and also those from Gyoungnam Area, especially Kimhae, have some similarities, from which the overlay of phenomenon related to the relationship of Gyoungju and Kimhae can be thought to have taken place. Those of Gyoungnam Area can be divided into those of Kimhae/Changwon area and of Western Gyoungnam. In Kimhae Area, Mounted Jar With Wide Lip which succeeded to Mounted Jar with horn-shaped handles during stage 1 appeared, which is very similar to other areas. But since then there was a period of blank and there was not Mounted Jar With Wide Lip similar to those in other areas until stage 4. However, Mounted Jar with stand erect Lip was not there and Mounted Jar with Round Pots appeared, which can be seen as unglazed agent, From this viewpoint, the conversion to hardening unglazed pottery can be thought to have been earlier than in any other areas and there are only a few of them in Western Gyoungnam, which can lead to only fragmentary explanation and assumption. With the review of development at each area, it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stage 1- 2 and stage 3 – 5. During the stage 1 – 2, they had the independent tendency by succeeding to the previous ones, the diversity by area was because of the conversion from Wooden coffin Tombs-Latter Wajil Pottery to Wooden Chamber Tombs-Latter Wajil Pottery, and its background is the degree of making techniques and innovation, selection and skillfulness. Since then, the common development was going on with the reinforcement of the network owing to the geography advantageous to relationship establishment, geological conditions and technique information and the easiness of human resource exchange,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difference of development from that of stage 1 – 2. Along with these, there came to be the difference mainly of the conversion to Mounted Jar with stand erect Lip, which is thought to have resulted from the difference of foundation conditions. This phenomenon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change of the memorial service before graves with the tendency of consistence, and especially the patterns are very the same. There was diversity at the time of conversion from Wooden coffin Tombs to Wooden Chamber Tombs, which can be thought to have caused by the selection and the difference of conversion pace. In short, they are regarded as the cause of diversity. Since stage 3, there was commonness. The consideration of simultaneity and sporadicalness of the conversion to Mounted Jar With Wide Lip shows the other possibility of the subject of memorial service before graves and pottery convers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version to Mounted Jar with stand erect Lip is associated to the foundation conditions and that this phenomenon was not a one-way acceptance but an active acceptance and reaction. They are significant in that the pace of constructing production system, technical innovation and development aspect are different from one area to another and the regionality and diversity by technical and cultural selection is proved,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showing the integration of techniques and the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techniques by the reinforcement of network among them.

      • 합동작전계획 수립을 위한 중심식별 연구

        손태수 한남대학교 국방전략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전에서 적에 대한 명확한 중심식별은 희생의 최소화뿐 아니라, 전쟁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선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클라우제비츠가 중심(重心)에 대해 직접적으로 거론하기 이전부터 중심식별은 전쟁을 계획하고 수행해야 하는 지휘관으로서는 항상 당면하게 되는 문제였다. 역사적으로 전사를 보더라도 인간이 전쟁을 시작한 순간부터 승리를 이끌어 내기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사항이었다. 문명이 발달한 현대에 와서는 사회, 문화, 경제, 이념 등의 혼돈 속에 전쟁 또한 그 복잡성을 더해 왔고, 이러한 복잡성은 전쟁을 수행해야 하는 이들에게 더 큰 노력을 강요하기에 이르렀다. 전쟁의 본질은 변화하지 않았을지언정 전쟁을 수행하는 방식과 수단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하지만 전쟁의 본질이 변하지 않는 것처럼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준비가 있다면 바로 적과 나의 중심식별을 들 수 있다. 먼저 중심(重心)의 개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고대의 손자를 비롯하여 클라우제비츠, 조미니 및 리델 하트의 전략사상에 녹아있는 중심사상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항공력의 등장 및 무기체계의 발전과 더불어 구체적으로 발전한 중심사상을 알아보기 위해 대표적인 항공 전략가인 보이드와 와든의 중심사상을 분석하였다. 전략사상가들에 대한 중심사상을 군사 전략가들과 항공 전략가들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은 수단의 변화에 따라서도 중심에 대한 인식의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각 군의 교리와 합동교리 등에 나타나 있는 중심 개념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중심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립하였다. 이어서 군사전략에서 중심이 갖는 위상과 중요성을 확실히 하였고, 중심을 이루는 핵심구성요소를 파악하여 중심이 갖는 특성을 논하였다. 중심(重心)에 대한 소결론에서 정신적 또는 물리적 저항능력과 행동의 자유의지를 가능하게 하는 체계의 특성, 능력, 힘의 근원들의 조합이 중심이 된다고 결론지었다. 중심식별 고려요소는 현대전 양상과 상대 국가의 상황을 고려하여 분석대상 체계 PMESII를 선정하였다. PMESII 체계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이유는 구성요소의 절대적인 기준이기 보다는 현대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우선순위가 높다는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중심선정의 구체성과 명확성을 갖추기 위해 4단계의 중심선정 과정을 제시하였다. 제1단계는 PMESII 체계에서 분석되어진 각각의 요소들이 군사전략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떻게 활용되고 도움이 되는 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제2단계는 1단계에서 분석되어진 요소들 중에 상대국의 전체 구조를 통합하고, 시스템을 하나의 단일체로 움직이게 하는 충분한 연계성을 찾는 과정을 들었다. 2단계에서 분석된 요소들 중 군사력을 집중하고 움직이는 구심력의 필수적인 요소를 선별하는 과정을 제3단계로 들었다. 위의 3단계를 거쳐 선정된 요소 중 어떤 것이 우리의 목표 달성에 가장 기여하는가를 판단하는 과정을 최종단계인 제4단계로 제시하였다. 선정된 중심에 대한 분석은 1단계 정보수집 및 분석, 2단계 목표식별, 3단계 핵심적인 강․약점 식별, 4단계 중심선정, 5단계 중심들의 핵심능력 식별, 6단계 핵심요구조건 식별, 7단계 핵심취약점 식별 및 8단계 보호수단까지 8단계로 체계화하였다. 군사전략 및 작전목표에 따른 정확한 중심식별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식별된 중심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중심을 마비시킬 수 있는 표적들 또한 개발될 수 있기 때문에 중심 분석을 8단계에 걸쳐 체계화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중심을 식별하고 선정하는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중심 분석을 위한 8단계를 제시하여 체계성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적용 가능성을 묻기 전에 중심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은 명확하고 구체적인 효과 중심의 표적 개발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 논문의 한계점은 각 수준별, 유·무형의 존재들, 다양한 상대 등에 보편타당하게 적용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비록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하였지만 다양한 상황에서 이러한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점도 존재한다. 또한 각 단계별 절차를 어떻게 구체화하여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모호성도 내재하고 있다. 우리는 적에 대하여 이론적이고 학술적으로만 중심을 이야기 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중심은 체계적으로 식별되고 분석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우리의 노력 대부분과 중간단계의 목표는 중심을 파괴시키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작전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체계적인 중심 분석이 선행될 때, 우리는 필요 없는 힘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군사력의 운용에 있어 효율적인 힘의 배비 및 노력의 집중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체계적인 중심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 직파재배 벼 품종 육성을 위한 유전자원의 저온 발아성 및 중배축 신장 특성 분석

        손태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농촌의 노동력 부족과 생산성 감소, 생력재배 수단으로 기계이앙을 하지 않는 벼 직파재배가 점차 확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파재배에 필수 요건인 저온 발아성과 중배축 신장 특성을 분석하여 재래종 벼 중 저온 발아성과 중배축신장성이 우수한 품종개발을 목적으로 유전자원을 탐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발아율은 상온(28°C)과 저온(15°C)에서 별 다른 차이가 없었다. 발아세는 상온(28°C)은 대부분 80%이상, 저온(15°C)에서는 상당히 낮았다. 평균 발아일수는 상온은 2.2일, 저온은 7.2일로 저온일 때 발아속도가 많이 지연되었다. 중배축 신장 특성 평가 결과 평균 8mm수준으로 0.0∼30.3mm로 조사 되었는데, 평가된 자원 중 9점이 20.0mm 이상 신장하였고, 발아 지연일수와는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재래종 벼의 유전자원 중 조도, 청송조, 찰벼, 석산조, 음조, 각시첨조, 다마궁은 저온발아성 및 중배축 신장성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어 직파재배 품종개발을 위한 유전자원으로 평가 되었다.

      • 은행거래 관계상의 상호행동 영향에 관한 연구

        손태수 東亞大學校 經營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Until now the Marketing in bank has emphasized one-time transaction without continuous relation with customers. Namely, the competitive priority of bank was placed on product itself such as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 and the interest regul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product and service of offering from individual organ of monetary circulation and to stop up the confusion of customers. The reason why this case happens is that hardware product in service field such as a bank could be easily copied. Also, in the industry including banks, the marketing strategy for brand loyalty of customer is the most important one of competitive strategy. The bank that gets many customers keeping preference of own company brand can make a safety profit. This study proposed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relation marketing which could keep customers transacting with an bank for long. And, this study identified each factor of bank-using customers characteristic and staff characteristic and then analyzed mutual behavior impact and relation efftct. Also this study suggested following model and hypothesis for of offering basic data in the transaction-keeping strategy establishment. ◁그림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First the null hypothesis that staff characteristic don't affect mutual behavior was partially denied. Second, the null hypothesis that staff characteristic don't affect relation quality was partially denied. Third, the null hypothesis that mutual behavior don't affect relation effect was partially denied. Forth, the null hypothesis that customer characteristic don't affect mutual behavior was partially denied. Fifth, customer characteristic don't affect relation quality was denied partially. Finally, the null hypothesis that relation quality don't affect relation effect was partially denied. This study has following some limitation; First, relation effect was consist of transaction maintainment and business effect, so this study could not make a financial analysis. Second, the sample consisted bank-using customer in Pusan. The study should have used sample in whole area. Third, in selecting each variable, the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past research but there were another variables. Therefore, I expect to conduct concrete research considering limitations in the future.

      • 韓國語의 英語飜譯 過程 및 分析

        손태수 成均館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f Korean-English translation have mainly focused on translation just as an end product, while only a few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 methodological study or the in-depth analysis of translation.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to make a research on how to effectively translate hard-to-grasp Korean language into natural and fluent English in the theoretical framework.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thesis has set three proposed goals. First, it has attempted to figure out the methodological problem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Korean into English based on previous theories of translation, rather than merely finding corresponding terms or superficial equivalents. Second, it has systematically overviewed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in two perspectives: first in terms of language and second, in terms of culture. Last, it has rearranged various problems happening in the course of Korean-English transl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various theories of linguistics and translation, thereby suggesting a proper direction for future translation. In addition, this thesis aims to suggestthe proper direction for the effective teaching of Korean-English translation for students in class. Basically, all these attempts are aimed at solving the difficulties or error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Korean-English translation. This thesis focuses on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Korean and rendering it into acceptable English through the three steps of analysis, transfer, and restructuring. The first step is to accurately grasp and analyze the exact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in order to convey effectively the meaning of the original sentence, which also is the ultimate aim of translation. Once analyzed, the original text must be transferredto the target text both at the linguistic and cultural level. As the last step, restructuring is the process of recombining and rearranging the minimal logical unit of the target language obtained in the process of transfer, and making necessary modifications using various strategies such as "addition," "deletion," and "substitution." As mentioned earlier, this thesis has analyzed the major problems of Korean-English translation into two fields: language and culture. The author has divided the linguistic problems into grammar, expression and meaning, and syntax, while at the same time explaining various problems, resulting from the lack of understanding cultural aspects, in details. From the research, the author has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n order to translate Korean into English well, translators should be well awar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overcome the language barrier through incessant study and related efforts. Translators should know how to make the best use of dictionaries, including monolingual and bilingual ones, in order to get closer to the precise meaning of the words and expressions they use in translation. Second, Korean-English translation, like the case of English-Korean translation, requires a thorough understanding of a source text whether the translator is a native speaker or not. Conveying the original meaning of the source text through transfer will be the ultimate aim of translation. Third, the translator should go into the deep structure in order to convey better the meaning of the source text. Fourth, commanding the consummate level of English is as important as reducing the loss of meaning in Korean-English translation. Therefore, the translator should revise the translated sentences as precisely as possible until the final translation is completed. Fifth, and most important, understanding culture is as important as transferring the linguistic elements in English because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on are mainly caused not only by difference of the language structure but also the cultural factors. The loss of the original meanings in translation could be largely caused by cultural differences and social differences as well as by linguistic differences.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ranslation is translators' talent and attitude, translators must have not only the knowledge of two languages, but also the knowledge of different cultures. Language and culture are by no means static but are constantly and dynamically changing. Translators, therefore, should be aware that translation should be reinterpreted again and again according to the context of culture. As translation is both a form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an ever-renewing process that can hardly attain perfection. However, developing new theories or methods, fully based on actual practice, will be of great help in improving translation techniques and promoting translation activities.

      • 『한중록』과 『레드 퀸』 : 번역과 문화횡단 양상 고찰

        손태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examined, from the translation and transcultural perspective, how Margaret Drabble has appropriated the 18th century Korean court classic Hanjungnok to write her novel The Red Queen (2004). Hanjungnok, the four-part Korean autobiographical memoirs by Crown Princess Hong, revolves around a case of filicide: King Yŏngjo’s execution of his psychologically ailing son Prince Sado by cruelly trapping him in a rice chest. The family-cum-royal court tragedy has been cross-culturally appropriated by The Red Queen which introduces Lady Hong as the ghost of Crown Princess Hong and also as the Princess’s contemporary alter-ego Barbara Halliwell. Like Crown Princess Hong, Halliwell witnesses the feuds between her mentally handicapped husband Peter and her autocratic father-in-law. As translation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building a bridge between the two different cultures of 18th century Korea and 21st century Britain, this study analyzed four English translations of Hanjungnok: Han Joong Nok: Reminiscences in Retirement (1980) by Bruce K. Grant and Kim Chin-man; “A Record of Sorrowful Days” (1981) by Peter H. Lee; Memoirs of a Korean Queen (1985) by Yanghi Choe-Wall; and The Memoirs of Lady Hyegyŏng: The Autobiographical Writings of a Crown Princess of Eighteenth-Century Korea (1996) by JaHyun Kim Haboush. This research examined a variety of problems and difficulties that arise during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Korean literary classic in English, with much focus on culture-specific aspects and metaphors as well as technical terms. With regard to the analysis of the four translations, this study referred to Lawrence Venuti’s strategies of domestication and foreignization. Domestication refers to the translation into a fluent, transparent, and invisible style to minimize the foreignness of the TT, while foreignization leaves the original style of the ST intact as much as possible and moves the TT reader towards the writer’s own style. This study showed that the translators have carried out their own mission of conveying the source culture while promoting readability among the TT readers by mapping out their own translation strategies. This study also closely analyzed Haboush’s translation The Memoirs of Lady Hyegyŏng both textually and contextually as it undoubtedly has laid a cornerstone in encouraging Drabble to write her own tragicomedy. Haboush’s translation is characterized by the translator’s reinterpretation of the source text and utilization of abundant footnotes based on her extensive historical and textual knowledge of Korean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some of the universal ideas in Hanjungnok and The Red Queen, including psychological conflicts, patriarchy, universality, and feminism. Drabble says that she asked herself “questions about our modern (and postmodern) doubts about universalism and essentialism.” Drabble appropriated a variety of events Lady Hong witnessed during her lifetime, while juxtaposing a tragedy of the 18th century Chosŏn Dynasty and the lives of characters in contemporary Britain. The death of Prince Sado was also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chetype developed by Carl G. Jung; it can be interpreted not only in terms of his psychological problems but from the broader context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Sado’s father King Yŏngjo. This coincides with the view of Drabble who criticizes postmodernism and defends universalism through her reinterpretation of Hanjungnok and her depiction of Lady Hong and Barbara Halliwell in contemporary times. The Red Queen incorporated various transcultural codes linking the East and the West into a grand spectrum of intertextuality. On her visit to Seoul, Halliwell encounters Dr. Jan van Jost who gives a lecture called “The Leaden Casket: Meditations on the Apocalypse,” saying that men are trapped in the coffin-casket and die an inevitable death in a darkening planet. This study intertextually examined how Drabble incorporated all the details with the motif of claustrophobia symbolized by the rice chest and the leaden casket. As Prince Sado suffered from claustrophobia in the novel, the rice chest and the casket as its modern appropriation exemplify a coffin-like society where people are chocked to death in the fetters of civilization. These symbols manifest the parallel aspects of authoritarian neo-Confucianism and Western patriarchy. The study also touched on the issue of feminism by explaining that motherhood and sisterhood are two of the main modes of life among the women who wish to break the bond of patriarchy. Universality plays a key role of linking Hanjungnok and The Red Queen. Although the actual lives of the characters might have been different according to time and place, they basically share the common, universal element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author intended to find the universal from the specific cultures. The process of appropriation from Hanjungnok to The Memoirs and The Red Queen shows the possibility of cross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contemporary era of postmodernism. 마거릿 드래블(Margaret Drabble)의 소설『레드 퀸』(The Red Queen)은 포스트모더니즘과 다문화주의로 대변되는 오늘날 서구 여성작가의 시각으로 『한중록』에 나타난 특수한 역사적 사실 및 서사 속에서 동서고금을 통해 이어지는 인류의 보편적 정서를 발견하고 이를 새롭게 조명한 작품이다. 본 연구는 『레드 퀸』과 『한중록』, 그리고 『한중록』 번역본과의 비교를 통해 『레드 퀸』이 18세기 조선시대의 궁중회고록을 어떠한 의도로 그리고 어떠한 과정을 통해 서양문학으로 전유했는지를 번역과 문화횡단과정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한중록』은 그랜트 & 김진만, 최양희, 자현 킴 하부시, 그리고 피터 H. 리의 네 가지 영역본이 있는데, 이 가운데 드래블이 『레드 퀸』을 쓸 때 주로 참고한 킴 하부시의 번역 The Memoirs of Lady Hyegyŏng: The Autobiographical Writings of a Crown Princess of Eighteenth-Century Korea는 저자와 원작을 존중하면서도 목표어 독자에게 원작의 묘미를 충실히 전달한 작품이며, 방대한 자료와 역사적 고증 등을 첨부해 번역자의 역할을 되새기게 한다. 『한중록』, The Memoirs of Lady Hyegyŏng, 그리고 『레드 퀸』, 이 세 텍스트의 상호간의 교류는 발신자와 수신자의 바람직한 관계를 충실하게 구현해 낸 사례로서, 단순한 작품 번역이나 각색이라는 차원에 머물지 않고 문화횡단적 소통이라는 가치를 지닌다. 이 연구에서는 『레드 퀸』과 『한중록』에 나타난 다문화주의와 보편성의 문제를 유교와 정신분석 이론, 그리고 여성주의 논의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해석은 단순히 정신질환이나 부자간의 갈등, 혹은 당쟁의 희생물임을 넘어 원형 및 희생양 제의에 기반을 둔다. 이 양상은 『레드 퀸』의 여주인공 바바라 할리웰의 두 남자인 피터 할리웰과 잔 반 조스트에게 투영된다. 남편 사도세자의 사후, 혜경궁 홍씨의 선택은 모성이었다. 그녀는 한 남자의 아내가 아닌 왕위를 이을 세손을 지키는 어머니로서 자신을 자리매김함으로써 확장된 모성애로 공과 사의 문제를 가름했다. 『레드 퀸』의 주인공 할리웰은 적극적으로 공적 자아로 나아가지는 않았지만 자매애와 모성애를 선택함으로써 사적 영역의 비극을 극복한다. 『레드 퀸』의 『한중록』전유과정을 통해 나타난 가장 근본적인 사실은 무엇보다도 번역과 문화횡단과정을 통한 특수성에서 보편성으로의 이행이다. 드래블은 한 궁중여성의 일대기를 통해 그녀의 삶이 21세기 포스트모더니즘시대를 사는 영국인 여성학자의 삶의 궤적과 일치함을 보여준다. 나아가 사도세자의 희생양 제의나 혜경궁 홍씨의 삶이 현대에서도 반복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레드 퀸』은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는 작가의 글쓰기가 어떠한 것이며 그러한 실천적 시도가 현대에 얼마나 유효한지를 보여주는 살아있는 텍스트다. 『레드 퀸』은 단지 특정 텍스트의 번역을 각색한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시쓰기과정을 거쳐 태어났으며, 기존 텍스트와 소통하는 동등한 가치를 지니는 새로운 텍스트다. 『레드 퀸』은 『한중록』의 역사적 사실들 속에서 동․서를 넘나드는 소재를 가지고 씌어졌으며 보편적인 세계문학으로의 자리매김을 시도한 실험적인 소설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