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영어 학습자들의 정의적 특성과 관련 요인 분석 및 상관관계 연구

        손자영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초등영어가 시작된 후, 문제점으로 많이 지적되는 것 중의 하나가 초등영어 학습자들이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영어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이 부정적이 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3, 4, 5, 6학년 초등영어 학습자들이 영어 교과에 대해 가지는 정의적 특성과 관련하여 학년, 성, 학업 성취도별로 차이를 알아보고, 관련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며, 그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지도하는 교사들이 생각하는 초등영어 학습자들의 학년별 정의적 특성과 관련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 그 결과를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실제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첫째, 초등영어 학습자들의 정의적 특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영어 교과에 대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과외 경험이 있거나 학업 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이 학업 성취 수준이 낮고 영어 과외 학습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3학년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이 다른 학년 학생들보다, 영어 과외 학습을 3년이상 장기적으로 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정의적 특성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영어 학습자들의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재 및 학습 내용, 학부모의 관심, 활동 중심 수업, 교사, 영어 사용 정도, 영어 과외 학습, 학습 난이도가 있고, 이 중 교재 및 학습 내용 요인이 다른 요인에 비하여 매우 높은 설명도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셋째, 초등영어 학습자들의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정의적 특성 및 학업 성취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요인 간 상관도는 정의적 특성 간 상관도, 요인과 정의적 특성 간의 상관도보다 낮게 나타났다. 전 학년에 걸쳐 태도는 흥미와 동기, 자아존중과 관련이 높았고, 6학년은 다른 학년에 비해 정의적 영역 간 상관도가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3, 4학년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은 교재 및 학습 내용 요인과 관련이 깊지만 5, 6학년이 될수록 영어 과외 활동이 정의적 특성과 상관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학업 성취도는 요인보다 정의적 특성과 상관도가 더 높고, 여학생보다는 남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요인,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특성 간의 상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 성취도는 자아존중과 관련이 높으며, 학습 난이도 요인과 학부모의 관심, 과외 학습 정도와도 비교적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에 비하여 남학생의 흥미와 불안, 교사, 영어 사용 정도, 영어 과외 학습 요인이 영어 학업 성취도와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3, 4학년은 수업 내용과 활동, 교사 등의 교실 내 영어 학습과 관련된 요소들이 학업 성취도와 상관도가 높은 반면, 5, 6학년은 학부모의 관심과 영어 과외 학습과 같은 교실 외적 요소들이 학업 성취도와 상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여섯째, 교사가 생각하는 초등 영어 학습자의 학년별 영어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정적이라는 점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영어 과외 학습과 활동적인 영어 수업이라 응답한 것 역시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교사들이 초등영어 학습자들의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교사를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실제 학생 대상의 연구 결과에서는 교사 요인이 다른 요인에 비하여 정의적 특성과 상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은 학년, 성별, 학업 성취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가 있고 정의적 특성과 관련 요인 간에는 중요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들은 성공적인 영어 학습을 위하여 성별, 학년에 따른 영어 학습자의 영어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 차를 이해하고 학습자들의 정의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3, 4학년 학생들은 재미있는 학습 내용과 활동적인 수업 등의 교실 내적인 환경이 영어 학습과 상관이 높은 반면, 5, 6학년 학생들은 부모님의 영어 학습에 대한 관심과 영어 과외 학습 등의 교실 외적인 환경이 영어 학습과 상관이 높다. 영어 과외 학습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현재, 교육과정 개발자와 학교, 교사들은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학습 교재와 내용, 효율적인 영어 시설, 영어 체험 기회 확대 등을 통하여, 초등영어 학습자들이 5, 6학년이 되어서도 영어 학습에 꾸준히 흥미를 갖고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도록, 내실 있는 영어 학습의 장을 만들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초등미술교육에서 국립광주박물관을 활용한 감상과 표현 연계 프로그램 적용 사례

        손자영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Art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an aesthetic eye, formative ability and creativity in order for learners to understand and enjoy various kinds of art. One of sure ways to make it happen is inclusive learning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to learn about expression and appreciation together in the middle of gaining aesthetic experiences. A museum, which is a treasure house of historically, socially and educationally valuable art works, could serve as a place of education to foster an aesthetic eye, expressiveness and crea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n appreciation-expression articulated learning program by utilizing on-the-spot study at Gwangju National Museum in a bid to improve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skills of students. And it's also meant to finalize the developed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o make it more general.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to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museum education for elementary art education and how to link appreciation and expression education. The educational programs of Gwangju National Museum and the fourth-grade elementary art curriculum were analyzed to develop appreciation lesson plans and a program by combining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After the program was applied in class, the works of the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 observation an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s well. The findings of the study about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First, the hands-on activities enabled them to acquire and apply how to appreciate, and they had grown interest in appreciation activities in that course. Second, they showed an improvement in appreciation skills as they found the activities intriguing, and they were eager to express themselves and got to have confidence. As a consequence, they came to find it worthwhile and rewarding to make a work. Third, the appreciation-expression articulated learning via museum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m to be more familiar with the museum as one of cultural spaces. The effort by this study to apply articulated education is expected to pave the way for museum-based appreciation instruction in elementary art education sector and to help enhance the quality of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미술교육은 다양한 형태의 미술을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미적 안목과 조형능력,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미적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그 속에서 표현과 감상이 이루어지는 통합학습이 그 좋은 예가 될 것이다. 이에 역사적·사회적·교육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은 미술작품의 보고인 박물관을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여 미적 안목과 표현력 및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광주박물관 현장학습을 활용한 감상과 표현 연계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감상·표현 능력을 키우고, 나아가 이 과정을 정리함으로써 일반화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드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박물관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 및 감상교육과 표현의 연계 방법을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국립광주박물관의 교육활동과 초등학교 4학년 미술교육과정을 분석하였고, 감상과 표현의 연계활동을 고려한 감상 지도안 및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현장학습에 적용하였고, 학생들의 활동 결과물·관찰·인터뷰 등을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교육적 효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현장 체험을 통해 감상 방법을 익히고 직접 적용해 봄으로써, 작품 감상활동에 대한 흥미가 증가하였다. 둘째, 감상활동에 대한 흥미는 감상 능력의 신장을 가져오고, 이는 표현에 대한 욕구와 자신감으로 이어졌다. 이는 자연스럽게 자신의 작품에 대한 소중함과 보람으로 표출되었다. 셋째, 박물관을 활용한 감상·표현 연계 학습은 박물관이라는 문화공간을 보다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본 연구의 지도 적용 사례가 초등미술교육에서 박물관 활용 감상 수업의 한 예로 도움이 되고, 나아가 감상 혹은 표현 활동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 스마트교육 기반 영어학습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손자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하게 발전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스마트 교육은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걸 맞는 새로운 교육의 혁신이다. 최근 스마트 교육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나오고 있지만 중학교 현장에서의 스마트 교육의 활용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교육의 발전 가능성과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중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 교육 기반 영어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편리성, 유용성, 사용 용이성, 학습자 주도성, 상호 작용성, 학습자 만족도 등 6가지 측면에서 연구 조사하였다. 또한 편리성, 유용성, 사용 용이성이 상호 작용성, 학습자 주도성,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중학교 학생 총 2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3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설문지 분석은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분석, 차이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으로 문항별로 성별, 학년별, 각 요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조사 내용 영역으로는 (1)스마트 교육 활용에 대한 인식 분석 (2)신뢰도 분석 (3)스마트 교육에 대한 성별, 학년별 인식의 차이 분석 (4)스마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스마트기기 활용도의 관계 분석 (5)스마트 교육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분석이었다. 이 연구 자료의 통계 분석결과로는 첫째, 듣기와 말하기 분야에서 스마트 교육의 활용이 기대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의 스마트 교육에 대한 인식의 각 요인들은 내적일치도가 확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습자 만족도를 제외한 5개 요인(편리성,유용성,사용 용이성,학습자 주도성,상호 작용성)에서 성별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없었으며 학년별로는 학년이 낮아질수록 스마트 교육의 인식과 만족도가 높아지는 차이가 있었다. 넷째, 학습자들은 스마트 교육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학습 효율적인 면에서는 미흡하다고 인식하였다. 다섯째, 학습자들은 스마트 교육에 대해 유용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다고 느낄수록 학습자 주도성, 상호 작용성, 학습자 만족도가 높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스마트 교육 기반 영어학습을 위해서는 듣기나 말하기와 같이 의사소통 위주의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성적 향상에도 중점을 두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활발한 상호작용과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바탕으로 학습자 만족도가 높은 교수학습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rapidly developing, smart education is a new innovation of education that fits the information age of the 21st century.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smart education,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sm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suggest smart education and effective learning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English education using smart education in six ages convenience, usability, ease of use, learner initiative, interactivity, and learner satisfaction. I also verified the effect of convenience, usability, and ease of use on interactivity, learner initiative, and learner satisfac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55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Kyunggi-do.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3 statistical program.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effects of gender, grade, and factors on each item were analyzed. Research content area were (1) Analysis of perception on the utilization of smart education, (2) Reliability analysis, (3) Analysis of difference in perception on smart education by gender and grade, (4)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n smart education and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5) Analysis of awareness and Satisfac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survey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expect the utilization of smart education in the field of listening and speaking. Second, it was found that Inner matching degree is secured.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ception by gender in five factors learner satisfaction (convenience, usability, ease of use, learner initiative and interactivity), while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perception by grade. Fourth, the respondents were favorable to smart education, but they perceived it as insufficient in terms of learning efficiency. Fifth, the learners, who thought smart education to be more useful and convenient, showed in learner initiative, interactivity, and learner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oriented contents focusing on listening and speaking should be developed for effective Smart English Educa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re is a need to focus on improving the grade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with high learner satisfaction based on active interactions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 사회적 지지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손자영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사회에서 우울증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국민 10명중 7명이 최근 1년간 우울증에 상응하는 증세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0). 그리고 최근 발표된 ‘건강보험 우울증 진료 환자 수 및 진료 현황 2008(보건복지가족부)’에 따르면 연도별 우울증 환자는 2003년에서 2008년 5년간 우울증 환자수가 32.9%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5년간 연령대별 증가율은 70세 이상의 우울증 환자 증가율이 약 7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우울증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노인 문제에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없는 입장에 처하게 되었다. 노인 우울을 나타나게 하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우울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사회적 지지이다. 사회적 지지는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를 통해 개인의 정서적, 인지적, 물질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제공되는 긍정적 자원이라고 볼 수 있다. 한마디로 사회적 지지는 우울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용한 요인이며 일반적으로 노인이 가지는 사회적 지지는 우울에 대해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회적 지지는 일반적으로 사회적 지지의 제공자 관계유형과 내용적 유형으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으며 사회적 관계망이 관련이 되어 있는 공식적 지지와 가족 친구 친척 이웃 친구 등의 비공식적 지지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지지, 인지적 지지, 물질적 지지의 세 가지 지지로 구성된다. 국내 연구의 경우 대부분 사회적 지지의 공식적 지지와 비공식적 지지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사회적 지지의 구성요소인 정서적 지지, 인지적 지지, 물질적 지지를 구분하여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의 세 가지 구성요소인 정서적 지지, 인지적 지지, 물질적 지지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s)를 구한 결과 사회적 지지에서 정서적 지지는 평균 3.57, 인지적 지지는 평균 3.45로 ‘보통’ 보다 높게 나왔으나 물질적 지지의 경우 2.86으로 ‘보통’ 보다 낮게 나왔다. 우울의 경우 평균이 2.69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와 노인 우울이 심각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설문에 응답한 노인의 일반적 특성별로 사회적 지지 전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노인의 연령별, 결혼 상태별, 자녀동거 여부별, 경제 상태별로 사회적 지지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설문에 응답한 노인의 일반적 특성별로 우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노인의 교육 수준별, 종교별, 직업 유무별, 월평균 수입별, 주 생활비 원천별, 경제 상태별, 건강 상태별로 노인의 우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넷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 정도별로 노인의 우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ANOVA)을 한 결과 노인의 정서적 지지, 인지적 지지, 물질적 지지, 그리고 사회적 지지 전체 모두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노인의 우울이 유의적인 차이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Duncan 사후검증에서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다섯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 정도와 노인의 우울 정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니 사회적 지지의 한 하위 영역 변수의 값이 높아지면 사회적 지지의 다른 하위 영역 변수의 값도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모두 부(-)의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나왔는데 즉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높아질수록 노인의 우울 정도는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여섯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 정도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노인의 정서적 지지는 b=-0.198(p<.05), 인지적 지지는 b=-0.157(p<.05)로 노인의 우울 정도에 유의적인 부(-)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왔으나 물질적 지지는 b=-0.092(p>.05)로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정서적 지지나 인지적 지지가 상승하면 노인의 우울이 유의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물질적 지지는 우울에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와 가설 1과 가설 2는 채택되고 가설 3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노인은 우울에 대해 취약 계층으로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높은 노인들을 체계적으로 사정하고 노인복지 전문가들이나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사는 노인 우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심을 가지면서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노인 우울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노인 우울의 사회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정부는 노인들이 개별적인 특성과 상태를 고려한 보건 및 복지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 다문화상담 수퍼비전역량 척도개발

        손자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다문화상담 수퍼비전역량 척도(MSCS: Multicultural Counseling Supervision Competency Scale)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상담 수퍼비전역량의 하위 구성요소를 확인하여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과정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검사 도구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상담 수퍼비전역량 척도의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둘째, 다문화상담 수퍼비전역량 척도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셋째, 다문화상담 수퍼비전역량 척도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의의와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상담 수퍼바이저용 최초로 다문화 수퍼비전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척도는 다문화의 범위를 확대하여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써 국적·민족성 뿐만 아니라 성별, 연령, 사회경제적 지위, 종교·영적지향, 성적 지향, 장애 등의 요소에서 다양한 소수집단 정체성까지 포함한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국내 다문화상담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한 척도로써 수퍼바이저의 자기평가와 관련 연구 그리고 수퍼바이저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하여 수퍼바이저의 다문화역량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의 한계 및 제한점은, 첫째, 본 척도가 다양한 문화적 차원을 확대하여 다문화 수퍼비전역량을 측정하도록 개발한 척도이지만 문항 내용 자체에 각 문화 차원에 따른 구체적인 역량을 측정하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반영하지 못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과 같은 우리나라의 특수한 다문화 집단에 대한 역량을 기술하는 문항을 추가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척도의 신뢰도를 내적일치도를 통해서 살펴보았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검사-재검사 신뢰도 등을 검증할 필요가 있겠다. 셋째, 본 연구에서 관련변인 연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다문화상담수퍼비전역량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들을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counseling supervision competency an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Supervision Competency Scale (MSCS: Multicultural Counseling Supervision Competency Scale). To achieve this purpose, it was intended to develop a scale by identifying sub-factors of multicultural counseling supervision competency, and to develop the scale that confirmed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the validation process.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as follows: 1. What was the content of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supervision competency scale comprised? 2. What was the reliability of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supervision competency scale? 3. What was the validity of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supervision competency scal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meaningful tha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 multicultural competency test necessary to perform a multicultural supervision was designed to develop the expertise of domestic counseling supervisors. Second, as a tool that can measure multicultural counseling supervision competency in five dimensions, it can be useful for research that verifies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and related variables. Third, it was a measure that reflect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s supervision. This will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constructing and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for multicultural competency development of Korean supervisors. The limitations and constraints of the study were that this scale was a measure for gauging multicultural supervision competency in a broad cultural dimension, but the content of the question itself did not specifically reflect the content of measuring competency according to each cultural dimension.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add and supplement questions describing the capabilities of Korea's special multicultural groups such as North Korean defectors.

      •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문학에 관한 태도’ 관련 단원 학습활동 연구

        손자영 부산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문학 교육과정의 ‘문학에 관한 태도’ 영역과 관련된 단원의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문학』 교과서에서 문학과 삶의 관련성을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정의적 영역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어졌던 비판점을 반영하여 고찰하고, 이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문학’과 ‘삶’이 어떠한 양상으로 연계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우선, 2015 국어과 문학 교육과정에서 드러난 전반적인 특성은 형식적 측면에서 ‘통합’과 내용적 측면에서 ‘평생 독자’, ‘인문학적 소양’, ‘역량’의 강조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문학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육 내용을 기존의 ‘문학과 삶’에서 ‘가치’와 ‘태도’로 나누어 제시한 것은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에서 비롯되는 혼선을 줄이고 문학과 삶을 연계하기 위한 활동을 보다 촘촘하게 구성할 수 있는 비계를 제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해당 영역 성취기준의 구성과 진술 방식의 변화 역시 마찬가지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문학에 관한 태도’ 영역은 문학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인지적·정의적 영역을 통합적으로 다루기보다는 양자를 분리하여 취급한다는 데 문제가 있다. 또한 ‘문학에 관한 태도’ 영역의 성취기준은 타 성취기준에 비하여 구체적인 조건이나 행동에 대한 명시 없이 모호하고 추상적인 표현으로 제시되어 있다는 문제를 지닌다. 문학교육은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대해 통합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환되어야 하며, 학습자의 삶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작품 속 경험이 학습자의 경험으로 전이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관점으로 내러티브 기반 교육이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문학에 관한 태도’ 영역이 『문학』 교과서에서 구현된 양상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단원의 구성을 비교해 보았을 때 학습의 배열 측면에서 부분적인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수록된 제재 현황을 살펴보면, 먼저 ‘자아성찰과 타자 이해’ 관련 성취기준에 대해서는 대체로 ‘자아성찰’을 다루는 학습 내용에 서정 갈래의 작품을, ‘타자 이해’를 주제로 하는 학습 내용의 제재로 서사 갈래의 작품을 선정하여 기존의 단순한 도식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는 점에서 일정한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대부분의 교과서들에서 ‘문학에 관한 태도’ 영역 관련 단원 학습목표는 크게 ‘자아성찰’, ‘타자 이해와 소통’, ‘문학의 생활화’, ‘공동체의 문화 발전’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는데, 단원의 전반적인 구성과 학습활동의 양상을 중심으로 2015 개정 『문학』 교과서의 학습활동의 문제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흥미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학습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대부분의 학습활동이 도식화된 지식 이해 위주로 이루어져 있다. 셋째, 대다수의 학습활동에서 작품과 학습자의 삶 사이의 연계성이 부족한 채로 피상적인 활동을 강요하고 있다. 한편 전체적인 학습활동 중에서 글로 써보는 생산 활동은 없거나 매우 낮은 비율로 나타난다는 문제도 드러났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학습자의 흥미를 고려하여 다양한 매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경험에 중점을 둔 학습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작품과 학습자의 삶을 연계하는 생산 활동의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 학습활동을 통해 작품의 이해가 학습자의 삶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끔 하고, 학습자 내부에서 재구성된 의미의 맥락이 글쓰기를 통해 외면화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한편 제시된 학습활동 중 문화콘텐츠 생산 활동을 요구하는 경우도 볼 수 있었는데, 이처럼 콘텐츠를 활용한 학습활동에서 나아가 더 깊은 고찰과 감상을 풀어내는 활동을 제시하고 싶다면 영상 제작 활동을 활용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 1950년대 한국 모더니즘 문학론 연구

        손자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examine literary modernism theorie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from a perspective of critical history. The confusion and insecurity caused by the Korean War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tudying the literary modernism theories of the 1950s. Amid these disorders and destruction, modernists negated the past things and sought after modernity to form new orders, and they tried to achieve that goal through pursuits for early modern western culture vi-s-a-vis premodern Korean culture. Thus, western theories such as existentialism, new criticism, and new country group were accepted by the Korean literary circle, which thus tried to achieve being contemporary with world literature. However, the western literature-oriented Korean modernism theories in the 1950s were coupled with the tasks to overcome the devastation situation in the wake of Korea's liberation and Korean War, and to establish national literature, leading them to conflict with the acceptance of post-war western thoughts. This is why the 1950s literary modernism theories draw attention in the Korea history of literature. Efforts to secure the literary modernity vi-a-vis pre-modernity as well as restoring the destroyed literary identity called for subjective thoughts in connection with the west. The 1950s literary modernism theories continued to question the process of thinking of others and establishing subjectivity. Thus, the 1950s literary modernism theories, which called for the awareness of new reality, sought to blend literary modernity, nationals, and subjective identity. Since nationalism is understood in relationship with world view of seeing Korea's liberation as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Korean War as the third World War,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iterary modernism's negation of tradition was linked to colonialism, and analyzed the motivation to New Poetry Theory and Latter Half as the emergence of modernism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process of securing modernit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west was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securing literary subjectivity, the 1950s literary modernism theories' acceptance of the western culture was confirm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is process and national identity was also examined. Also, the 1950s modernism focused on critical poetry theories, and yet expanded into critical arguments, criticism on novels, and theoretical exploration of western theories through translation and acceptance thereof. Thus, these efforts sought to secure perspectives on literary modernism theories. Chapter Ⅱ deals with the literary circle situation as the source of the emergence of 1950s literary modernism, and ideology as the foundation for forming new literary thoughts. New Poetry Theory and the Latter Half,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beginning of 1950s modernism, were formed in the second half of the 1940s, were disbanded in the 1950s, and thus their activity period was connected to the liberation-period context in the second half of the 1940s. The then situation surrounding the literary circle, which was responsible for establishing national literature following the country's liberation from colonialism, was projected into the modernism poetry group led by Park In-hwan and Kim Gyeong-rin who espoused modernism as a form of new literature. These people sought to establish modern poetry as a new literary form. Notably, these poets, unlike in the 1930s modernism, were much influenced by the British young modernism poet group, and new country school. Their strong awareness of reality beyond literary techniques detached from the reality was positioned as a literary spirit required of their poetry modernism. Existentialism, which was introduced to Korea as part of efforts to secure contemporariness with world literature, changed to humanism, participatory literature, existential thought, and inner consciousness amid the devastated situations before and after the war, influenced both pure literature and literary modernism, thereby filling mental emptiness and showing a wide range of characteristics. However, existentialism's inner mind pursuit, which was similar to modernism, furthered its affinity with modernism. In literary modernism criticism, existentialism was accepted in the diverse ways such as Kim Chun-su's existential comment through Rilke, Go Seok-gyu's concept of nothingness, and Kim Bung-gu's witness literature, leading itself to be a literary modernism thought before and after the war. Chapter Ⅲ deals with new literary directions that literary modernism theories propose from the aspect of literature's pursuit of modernity. At this tims, conflict was confirmed as occurring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modernity through the acceptance of western literature and the literary subjectivity involving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literature, and also the literary modernism was confirmed as formed as a literary branch. Also, new literary methodologies were achieved together with the securing of modernity. Modernism's negation of tradition drove the establishment of new literary tradition beyond negation. Likewise, the understanding of new literary tradition transcended the modern poetry division into intelligence and emotion, together with the role of modern literature, created a new modern poetry combining emotion and intelligence, and moved to secure subjectivity beyond the western poetry division into lyric poetry and modernism poetry. Also, modernism's negation of the 1930s modernism, in its resistance against the established literature, was confirmed as reborn as a new tradition in relationship with the literature of Yi Sang. Also, based on modernistic methodologies for a new reality embodiment, pursuit for modernity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languages was proposed. Self-understanding of language sought to restore order as a way of a new modernism methodology. Notably, the 1950s modernism called for a linguistic order to establish national literature subjectivity amid diverse confusion of the remaining colonial Japanese language influence before and after the country's liberation and the war, as well as of the mother tongue, English and Russian languages. Amid this situation, the pursuit for modernism was based on the literature's understanding of language and on language, and this was linked to the process of securing methodological logics of modernism criticism through the acceptance of new criticism, thereby proposing the direction for literary modernism. Chapter Ⅳ examines the 1950s literary circle's understanding of modernism through the practical criticism of modernism-based novels and poetry. Then modernism-oriented novels were characterized by introvert self-consciousness ideologies of works written by the then new-generation modernism novelists, such as Son Chang-seop, Jang Yong-hak and Kim Seong-han, by methodologies for allegories to overcome that ideology, and by the appearance of new types of characters. Also, the poetic difficulty issue was criticized as being technical by the then literary circle as part of criticism of modernism-oriented poems. However, for the 1950s modernism-sought poets, the difficulty of understanding enabled them to review literary styles so as to understand modernity and reality, and to create a stepping stone to the 1960s modernism-sought poems. As such, this paper defines the 1950s literary modernism theories to be a process of overcoming the criticism for following the western culture for the establishment of modernization through the acceptance of western theories, as well as the process of securing a subjective identity for establishing a new literary tradition amid disorderly situations due to the country's liberation and war. Given that a nation's literature is created amid the specifics of the same national situations, modernism was created in Korean culture and situations different from in the west. This concept involves modernism separating itself from tradition, but this is a paradoxical meaning for the creation of a new literary tradition. This development was not a literary break due to Korea's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but the 1950s literary position as advanced from the 1930s modernism. This drive enabled the 1960 modernism to develop into a subjective literary thought. 본 연구는 전후 한국 문단에서 발생한 모더니즘 문학론을 비평사적 맥락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0년대 모더니즘 문학론을 연구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당시 사회가 해방과 6. 25전쟁 등에 의한 혼돈과 불안의 상황이라는 것이었다. 이러한 파산과 무질서의 상황에서 모더니스트들은 이전의 것을 부정하고 새로운 질서의 형성을 위해 모더니티를 욕망하였으며, 그것은 전근대적인 한국과 대비되는 근대적 서구문화의 수용을 통해 이루고자 하였다. 따라서 실존주의, 뉴크리티시즘, 뉴컨트리 그룹 등의 서구 이론들이 한국 문단에 적극적으로 수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세계문학과의 동시성을 이루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1950년대 모더니즘 문학론의 서구문학 지향이라는 특징이 해방과 6. 25 전쟁으로 인한 파괴된 상황의 극복과 주체적 민족문학의 성립이라는 과제와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서구 전후사조의 수용에서 균열지점들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전근대와 대비되는 위치에서 문학의 현대성과 파괴된 문학적 정체성을 획득하고자 하는 노력은 서구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주체적 인식을 요구하였으며, 1950년대 모더니즘 문학론은 끊임없이 타자에 대한 인식과 주체화 과정 자체에 질문을 던지는 사유의 공간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현실에 대한 인식을 요구하였던 1950년대 모더니즘 문학론은 문학의 현대성과 민족, 그리고 주체성 등이 중층적으로 이루어진 양상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본고는 당시의 민족적 인식이 8. 15 광복을 2차 세계 대전으로, 6. 25전쟁을 제3차 세계 대전이라는 세계주의 인식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되고 있어 모더니즘 문학에서 주장하는 전통에 대한 부정이 식민지 인식과도 연결되고 있음 확인하고, 해방기 모더니즘의 출현으로서의 <신시론>과 <후반기> 동인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서구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현대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문학적 주체성의 획득 과정으로 인식하며, 1950년대 모더니즘 문학론의 서구 수용적 측면을 확인함과 동시에 민족적 정체성 사이에서의 관계 역시 고찰하였다. 더불어 1950년대 모더니즘은 비평적 입장에서 주로 시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비평 논쟁과 소설 작품에 대한 월평과 서구 이론의 번역․ 수용의 이론적 탐색 등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며 모더니즘 문학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에 Ⅱ장에서는 5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발생적 근원으로서 문단의 상황과 새로운 문학 사조의 체제 형성을 위한 기반으로서 이념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1950년대 모더니즘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신시론>과 <후반기>는 40년대 후반에 형성된 후 50년도에 해체되고 있어 활동의 시기가 40년대 후반 해방기 맥락 속에 놓여 있다. 식민지 시기로부터의 해방을 통한 주체적 민족문학의 성립이라는 문학적 책임 속에 놓여 있던 당시의 문단 상황은 새로운 문학으로서 모더니즘을 들고 나온 박인환과 김경린을 주축으로 한 모더니즘 시동인 집단에게 투영되었고, 이들은 새로운 문학으로서 현대시 성립을 추구하였다. 특히 30년대 모더니즘과 다른 특성으로 이들은 영국의 젊은 모더니즘시 그룹이었던 뉴컨트리파의 경향에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현실과 유리된 기교로서의 문학을 넘어 강렬한 현실 인식은 이들의 현대시로서의 모더니즘이 갖추어야할 하나의 문학 정신으로 자리하였다. 이와 함께 세계문학과의 동시성 획득의 일환으로 유입되었던 실존주의는 전후 황폐한 상황 속에서 휴머니즘, 참여문학, 실존의식, 내적 자의식 등으로 변화하며, 순수문학과 모더니즘문학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어 정신적 폐허의 상황에서 공허한 의식을 채우고 있는 광범위한 특성을 드러내고 있었다. 그러나 실존주의의 내면의식의 추구라는 모더니즘과의 유사성은 모더니즘과의 친연성을 더욱 강조하게 되었는데, 모더니즘 문학비평에서 실존주의는 김춘수의 ‘릴케’를 통한 실존의식을 이야기 하거나 고석규의 ‘무(無)’의 개념, 김붕구의 ‘증인문학’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수용되며 전후 모더니즘의 문학의식으로 작용하게 된다. Ⅲ장에서는 모더니즘 문학론이 문학의 현대성의 인식 태도와 이를 통해 제시하고 있는 새로운 문학의 방향성을 유형화 한다. 이때 서구문학의 수용을 통한 현대성 확립이 문학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민족문학 건설이라는 문학적 주체화의 관계 속에서 균열지점을 확인하며, 현대문학으로서의 모더니즘 문학을 하나의 문학적 지류로 형성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새로운 문학 방법론의 모색 역시 현대성 획득의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모더니즘의 가장 큰 특징으로서 전통부정은 부정을 넘어선 새로운 문학전통의 확립을 추동하였다. 이때 새로운 문학 전통에 대한 이해는 현대문학으로서의 역할과 함께 지성과 서정으로 나누어진 현대시의 구분을 넘어 서정과 지성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현대시의 형태를 생성하며 서정시와 모더니즘시라는 서구적 시형태의 구분을 넘어 주체성 획득의 지점까지 나아가고 있었다. 그리고 기성문학에 대한 저항으로서 30년대 모더니즘에 대한 부정 역시 ‘이상’ 문학과의 관련성 속에서 새로운 전통으로 주체화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새로운 현실의 형상화를 위한 모더니즘의 방법론적 인식을 바탕으로 언어에 대한 인식을 통한 현대성의 추구를 제기한다. 이때 언어에 대한 자각은 모더니즘의 새로운 방법적 지향으로서의 질서 회복의 추구였다. 특히 50년대 모더니즘이 해방과 전후 식민지 시기의 일본어의 잔재와 모국어, 영어, 러시아어 등의 다양한 언어적 혼재가 일어나고 있었던 당시의 상황에서 민족 문학의 주체성 확립을 위한 언어적 질서 형성이 요구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더니즘은 문학의 언어에 대한 인식과 언어를 바탕으로 한 형식적 측면에서의 현대화를 추구하게 되었으며, 이는 뉴크리티시즘의 수용을 통한 모더니즘 비평에 대한 방법론적 논리의 획득의 과정으로 이어져 문학적 현대성 획득이라는 모더니즘 문학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었다. Ⅳ장에서는 모더니즘 소설과 시의 실천 비평을 통해 1950년대 문단에서 바라보고 있는 모더니즘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신세대 모더니즘 소설가로 규정되는 손창섭 ․ 장용학 ․ 김성한의 작품의 내적 자의식 지향의 성격으로 인한 작품의 관념성과 그것의 극복으로의 알레고리에 대한 방법론적 인식, 그리고 새로운 인물형의 등장 등은 당대로서의 현대를 인식하는 모더니즘 소설의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와 함께 시에서의 난해성 문제는 모더니즘 시에 대한 지속적인 비판의 이유로 당대 문단에서도 기교주의로 인식되며 비판되었지만, 1950년대 모더니즘 시인들에게 난해성은 문학의 형식적 성찰을 통한 현대성에 대한 인식과 현실에 대한 인식의 측면을 가늠하며 1960년대 모더니즘시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하고 있었다. 이상에서처럼 본고에서는 1950년대 모더니즘 문학론을 서구 이론의 수용을 통한 근대화 성립이라는 서구 추수적 평가를 극복하고 해방과 전쟁으로 인한 파편화된 상황 속에서 새로운 문학적 전통의 성립을 위한 주체성 획득의 과정으로 규정한다. 한 민족의 문학은 동일한 민족적 상황의 특수성 속에서 형성되는 것이라 할 때, 모더니즘 역시 서구와 같을 수 없는 한국문화와 문단의 상황 속에서 성립되고 주체화되는 균열들의 결정체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개념은 모더니즘이 전통단절을 이야기 하지만, 이는 새로운 문학적 전통을 위한 역설적 의미로 해방과 6. 25를 통한 문학사적 단절이 아닌 1930년대 모더니즘을 밟고서 진보하는 1950년대 문학의 위치를 확인하며, 1960년대 모더니즘의 주체적 문학사상으로 나아가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 최명익소설의 기호학적 분석

        손자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has discussed in a standpoint of semiotics, aiming at overcoming the appraisal on CHOI Myung-ik's works confined to the limited to methodology of studies which are modernism or psychologism works. The research on CHOI Myung-ik's novels has been put value on the external situation of literature, such as studies under the connection with 'social-awareness on the street' or historical situation, differently from the writer's position which was the center of the generation theory in the latter half of 1930s. In addition, the latest research also inclines toward only analyzing detailed narrative characteristic of works, not advancing into overall close examination of works. Consequently this study attempted to consider the work as an independent sign and analyze its sign system, escaping from the existing biased methodology. At the viewpoint of Semiotics, the work is a sign system with meaning, containing its process along with locutionary act. Thus, as grasping the surface structure and meaning of text, in accordance with its information, the analysis of deep meaning of text is to be extended. Through the extension of the analysis,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to the property of novel literature written by CHOI Myung-ik before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by finding out the unchanging core factors of literature. This thesis attempted to find out the meaningfulness of CHOI Myung-ik's text before regaining independence, under the structural standpoint of meaning generation. ChapterⅡ analyzed the surface semantic structure of CHOI Myung-ik's text by the following three items. 'A'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actants, through analysis of each text structure and progress style on the surface story, in the aspect of narrative semiotics. Centering on Scholes' event attribution and act schema, the characters shown in「The Raining Day 」and 「Interrogation」became key subjects, and each character showed an absence of message in the aspect of communications between addressee and addresser, or the lack of understanding through objectification of addressee by addresser. 'B' analyzed the relations between story progress and actant by using a verb, 'see' shown on the text, based on the property of characters that are lacking in understanding, described in foregoing 'A'. In CHOI Myung-ik's text, the verb 'see' showed revelation of desire and transference into 'communicate' simultaneously. Through this development of verb, 'see' → 'communicate', this study clarified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and discontinuation of CHOI Myung-ik's novel. And 'C' analyzed naming of the characters shown in the work. The analysis focused on the meaning of naming as a sign in the text, and the technical aspect. Amid the actants described in CHOI Myung-ik's novel, naming of female characters had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male characters. That is, on the level of the meaning exposed in narration as an information channel amid the kinds of naming, the naming of female actants showed a reversion of negative and positive. Consequently, it shows paradoxical structure of meaning. ChapterⅢ analyzed first the relations between actant and space in 'A', as in-depth analysis of semantic structure of CHOI Myung-ik's novel. Seven novels of CHOI Myung-ik published before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have been divided into dismantling space, regeneration space, and regression space, and consciousness has been analyzed by opening, closing and frustration. Each consciousness and spatiality of text showed opposite character in orientation, such as opening consciousness and dismantling space, closing consciousness and regeneration space, and frustration and regression space. 'B' examined the symbolic language of text and its meaning facility. The symbolic languages in CHOI Myung-ik's novel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wo things. The first thing is the meaning facility of repeated concept word. Centering around the concept words, 'fire' and 'water', repeated in CHOI Myung-ik's novel, connecting closely to the subject, it analyzed based on Jacobson's paradigm and syntagma theory, and Juergen Link's klassem theory. 'Fire' has the nature of vertical movement, disclosing behaviorism as an indirect expression of rising and falling desire. 'Water performs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at the same time, showing image of circulation and life. However, polluted water depicted in CHOI Myung-ik's text, such as 'sweat', 'bloody phlegm', 'menstruation', and 'hemoptysis,' also showed an opposite image to clean water. And the second thing has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the meaning of animal symbolic languages which are frequently used for figuring persons in the text and the behavior of actant, centering around Peirce's symbolic triangle and R. Barthes' significant and signifi&eacute;. The animal symbolic languages assumed by one sign such as a warty and ugly toad and pair, show opposite structure such as affirmation and denial, in the meaning of object and interpretant described in CHOI Myung-ik's text. While on the other, two different objects per one sign generate each different interpretant, which shows an ironic order of statement system. The final chapter Ⅳ attempted to find out the general meaning of works, clarifying the relations and actions between each ele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surface and deep semantic structure of CHOI Myung-ik's text. In CHOI Myung-ik's works, the relations and actions between binary opposition, /life Vs death/, /man of power Vs man without power/, /material Vs non-material/, /urban Vs rural/, based on four isotopies such as /physical/, /social/, /economic/, /spatial/, have been analyzed centering on A. J. Greimas' Semiotic Square. Through the analysis of isotopies, it attended to draw out a paradoxical outcome which was in the aspect of statement depicted at the syntactic level, the deepest level of CHOI Myung-ik's novel. The most general type of paradoxical result depicted in CHOI Myung-ik's novel is continually repeated prediction. The statement shows paradoxically the value of binary opposition such as /life Vs death/, /man of power Vs man without power/, /material Vs non-material/, /urban Vs rural/. That is, beauty and death, life and ugliness consolidate. The reversed value of binary oppositions in CHOI Myung-ik's text becomes factors discontinuing communications between readers and text, while considering text as a sign, and shows a strong will of communication through paradox to readers simultaneously. CHOI Myung-ik's style of communication can be said the meaningfulness of text of novel published before regaining independence. 본고에서는 모더니즘 혹은 심리주의 작품이라는 한정된 연구 방법론에 국한 되어 있는 최명익 작품에 대한 평가를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호학의 입장에서 논의 해 보았다. 최명익의 소설은 1930년대 후반 세대론의 중심이었던 작가의 위상과는 달리 그의 작품에 대한 연구는 ‘로방의 타인 의식’ 혹은 시대적 상황과의 연계 하에서의 연구 등으로 문학 외적 상황과의 연구에 치중되어 왔다. 그리고 최근의 연구 역시 작품의 세부적인 서사적 특질의 분석에만 치우쳐 전반적인 작품에 대한 규명으로 나아가지 못한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기존의 편견 된 방법론에서 벗어나 작품을 독립된 하나의 기호로 보고 그 기호체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호학적 시각에서 보면 작품이란 의미가 부여된 하나의 기호체계이며, 언표적 행위와 함께 그 과정을 담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텍스트의 표층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고 그것이 주는 정보성에 따라 텍스트의 심층의 의미로 그 분석이 확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 같은 분석의 확장을 통하여 문학 작품이 가지는 불변의 핵 요소를 밝혀 최명익의 광복 이전의 소설 작품의 문학 세계에 대한 특징을 규명해 보고자 했다. 본 고의 분석은 이러한 의미 생성의 구조적인 시각 아래에서 광복 이전 최명익 텍스트의 유의미성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최명익 소설 텍스트의 표층의 의미구조 분석으로 다음 세 가지로 고찰해 보았다. A에서는 서사기호학적 측면으로 표면의 스토리 층위에서 각 텍스트의 구조와 진행 양상의 분석을 통하여 행위자간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때 숄즈(Scholes)의 사건의 수식과 행위의 도식을 중심으로 「비오는 날」과 「심문」의 인물들이 중심 대상이 되었는데, 각각의 인물들은 수신자와 발신자의 소통의 측면에서 메시지의 부재 혹은 수신자의 발신자에 의한 대상화 등을 통한 소통의 단절을 보여주었다. B에서는 앞선 A의 소통의 단절적 인물들의 특성을 바탕으로 텍스트 상에서 드러나는 행위어 ‘보다’의 사용을 통하여 이야기의 진행과 행위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최명익 텍스트에서 행위어 ‘보다’는 욕망의 발현인 동시에 ‘소통하다’로의 전이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보다’ →‘소통하다’로의 행위어 전개를 통하여 최명익 소설의 소통과 단절의 의미를 밝혀 보았다. 그리고 C에서는 작품 속 등장인물들의 命名을 분석해 보았다. 텍스트에서 기호로서의 命名이 나타내는 의미와 기법적인 측면의 분석이 중심이 되었는데, 최명익 소설 텍스트 속의 행위주들 중 여성 인물들의 명명에 있어 남성 인물들과는 다른 구성을 보이고 있었다. 즉 명명의 종류 중 정보 전달체로 서사 속에 드러나 있는 그 의미의 층위에서 여성 행위주들의 명명은 부정성과 긍정성이 역전 되어 표현됨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의미의 역설적 구도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Ⅲ장에서는 최명익 소설 텍스트의 심층의 의미구조 분석으로 우선 A에서는 행위자와 공간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광복 이전 최명익의 소설 텍스트 7작품을 해체 공간, 재생 공간, 회귀 공간으로 분할하였으며, 의식은 개방, 폐쇄, 좌절 의식으로 보고 분석하였다. 이때 각각의 의식과 텍스트의 공간성은 개방의식과 해체 공간, 폐쇄의식과 재생 공간 그리고 좌절 의식과 회귀 공간으로 방향성에 있어 대립적 성격을 보이고 있었다. B에서는 텍스트의 상징 언어와 그것의 의미 기능을 살펴보았다. 최명익 소설 텍스트 속의 상징 언어는 다음의 두 가지로 분류해 분석하였는데, 첫 째는 반복적 개념어의 의미 기능이다. 주제와의 긴밀성을 가지는 최명익 소설 속의 반복적 개념어 ‘불’과 ‘물’을 중심으로 야콥슨의 계합체와 통합체의 이론과 위르겐 링크(Juergen Link)의 문맥소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때 ‘불’은 상하의 수직 운동을 하는 성질로 욕망의 상승과 하강의 간접 표현으로 행위주의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물’은 수직과 수평 운동을 동시에 하고 있으며, 순환과 생명의 이미지로 드러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최명익 텍스트 속에서 ‘땀’, ‘혈담’, ‘월경혈’, ‘각혈’ 등의 오염된 물 역시 깨끗한 물과 대립적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두 번째는 텍스트 속에 인물을 비유하는 단어로 자주 등장하고 있는 동물 상징 언어의 의미와 행위자의 관계를 퍼스의 상징 삼각형과 바르뜨(R. Barthes)의 기표와 기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옴두꺼비, 페어 등의 하나의 기호로 상정된 동물 상징 언어는 최명익의 텍스트 속에서 가리키는 대상체와 해석소의 의미에 있어 긍정과 부정 등의 대립적 구조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기호에 다른 두 대상체가 각각 다른 해석소를 생성하고 있어 언술체계의 반어적 질서를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 Ⅳ장에서는 최명익 텍스트의 표층과 심층 의미 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각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와 작용을 규명하여 작품의 총체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최명익 작품 속에서 /생명적/, /사회적/, /경제적/, /공간적/이라는 4개의 동위소를 바탕으로 /삶 Vs 죽음/, /권력자 Vs 비권력자/, /물질 Vs 비물질/, /도시 Vs 시골/의 대립항의 관계와 작용을 그레마스(A. J. Greimas)의 기호학적 사각형(Semiotic Square)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동위소의 분석을 통하여 최명익 소설의 가장 심층적 레벨의 통사적 층위에서 우리에게 주고 있는 언술적 측면인 역설적 결과의 도출을 밝히고자 하였다. 최명익 소설에서 역설적 결과의 가장 일반적 형태로 나타나는 것은 예단이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음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언술로 인하여 /삶 Vs 죽음/, /권력자 Vs 비권력자/, /물질 Vs 비물질/, /도시 Vs 시골/ 등의 대립항들의 가치가 역설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즉 아름다움과 죽음이, 삶과 추함이 합접되고 있다. 이처럼 최명익의 텍스트에서 대립항들의 역전된 가치는 텍스트를 하나의 기호로 볼 때 독자와 텍스트간의 소통을 단절하는 요소가 되고 있는 동시에 독자에게 역설을 통한 강한 소통의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최명익 만의 소통의 방식이 곧 그의 광복 이전 소설 텍스트가 갖는 유의미성이라 할 수 있다.

      • 신문화운동시기 북경대학 학생잡지 『신조(新潮)』에 나타난 신도덕

        손자영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에서는 신도덕이 무술변법시기부터 일관되게 논의되어 온 주제이며 신문화운동시기에는 당시의 슬로건이었던 과학과 민주에 못지않은 중요성을 지닌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문화운동시기의 신도덕 중 특히 당시 사회 변혁의 주체로 주목받던 청년들의 신도덕을 살펴봤다. 이에 따라 북경대학에서 발간된 학생잡지 『신조(新潮)』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분석했다. 학생들의 신도덕에 관한 논의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인생관과 인생 문제다. 학생들은 기존의 인생관을 중국의 도덕인 윤상주의로 규정했다. 개인은 이러한 인생관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발전을 추구해야 하며, 현대 사회에 맞는 인생관을 정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는 가족제도 비판과 여성해방 주장이다. 학생들은 가정은 개성 발휘를 저지하는 장소이자 노예교육을 세습하는 공간으로 보았다. 또한 가족제도 하의 아들과 딸, 며느리는 기성세대에 의해 희생되었다고 여겼다. 그러므로 개인은 자유롭게 발전하기 위해 가정에서 해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성해방의 제창에서는 가족제도 속에서 인격을 상실한 딸과 며느리의 고통을 폭로했다. 그리고 사회·정치·경제 방면에서 여성해방의 필요성을 밝히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세 번째는 신도덕과 민주주의다. 학생들은 도덕을 정의하고 신도덕의 기준을 제시했다. 그들은 도덕을 이해하기 위해 수학의 방정식을 활용하는 등 추상적인 도덕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접근했다. 그리고 신도덕의 정신으로 박애와 자유주의를 주장했는데, 특히 자유는 『신조』에서 현재 세계의 추세로 지목한 민주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위의 분석을 통해 도출해낸 『신조』 신도덕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학생들은 지식을 실천했다. 5·4운동에 참여하여 군중교육과 문화운동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론을 내세우는 것보다 실제 문제를 직시하고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실제로 학생들은 잡지 지면상에서 도덕과 관련한 이론을 주장하기보다 현실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에 주목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북경대학평민교육강연단(北京大學平民敎育講演團)의 참여를 통해 평민들에게 도덕과 관련한 주제로 강연을 했다. 두 번째로 신문화운동시기 『신청년(新靑年)』의 인물들과 『신조』 학생들의 도덕 서술에 관점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신청년』의 인물들은 지도자 혹은 부모의 입장에서 의견을 제시하고 청년들에게 행동을 권했다. 반면 『신조』의 학생들은 자녀의 입장에서 문제점을 제시하고 직면한 문제들을 스스로가 해결해나가야 한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신조』의 신도덕 주장은 자유로 일관되어 있었다. 학생들은 민주주의를 세계적인 추세로 보고 민주주의 요소 중 하나인 자유를 강조했다. 이는 당시 5·4운동 이후 『신청년』이 마르크스주의를 주목하고 활발히 소개한 것과는 다른 노선이다. New Morality has been a constantly discussed subject since the time of Wu Xu Bian Fa and is considered having the same and comparable importance as the slogan, ‘Science and Democracy’ in the New Cultural Movement. This thesis investigated closely the New Morality of Youth, the main protagonists of social change at that time, among the new morality in the New Culture Movement. To grasp it, the student magazine 『The Renaissance(新潮)』, published by Peking University, was selected and mainly analyzed as one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discussion about the New Morality of students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ly, one is the view of life and the issues about life. The students defined pre-existing China's view of life as ‘The Three Fundamental Bonds and Five Constant Virtues(三綱五常)’ which had long been regarded as original Chinese morality. They insisted that individuals pursue their own free development against the very view of life and try to establish the new one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at that time. Secondly, they criticized the family system and insisted on women's liberation. Students believed that many sons, daughters and daughters-in-law under the system were sacrificed by the older generation. Therefore, they strongly argued that individuals be liberated from their homes. To actualize women's liberation, they revealed the women's sufferings from each home and informed the need for their liberation in the aspects of society, politics, and economy, suggesting specific plans and solutions. The third is the New Morality and democracy. Students have viewed philanthropy and liberty as the spirit of the New Morality. Of them, freedom is closely related to democracy, which they saw as the current world trend in 『The Renaissance』. The meaning of the New Morality derived from the abov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practiced their knowledge.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May 4 Movement, students tended to pay attention to the real-life issues and offer solutions rather than asserted moral theories on the magazine's pages. They also attended ‘Beijing University Commoners' Education Lecture Society(北京大學平民敎育講演團)’ and gave speeches to remind of moral subjects to ordinary people. Secondly, during the New Culture Movemen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views between the moral statements of 『New Youth(新靑年)』 and 『The Renaissance』. The members of the 『New Youth』 presented their opini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leaders or parents, encouraging young people to act.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in the 『The Renaissance』 thought that people should state problems from children's point of view and deal with the problems which they faced on their own. Finally, New Morality in 『The Renaissance』 was consistent with freedom. Students considered democracy a global trend and emphasized freedom, one of the elements of democracy. Compared to introducing the Marxism in 『New Youth』 after the May Fourth Movement, this was a greatly different path,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naissance』 as the student magazine.

      •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손자영 영남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첫째,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1개 초등학교 5학년 3개 학습을 선정하고 실험집단․비교집단․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에는 동영상 시청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변영계, 박한숙(2004)의 학습기술 프로그램을 기본 틀로 하여 권응환(2004), 오영심(2007), 이형선(2012), 구정미(2012) 등을 참고하고 수정하여 총 20회기로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검사 도구는 학업 스트레스 검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세 집단의 학생들에게 사전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은 공분산 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하였고,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 후에 프로그램 과정을 평가하는 상담시간 평가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참가자들이 작성한 소감문에서 프로그램 효과와 관련된 표현을 정리하여 질적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경우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학원 스트레스를 제외한 학업 스트레스 하위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둘째,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경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학습에 자신감을 갖게 하고 긴장을 완화시키며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자신의 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판단을 보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udy skills trai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First, is the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effective relaxation in the academic stress of the high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Secondly, is the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high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assumptions of this study, three classes of 5th graders in the metropolitan are of Dae-gu City were selected.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 group,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The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was administerd in experiment group, the video program was administerd in comparison group. The learning skill training program was based on the framework of 'A Study Skills Program' by Byeon, Yeong-gye, Park, Han-suk(2004). Also consulted and revised were by Kweon, Eung-hwan(2004), Oh, young-shom(2007), Yi, Hyoung-sun(2012), Gu, Jeong-mi(2012), etc. The developed program was comprised of total twenty sessions. The inventories include the 'Academic Stress Inventory' and 'Academic Self-Efficacy Inventory' which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so-called ANCOVA and ANOVA method was us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effects on the group of experiment that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test-taking skill improvement. And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of credibility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Here is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their academic stress after the study skill training program(p<.05). The results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 factor of academic stress except the private academic stress. Secondl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academic self-efficacy after the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The study skill training program helped students to have confidence in learning process and ease anxiety. So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ctive participants their learning and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ir own abilities. As a result, it reached the conclusion study skill training program improv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