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가 인식하고 있는 인권의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조절효과 연구

        손인봉,김승태,김동기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9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3 No.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perceived by workers on service quality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do this,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20 residents and 450 workers in Daejeon from August 27 to September 14, 2015.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human consciousness perceived by workers has an influence on the quality of service. Especi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quality of service has been verified.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by worker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가 인식하고 있는 인권의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8월 27일부터 9월 14일까지 약 3주에 걸쳐, 대전 소재 장애인 거주시설 20개소, 종사자 45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우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가 인식하고 있는 인권의식은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인권의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몰입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의 서비스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개입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사가 인지한 개인-환경 적합성과 업무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을 중심으로 -

        손인봉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19 GRI 연구논총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개인-환경간 적합성(개인-조직간, 개인-직무간 적합성)과 업무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175개소, 종사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우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사회복지사의 개인-환경간 적합성(개인-조직간, 개인-직무간 적합성)이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개인-조직간, 개인-직무간 적합성이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 또한 업무수행능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시에 개인-조직간, 개인-직무간 적합성이 업무수행능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personenvironment fit and job performance. Data of 500 social workers in 175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nationwide were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with the Sobel equation. The findings showed that person-environment fit had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 job performance. The direct effects of person-environment fit on job perform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ing in partial medi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promot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의사결정 참여도, 조직몰입, 업무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손인봉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9 장애와 고용 Vol.29 No.4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onal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and job performance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personnel. Method: Data of 511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personnel nationwide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0.0.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positively predi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positively predicted job performance. Direct effects of participation on job performa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complete medi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Given the indirect effects of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on job performance via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job perform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personnel.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업무성과에 대한 의사결정 참여도의 영향력을 조직몰입이 매개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전국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 511명을 대상으로 우편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의사결정 참여도, 조직몰입, 그리고 업무성과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의사결정 참여도가 조직몰입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조직몰입은 업무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의사결정 참여도는 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조직몰입이 의사결정 참여도와 업무성과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이러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의사결정 참여도가 조직몰입을 통하여 업무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종사자의 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정책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보호요인의 영향: 자아존중감, 부모의 자율성지지, 인권존중을 중심으로

        손인봉,최정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하여 보호요인인 자아존중감, 부모의 자율성지지, 인권존중이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위험요인을 넘어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9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의 고등학생 자료를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성적, 경제적 수준, 가족구성, 위험요인인 우울, 교사폭력, 또래괴롭힘, 차별피해 그리고 보호요인인 자아존중감, 부모의 자율성지지, 인권존중과 학교생활만족도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위험요인을 넘어서서 보호요인이 학교생활만족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자율성지지, 인권존중이 학교생활만족도에 각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위험요인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 것뿐 아니라 보호요인인 자아존중감, 부모의 자율성지지, 인권존중을 강화하기 위한 적극적이면서도 다차원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뒷받침하는 것으로서 이에 근거하여 관련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tective factors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ver and above the effects of risk factor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risk factors­depression, peer victimization, teacher violence, and discrimination­and protective factors­self-esteem,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human rights respect­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data of 3,370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final model where self-esteem,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human rights respect were additionally entered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with the second model whe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were entered. Specifically, self-esteem,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human rights respect had positive effects on school life satisfaction, controlling for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Give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ventions for reinforcing self-esteem,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human rights respect are required to promote school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손인봉,김동기,김승태 한국직업재활학회 2013 職業再活硏究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iminishing burnout of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CIL) employees, through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To collect study data, an e-mail survey was conducted upon 150 employees of 75 CILs in Korea.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for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SPSS 19.0.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need to be emphasized as a strategy to diminish burnout of CIL employee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효과를 보다 정교하게 검증함으로써 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ㆍ실천적 함의를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2년 9월 10일부터 10월 15일까지 약 5주에 걸쳐 전국의 자립생활센터 75개소, 150명의 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e-mail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센터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양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ㆍ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대한 가족의사소통과 대학환경의 영향 검증

        손인봉,최정아 한국가족치료학회 2016 가족과 가족치료 Vol.24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communication and university environment on suicidal thoughts among university students, over and above the effects of personal predictors.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predictors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the first mode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redicted suicidal thoughts. In the second model, depression, anxiety, and self-efficacy as personal predictors were added to the first model. Finally, family communication―open communication and problem communication―and university environment as environmental predictors were added to the second model. The data of 307 university students from Daegu and Gyeongbuk area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open communication, problem communication, and university environ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suicidal thoughts, controlling for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predictors. Conclus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intervention for environments including family and university needs to be emphasized in planning prevention for suicide among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대하여 주요 환경요인인 가족의사소통과 대학환경이 개인요인이 설명하는 것 이상의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구·경북지역 대학생 307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요인인 우울, 불안, 자기효능감과 환경요인인 가족의사소통 및 대학환경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 대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개인요인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증가된 환경요인의 설명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가족의사소통과 대학환경은 각각 자살사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생의 자살예방을 위한 개인적인 접근 뿐 아니라 가족 및 대학환경에 대한 접근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지지적 수퍼비전과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손인봉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수퍼바이저의 지지적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C지역 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238명의 설문지를 SPSS 24.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변수는 지지적 수퍼비전, 회복탄력성, 소진이며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의 3단계 분석방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미성은 Sobel 검증으로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지지적 수퍼비전이 회복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회복탄력성은 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동시에 지지적 수퍼비전이 소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회복탄력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소진을 예방 및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the association between supportive supervision and burnout.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238 social worker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located at C region.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for mediation analysis using SPSS 24.0. Specifically, a three-step analysis of Baron and Kenny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the first step, the mediator, resilience, was regressed on the independent variable, supportive supervision. In the second step, the dependent variable, burnout was regressed on the independent variable, supportive supervision. Finally, the dependent variable, burnout, was regressed on both the independent variable, supportive supervision, and on the mediator, resilience. The Sobel test was utilized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supportive supervi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resili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burnout.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ive supervision and burnou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mply that resilience should be promoted to prevent or alleviate burnout of social workers. In addition, supportive supervision needs to be emphasized as a strategy to ameliorate burnout and to promote resilience of social workers.

      • KCI등재

        조직신뢰가 업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중증장애인 생산품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

        손인봉,김태형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19 GRI 연구논총 Vol.21 No.2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al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expertise. The current study surveyed 213 personnel of produc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from March 31 to April 25, 2014. We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d Sobel test for mediation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at organizational trust positively predi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ositively predicted job expertise. Meanwhile, the direct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on job experti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fully medi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expertise. Given these results, we discussed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to effectively utilize job expertise of personnel of produc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in performing welfare-related tasks. 본 연구의 목적은 중증장애인 생산품시설 종사자가 인지하고 있는 조직신뢰의 정도가 업무전문성 활용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3월 31일부터 4월 25일까지 약 4주에걸쳐, 서울·경기·인천(수도권) 지역의 중증장애인 생산품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 21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우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시설 종사자가 인지하고 있는 조직신뢰의 정도가 업무전문성 활용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증장애인 생산품시설 종사자가 인지하고 있는 조직신뢰의 정도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조직몰입 또한 업무전문성 활용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업무전문성 활용에 대한 조직신뢰의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조직몰입이 완전매개효과를 지니는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증장애인 생산품시설 종사자가 복지 관련 업무수행 시 본인의 업무전문성을 더 잘 활용하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차별경험이 도전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간 긍정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손인봉,이병화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9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6 No.46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the current study surveyed 220 parent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2015 and analyzed the data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via SPSS. The analysis revealed that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 had effects on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ositive parent-child communication moderated the association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to reduce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차별경험이 도전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부모-자녀 간 긍정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은 2015년 9월 7일부터 9월 25일까지 총 18일 동안 진행되었으며, 경기도 장애인가족지원센터 회원(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보호자) 22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우편조사로 진행되었고,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차별경험이 도전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영향은 부모-자녀 간 긍정적 의사소통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사회적 차별경험이 도전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 간 긍정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 활동지원 제도 코디네이터가 지각한 직무적합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손인봉(Son In Bong),김동기(Kim Dong Ki),김승태(Kim Seung Tae),조은아(Cho Eun A)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5 재활복지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활동지원 코디네이터가 지각한 직무적합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코디네이터의 소진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ㆍ실천적 함의를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1년 3월 2일부터 3월 25일까지 약 3주에 걸쳐, 전국의 장애인 활동지원 코디네이터 240명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코디네이터의 직무적합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코디네이터의 직무적합성이 직무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시에 직무적합성이 소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결국 직무스트레스는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코디네이터의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ㆍ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iminishing burnout of PAS(Personal Assistance Service) coordinators by examining the effect of job fit on burnou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job fit and burnout. The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ed: First, Does Job Fit of PAS coordina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Perceived ?, Second, Does Job Stress of PAS coordinators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between Job Fit and Burnout Perceived? To collect study data, a mail survey was conducted upon 240 PAS coordinators in Korea.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for mediating effects analysis using SPSS 19.0.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job f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job stress. In other words, job fit of PAS coordinators had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burnout. These results imply that job fit and job stress need to be emphasized as a strategy to alleviate burnout of PAS coordinators. Through these results, political and practical interventions are suggested to diminish burnout of PAS coordina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