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독서경험 확장을 위한 북 콘텐츠 시각화 방안에 대한 연구 : 파라텍스트를 중심으로

        손영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인류의 문명이 발달하는 데 있어 책은 유용한 지적 가치를 담은 사물, 그 이상의 존재였다. 책은 교육의 바탕을 이루고,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는 지적통로 역할을 해왔다. 인쇄술이 발달하기 이전에는 특정 계층만이 소유할 수 있었으나, 점차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책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비품이 되었다. 과거 지식의 그릇으로서 책이 담고 있는 콘텐츠와 가치가 중요성을 띠었다면, 소비사회에서는 책이 가진 내용적 의미는 물론 책이라는 물성과 그것이 놓인 맥락이 상품적 가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조건이 되고 있다.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가 <소비의 사회>에서 지적한 것처럼 현대의 소비자들은 결코 사물 그 자체를 소비하지 않는다 . 사람들은 물건이 가진 1차적인 목적이나 기능을 넘어 그것이 담고 있는 기호나 이미지가 매력적인 상품에 돈을 지불한다. 소비사회로 접어들수록 책 역시 소비가치와 상품성이라는 기준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책에 담긴 내용과 그것을 전달하기 위해 주변에 곁가지로 존재하는 무수한 요소들; 책의 디자인과 출판사의 브랜드적 가치, 출판 마케팅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책이라는 상품의 가치를 만들어낸다고 볼 수 있다. 기업에서 자사의 브랜드 가치를 위해 라이브러리 컨셉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다양한 브랜드를 취사선택(select)하여 판매하는 패션 편집매장이나 리테일 숍에 책이 등장하는 상황은 서점이라는 전통적인 공간과는 분명 다른 차원에서 책이 소비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책을 둘러싼 환경이 다각화될수록 이는 독자들의 전반적인 독서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똑같은 책을 읽거나 사더라도 그것을 어디에서 만나고, 어떤 과정을 통해 읽고 사게 되는지는 독자들에게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거리를 제공해준다. 저자가 생산한 텍스트(text) 이외의 모든 것을 일컫는 파라텍스트(paratext)는 주로 책이라는 매체 안에서 기능한다. 제목이나 저자, 서평, 그리고 비언어적 형태인 판형이나 레이아웃 등을 포함한 북디자인이 그것이다. 독서 활동이라는 측면에서 파라텍스트를 해석한다면, 이는 텍스트보다 앞서 경험되는 과정이며 독자와 책이 만나는 통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책을 둘러싼 소비사회의 다층적인 변화는 파라텍스트가 점차적으로 책이라는 매체를 넘어 연장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비사회에서 책을 둘러싼 맥락이 다양화되고 있는 현실을 바탕으로 독자들의 독서 경험을 확장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위해 책 한 권에 담겨있는 시각언어가 거쳐온 발전과정을 파라텍스트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현재 책이 진열되고 판매되는 공간을 소비이론을 통해 분석한다. 나아가 독서 경험의 확장을 위해 북디자인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작품연구를 진행한다. 텍스트라는 날 것의 상태에 시각적인 심상을 더해 책이라는 매체로 완결시키는 북디자인은 그 텍스트를 읽게 되는 독자들의 독서 경험에 영향을 끼친다. 종이책에서 느껴지는 감동이나 감정이 무형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시각적으로 유형화하는 작업을 통해 풍부한 독서 체험의 가능성을 실험해본다. 책이라는 매체에 국한하지 않고 콘텐츠를 시각화하는 과정은 파라텍스트가 한 단계 확장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책과 독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의미를 가질 수 있다.

      •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 검사 및 당화혈색소 검사 수진 관련 요인

        손영은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ABSTRACT The associated factors with utilization of tests for diabetes complication and HbA1c among some diabetes patients Son, Young-Eun Advisor : Prof. Ryu, So Yeon M.D., Ph.D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Chosun University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utilization of tests for diabetes complication and HbA1c among diabetes patients in Jeollanameollanam-Do, Korea.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2,310 diabetes patients participated in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in Jeollanam-Do, Korea.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utilizations of fundus examination, microalbuminuria test and HbA1c test. The us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weight in consideration of complex sample design. Results: The utilization rates of fundus examination, microalbuminuria test and HbA1c test were 25.8%, 27.4% and 12.3%, respectively. The results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fundus examin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education level in predisposing factors, residential area, island residence in enabling factors and recognition of blood sugar, drug therapy, subjective health status in need factors. Microalbuminuria examin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onthly income, residential area in predisposing and health screening, recognition of blood sugar, drug therapy, diabetic education, number of chronic disease, subjective health status in need factors. HbA1c examin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in predisposing factors, drinking, recognition of blood sugar, drug therapy, diabetic education in need factor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hown that perception of their disease seriousness, education about diabetes management and accessibility of tests were important to utilization of test for diabetes complication and HbA1c. It might be necessary to the develop and strength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utilization of tests for diabetes complication and management in diabetes patients.

      • 고등학생의 자기중심성, 충동성, 고립감 및 부모와의 갈등과 스마트미디어 중독 간의 관련성

        손영은 삼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기중심성, 충동성, 고립감 및 부모와의 갈등과 스마트미디어 중독 간의 관련성 탐색하고 스마트미디어 중독에 대한 설명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 지역의 고등학생 397명을 선정하여 검증된 척도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결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자기중심성, 고립감, 부모와의 갈등을 보였다. 2학년이 1학년보다 자기중심성이 높았으며 종교가 없는 학생들이 스마트미디어 중독 수준이 높았다. 연구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중심성은 충동성, 고립감, 부모와의 갈등,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단계적회귀분석 결과, 고립감이, 자기중심성, 부모와의 갈등, 충동성의 순으로 스마트미디어 중독에 영향력이 있었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충동성, 고립감, 부모와의 갈등이 높을수록 스마트미디어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기방임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 고독감 및 우울의 이중 매개효과 검증

        손영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Baumeister(1990)의 ‘도피이론’과 Bydlowski(1998)의 ‘심리의학모형’을 근거로 하여 저소득 독거노인의 부정적 자아상이 자기방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고독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201명의 독거노인이며, 국민기초생활보장급여 수급자, 조건부 수급자, 차상위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총 210부를 수거하였으며, 201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선형회귀분석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부트스트랩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 독거노인 10명중 8-9명은 실제로 자기방임 행위의 경험이 있고, 위험한 상황에서도 도움을 거부하는 자기학대가 보편화 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독거노인의 부정적 자아상은 자기방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정적 과거인식과 낮은 삶의 만족도가 자기방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고독감과 우울의 개별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고독감과 우울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자아상은 고독감과 우울에 모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부정적 자아상의 수준이 높을수록 고독감과 우울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독감과 우울의 이중 매개변수가 동시에 투입되었을 때에는 고독감의 영향력은 사라지고 우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울이 자기방임의 강력한 위험요인으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의학적으로 우울증상을 갖고 있는 노인들은 자기방임으로 발전할 위험이 높고 개입을 위한 후보군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 첫째, 고독감과 우울을 통해 진행되는 자기방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 위험군의 사회적 네트워크 지원이 필요하다. 고 위험군을 조기발견하기 위한 지역사회 유관기관과 주민들의 상시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신고의무를 강화함과 더불어 대상자의 자기결정권 존중 등의 윤리적 교육이 실시해야 한다. 둘째, 독거노인의 우울에 초점을 맞춘 자기방임 서비스 체계의 확대가 필요하다. 정신과적 진단을 받은 경험이 있거나 진단 가능성이 있는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의료서비스, 전문심리상담, 투약관리 등 정신건강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대상자 판정 기준도 정신건강에 대한 부분이 함께 고려될 수 있도록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고위험군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 풀을 구축하고, 이를 위한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 대상자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넓힐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지역사회 유관기관들이 각각의 고유영역에서 상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정책적 측면으로서의 노인의 자기방임에 대한 제도적 근거가 보완되어야 한다. 타인에 의한 학대 및 방임과 더불어 자기방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별도의 법적 근거를 갖추고, 보다 적극적인 실태조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독거노인을 위한 노인정책 인프라가 확장되어야 한다. 또한 독거노인지원사업인 ‘독거노인 돌봄 기본 서비스’의 강화가 필요하다. 이에 복지사각지대 독거노인을 발굴하고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negative self-image of the living-alone elderly with low-income affects self neglect, based on 'Escape Theory' of Baumeister (1990) and 'Psycho-medical Approach' of Bydlowski (1998), and further aims to verify the double mediation between loneliness and depression. The target of this study are 201 elderly living alone, aged 65 and over, classified as 'national basic livelihood guarantees,' conditional recipients and near poverty group. A total of 210 survey are performed and 201 of them a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ouble mediation analysis is used via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MACRO, with bootstrapping method is conducted for mediating effect.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8 to 9 out of 10 living-alone elderly have an experience of self neglect and generally self-violate themselves by rejecting help from others even in cases of emergency. Second, negative self-image of living-alone elderly directly affects self neglect. This in turn means that negative recognition of past and low satisfaction towards life significantly affect self neglect of them. Third, loneliness and depression fully mediat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eparate mediating effect. As negative self-image directly affects both loneliness and depression, the more negative self-image is shown, the more loneliness and depression of elderly are reported. Fourth, only depression holds significant effect, once both loneliness and depression are considered as double mediating variables. This implies that loneliness plays a role as a significant risk factor and those elderly with depression have a strong possibility of becoming self neglect, and therefore are subject to becoming candidates in need of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study imply the following practical and political issues to social welfare. First, in order to prevent self neglect which results from depression and loneliness, social networking service for high-risk groups is imperative. Constant monitoring by local related-organizations and neighbors is needed for early findings of potential high-risk groups. The duty of reporting such groups need to be reinforced, as well as conducting moral deduction on the subjects' self determination. Second, service system for self neglect which focuses on the depression of living-alone elderly is needed to be expanded. Reinforcement of mental health service is necessary - such as medical service for living-alone elderly who have been, or are likely to be psychiatrically diagnosed, professional psychology consultation and medication administration. Furthermore, mental health should be considered along too when establishing criteria for the recipients of the service. Third, the boundary for the service to high-risk subjects must be established, via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Local organizations should consistently operate programs that broaden social network of the subjects. Fourth, systematical basis of policies for the elderly self neglect needs to be supplemented. Social interest towards self neglect, as well as abuse and neglect from others is necessary, with legal basis and active investigations of actual conditions. Lastly, infrastructure of policies aiming for living-alone elderly needs to be strengthened. Basic services to take care of these elderly, as well as the effort to find and look after them are needed.

      • 사물성의 맥락에서 본 도깨비와 바보 설화 연구

        손영은 건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855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the Tokkaebi Folktales and Idiot Folktales combined with the focus on the issue of ‘objectivity’. Therefore, in order to confirm the possible establishment of the objectivity concept and further specify the characteristics and category,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f the East and the West has been contemplated. As a result, an object is defined as implicating actual existence, objective individual existence, non-bio existence and artificial existence, and its attributes are confirmed as materiality, solidity, fixedness, non-mobility, continuity and immutability, and non-subjective subjectivity. Thereafter, through the Hwasubun Folktale, it has contemplated how such objectivity is realized in the world of folktale imagination. Henceforth, materiality and solidity is realized as the actuality in the folktale while fixedness, non-mobility, continuity, and immutability are realized as the one-dimensional simplicity, mechanical repetition, and schematics, and non-subjective subjectivity is realized for schematics as the other object. On the basis of the foregoing discuss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objectivity held in the folktale image and behavior type of Tokkaebi and Idiot, one-dimensional simplicity, mechanical repetition, and schematics are confirmed as displayed. In addition, the attention is given to the difference as ‘foreign material and human’ and ‘unfamiliar existence and familiar existence’ existing in between Tokkaebi and Idiot that it is established to confront ‘outsider and insider’ that encompasses the foregoing. Basically, Tokkaebi is an outsider to have the subjectivity as the ‘unfamiliar objective others outside of us’ while Idiot is an insider to have the subjectivity as the ‘familiar objective others inside of us’. Next, in order to clarify the perception of human on the objectivity of Tokkaebi and Idiot in folktales, the process of in-depth nar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taking a look at the perception of human on the objectivity of Tokkaebi and Idiot in the negative aspect, it was confirmed of the perception of tension and vigilance on unfamiliar and rough subject and the antinomic perception for Tokkaebi as it is considered to be a utility tool or subject of exclusion in accordance with needs. And for the case of Idiot, it was confirmed with the perception of ignorance and abasement as inferior subject and inconvenient subject to be alerted and controlled. As such, Tokkaebi and Idiot may exist as the exclusive objects as they are placed as the subject of negative perception from humans due to their innate objectivity. However, the aspects shown by Tokkaebi and Idiot as the objective beings would be shown as the source of power to accomplish the impossibilities for ordinary humans. Because of the foregoing, the objectivity owned by both parties is considered to contain the possibility to be perceived positively. In such a view, as a result of in-depth contemplation of objective aspects of Tokkaebi and Idiot in folktales, through Tokkaebi, their heterogeneous aspect and competency held as the outsiders beyond the boundary is encountered by humans to show the possibility to open up the horizon of new perception, and the possibility of ethical insight reflected on their simple and clear external standard has been discovered. For the case of Idiot, through their simple and consistent lives, it was confirmed with the possibility of substantive and outspoken lives for themselves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convicted lives through innocent faith and bold behavior. Looking in this way, the negative perception on objectivity of Tokkaebi and Idiot would be the tailored result as the criteria and view of humans, and the intrinsic objectivity contained within them would be considered as containing the positive elements to be the model and symbol of human lives. Therefore, it is intended to reconfirm the intrinsic value implied in the objectivity of Tokkaebi and Idiot, and what would be the implication of such intrinsic value for our lives today. The fetishism prevalent in contemporary time would inevitably move humans from the position of main subject to the position of other object. At this time, the even easier othering would be the bodies having the ‘differences’ deviating from the general standard. It is frequently detected around us for these people cornered into the position of objects due to differences, such as, migrant workers, the disabled, minority, Otaku and the like. In general, their differences are solidified as the existing attributable and they become subject as the objective bodies. Accordingly, the difference in them may also be re-lighted in the context of objectivity. For the case of Tokkaebi and Idiot, the possibility of new perceptive enlightening was confirmed through the objectivity found within them. As in the same way, the objectivity contained in the objective existence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may also be the new standard of existence and value, and furthermore, they may function as the core element of genuine subjectivity. At this time, the genuine subjectivity to consider may be named as the subjective sacred objectivity. This is a paradoxical alternative on the issue of sacred objectivity that is prevalent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it would work as new guideline to our lives. 본 연구에서는 ‘사물성’이라는 화두를 중심으로 도깨비 설화와 바보 설화를 연결 지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사물성 개념의 성립 가능성을 확인하고 그 특성과 범주를 특정하고자 동·서양의 철학적 논의를 일고하였다. 그 결과 사물은 실체적 존재·개체적 존재·무생명적 존재·인공적인 존재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규정되었고, 그 속성은 물질성·구체성, 고정성·비운동성, 지속성·불변성, 비주체적 대상성으로 확인되었다. 이후 화수분 설화를 통해 그와 같은 사물성이 설화적 상상의 세계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는지를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물질성·구체성은 설화 속에서 실재성으로, 고정성·비운동성·지속성·불변성은 일차원적 단순성, 기계적 반복성, 도식성으로, 비주체적 대상성은 타자적 객체로서의 대상성으로 구현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도깨비와 바보의 설화적 형상과 행동 양상에 따라 양자가 지닌 사물성을 확인한 결과 일차원적 단순성, 기계적 반복성, 도식성 등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깨비와 바보 사이에 존재하는 ‘이물과 사람’, ‘낯선 존재와 낯익은 존재’로서의 차이에 주목하여 이를 포괄하는 ‘외부자와 내부자’의 대립항을 설정하였다. 기본적으로 도깨비는 엄연한 외부자로서 ‘우리 밖의 낯선 사물적 타자’로 바보는 내부자로서 ‘우리 안의 낯익은 사물적 타자’로서의 대상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설화 속 도깨비와 바보의 사물성에 대한 인간의 인식을 구명하고자 심층적인 서사분석의 과정을 수행하였다. 먼저 부정적인 측면에서 도깨비와 바보가 지닌 사물성에 대한 인간의 인식을 살펴본 바, 도깨비에 대해서는 낯설고 험한 대상에 대한 긴장감과 경계의 인식, 필요에 따라 이용의 도구로 여기거나 배척의 대상으로 여기는 이율배반적 인식을 확인하였고, 바보의 경우에는 열등한 대상으로서의 무시와 비하의 인식, 불편한 대상으로 여겨 경계하며 통제하고자 하는 인식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도깨비와 바보는 그들이 지닌 사물성으로 인하여 인간으로부터 부정적 인식 대상의 위치에 놓이게 되고, 타자적 객체로서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사물적 존재로서 도깨비와 바보가 지닌 면모들은, 설화 속에서 그들이 평범한 인간으로서는 불가능한 일을 해낼 수 있는 힘의 원천으로 나타난다. 그러하기에 양자가 지닌 사물성은 분명히 긍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리라 보았다. 그러한 시각으로 설화 속 도깨비와 바보의 사물적 면모를 심층적으로 고찰한 결과, 도깨비를 통해서는 경계 밖의 외부자로서 그들이 지닌 이질적 면모와 능력을 인간이 접함으로써 새로운 인식의 지평을 열 수 있는 가능성을, 그들의 단순하고도 분명한 외부적 규준에 비춘 윤리적 성찰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바보의 경우에는 그들의 단순하고도 일관된 삶을 통하여 자기 자신에게 충실한 진솔한 삶의 가능성을, 순수한 믿음과 우직한 행동력을 통한 신념적 삶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볼 때 도깨비와 바보의 사물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인간의 기준과 시선으로써 그들을 재단한 결과이며, 그들이 지닌 본래적 사물성 자체는 인간 삶의 귀감과 표상이 될 만한 긍정적 요소를 내포한 것이라 판단된다. 이에 도깨비와 바보의 사물성에 함의된 원형적 가치를 재확인하고 그러한 원형이 오늘날의 우리 삶에 있어서 지니는 의의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대에 만연한 물신주의는 필연적으로 인간을 주체의 자리에서 타자적 객체의 자리로 이동시킨다. 이때 더욱 쉽게 타자화 되는 것은 일반적인 기준을 벗어난 ‘다름’을 지닌 이들이다. 이주노동자나, 장애인, 소수자, 오타쿠 등, 다름으로 인해 객체의 자리로 내몰리는 이들을 우리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들의 다름은 존재적 속성으로 고형화 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그들은 사물적 객체로서 대상화된다. 이에 그들이 지닌 다름 또한 사물성의 맥락에서 재조명될 수 있을 것이다. 도깨비와 바보의 경우 그들이 지닌 사물성을 통해 새로운 인식적 깨달음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찬가지로 현대 사회의 사물적 존재들이 지닌 사물성 또한 존재와 가치의 새로운 기준이 되고 나아가 진정한 주체성의 핵심 요소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재고될 진정한 주체성이란, 곧 주체적 물신성(物神聖)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이는 현대 사회에 만연한 물신성(物神性)의 문제에 대한 역설적 대안으로서 우리 삶의 새로운 지침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 동네놀이터 특성 및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와 아동의 위험감수놀이

        손영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동네놀이터에서의 아동의 위험감수놀이 빈도를 아동의 성별과 취학여부 그리고 놀이터 특성에 따라 살펴보고, 그 빈도와 어머니의 관련 태도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2개 구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와 주택 단지에 거주하는 아동 78명과 그 어머니로 총 156명이었다. 본 연구는 동네놀이터에서 놀이하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위험감수놀이의 빈도를 위험감수놀이의 하위범주(Sandseter, 2007)에 따라 시간표집법으로 관찰하였다. 동시에 어머니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허용적인 태도 평정척도(TRiPS), 아동기 부상에 대한 태도 평정척도(IAQ), 그리고 놀이지원을 위한 동네환경에 대한 인식을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아동은 주로 높은 위치에서의 놀이와 빠른 속도의 놀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아가 여아보다 위험감수놀이에 더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성인의 감독에서 벗어난 공간에서의 놀이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놀이터 소재에 따른 위험감수놀이 빈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아파트 단지 놀이터의 아동은 거친 신체놀이를 더 많이 보이는 반면, 어린이 공원의 놀이터에서는 더 자주 높은 위치에서의 놀이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인공 언덕이 있는 놀이터에서 빠른 속도를 이용한 위험감수놀이가 높은 빈도로 나타나 행동유발성의 개념을 뒷받침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 어머니들은 위험감수놀이와 아동기 부상의 이점에 대해서도 다소 부정적이고 방어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허용적 태도와 여아의 위험감수놀이 간에 정적인 상관이 나타난 반면, 남아의 경우 부적인 상관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태도가 아동의 위험감수놀이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결론적으로, 아동의 위험감수놀이는 동네놀이터의 환경 특성 및 어머니의 태도와 관련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often children enjoy risk-taking play in local playground and the attitudes or perceptions of mothers on this kind of pla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78 children aged between 4-7 years and their mothers who lived in Seoul city. The frequency of children's risk-taking play in local playground were collected by time sampling observation. Additionally to measure the research variables related to mothers, the Tolerance of Risk in Play Scale (Hill & Bundy, 2012), Injury Attitudes Questionnaire (Lewis, DiLillo, Peterson, 2004), Parental Perceptions of Their Neighborhood(Quigg, Gray, Reeder, Holt, & Waters, 2015) were used.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the study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ny children usually enjoyed risk-taking play with great heights and high speed. The frequency of risk-taking play behaviors were higher in boys' play than girls'. Additionally, there was a difference in most observed risk-taking play in regard to location and physical attribute of playground. Second, the level of perception and attitude of mothers in regard to risk-taking play was rather lower than average. Third, the higher the frequency of boy's risk-taking play, the lower the total scores of TRiPS. On the other hand, greater girl's participation in risk-taking play was associated with maternal tolerant attitude to risky play. These results helped understanding about children's preference in risk-taking play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of both physical environment and maternal understandings regarding to children's positive risk-taking p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