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곡(歌曲)의 평생교육 지도 방안 연구

        손미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시대를 맞아 우리의 전통음악, 그 가운데서도 성악 중 가곡을 평생교육의 학습내용으로 하여 학습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곡 학습은 우리의 전통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개인의 문화욕구 충족은 물론 여가생활에도 활용이 될 수 있는 평생교육으로서의 조건이 다 갖추었음에도 아직 대중적이지 못하여, 이를 보다 체계적으로 프로그램화하여 대중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에 있어서 가곡 교육의 실태를 평생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가곡 학습 참여자를 대상으로 살펴보고 가곡의 특징과 가곡학습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가곡 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여 가곡의 평생교육적 효과를 증대시키는 방안을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가곡과 관련된 문헌의 조사와 연구에 의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실제 가곡을 배우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학습 과정을 관찰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교육방법과 교육효과를 연구하였다. 설문조사는 연구자의 접근이 가능한 곳을 표본으로 하여 전체적인 상황을 추측하는 집단 추출의 표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문항은 이론적 배경의 필요성에 관한 문항, 호흡과 발성 연습에 관한 문항, 학습순서에 관한 문항, 학습시간에 관한 문항, 학습자의 동기, 흥미 및 가곡을 배우면서 일어날 수 있는 심리적 변화 요구사항에 대한 문항 등 20개 문항으로 조사하였다. 설문 대상은 현재 서울, 대구, 포항, 안동 지역의 가곡 교실에서 가곡을 배우는 배전공 일반성인 남녀 50명다. 설문결과 분석을 토대로 4개의 기준과 6개의 원칙을 수립하였다. 이 기준과 원칙에 따라 수강생 6~15명 정도가 12차시에 걸쳐 여창가곡 "편수대엽"을 학습하는 지도안을 만들었으며, 평생교육으로 실시하는 점을 감안하여, 학습 지도안은 실제적용에 간략한 약식 수업계획서의 형태로 작성하였다. 이 방안에는 학습목표, 전개(교수학습의 내용과 방법 등), 정리의 순으로 교수학습의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가장 중요한 전개부분에, 평생교육과 국악, 정가 및 가곡의 개념,역사,특징,장단, 노랫말의 의미 등과 노래 따라 부르기, 발성과 호흡의 요령등이 포함되었다.

      • 도예수업을 통한 창의·인성 교육방안 : 특성화고 학생을 중심으로

        손미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우리 사회는 정보화·세계화가 빠르게 이루어지면서 창의적 인재와 바람직한 인재양성에 힘을 기울이고 있지만 실제 학교 교육에서는 지식중심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학생들의 인성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면서 가정과 학교에서의 교육의 역할이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이를 보완할 만한 프로그램이 부족한 상태이다. 특히 특성화고 학생들에게서 기초학습부진과 가정문제 등 학교부적응의 양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미술교육의 과정 중 도예수업을 통해 미적정서와 창조성을 신장시키고, 정서순화에 도움을 주어 자기감정과 타인을 인식하고 소통할 수 있는 인성능력을 향상시켜 개인적,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예교육을 통해 삶을 창의적으로 향유하며 미술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전인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창의성과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도예교육의 전반적인 이해와 특성을 파악하고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도예교육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창의·인성교육의 정의 및 등장 배경과 교과활동에서의 세부 추진 방안을 살펴보고, 창의·인성 교육의 주요 요소를 중심으로 도예교육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도예교육과 창의·인성과의 관계적 특징을 알아보고 도예교육을 통한 창의·인성 향상 가능성을 모색한다. 셋째, 특성화고등학생들의 인성적 특징과 창의·인성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학교현장에서 적용하고 실행할 수 있는 소통을 위한 창의·인성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내용을 토대로 교육현장에서는 시설과 공간의 제약, 교사들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능, 프로그램의 부족을 극복하고, 결과보다는 과정에 중점을 두어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켜 창의성과 인성 계발에 앞장설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도예프로그램에 관심을 갖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 교과와 연계된 통합적 교육을 시도해야하며 진정한 창의·인성 교육을 위해서는 교사가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하여 전달하고, 학생들은 내용을 충실히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먼저 충분히 생각하고 표현해 볼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하며, 학생들의 창의적인 반응에 같이 공감하며, 기다림의 미덕을 실천하는 분위기속에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들이 창의성과 인성의 결핍을 해결하는데 발판이 될 것이며 도예교육 수업모형이 향후 교육현장에서 수정·보완되어 실증적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도예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은 조형능력 및 감상능력을 기르고, 창의성을 개발하며, 정서적 안정, 공동체 의식 등을 함양하는데 도움을 받아 사회가 요구하는 타인을 배려할 줄 아는 따뜻한 마음을 겸비한 도덕적 품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Nowadays, our society is rapidly becoming globalized and digitalized; thus, people of creativity and integrity are highly required, but in reality most of the school’s education is focused on teaching mere information. Due to such educational system, students’characters have been highly issued nowadays. Therefore to build up students’ characters and creativity, a new educational program must be introduced to the current system. This type of problem is more clearly shown in students attending specialized schools. Thus this research proposes to increase students’ creativity and aesthetic sense, and to improve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well with others through teaching ‘ceramic class’ in art classes. This research attempts to solve some individual and social problems through various methods of teaching. Additionally, through teaching ‘ceramic class’, the students will learn to enjoy their lives creatively and to inherit the culture of our ancients. This research has been implemented as below. Firstly, ‘ceramic class’ is analyzed and its draw backs in the current situation, which is the year 2009 art course, are suggested. Secondly, definitions, backgrounds and detailed methods of implementation of education of morality and creativity are studied. Based on such studies, ‘ceramic class’ course is proposed embodying essential factors of education of morality and creativity. Additionally the connection between ‘ceramic class’ course, and education of morality and creativity is studied, and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creativity and morality/character through ‘ceramic class’ course is sought. Thirdly,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ies of students in specialized schools are analyzed in addition to their needs of educating creativity and building their characters. This research proposes a method of teaching applicable to such students and school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one can develop one’s creativity and character through focusing on procedures rather than results despite the lack of facilities in schools, good program, and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In order to gain the best results from this research, one has to keep a continuous interest in ‘ceramic class’ programs and develop them. In addition, such programs should be integrated with present programs.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creativity and characters, teachers should wait patiently for students to express their own ideas and appreciate their works wholeheartedly instead of teaching the students the “correct” information before they even thought about it themselves. This kind of interaction atmosphere will help students to improve their creativity and characters. This research hopes to help students’ problems and improve their characters and creativity, and it also hopes to be a contribution in implementing an ideal ‘ceramic class’ in our educational system. Last of all, it hopes to help students become what our world really needs, students who are creative, sociable, and considerate of others by developing their abilities in making and appreciating creative things, finding emotional stability through ‘ceramic class’, and learning to live in society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students and teachers.

      • 직장인의 산림치유 인지 여부가 산림치유 경험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손미옥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사회 경제적 특성과 직무 형태에 따라 산림치유 인지 여부 수준을 알아보고, 그들의 인지여부가 산림치유 경험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 직장인들의 숲 방문 유무와 활동 시간이 그들의 직무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나타내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1,500명의 대규모 응답자를 설문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충북지역 직장인의 산림치유 인지수준과 산림치유 경험, 그리고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직장인들의 사회 경제적인 변수, 직급 및 직무에 따른 산림치유 인지 차이 여부를 분석한 결과, 결혼유무, 연령, 최종학력, 업종형태, 직위에 따라 산림치유 인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혼자 중 산림치유를 인지하는 직장인은 산림치유를 모른다고 응답한 자와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에, 미혼자 중에는 산림치유를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이 산림치유를 인지하는 응답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경우, 산림치유를 인지하는 응답자 비율은 50대가 가장 높았고, 산림치유를 모른다는 응답자 비율은 20대 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최종학력의 경우에는 대학원 이상의 직장인이 산림치유를 인지하는 응답자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산림치유를 모른다는 응답자 비율은 대졸의 직장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업종형태로는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직장인들이, 직위는 임원이 산림치유를 인지하는 응답자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숲 방문 여부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숲을 방문하는 직장인의 직무만족도가 그렇지 않은 직장인의 직무만족도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숲 활동 시간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3시간에서 4시간 정도의 숲 활동을 하는 직장인들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각 숲 활동 시간에 따라서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 인지 여부와 숲 방문여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산림치유를 인지하는 자가 산림치유를 인지하지 못하는 사람보다 숲을 방문하는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결과적으로 산림치유를 인지하는 자가 숲 방문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 인지 여부와 숲 방문 빈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1년에 1~2회 숲을 방문하는 직장인들이 산림치유를 인지하는 분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림치유 인지 여부와 숲 활동 시간의 연관성을 알아본 결과는 1~2시간 숲 활동하는 직장인들이 산림치유를 가장 많이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제시한 가설의 검증결과 직장인들의 산림치유 인지여부에 따라 그들의 직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직장인들의 산림치유 인지여부에 따라서도 산림치유의 이용 경험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직장인들의 산림치유 이용 경험, 즉 그들의 산림치유 이용 빈도와 머무는 시간에 따라서도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wareness of forest healing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job types of office workers, and to find out what effect their perceptions have on their experience of forest healing. Also, it was attempted to find out how office workers' presence or absence of forest visits and activity time had an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data by surveying 1,500 large-scale respondents, the forest healing awareness level, forest healing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analysis of office workers in Chungbuk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forest healing according to socioeconomic variables, positions and duti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forest healing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g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industry, and posit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workers who recognized them and those who answered that they did not know about forest healing.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age of unmarried people who answered that they did not know about forest healing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recognized forest healing. In terms of age,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recognized forest healing was highest in their 50s, an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did not know forest healing was highest among those in their 20s or young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recognized forest healing was highest among office workers with graduate school or higher, an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did not know forest healing was highest among office workers with a college degree.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recognized forest healing in terms of position was high among office workers.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est visits, it wa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office work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did no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orest activity time, it wa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office workers who worked in the forest for 3 to 4 hours was the highest,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each forest activity time.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forest healing awareness and forest visitation, it was found that those who were aware of forest healing visited the forest more frequently than those who did not recognize forest healing. appeared to d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wareness of forest healing and the frequency of forest visits, it was found that office workers who visit the forest once or twice a year perceived forest healing the highe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forest healing and the time spent in the forest, the awareness of forest healing was highest among office workers who worked in the forest for 1-2 hours. As a result of testing the hypothesis presented in this stud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were aware of forest healing,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ir experience of using forest healing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were aware of forest heal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forest healing use of office workers, that is, their frequency of use of forest healing and the length of stay.

      • 초등학생들의 영어 듣기 세부 능력에 관한 연구

        손미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영어 듣기 세부 능력에 있어서 듣기 능력 평가 문항간의 상관 관계를 밝히고, 상대적으로 강하고 약한 세부 능력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초점인 영어 듣기 세부 능력은 다음의 5가지 세부 능력이었다. 첫째, 음소를 식별할 수 있는 능력 (음소 식별력) 둘째, 문법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 (문법 판단력) 셋째, 어휘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어휘 이해력) 넷째, 문장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 (문장 이해력) 다섯째, 대화를 통해 추론할 수 있는 능력 (대화 추론 능력)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가지 세부 기능의 능력을 알아볼 수 있는 듣기 능력 평가 25문항을 개발하였고,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영어 듣기 세부 능력의 차이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청주시와 옥천군을 유의 선정한 후 이들 지역을 도시 지역, 농촌 지역으로 나누어 각 지역마다 1개 학교씩을 표집하여 듣기 평가를 실시하고, 400명의 듣기 능력 평가 결과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듣기 평가 분석 결과에 의하면, 듣기 세부 능력 전체 성적과 5가지 세부 능력간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p<.05). 상대적으로 약한 듣기 세부 능력은 문법 판단력과 음소 식별력이었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강한 듣기 세부 능력은 대화 추론 능력과 문장 이해력 그리고 어휘 이해력이었다. 5가지 세부 능력 결과는 다음과 같이 줄어드는 순서로 나타났다. 대화 추론 능력->문장 이해력->어휘 이해력->음소 식별력->문법 판단력 영어 듣기 능력에 있어서 지역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남학생과 여학생의 듣기 평가 전체 점수는 여학생의 점수가 남학생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음소 식별력, 문법 판단력, 어휘 이해력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세부 능력 중 문장 이해력과 대화 추론 능력에서 여학생들의 성적은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rough item analysis of a test, the micro-skill areas of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in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em to have special strengths or weaknesse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the following five listening micro-skills: 1. the ability to discriminate between different phonemes (called DP) 2. the ability to recognize major grammar (called GR) 3. the ability to recognize vocabulary used in a sentence (called VO) 4. the ability to comprehend a simple spoken sentence (called CS) 5. the ability to make inferences from conversation (called CI) To achieve this purpose, the writer developed a 25-item listening test, capable of determining proficiency in the five micro-skills. Furthermore, two other concerns have also been investigated. These were tested at a .05 level: 1. Is there variation from one district to the other? 2. Is the sex of the student a significant factor? The test, along with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400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wo distric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the test, their areas of comparatively weak listening micro-skills were grammar (GR), and phoneme discrimination (DP). Their areas of comparatively strong listening micro-skills were inferences from conversation (CI), comprehension of a simple spoken sentence (CS) and vocabulary (VO). The result of five micro-skills, in order of decreasing ability were as follows: CI-> CS-> VO-> DP-> G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variation in 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from one district to the other. Sex of the students was a factor in listening skill; the female students' proficiency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ir male counterparts on inferences from conversation (CI) and comprehension of a simple spoken sentence (CS).

      • 공기업 혁신을 위한 선행요인이 공기업의 조직혁신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중국의 공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

        SUN MEIYU 忠北大學校 2015 국내석사

        RANK : 247325

        The public enterpris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both in Korea and China. While there is growing awareness that much innovation currently takes place in the public sector, it is also recognised that more efforts to promote innovation are needed to address the economic and societal challenges that sate-owned enterprises fa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a common understanding of what public sector innovation is and influences of innova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re little researched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 This study discusses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performance in sate-owned enterpris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ublic enterprises in Korea and China that reflected in the empirical study. Our result suggest that leadership, cooperation and government policy positively influenced organization innovation and performance in sate-owned enterprises. In particular, our paper shows that innovation played an important mediation role between precedence factors affecting innovation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In conclusion,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research and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