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매체 언어 읽기와 ‘멀티리터러시-글쓰기’ 교육 - 매개체로서의 스마트폰 활용 가능성 모색을 중심으로 -

        손미란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7

        In the 21st century, with the emergence of a digital network space, as a new topography, it is also required to newly expand literacy, which is an ability to read information, created in various ways. It means this age needs an ability to read different media, such as image and video and mix them in new ways, that is to say Multiliteracy. An important thing in education using media is to understand signs expressed through media and characteristics of media to convey, at the same time. For instance, if a given text is a visual medium, it must be done first to educate how to read an image. Students encounter a huge number of images when searching and using information. Multiliteracy writing is completed when gathering and selecting information and analyzing them overall, by directly ‘connecting’ to a digital network space that is a realistic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ere. This study is intended to enhance presence of multiliteracy writing and seek a method of expanding digital thinking power of learners.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smartphone in class, as well. The key point is that multiliteracy, an ability to organize and integrate information, influences writing. In this paper, a smartphone was used to perform these processes synthetically and enhance the presence during an instruc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igital literacy and multiliteracy of students improved along with writing skills. 뉴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교육현장도 변화하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와 디지털 네트워크 공간이라는 새로운 지형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되는 정보를 읽는 능력인 리터러시의 새로운 확장 또한 요하게 되었고 이미지, 영상 등 미디어와 접목된 다양한 매체를 읽고 새롭게 조합하는 능력, 즉 멀티리터러시Multiliteracy가 필요한 시대가 된 것이다. 멀티리터러시에 대한 문제 제기는 활자매체를 벗어난 새로운 매체 읽기에 대한 문제 제기와 직결한다. 멀티리터러시 글쓰기는 디지털 네트워크 공간이라는 실제적 공간에 직접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정보를 수합하고 선별한 후 종합 분석하여 글쓰기를 수행했을 때 완성된다. 본고의 목적은 바로 여기에 있다. 멀티리터러시 글쓰기의 현장성을 높이고 학습자들의 디지털 사고력을 확장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 이를 위해 수업 내 매개체로서의 스마트폰 활용 가능성에 대한 방안 또한 함께 살펴보았다. 교육에서 매체를 활용하고자할 때 중요한 것은 매체를 통해 표현된 기호와 전달하는 매체의 특성을 동시에 함께 이해해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주어진 텍스트가 영상 매체일 경우, 영상을 읽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할 때 학생들은 수많은 영상들을 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교수자는 영상 텍스트를 읽는 방법에 대해서도 학생들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핵심은 정보구성과 정보를 종합하는 능력인 멀티리터러시 능력이 글쓰기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이다. 멀티리터러시 능력 안에는 다양한 매체를 읽는 능력인 다중매체 읽기 능력 또한 포함된다. 아무리 많은 정보가 주어져도 그 정보를 종합하는 능력은 읽기 능력이 수반되지 못할 땐 아무 능력도 발휘할 수 없다. 본고는 이러한 과정을 종합적으로 수행하되 수업 내 현장성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폰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 학생들의 멀티리터러시 능력이 글쓰기 능력과 함께 향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김남천의 <1945년 8·15>연구 <사랑의 수족관>과의 연속성을 중심으로92

        손미란 남북문화예술학회 2009 남북문화예술연구 Vol.0 No.4

        본 논문의 목적은 김남천의 해방 후 첫 장편소설 ?1945년 8·15?를 해 방 이전에 씌어진 ?사랑의 수족관?과의 연속성의 관점에서 고찰해 보고 그 의미 를 밝히는 것이다. ?1945년 8·15?에 대한 최근의 해석은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즉 초기의 연구들이 식민지기와의 단절과 정치적 해석에 치우쳐 있었다면 최근의 해석들은 그러한 한계에서 벗어나 김남천의 사상을 식민지기와의 연속성 에서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1945년 8·15?는 ?사랑의 수족관?을 단순하게 부정하고 있지만은 않다. 김광호와 이경희의 변화된 모습은 김남천의 과거 부정에만 그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속한 환경이 재배치됨으로 인해 변화된 것이었다. 즉 배치의 문제 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시각 아래에서 본고는 ?1945년 8·15?를 ?사랑의 수족관?의 연속성의 관점에서 집중 고찰해 볼 것이다. 식민지 말기, 근대를 지향하면서도 근대를 지양해야하는 이중적인 공간에서 김남 천이 비판했던 근대는 ‘자본의 근대’였다. 문제는 이러한 비판의식이 해방 공간에 서도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고는 해방기라는 공간에서 김남천이 개진하고자 했던 가능성과 그 의미에 대해서, ?1945년 8·15? 를 통해 고찰해 볼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 작품은 결코 ?사랑의 수족관?과의 연 관된 논의 없이는 다루어질 수 없다는 사실이다.

      • KCI등재

        심미적 체험을 위한 기념물교육 : 기념물교육의 이론적 토대 정립을 위한 시도

        손미란,정기섭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1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value of monument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monument education. Thus far, monuments have been treated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categories of museum and art education. This study proposes that a new theme of monument education would emerg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onuments. Although various effects can be expected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value of a monument, this study perform a literature analysis focusing on the manifestation of aesthetic reason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monument-based education c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aesthetic experiences that could stimulate the latent abilities of the mind by harmonizing the reason and sensibility of appreciators. This is because monuments clearly contain the intention to commemorate a specific event or place and, at the same time, have artistic qualities that stimulate various imaginations. Therefore, historicity, artistry, and symbolism,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monuments, should be considered as crucial factors in promoting and inducing aesthetic experiences. Thus, there is a need to emphasize monument education for aesthetic experience and subsequently, aesthetic reason 이 연구의 목적은 기념물의 특성에 따른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 그와 관련하여 기념물교육의 이론적 토대 정립을시도하는 데 있다. 이제까지 기념물은 박물관교육, 예술교육의 범주에서 교육의 소재로 다루어져 왔다. 이 연구는기념물의 특성을 고려할 때 새로운 주제의 기념물교육이 가능할 것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기념물의 교육적가치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예상할 수 있으나, 이 연구는 심미적 체험을 통한 심미적 이성의 발현에 주목하여 문헌연구를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념물을 활용한 교육은 감상자의 이성과 감성을 조화롭게 활동하게 하여 잠재적인 마음의능력들을 자극할 수 있는 심미적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왜냐하면 기념물에는특정 사건이나 장소를 기념하려는 의도가 명확하게 담겨있고, 동시에 다양한 상상력을 자극하는 예술성 또한 갖추고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념물의 특징인 역사성, 예술성, 상징성은 심미적 체험을 촉진하고 유발하는 데 매우 중요한요소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심미적 체험을 위한, 그를 통해 심미적 이성을 함양하기 위한 기념물교육이강조될 필요성이 있다.

      • 소아에서 성장호르몬 결핍증 진단을 위한 혈중 IGF-1과 IGFBP-3의 절단값

        손미란,안영선,정우영,유병철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07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2 No.2

        Background : It is essential to have reference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children. The objective of study was to decide the cut-off value for Insulin-like Growth Factor-Ⅰ(IGF-Ⅰ)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IGFBP-3) for diagnosis of growth hormone deficiency. Methods : We studied the serum level of IGF-Ⅰ and IGFBP-3 in 231 subjects(131 boys and 100 girls) with idiopathic short stature(ISS) and 37 subjects(23 boys and 14 girls) with complete or partial growth hormone deficiency(GHD). IGF-Ⅰ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RIA) method and IGFBP-3 were measured by immnoradiometric assay(IRMA) method. We conducted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student t-test,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 and discriminant anaylsis using MedCalc and SPSS Program. Results : The ROC curves showed that the best IGF-Ⅰ and IGFBP-3 cut-off value. Cut-off value of serum IGF-Ⅰ concentration was 346ng/mL(sensitivity 86.49%, specificity 85.71%) and of serum IGFBP-3 concentration was 3196ng/mL(sensitivity 81.82%, specificity 81.66%). If discriminant value (Z=0.442+0.661×IGF-Ⅰ+0.469×IGFBP-3) was below -1.47, the subject is discriminated GHD respectively. Conclusion : Our study results support that the measurement of serum IGF-Ⅰ and IGFBP-3 concentration might be an essential supplementary tools in the diagnostic evaluation of children with GHD.

      • KCI등재

        5월 18일까지의 시간과 공간, ‘봄날’의 정치학 -임철우의 장편소설 『봄날』을 중심으로-

        손미란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42

        Lim Chul-woo's ‘Spring Day’ was an attempt to transfer the time and the space of those days to the ordinary space of the present time by reproducing the ten days of th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One more important fact is the author’s balance in trying to express ‘Spring Day’ as more realistical between the ‘historical truth’ and the ‘novelistic fictionality’. To fulfill this, ‘May’ adopted the narrative form to describe the time and the space from May 16th to 27th in a chronological order, using ‘multiple views’ or ‘crossed views’. At this time, this paper noted that the novel began in May 16th. Investigating a process of acquiring the historical truth, prior to the full-scale beginning of the event (May 18th) is also to see the time and the space that each character faces. The author reproduces the archetypal space of the ‘Gwangju Democracy Movement’ by creating a narrative focusing on ‘Han Won-gu’, who has continuity with the past of May 16th and 17th. May 18th refers to the time set on the present foundation and he reproduces May 18th, which is progressive, through ‘Myeong-gi’ symbolizing new time and space. In other words, Im, Chul-woo is working on implanting reality in historicity and politics of the later time and space by reproducing the two-day time and space additionally. The two days from May 16th enabled the characters to acquire historicity. 임철우의 『봄날』은 ‘광주민주화항쟁’의 열흘을 재현함으로써 현재 일상의 공간에 당시의 시간과 공간을 옮겨 놓으려 한 시도였다. 한 가지 더 중요한 사실은 ‘역사적 사실성’과 ‘소설적 허구성’의 공존 사이에서 『봄날』을 보다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노력한 작가의 균형이다. 이를 위해 『오월』은 ‘다중시점’ 혹은 ‘교차시점’을 활용하여 시간 순으로 5월 16일부터 5월 27일 간의 시간과 공간을 묘사하는 서사양식을 택하고 있었다. 이때 본고는 소설의 시작이 5월 16일에 있음에 주목했다. 본격적인 사건(5월 18일)이 진행되기 전에 역사적 사실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살펴본다는 것은 곧 각각의 인물들이 서 있는 시간과 공간이 어디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작가는 5월 16일과 17일 위에 과거와의 연속성 위에 있는 ‘한원구’를 중심 서사로 둠으로써 ‘광주항쟁’이 지닌 원형적 공간을 재현하고 있다. 5월 18일은 현재적 토대 위에 있는 시간으로서, 새로운 시간과 공간을 상징하는 ‘명기’를 통해 현재진행형의 5월 18일을 재현하고 있었다. 즉 임철우는 이틀의 시간과 공간을 부가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이후 시간과 공간이 가지게 되는 역사성과 정치성에 리얼리티를 부여하는 작업을 꾀하고 있는 것이다. 5월16일부터의 이틀이 있기에 등장인물들은 역사성을 획득할 수 있었다.

      • KCI등재

        遺産되는 상처, 遺産되는 트라우마- 임철우의 「붉은 방」(1988)에 내재한 ‘알레고리아(allegoria)’ 읽기 -

        손미란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硏究 Vol.- No.82

        Although Lim Cheol-Wo is an author who represents May Literature, his works are not limited to materials related with the May Kwangju Uprising. Therefore, I would examine the generational trauma and its treatment methods through his writings Red Room that won Yi Sang Literary Award (1988) and accordingly helped the author strengthen his position. The most important things are the fact that was discovered and the truth that was revealed. It is not easy to identify visualized facts and nonvisualized truths, and understand their implicit meanings. Of course, it is still important to ascertain the facts of the historical trauma in terms of narrativization of the manifested events becaus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can be demonstrated from this. However, it is required to determine a nonvisualized allegoria which refers to allos (different) - agoreuo (speaking) rather than a visualized issue. The process to find the historical wounds through literature will be the best way to show how the numerous persons who would have to wholly accept the historical memories move forward to the next step of healing by coughing up the memories. ‘임철우’는 ‘오월 문학’의 대표적 작가이다. 하지만 그의 작품은 5월 항쟁 그 자체에만 머물러 있지 않다. 이때 본고는 임철우에게 이상문학상(1988)을 안겨줌으로써 그의 입지를 더욱 다져준 작품인 「붉은 방」을 통해 세대상처와 그 치유방식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지적해야 할 것은 소설 「붉은 방」이 보여주는 치유방식이 지금 우리가 현재진행형에 있는 역사적 문제를 치유하는 방식과 다르지 않다는 사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역사를 제대로 마주설 수 있게 되는 것이 무엇인지, 지금도 여전히 지속되는 역사를 우리가 어떤 얼굴로 바라봐야하는지를 말해주고 있는 소설 「붉은 방」읽기는 지금 우리에게 새로운 의미를 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밝혀진 사실과 숨겨진 진실이다. 가시화된 사실과 비가시화 된 진실이 어떤 것인지 상상하고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생각하는 일은 쉽지 않다. 물론 현재적 사건(들)의 서사화라는 측면에서 역사적 상처를 사실 그대로 확인하는 것은 「붉은 방」이 가진 역사적 의미를 확인하는 일이기에 중요하다. 우리는 가시적으로 떠오르는 것이 아닌 ‘allos(다른)-agoreuo(말하기)’, 즉 비가시화된 알레고리아(allegoria)를 찾아야 한다. 임철우는 어디든 ‘기괴하고 기묘한 붉은 방이 존재한다’라고 말한다. 「붉은 방」이 지닌 ‘정치성’은 이 소설이 왜 지금, 현재적 치유를 위해 읽혀야 하는지를 말해준다. 이때 ‘문학의 정치’는 작가의 정치를 의미하는 게 아니다. 그것은 작가가 자신이 사는 시대에서 정치적 또는 사회적 투쟁을 몸소 실천하는 참여를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문학을 통해 역사의 상흔을 찾아내는 과정은 그 기억을 온전히 받아들여야 하는 수많은 주체들이 역사적 기억을 토해냄으로써 치유로 나아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가장 좋은 길이 되어줄 것이다.

      • KCI등재

        대학 기초교양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 D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비교과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손미란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人文硏究 Vol.- No.101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급속하게 확장되고 있으며 대학 기초교양교육에서도 빠질 수 없는 교육영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학 현장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활용 교육의 차원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물론 미디어학과 및 언론정보학과 같은 미디어 매체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영역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 범주를 세우고 목표를 만들고자 하는 시도는 있다. 이때 우리가 주목할 점은, 그렇다면 미디어학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본 연구자가 제시하는 기초교양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어떤 측면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핵심은 대학의 기초교양교육이 가지는 역할과 그 의미에 있다. 2008년부터 진행된 교육역량강화지원사업 아래 현행 대학들의 교육역량강화의 방향이 각 대학의 건학이념 및 교육이념을 반영한 특성화된 교양교육을 개발하는 것에 집중하게 했고 그 결과 전공 교양 영역할 것 없이 융합 교육을 지향하게 했다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이나 기초 토대 없이 실행되다보니 그 실효성이 불명확한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그 대표적인 영역이 바로 융합교육을 위해 활용 방안으로만 소환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다.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은 더 이상 전문적인 영역이 아니며, 현대사회의 시민이 갖추어야 할 기본 역량이다. 그러므로 대학은 예비 사회인인 대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어떻게 길러줄 수 있는지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그 역할은 기초 교육을 담당하는 대학의 기초교양교육 영역이어야 한다. 대학 기초교양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개발은 새로운 융합 교육의 방향 설정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본고는 바로 이 지점에 주목하여 대학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어떤 방향으로 설계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 KCI등재

        ‘10월 인민항쟁(1946.10)’을 통해 본 ‘시간의 정치학’ - 조선문학가동맹을 중심으로

        손미란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8

        “현재 가운데에 살아 있는 과거”, 이 말은 1939년 2월 18일에 임화가 한 말이다. 중일전쟁을 맞이한 상황에서 급작스럽게 불어 닥친 전환기적 의식은 당시 수많은 문학자들에게 ‘역사에의 의식’을 고민하게 했다. 임화의 논의에서 핵심은 ‘현재’이다. ‘과거’가 역사가 되기 위해선 미래를 위한 현재가 과거(역사적 과거)와 이어져야만 한다. 문제는 이처럼 ‘과거-현재-미래’로 이어지는 ‘시간’의 종합이 결국 ‘정치’가 된다는 데 있다. 이때 본고는 1939년 전환기적 시대위에서 발현된 이와 같은 역사ㆍ시간 의식이 해방 후, 임화를 비롯한 조선문학가동맹에게서 더욱 명확한 모습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는 데 주목하고자 한다. 중요한 것은 정황이다. 1946년 5월을 지나 9월, 10월이 지난 이후 조선문학가동맹에게 ‘3ㆍ1운동’은 이전과는 다른 운동이 된다. 임화가 말했던 ‘특이한 정황’이 다가온 것인데, 그 정황의 중심에 1946년 10월 1일에 일어난 ‘10월 인민항쟁’이 있다. 우선 본고는 ‘10월 인민항쟁’이 ‘3ㆍ1운동’과 같은 해방운동으로 승격되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소련의 ‘10월 혁명’이 신화화 되는 과정과 비교해 살펴본 후 ‘3ㆍ1운동’이 소환되는 방식을 알아볼 것이다. 여기서 ‘과거-현재-미래’는 단선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세 시간의 핵심은 ‘현재’에 있다. 이때 ‘시간의 정치학’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명확하다. 주체는 결코 단 하나일 수 없다. ‘10월 1일’에 발생한 사건의 주체에 조선문학가동맹이 있느냐, 당시의 수많은 노동자와 농민이 있느냐에 따라 당시의 사건은 폭동이 될 수도 있고 항쟁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은 해방공간에서 조선문학가동맹이 보인 행적을 이해하고 앞으로 그들의 작품을 새롭게 읽는 데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앞으로 이념문학으로 정리되던 작품을 다시 읽을 수 있는 틀이 될 것이다. "The past alive in the middle of the present". This word was said by Yim, hwa in February 18th 1939. The sudden transitional consciousness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Sino-Japanese War made a number of literary men think over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key of Yim, hwa's discussion is 'the present'. For making 'the past' pass into history, the present for the future must be linked with the past(historical past). The problem is that the synthesis of 'time' represented by 'past-present-future' develops into 'politics', in the end. He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fact that this historical and time consciousness expressed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1939 began to more clearly revealed in Chosun-Munhakga-Dongmaeng, including Yim, hwa. The important thing is a circumstance. After May 1946, and September and October, the '3ㆍ1 Movement' became a different movement to Chosun-Munhakga-Dongmaeng. The 'unprecedented circumstance' mentioned by Yim, haw approached and the 'People's Uprising' happening in October 1st 1946 was in the center of the circumstance. This study firstly compares this with the mythification process of the 'Russian Revolution in October' to see how the 'People's Uprising in October 1946' was upgraded to the liberation movement like the '3ㆍ1 Movement' and then considers the way in which the '3ㆍ1 Movement' was recalled. Here, 'past-present-future' have no unilinear connection. The key of the three times is 'the present', ultimately. This time, what the 'politics of time' says, is definite. It is impossible that there is only one subject. The event of the times can be a struggle, or riot, depending on whether the subjects of the event in 'October 1st' were Chosun-Munhakga-Dongmaeng, or numerous laborers and farmers. This perspective will not only help in understanding the traces of Chosun- Munhakga-Dongmaeng in the liberated space and newly reading their works but also serve as a framework for reading the works regarded as ideologic literature again.

      • KCI등재

        전환기로서의 해방기 문학 연구 - 김남천의 신문연재장편소설 『1945년 8ㆍ15』를 중심으로 -

        손미란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硏究 Vol.- No.58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anings of Namcheon Kim’s first feature novel after the Liberation, August 15, 1945 on the special arena of ‘the Liberation Period’ and to determine the ways of characterizations in the novel. Namcheon Kim’s newspaper serial novel, August 15, 1945, as a work created in the temporal context of a transition period, is important in that we can see the space of possibility Namcheon Kim tried to pursue. What matters is that the space of ‘the Liberation Period’ was a twofold space of not just a simple space of confusion but also that of hope. Though it seems that ideal can never meet reality, the space of ‘transition’ makes it possible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two. The recent interpretations on August 15, 1945 have offered a number of suggestions. That is, early studies were mainly about the departure from the colonial period and political interpretations while recent ones have come beyond the limits, looking at Nam-cheon Kim's ideas on the continuum with the colonial period. For example, August 15, 1945 does not just deny The Aquarium of Love. Changes in Gwangho Kim and Kyunghee Lee derived not only from Namcheon Kim’s denial in the past but also realignment of their environment. That is, it is the problem of ‘alignment.’Of course, Namcheon Kim seeks to overcome the remnants of the past and explore possibilities for the new future in the space of ‘the Liberation Period.’ It is noteworthy that August 15, 1945 is writing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That is to say, the critical views toward modernity of capitalism, which was the constant object of criticism in the late colonial period, continued in the space of the Liberation. The remaining problem is the ways of characterization, in other words, characterization with sexuality. 본 논문의 목적은 김남천의 해방 후 첫 장편소설 『1945년 8ㆍ15』가 전환기로서의 ‘해방기’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가지는 의미를 다각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김남천의 신문연재소설 『1945년 8ㆍ15』는 ‘전환기’라는 시대적 의미 위에서 태어난 작품으로, 김남천이 개진하고자 했던 가능성의 공간을 찾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작품이다. 이때 중요한 점은 ‘해방기’라는 공간이 단순한 혼란의 공간이 아닌 희망의 공간이기도 했다는 사실이다. 즉 이중의 공간인 것이다. 이상과 현실이란 결코 만날 수 없는 지점처럼 보이지만 ‘전환기’라는 공간은 이 둘의 간극을 메울 수 있는 것으로 보이게 해 주었다. 그리고 해방기라는 공간에서 김남천은 과거의 잔재를 극복하고 새로운 미래를 위한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했다. 물론 해방 후 첫 장편소설인 『1945년 8ㆍ15』는 ‘낭만적 로맨티시즘’의 내재적 한계와 도식적일 수 있는 계몽적 구도로 인해 ‘식민지적 잔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한계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러나 그는 식민지 말기에 비판하던 ‘자본의 근대’에 대한 비판의식을 해방 공간에서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을 뿐 아니라 새조선의 건국의 열망을 신문연재장편소설이라는 장르에 담고자했다. 이러한 노력은 김남천을 평가함에 있어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업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