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소외감이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성윤지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alienation on the excessive use of mobile smart phone among teenagers, then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 attachment and peer group attachment among them. The data was obtained from the 800 sample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671 samples using smart phone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of frequency,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In order to explain smart phone use, questions regarding alienation was used as independent variable and questions on the degree of the smart phone us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Also, age, gender, parental status, and family status were selected as control variables in addition to moderating variables of parent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The results summariz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major variables was shown as 2.21 of alienation, 2.51 of smart phone use out of 5 points scales. Among the degree of attachments, father attachment was 3.50, mother attachment was 3.65, and peer attachment was 3.26. Among the sub-elements of alienation variables, a sense of norm loss was indicated as 2.59, a sense of powerless 2.24, and a sense of isolation 1.98. Among the sub-factors of phone use, the obsession/compulsion was indicated as 2.76, tolerance 2.69, withdrawal 2.46, and inconvenience of life/maladjustment 2.17. Second, the alienation degree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in age and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shows the differences in sex and age. While father attachment shows meaningful difference in family status, mother attachment shows none in all section. In age attachment, only sex has shown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Third, as a result of studying variables effecting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alienation, mother attachment and age attachment shows meaningful influence. The sub factors show that the senses of powerless and norm loss influence smart phone overuse except for a sense of isolation. Among sub elements of father attachment, a sense of isolation level was influenced and among sub factor of mother attachment, a sense of trust level was affected. Also, among sub factor of age attachment, the sense of communication level was solely influenced. Fourth, as for the moderating effects, the peer attachment appeared to be significant while parent attachment was insignificant, age attachment shows the effect. with the examination, The direction of moderating effect indicated that the peer attachement was found to be a dangerous factor for the smart phone overus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it is recommended to concern to identify detailed approach of intervention for the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by focusing on sense of isolation, and to provide appropriate programs with education for parents at home. Also, it is recommended to have prevention program for teenagers using phone excessively in order to provide healthy attachment among their peer groups. Although, this study implemented in a limited area of Daegu metropolitan cit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smart phone overuse among teenagers.

      • 수유형태에 따른 4개월 이하 영아의 성장발육 종단연구

        성윤지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소아청소년 발육표준치(대한소아과학회, 2007)와 WHO Child Growth Standards(WHO, 2006)를 기준으로 수유형태에 따른 영아의 영양상태를 판정하여 그 차이점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수유형태에 따른 영아의 체중 및 신장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체중의 경우 모유수유군에서 남녀간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체중 및 신장에 대한 평균표준편차점수는 한국표준치에 비교했을 때 보다 WHO표준치에 비교했을 때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월별 체중 증가량은 인공수유군, 혼합수유군, 모유수유군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유형태에 따른 증가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월별 신장 증가량은 인공수유군, 모유수유군, 혼합수유군 순으로 나타났으며 체중 증가량과 같이 수유형태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수유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으로 산모의 나이, 교육수준, 출생순위, 분만력, 재태기간 및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성장 발육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으로는 산모의 나이, 출생 순위, 교육수준, 가족 중 흡연여부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재태기간에 따른 출생 시 체중백분위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장시간 노동의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와 일-생활균형만족의 조절효과

        성윤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 is solidified to have a long working hour, which exceeds 300 hours more than the average working hour of OECD countries. This long-hour working system is based on the factors such as comprehensive wage system, shift-work, regular employee centered employment system, securing living cost of low wage workers, and sole breadwinning family model. Recently, as work-life balanc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s being emphasized, the government is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labor standard of permitting 68 hours of working hours per week to 52 working hours per week. While statutory working hours have been consistently decreasing over the past 30 years, the long-hour working phenomenon still exists and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the long working-hour on the employees, as well as possible solutions. To derive empirical model, this study considered logical basis regarding the variables of the effect on long hour working based on the theoretical logic. This study selected working hours, burnout, turnover intention, innovative behavior, and work-life balance as the variable and verified the causality among them. The samples collected were aimed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financial business, and public corporations from Daegu and Kyeongbuk province, one of the regions in Korea representing a long hour working. It took 3 months to distribute and collect the data via e-mail, mail and in person. As 340 out of 400 distributed surveys were collected, the collection rate shows 85%. Excluding 13 insufficient answers, 327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PSS 23.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direct effect between working hour and burnout, this study found that the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That is, long hour working caused an emotional dissonance, a subfactor of the burnout. Second, considering the moderation effects between the working hour and burnout, it was expected that the employees who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work and the way they manage their personal lives would be able to lessen the effect of a long working hour. However, this hypothesis was rejected since there seemed to be no impact on the burnout of interactive variable between work-life balance satisfaction and working hour. Next, regarding the mediation effects of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hour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observed that the burnout partially mediates between them. In other words, a long working hour is a cause of higher burnout, and the employees who experienced the burnout tend to have higher turnover intention. Finally, in terms of the mediation effects of burnout in correlation between working hour and innovative behavior, burnout turned out to be a full medium between working hour and innovative behavior. That is, labor of many hours causes burnout, and increased burnout decreases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on long working hours has great significance for the fact that, instead of using case study or qualitative research, it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rom the aspect of an employee. Moreover, as a demographic variable that affects turnover intention, wage level and academic ability were essential factors. The lower the wage level and the higher academic ability, the stronger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to stop the local brain drain from Daegu and Kyeongbuk province, it is suggested that there must be a proper foundation for decent jobs on a regional level, as well as strategic managemen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s, such as education and training, promotion, and compensation systems on a business level. 한국은 OECD 국가의 평균 근로시간보다 300시간 이상 일하고 있는 장시간 노동이 고착화되어있는 과로사회이다. 이는 포괄임금제, 교대제, 정규직을 활용하는 고용시스템, 저임금 노동자의 생계비 수준 확보, 남성 외벌이 가족모델 등을 배경으로 장시간 노동 체제가 성립되었다. 최근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일-생활 균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근로기준법상 주당 최대 68시간까지 일 할 수 있도록 허용되어 있던 행정해석을 바로잡아 주당 52시간 근무제 도입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지난 30년 동안 법정근로시간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자리 잡고 있는 장시간 노동체제로 인하여 종업원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모델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론적 논리를 바탕으로 장시간 노동에 대한 영향에 대한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고찰하였다. 이에 근로시간, 직무소진, 이직의도, 혁신행동, 일-생활균형만족을 변수로 설정하고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장시간 노동의 대표도시인 대구·경북지역의 제조업, 금융업, 공공부문 기업을 대상으로 표본을 수집하였다. 설문지 배포 및 회수 기간은 약 3개월이 소요되었으며, 해당 기업을 직접 방문하거나 이메일, 우편조사를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총 400부로 340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85%이다. 그 중 응답하지 않은 문항이 많거나 불성실한 설문지 13부를 제외한 327부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고 SPSS 23.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시간과 직무소진 간의 직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근로시간과 직무소진은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시간 노동은 직무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신적 고갈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일-생활균형만족이 근로시간과 직무소진의 관계 간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개인이 일과 일 외의 개인생활을 관리하는 방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은 종업원일수록 장시간 노동으로 인한 직무소진의 영향을 완화시킬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일-생활균형만족과 근로시간의 상호작용항은 직무소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셋째, 근로시간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직무소진은 근로시간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의 장시간 노동은 종업원의 직무소진을 높이는 요인으로 업무에 대하여 직무소진을 경험한 직원이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로시간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직무소진은 근로시간과 혁신행동을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장시간 노동은 직무소진을 유발하고 종업원의 직무소진의 상승은 혁신행동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연구, 질적 논의 등으로 다루어진 기존의 장시간 노동의 연구를 종업원의 개인차원에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로 임금수준과 학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임금수준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구·경북의 지역인재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역적 차원에서 보다 양질의 일자리의 기반을 만들고, 조직적 차원에서는 교육훈련이나 승진 및 보상관리와 같은 인사제도를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함을 시사한다.

      • 생물전환을 이용한 홍도라지 가공 방법 연구

        성윤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라지는 사포닌뿐만 아니라 다양한 파이토케미컬 (phytochemicals)을 통한 약리 성분을 갖는다. 그러나 뛰어난 약리적 효능에도 불구하고 섭취 시 독특한 풍미와 맛, 자극적인 이취로 인하여 소비자의 선호도가 떨어져 섭취에 유용하도록 개발 시도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린맛과 쓴맛 및 냄새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이 파괴 되거나 줄어들고, 수용성 성분이 용출되어 도라지 고유의 식감(texture)과 형태가 파괴되어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라지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은 반복적인 가열 및 건조 공정을 통하여 급격하게 감소하고 고유의 풍미를 빠르게 잃어버리기 때문에 제품으로 개발 시 관능적인 부분을 함께 감안하여 제품으로 개발해야 하는 어려움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도라지의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이용해 홍도라지를 제조하여 이들의 성분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고, 이에 함유된 사포닌 함량을 연구하였다. 홍도라지에 함유된 사포닌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일반성분 분석, 조사포닌 함량 측정, 관능평가를 시행하였고 추가로 생물전환(발효) 공정을 시행하여 일반 홍도라지에 비해 발효 홍도라지의 유효성분 (Platycodin D)이 얼마나 증대되는지를 유효성분인 Platycodin D 함량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1차 공정으로 제조된 홍도라지는 수분의 경우 82.41%, 회분 2.19%, 조단백질 1.99%, 조지방 0.35% 및 조섬유 3.54%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포닌 함량의 경우 일반도라지(대조군)는 4.46 mg/g이고 1차 증숙 및 건조 단계를 거친 도라지는 8.19 mg/g, 2차 증숙 및 건조 단계를 거친 도라지는 13.82 mg/g, 3차 증숙 및 건조 단계를 거친 도라지는 7.7 mg/g 이었으며 마지막으로 4차 증숙 및 건조 단계를 거친 도라지는 10.87 mg/g 이었다. 관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2차 증숙 및 건조 단계를 거친 홍도라지가 가장 전체적인 항목 및 종합적으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열 증숙 및 건조 단계가 반복될수록 쓴 맛과 향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3차 이상의 증숙 및 건조 단계를 거치면서 검은색이 강하게 나타나는 흑도라지로 변화되어 탄 맛의 쓴 향과 맛이 강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발효된 홍도라지는 베타 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이 우수한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이용하여 홍도라지를 발효시켰다. 그 결과 일반 도라지의 Platycodin D의 함량이 약 1.3 mg/g인 것에 비해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홍도라지의 함량이 약 3.8 mg/g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발효 공정 외에 도라지의 유효 성분을 증진시키고 생체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공정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한 홍도라지 제조공정과 접합시켜 사포닌 함량 증진과 생체이용률 증진에 대한 기술을 개발 할 것이라 사료된다. Red platycodon has pharmacological components such as various phytochemicals as well as saponins. However, despite the excellent pharmacological efficacy, when ingested, due to the unique flavor, taste, and stimulating odor, consumer preference is lowered and development attempts are made in various ways to make it useful for ingestion. Most of the major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in platycodon are destroyed or reduced, and water-soluble components are eluted, thereby destroying the texture and shape of the platycodon, and deteriorating the marketability. In addition, since the saponin in red platycodon is rapidly reduced by repeated heating and drying processes and the inherent flavor is rapidly lost, it is difficult to develop red platycodon in the sensory aspect when developing a product.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prepare red platycodon using a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content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in raw platycodon, to investigate their components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o study the saponin content in red platycodon. In order to measure the saponin content in red platycodon, general component analysis, saponin content measurement, and sensory evaluation were performed. To compare how much the active ingredient (Platycodin D) increases through bioconversion, the analysis of the active ingredient of saponin through bioconversion was implemented.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red platycodon had 82.41% moisture, 2.19% ash, 1.99% crude protein, 0.35% crude fat, and 3.54% crude fib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saponin content, platycodon (control group) was 4.46 mg/g, platycodon by first processing was 8.19 mg/g, red platycodon by second processing was 13.82mg/g, and red platycodon by third processing was 7.7mg/g. and finally processing was 10.87mg/g.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red platycodon, which is made by second steaming and drying steps, was the best, and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heating and steaming and drying steps were repeated, the more bitter taste and flavor appeared.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more the 3rd or more steaming and drying steps are carried out platycodon is changed to a black color, and the bitterness and taste of the burnt taste are strengthened. Fermented red platycodon was fermented using Lactobacillus brevis, a strain with excellent beta-glucosidase activit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Platycodin D in platycodon was about 1.3 mg/g, whereas the content of red platycodon fermented by Lactobacillus brevis increased to about 3.8 mg/g.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other processes than the bioconversion process studies, which can enhance the active ingredients of platycodon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and combined with the red platycodon production process presented in this study to enhance the saponin content in platycodon and bioavailability.

      •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가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윤지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와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사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립, 사립 유치원, 국공립, 민간, 직장, 법인, 가정 어린이집 유아교사 4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365부를 연구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조직문화, 행복감,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잠재변인들의 관계를 설정한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가 긍정적일수록,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직무만족도가 높은 양상을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양상을 보였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가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도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직무만족도의 매개로 인하여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증가한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가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직무스트레스의 매개로 인하여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감소된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감 증진을 위하여 유아교육기관에 긍정적인 조직문화가 형성될 수 있도록하며,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교사 연수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의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ow job stress influences happiness,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stress. For this purpose, 400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at public, private kindergartens, national, private, company, corporation, and home daycare centers, and 365 copies of them were used for research data analysis. Scales like organizational culture, happines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easurement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esid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research problem that set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ore positi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higher the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lower the job stress. Second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revealed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ther words,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creased with the mediation of job satisfaction. Third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shown in the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while,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ecreased according to the mediation of job stress.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a wide range of support, such as teacher training and program development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required. Also, a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is significa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