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 문학 교육에서 바라본 문학사

        윤대석 ( Dae Seok Y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글은 문학사 교육의 위상 변화와 그에 대응하는 문학사 교육 탈구축 작업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문학사의 탈구축 작업에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국어과 교육 과정은 문학사 교육을 국민 교육의 장으로 삼았으나 국어 교육이 학습자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문학사적 지식은 독립적인 지식과 개별 작품들을 통합하는 지식의 역할을 할수 없게 되었다. 학습자의 다양한 반응과 해석을 이끌어 내는 방향으로 전환한 문학 교육은‘복수의 문학사’를 제재를 통해 구성하였기에, 단일하고 평면적인 해석밖에 생산하지 못하는 민족 문학사와 괴리되었다. 그 때문에 문학사적 지식은 고전과 현대의 상호텍스트성을 지시하는 전통의 연속성과 민족 문학의 정전을 부각시키는 한국 문학의 범위에 관한 지식으로 축소되었다. 이러한 문학사 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문학 교육학계에서는 문학사 교육의 목표를 지식 습득보다는 지식과 능력이 결합된 안목의 획득으로 재설정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통합적이고 관계적인 문학사적 지식을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데 초점을 두는 방향으로 문학사교육을 갱신하고자 했다. 그러한 가운데 고정된 실체로서의 민족 문학사를 해체하고 복수의 문학사를 도입하거나 그 복수의 문학사를 토대로 자신만의 소문자의 문학사를 구성하는 방안도 제시되었다. 또한 문학 연구 영역의 성과를 바탕으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문화사적 문학사를 서술하자는 제안도 제출되었다. 이러한 민족 문학사를 대체하는 대안적인 문학사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문학사 교육은 정치적 장이자 비평적 장으로서 문학사를 새롭게 탈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account for the change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and describe the efforts to deconstruct it. The literary history education in Korea, as well as in other countries, was used as a main tool to imagine the national community and raise the feeling of national unification. But it ceases to be the knowledge which controls the interpretation of each texts, as in 1990’s Korean education changed it’s points to learner itself. Literary education which was changed to drag out the various response and interpretation of literary learners can not coexist the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which produces only the unified and plat interpretation. In this phase the renewal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began. The aim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was reset as gaining an appreciative eye for literary history and literary competence. In the process of renewal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a united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was deconstructed to plural histories of literature and small-letter histories of learners themselves. And it was suggested that we should write the alternative literary histories which reflect the recent achievement in literary studies. Alternative literary histories can be consisted of cultural histories and micro histories.

      • KCI등재

        특집 : 한국문학사 서술의 경과: 제도와 이념에의 결박과 성찰 - 현대문학사 서술을 중심으로

        최병구 ( Byoung Goo Cho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논문은 식민지 시기부터 최근까지 대표적인 ‘현대문학사’ 몇 종을 민족문학과 아카데미즘의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신문학사』(1939), 『조선신문학사조사』(1948), 『한국문학사』(1973), 『한국근대민족문학사』(1993), 『민족문학사 강좌』(2009),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2013)를 검토하였다. 주지하는바 그간 출간된 현대문학사는 민족문학사의 틀안에서 작업된 것이었다. 하지만 근대적 학술체계로서 문학사는 아카데미즘과 현실의 관계에 대한 사가의 인식에 따라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민족문학의 성격과 위상은 개별 문학사에서 차이를 갖게 된다. 서구적 보편과 조선적 특수의 관계에 대한 사유, 즉 비교문학적 시각은 문학사에 내재되어 시기별로 유동하는 특징을 보이는 것이다. 최근 10년 한국사회 전반의 변화 속에서 대학 인문학의 위상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더 이상 문학사가 과거와 같은 위치를 차지할 수 없게 된 것이다. 향후 문학사 쓰기의 향방은 ‘국가-대학-국어국문학’이라는 문학사 쓰기의 전통적인 틀을 어떻게 새롭게 마련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several representative of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from colonialperiod to date in the aspect of national literature and academism. Specifically, ‘History of Korean New Literature’(1939), ‘Main Currents of Thought in Cho-Seon New Literature’(1948), ‘History of Korean Literature’(1973), ‘National History of Modern Literature’(1993), ‘Lecture on History of National Literature’(2009), and ‘History of Literature after History of Literature’(2013) were investigated. As noticed, the previous publications regarding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were completed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However, history of literature as a modern academic system was constructed indifferent ways based on historians’ perspectives on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sm and reality.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and reputations of national literature were different in individual history of literature. The thoughts of relations between Western society as universal and Cho-Seon as particular, namely the perspectives on comparison literature which were inherent in history of literature was in a state of flux according to a time. The reputation of humanities in university has remarkably changed in the change of Korean society over the last decad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no longer in the same place as it was in the past. The direction of writing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or years to come hinges on how to transform its traditional framework of ‘nation-university-Korean literature.’

      • KCI등재

        특집 : 통일 담론과 남북한 문학사 소통방안

        김성수 ( Seong Su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글은 ‘우리’ 한국문학(사)의 타자이자 소수자라 할 북한문학(사)을 어떻게 볼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북한문학은 언젠가는 재통합될 한반도 이북의 우리 민족의 문학이니 이념 차이 때문에 무조건 배제할 수는 없다. 북한문학도 문학이며 ‘우리문학’이기에, 궁극적인 통합을 위해서 원래 하나였던 것이 해방 직후 분단된 과정을 천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백철의 『조선신문학사조사』, 조연현의 『한국 현대문학사』, 한효의 「현대조선문학사조」, 안함광의 『조선문학사 1900~』, 과학원 문학연구실의 『조선문학통사』 (하) 등을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북 학자들이 자기중심으로 현대문학사를 전유하고 상대를 배제하는‘뺄셈의 서술’을 통해, 자기 체제의 역사적 정통성을 확보하려 했음을 알았다. 나중에 승리한자가 이미 존재했던 역사적 실상을 왜곡, 재편하는 것이 공식 역사 기술의 당연지사겠지만,공식화와 정전화를 공고히 할수록 원래 하나였던 우리문학사, 민족문학을 결과적으로 영구분열시킬 수밖에 없었다. 즉, 자기중심적 정통성 담론은 기실 모국어의 분단을 공고화하는분단문학사의 출발일 뿐이다. 1950년대 이후 최근까지 남북한의 문학사를 통합 서술한 실질적인 성과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결과 최근 남북한의 현대문학사 서술은 완전히 다른 나라 것처럼 되었다. 가령 북한의 『조선문학사』 16(2012)는 ‘조선민족제일주의’와 ‘수령론’으로 점철된 ‘선군(先軍) 문학사’를 정초하고, 남한은 문학사 자체를 공식화하지 않거나 아예 해체하는 분위기이다. 그나마 민족문학사연구소의 『새민족문학사강좌』(2009)가남북문학(사)의 공존을 소수자담론으로나마 서술한 수준이다. 문학사적 분단의 재검토를통해 적대적이거나 무관심해진 북한문학과의 상호 이해와 교류, 통합방안을 다시 고민할 때이다. 북한문학의 실체를 인정하고 부단히 소통하며 남북 문학의 공존을 서술해야 우리 민족문학사의 재통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at perspective we should take towards the North Korean literature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other party of Korean literature. The North Korean literature is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race in the nor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of the reunified Korea and therefore cannot be blindly rejected due to the difference of ideology. The North Korean literature is also a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of Korean race. Thu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xamine the period right after the nation’s liberalization from Japanese forced occupation, the starting period of the nation’s division. In relation to that, this study compared the Joseon New Literature History Survey by Baek Cheol,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by Jeo Yeon-hyeon, Modern Joseon Literature History by Han Hyo, Joseon Literature History After 1900s by Ahn Ham-gwang, Comprehensiv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by the Literature Lab of the Institute of Science, et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holars in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ttempted to secure historic legitimacy of their regimes through the description of ‘subtraction’ aiming to appropriate the modern literature history in a self-oriented manner and exclude the counterparty. The self-oriented legitimacy discourse is merely the starting point of the literature history of the divided nation which signified the division of mother tongue as afact. There has been little outcome providing insight into the literature history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through integrated approach until recently after 1950s. As a result, the modern literature history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has been described as completely different history. For example, the no. 16 volume of Josen Literature History of the North Korea was based on the literature history rooted in the military-first principle oriented toward Joseon Race First Policy and Theory of Great Leader, while the South Korea dismantles the literature history itself. Fortunately, the New Race Literature History Lecture by Race Literature History Lab at least describes the coexistence of literature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s minority discourse. The reintegration of literature history would be achieved only when the existence of North Korean literatureis recongized and the coexistence is promoted with commun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냉전과 월남지식인, 냉전문화기획자 오영진 : 한국전쟁 전후 오영진의 문화 활동

        이봉범 ( Lee Bong-beo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1 No.-

        오영진의 삶과 예술은 냉전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미소분할 점령 하 남북한 모두에서 민족국가(문화)건설에 실천적으로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지리적 경계를 넘나든 국제적 냉전경험을 바탕으로 문화냉전 전을 수행한 대표적인 지식인이다. 북한에서 조선민주당과 평양문협을 거점으로 한 민족문화건설이 좌절된 후 월남하여 대한영화사, 문총, 한국문화연구소 등을 기반으로 단정수립 후 격화된 남한사회의 ‘내부 냉전’의 중심에서 반공 분단국가 강화를 선도했다. 한국전쟁 기간에도 월남지식인들이란 특수집단을 기반으로 문총북한지부 결성 및 기관지 『주간문학예술』발간, 중앙문화사 창설 등 문예조직과 미디어의 공고한 연계를 토대로 한 전시 문화전을 주도했다. 조선민주당, 서북청년단, 반공통일연맹 등 월남인반공단체들과의 공조에 힘입은 바 크다. 오영진은 한마디로 숨은 냉전문화기획자 였던 것이다. 그 일련의 과정은 세계냉전과의 접속을 통해 촉진/ 제약된다. 오영진은 가장 앞서 세계자유문화회의, 유네스코 등 전후 문화냉전 전을 수행하고 있던 세계적 냉전문화 기구들과의 협력채널을 개척하여 연대를 모색했다. 이 채널을 통해서 최신의 서구 냉전문화를 수용하여 특유의 냉전문화론을 정립하는 한편 이를 자신이 관장한 미디어를 거점으로 효과적인 인정투쟁전략을 구사함으로써 문화 권력을 확보하기에 이른다. 또한 미공보원, 미극작가협회, 아시아재단 등 다양한 경로로 미국과 접속해 물적, 인적, 사상적 후원을 받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문화냉전 전이 가능했다. 이로 볼 때 오영진은 한국의 냉전문화연구의 유효적절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오영진의 냉전문화기획이 가장 돋보인 것은 전향공간에서 그가 기획ㆍ총괄한 한국문화연구소 주최의 종합예술제 개최이다. 이 종합예술제는 문학예술계, 지식인사회 전체를 전향의 한복판으로 끌어들여 문화지식인들의 자진 전향을 독려ㆍ강제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지리적, 사상적 남북적대를 확대재생산하는 동시에 지배체제의 우월성을 배타적으로 승인ㆍ공고화 하는데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했다. 분산적으로 진행되던 문화적 내부냉전을 공세적으로 확산시켜 내부평정작업에 크게 기여했던 것이다. 문화적 헤게모니투쟁의 역동적인 장으로 기능했던 전향공간의 정치적 논리를 기회로 포착해 월남지식인이란 불리한 신원을 역전시키며 문화 권력의 중심부로 진입하는 놀라운 정치력을 발휘했던 것이다.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는 전향공간에서 자기신원을 증명하기 위한 목적이 강하게 투사된 텍스트이자 내부냉전에서 승리한 친일문화인들이 냉전진영론에 입각해 한국문화계를 장악하고 구국 또는 애국의 이름으로 문화냉전을 주도하는 주체로 재탄생하는 극적 전환을 암시ㆍ정당화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열전의 와중에서 전개된 오영진의 문화냉전 전은 조직, 미디어의 물적 토대에다가 국방부 정훈국, 미공보원, 아시아재단 등의 후원과 원조까지 받음으로써 더욱 공세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 특히 아시아재단과의 긴밀한 유대를 통해 오영진을 정점으로 한 월남예술인 집단은 대한민국 국민으로, 문화제도권으로 안정적인 진입이 가능했고 대공 사상(심리)전, 문화전의 전초가 될 수 있었다. 오영진의 문화냉전 전의 예술적 전략과 논리는 ‘기록주의’이다. 기록주의는 민족현실에 대한 처절한 위기의식의 산물로서, 열전 및 냉전의 한복판에서 존망의 위기에 처한 민족현실의 특수성을 비판정신에 입각하여 리얼하게 형상화하는 정신 내지 방법으로 제기된 것이었다. 기록성에 대한 지향은 당면한 반공 산주의 투쟁의 효과적인 방법적 대안이었으며, 서구 냉전예술과 접속하는 매개 고리로 세계의 초점으로 부상한 민족현실에 대한 기록주의를 통해 문화냉전 전의 이니셔티브를 확보하기 위한 욕망의 발현이기도 했다. 그의 기록주의는 대중계몽성 제고의 가능성을 바탕으로 선전전, 심리전의 유력한 수단으로 기능하고 또 문학 예술적으로 새로운 기풍을 진작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반공주의와 민주주의의 모순적 결합을 내포한 것이기에 저항적인 담론으로 발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소군정하의 북한』은 기록주의의 전략적 텍스트였다. Oh Young Jin``s life and art are undivided from the cold war. He practically participated in South and North Korea``s nation building, each were under US and Soviet Union military government. He was also a typical intellectual who performed cultural cold wars with his borderless, international cold war experience. He led to entrench anticommunism(and the divided country, the result of that) in the center of South Korea``s internal cold war that had been intensifi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separate government.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he also led cultural wars by the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media and the literature organizations of which the group of the defector intellectuals to south Korea. In a word, Oh Young Jin was a hidden cultural cold war planner. The process of that was promoted/limited by the access to the worldwide cold war. The cultural cold war planning by Oh Young Jin reached its peak at his planning of Composite Art Festival held by Korean Culture Institute. This Composite Art Festival bringing literature artists, intellectuals to the center of the conversion, encouraged and forced self conversions of them. So that it spread and reproduced geometric and ideologic hostil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served to recognize exclusively the superiority of South Korean ruling system at the same time. Living Lee Jung Sang his excellency is the text for the strong purpose of proving Oh Young Jin himself in conversion situation, as it implies and justifies the moment pro-Japanese winning the internal cold war was reborn who dominated south Korean cultural fields by logic of ideological blocs and led cultural cold wars in the name of patriotism. Oh Young Jin``s cultural cold wars during the hot war could be pushed forward with material foundations of the institute and media, in addition to the aid from AFIED(Armed Forces Information and Education Division) of Korea defense ministry, the US information service, and Asia foundation. The group of defector intellectuals to south Korea was able to join stably in Korean nation and orthodox culture by the strong bond with Asia foundation especially, so that it made an outpost for ideological(psychological) and cultural wars to communism. The artistic strategy and logic of Oh Young Jin is ``record priority principle.`` The emphasis on record was a effective method for urgent anti-communism struggle, as a result of ambition to seize the initiative in cultural cold wars. It was also a method of an access to western cold war art that the ``record priority principle`` of Korean national reality which was focussed on globally. North Korea under Soviet Union military government is the strategic text on record priority principl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50~60년대 북한소설의 지배 담론과 텍스트 평가의 균열 양상 고찰 : 전후 복구기(1953)부터 유일사상체계형성기(1967)까지를 중심으로

        오태호 ( Oh Tae-h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1 No.-

        이 글은 1953년 휴전협정 이후 1967년 유일 사상체계 형성기까지를 대표하는 네작품을 중심으로 1950~60년대 북한소설의 지배 담론과 실제 텍스트 평가의 균열 양상을 구체적이고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시기를 관통하는 문학 담론으로는 마르크스-레닌주의 미학 사상과 함께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강조된다. 본고는 북한문학에서 도식주의 논쟁과 부르주아 사상 잔재 비판 등을 거쳐 당의 유일사상체계 형성을 강제하는 지배 담론과 실제 텍스트 평가 사이의 균열 양상을 통해 문학사적 선택과 배제가 지니는 함의를 분석함으로써 북한문학의 유연성과 경직성을 검토하였다. 유항림의 「직맹반장」은 예술적 개성의 표출과 객관주의적 수법의 잔재라는 평가를 유동하다가 최종적으로 난관 극복의 긍정적 서사로 문학사에 기록된다. 전재경의 「나비」는 부정적 인물의 개성적 형상화와 ‘당과 제도에 대한 비방’이라는 평가를 유동하다가 문학사에서 사라지는 작품이다. 신동철의 「들」은 독특한 서정의 세계를 추구한 수작과 소부르주아적인 개인성을 드러낸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다가 부르주아 사상 잔재라는 비판을 받게 된다. 천세봉의 『안개 흐르는 새 언덕』은 혁명적 대작에서의 성과작이라는 평가와 인물 형상화의 적절성에 대한 김일성의 비판적 교시 사이에서 문학사적 배제의 텍스트가 된다. 이 네 편의 작품 중 문학사에서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작품은 유항림의 「직맹반장」뿐 이지만, 이 작품들을 둘러싸고 진행되었던 비판적 평가들은 북한문학의 도식화와 경직성을 극복할 단초를 제공한다. 북한문학이 ‘당의 유일사상체계’를 확립하기 이전, 북한문학의 유연성과 생동감을 위해 되살려야 하는 대목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학사적 배제의 텍스트가 남북한 통합문학사의 기술에서는 재고되어야 할 대표적 텍스트라고 판단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work of four North Korean literature to the previous period, representing North Korea``s only ideological system establishment after the war during 1953-67. The four works show the crack pattern of the dominant discourse and literary text were microscopically analyzed. Literary discourse through this period is highlighted this ``socialist realism`` & Marx-Leninist aesthetics with ideology. This paper analyzes a dominant discourse in North Korean literature emphasizes the diagrammatic debate, criticizing remnants of bourgeois ideology, the party``s only ideological system establishment. The actual text shows the flexibility and rigidity of North Korean literature. Jikmaeng principal of Yoo Hang-rim shows evaluation of the remnants of the objectivity & the acquisition of artistic individuality. Butterfly of Jeon Jae-gyeong is the emphasis on shaping the socialist remodeling of negative figures. Fields of Sin Dong-cheol is estimated that the work of revealing the petty-bourgeois personalities with normal daily episodes. New hills in flowing mist of Cheon Se-bong gets evaluation of revolutionary masterpiece and improper shaping of characters. Criticism of Kim Il Sung for this work shows the wrong critique of rigid flexibility and diversity of literary reality. The North Korean literature must restore the literary imagination of the previous 1967. So that beyond the constant formation of an immobilized person will be able to freely create characters and psychological world of the narrative in a variety of shap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