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 제품개발의 소비자 수용도 확대방안 연구

        선섭희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4 산업디자인학연구 Vol.8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infant tableware which is up to users' expectation and practical nececitiesby hearing users' opinion on the two results of product development through FGI(Focus Group Interview). The product develpopment of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survey and observation study and is conclded two concepts. One is 'Concept A for Baby'. This concept is based on literature survey and for baby's educational purpose. The other is 'Concept B for Mom'. This concept is based on observation study and from mom's using pattern. To hear users opinions on two concepts, we did focus group interview with two groups, 10 person. One group is comprised of those studied on observation study. According to the interviews consumers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Concept B. Ideas about improvement for Concept B are much more than Concpet A. This is not becase Concept B has much to be desired, but because customers have higher interests in Concept B than Concept 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 suggestion of design process of increasing customer'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process with FGI. In addition, This is the more meaningful in that user evaluation for a concept from laterature survey and a conceptfrom user observation study. 본 연구는 영유아용 식기 제품의 디자인 개발과정에서, 시제품에 대한 평가 및 의사결정 단계에 사용자 그룹과의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사용자의 의견을 듣고 반영함으로써 사용자의 기대와 실질적인 필요에 부합한 제품을 개발하며 보다 효과적인 유통전략을 세우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디자인 개발은 문헌적 조사 및 유아용 식기에 대한 사용자 관찰조사를 기반으로 크게 두 가지 컨셉으로 진행하였다. 두 컨셉은 문헌조사에 중점을 둔 아기의 교육적 기능을 갖고 있는 '컨셉A for Baby'와 사용자 관찰조사에서 도출된 엄마들의 식기 사용특성에 중점을 둔 '컨셉 B for Mom'으로 발전되었다. 개발된 컨셉 제품에 대한 사용자들의 의견을 듣기 위하여, 기존 관찰조사에 참여하였던 사용자 그룹과 새로운 사용자 그룹의 두 그룹 10명에 대하여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관찰조사를 통해 도출된 요소를 강조한 '컨셉 B'의 제품에 대한 사용자 수용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각 제품의 개선점에 대해서는 '컨셉 B'에 대한 의견이 월등히 많았는데 이는 제품이 미흡해서가 아니라 해당 제품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도가 더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발 과정에서 나올 수 있는 다수의 시안에 대한 FGI라는 조사방법을 통하여 사용자 수용도를 알아봄으로써 의사결정과정에 사용자의 참여도를 높이는 디자인 프로세스의 제안이라는 점에도 의미가 있지만, 사용자 관찰조사를 통하여 도출된 내용에 기반한 컨셉과 문헌조사에 기반하여 도출된 컨셉에 대한 사용자 평가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에스노그라피를 통해 본 영유아 식생활 필수제품 및 디자인 요소의 디자인 적용 방안 연구

        선섭희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영유아의 식생활 관찰을 통해 기존에 나와 있는 영유아용 식기가 실제 생활에서 얼마나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지를 알아봄으로써, 기존의 영유아용 식기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필수 제품군과 각 제품의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디자인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관찰조사의 대상은 영유아의 식이 특성에 따라 0-4개월, 5-8개월, 9-12개월, 12개월 이후의 A,B,C,D 네 단계로 나누었으며, 각 단계에 해당하는 아기의 식생활 관련부분의 동영상 촬영을 통하여 관찰조사 하였다. 관찰 동영상을 분석한 결과, A단계에서는 젖병만이 필요하였다. B단계와 C단계는 이유식과 분유 또는 모유를 혼합하는 시기로 이유식을 먹는 과정에서 식기가 활용되나, 주로 사용되는 식기류는 물병과 보관용기, 숟가락에 국한되었으며, 식기에 대한 접촉과 사용의 주체가 엄마임이 확인 되어 엄마가 들고 먹이기 편한 형태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D단계에서는 어른과 유사한 식사를 하게 되는 시기로, 여러 가지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식판이나, 아이의 기호를 고려한 식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 시기에는 음식을 잘게 자르기 위해 가위 사용이 많은 것을 고려하여 식기의 내구성이 요구되며, 움직임이 많아지는 시기임을 고려하여 아기가 들고 돌아다니며 기울여도 새지 않는 물병에 대한 니즈가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엄마와 아이가 모두 만족하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단계별 식기 및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디자인에 적용한 사례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raw essential items and design factors for infant tableware through observing food life of infants. The targets of this observation sutdy are composed of 4 parts of 0-4 months(A step), 5-8 months(B step), 9-12 months(C step) and after 12months(D step). The findings of observation study are as follows. Babies in A step need just feeding bottles. In B and C steps, babies are fed milk and baby food. But items that they repeatedly use are just bottle for water, spoon and airtight container. They did not use dishes or bowls. And in these B and C steps main users are not babies but their mothers, so easy of use for mothers should be the key factor of design. In D step, babies can eat almost every food that adults eat and they start to use their own dishes or bowls. In this step, mothers often use scissors to chop up food so dishes and bowls should be durable. And the babies in this step can walk and move a lot, so they need a cup or bottle that don't spill water when it is dropped or lean. Through these analysis of observation, this study drew some key items and key design factors of infant tableware and suggested design proposals for the key items.

      • KCI등재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기반의 금융카드를 위한 광학적 효과의 미세 패턴 디자인 개발

        선섭희,성경은,변상태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금융카드 제작 공정 및 광학적 효과를 위한 미세 패턴 구현 공정의 기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기반으로 금융카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광학적 효과가 나는 미세 패턴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금융카드를 발급하고 있는 기업 18곳을 대상으로 각 기업에서 분류한 금융카드 분류체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10가지의 카드 제품군과 현 사회에서 나타나는 18가지의 소비 트랜드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소비자의 특성, 연령, 성별, 소비 패턴 등을 고려한 7가지의 금융카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을 도출하였고, 이를 비롯하여 금융카드 디자인의 트랜드, CMFP 트랜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트렌디 카드 패턴디자인 컨셉과 스탠다드 카드 패턴디자인 컨셉의 두 가지 컨셉을 개발하였다. 각 컨셉에 적합한 패턴 디자인을 개발하고, 선 간격 및 굵기, 각도에 따라 다양한 감성적 입체효과와 더불어 광학적 효과가 나는 미세 패턴를 연구하여 패턴 디자인에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타 금융카드 디자인과 차별화된 디자인을 통해 소비자의 감성적 소비 욕구를 자극하고, 그들의 개성에 따른 금융카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금융카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할 수 있다. 더불어 카드사에서 추구하는 핵심가치와 방향을 반영한 독창적인 디자인 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고객유치와 수익창출을 통한 성공적인 디자인 마케팅 효과를 낼 수 있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아직까지 개발된 바 없는 집약된 기술적 노하우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디자인을 개발하였는데, 이는 금융카드 디자인의 영역 확장과 디자인 및 기술 접목의 실현이라는 의의를 지닌다. Optical micropattern designs are developed based on customer lifestyle from study the processes of financial card manufacturing and micropattern realization. we found out 10kinds of card product categories from comprehensive analysis about financial card companies's category system and 18kinds of customers consumption trend types in this generation. we synthesize these results to draw 7types of financial customer lifestyle with user's character, age, gender, consume pattern. Thus, 2kinds of concept, named Trendy card pattern design and Standard card pattern design, developed from comprehensive analysis the 7types of lifestyle, financial card design trends, and CMFP trends. Then micropatterns are realized by using the pattern designs on each concepts. As a result, the micropattern can make various emotional stereo effects depending on the density of line spaces and thickness, line angles, light angles in micropattern's design. This study can excite customer's emotional consumption desire and improve user's satisfaction through giving the chances to choose design as per their personalities. Futhermore, it can be successful design marketing with attracting customers and creation profit through design competitiveness with each financial card company's core values and directions. This study developed design based on intensive technological know-how and it is meaningful to extend the area of financial design and to realize graft technology and design.

      • KCI등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유저인터페이스 디자인 사례 연구 ; 육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중심으로

        선섭희,윤기훈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7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1 No.2

        Toda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baby goods and services combined with IT technology to open up the minds of young parents. In this study, we carried the theoretical review of UI design of childcare service and case study of user interface design. First, we defined elements of UI design and designed an analysis frame through a literature search on user interface design elements. The evaluation factors of the analysis frame are layout, color, icon, button and text. We analyzed user UI design elements of parenting applications that have more than 100,000 downloads and rating of 4.5 or more on the Google Playstore. As the result, we have found that consistency, readability and attention to the design elements are emphasized in the parenting applications. Consistent UI design provides a uniform image that allows the various elements to be integrated into one, providing an easy image for the user to handle the interface. Readable interface design ensures that the meaning of visual contents, such as color, buttons, icons, and text, is accurately and easily communicated. Notable UI design makes use of appropriate contrast to make it look different from the others if there is something they want to highlight. In this way, the limited interface space should be designed not only visually beautiful designs, but also user interface considering the time and whole experience of users staying in the service. Through the above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y research, we have developed a guideline for key function button optimization, service identity establishment, harmonization of universality and creativity. And it will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user interface graphic design for child care service which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IT 기술과 결합한 유아용품과 서비스의 수요가 늘어나는 동향을 배경으로 육아 관련 서비스에 대해 선행 개 발 전 유저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이론적 고찰과 관련 서비스의 유저인터페이스 디자인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방법 은 먼저 유저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에 관한 문헌 조사를 통 해 유저인터페이스와 디자인 요소를 정의하고 분석 프레임을 설계하였다. 분석 프레임의 평가 항목은 레이아웃(layout), 컬 러(color), 아이콘(icon), 버튼(button), 텍스트(text)이며, 이를 기준으로 현재 구글 앱스토어 등록된 10만 이상의 다운로드 수, 평점 5점 만점에 4.5이상의 확보한 육아 애플리케이션의 유저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인 레이아웃, 컬러, 아이콘, 버튼, 텍스 트들은 일관성, 가독성, 주목성이 강조되었다. 일관성 있는 인 터페이스 디자인은 다양한 요소들이 전체가 하나로 파악되게 통일감을 주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다루는데 용이한 이미 지를 제공한다. 가독성 있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컬러, 버튼, 아이콘, 텍스트들이 시각적으로 전달될 콘텐츠 내용이 정확하 고 쉽게 읽혀지도록 한다. 주목성 있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부각시키고자 하는 주체가 있다면 구성요소 간 차이가 나 보 이도록 적절한 대비를 활용한다. 제한된 화면에서 단순히 시 각적으로 예쁘게 디자인 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가 서비스에 머무는 시간과 체험까지 총체적으로 고려해서 인터페이스 디 자인을 진행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진행된 문헌연구와 사례 분석 연구를 통해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 가이드라인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선행 개발이 진행 될 육아 서비스 유저인 터페이스 그래픽 디자인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이에 개발 서비스의 신뢰도와 사용감 향상을 기대한다.

      • KCI등재

        콘셉트 수용도 평가를 통한 전략적 기술 구현의 사례 연구 ; 디럭스 유모차 디자인 개발 중심으로

        선섭희 ( Suphee Sun ),윤기훈 ( Kihoon Yoon ),변상태 ( Sangtae Byun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 시장의 지속 성장 확대와 수입 유모차의 비합리적 유통구조 배경으로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는 보육자의 니즈를 충족하고자 기획 단계에서부터 디자인 주도적으로 관여하여 디럭스 유모차 신제품 개발을 진행하였다. 이에 기존 유모차 시장에서 차별화를 위한 전략으로 디럭스 유모차의 요람스윙과 하이체어의 전략적 기능을 도출하고 실현 가능한 기술구조를 개발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국내외 브랜드 조사를 통해 기본 기능과 추가 기능을 분류하고 비참여 관찰 조사를 통해 사용자 관점에서 필요한 전략적 기능을 도출하고, 해당 기능의 구조 아이디어를 제시한 다음, 기능의 구체적 구현을 위해 기구설계가 진행되었다. 기능 콘셉트를 실제 구현하기 위해 기업관계자, 디자이너, 설계자의 밀착 유기적 공조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이는 마케팅과 생산, 사용자의 경험과 만족도, 전략적 기능의 동작 구현을 위한 기구설계 등을 모두 충족하고자 함이다. 마지막으로 구체화한 전략적 기능을 기반으로 디럭스 유모차 시제품을 제작한 후, FGI를 시행하여 신제품의 수용도 조사와 전략적 기능의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수요도 조사는 신제품과 신제품의 전략적 기능에 대한 선호도 중심으로 시행하였으며, 사용성 평가는 전략적 기능에 대한 조작 용이성, 조작행동 유동성, 기억 용이성, 동작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인 중심의 사고를 통하여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만족과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선도는 물론, 기업제품이 고가의 수입 유모차 대체 효과를 이루고 지속 성장의 기반 마련을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deluxe stroller with design- driven from the planning stage to meet the needs of parents who are aiming rational consumption, on the background of continued growth and expansion of baby product market and unreasonable distribution structure of imported strollers. The progr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classify the basic features and additional features of the stroller throug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brand research. And by carrying out non-participant observation research, we derived the key functions require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Next, we derived ideas about the structure of the function and proceed to the mechanical design to implement specific functions. Implementing process was proceeding through organic coordination of corporate representatives, designers, mechanical designers. This is intended to meet all of the needs of marketing and production,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strategic functions, and user’s satisfaction. Finally, we have produced a prototype based on the mechanical design and we verified the new functionality by evaluating the user acceptance and usability such as satisfaction with new features, ease of operation, behavior affordance and memory simplicity by user investigation. Thus, in the wake of this study, we expect that design-driven product development approach will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lead new life-style of users, replace expensive imported products as domestic products and lay the foundation for sustainable growth of SMEs.

      • KCI등재

        중국 브랜드 에어컨 디자인의 CMF 특성에 관한 고찰

        왕운비,선섭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6

        China is a major consumer of household applications, and domestic brand air conditioners occupy a large share of the entire Chinese home appliance market. With the advent of consumption upgrade in China, consumers continue to demand high quality products, and the market share of high-end products continues to expand. In addition, the demand for consumer goods has increased, and various requirements for consumer products such as multi-functioning and individualization of product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CMF (Color, Material, Finish) design is an important means of adding value to a product and reflecting cultural elements of a specific country. The recent trend of Chinese home appliance market is "smart" and "artistic", therefore, CMF design has a great impact on consumer product purchase rates, especially for air conditioner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MF characteristics of Chinese brand air-conditioning products and derives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na's air-conditioning product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this study define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CMF design, then grasped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a's air-conditioner market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After that, based on the current market situation and trends, 29 products out of three major Chinese air-conditioner representative brands were selected as research objects for case analysis, and the CMF characteristics of Chinese brand air-conditioner design were obtained through the results of above case 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that CMF design should be effectively used to implement high-quality differentiated products that consumers demand. The content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roduct development by Korean companies that want to enter the Chinese air conditioner market in the future, helping them establishing product design directions and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added value of products. 중국은 가전제품의 소비 대국이며, 중국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가전제품 중에서 국산 브랜드 에어컨 제품이 매우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소비 업그레이드 시대의 도래에 따라 소비자들이 지속적으로 고품질의 제품을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급 제품 시장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생활 소비재에 대한수요가 크게 늘어났으며, 제품의 기능화, 개성화 등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다양한 요구사항도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중국 가전제품의 수요에 있어서 CMF(Color, Material, Finish) 디자인은 제품에 부가가치를 부여하는 중요한 수단이며, 특정 국가의 문화적 요소를 반영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의 중국가전제품 시장 트렌드는 ‘스마트화’와 ‘예술화’이며, 특히 에어컨 제품은 CMF 디자인이 소비자의 구매율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브랜드 에어컨 제품의 CMF 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여, 중국 브랜드 에어컨 제품의 CMF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우선 CMF 디자인의 의미와 필요성을 정의한후, 관련 선행 연구 및 문헌 조사를 통해 중국 에어컨 시장의 현황을 면밀히 파악하였다. 이후 조사한 시장 동향과 현황을 기반으로 중국 대표적인 3개 업체의 에어컨 제품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총 29종의 제품의CMF 사례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사례 분석 결과를 통해 중국 브랜드 에어컨 디자인의 CMF 특성을 도출하여제시하였다. 소비자가 요구하는 고품질의 차별화된 제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CMF 디자인을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향후 중국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기업이 중국 에어컨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제품 디자인 개발 시, 제품의 부가가치를 효과적으로 높일수 있는 제품의 디자인 방향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멘탈헬스케어 디바이스 개발을 위한 제품 착용 방식 선호 유형 연구

        오가영,선섭희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7 No.2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mental health problems is increasing in Korea, particularly among young people. Current wearable devices such as wristbands and watches have limitations in measuring certain bio-signals necessary for mental health care, hence the need for headgear wearable produc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ypes of headgear wearable products and suggest preferred wearing types for future use.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understand mental health services and types of wearable headgearproducts were identified through test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onsumers in their 30s who needed general mental care, not for therapeutic purposes, and product test surveys were conducted to record users' experience in using representative products. Results Four types of wearable headgear products were derived based on the wearing method and location of the sensor: head mounted display, EEG headset, headband, and adhesive patch. User survey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type was headband, followed by adhesive patch, EEG headset, and head mounted display. Preferences were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and time characteristics of product use. Conclusion The suggestion is to develop and design wearable products based on their specific types and designated purposes of use. This can aid in research and production for various age groups and purposes. Overall, a type-oriented approach can be beneficial for the development of wearable products. 연구배경 2021년 보건복지부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약 4분의 1은 평생 한 번 이상 불안, 우울 등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바있으며, 특히 젊은 층에서 심리적 문제가 증가 중이다. 비대면멘탈헬스 케어 및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받을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등장하고 있으나 기존 손목 밴드나 워치 등의 형태로된 제품으로는 뇌전도파 등의 멘탈헬스 케어에 필요한 생체 신호 측정에 한계가 있어 반드시 헤드기어 웨어러블 제품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헤드기어 웨어러블 제품의 착용 방식을 중심으로 한 제품 유형을 파악하고 향후 사용자가 선호하는 착용 유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문헌조사를 통해 멘탈헬스 서비스에 대해 이해하고 헤드기어 웨어러블 제품의 착용 방식별 유형을 도출하였다. 사용자 조사를 위해 치료 목적인 아닌 일반적인 멘탈 케어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층인 30대를 주사용자로 하여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실제 유형별 대표 제품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기록, 사용 과정에서 느끼는 선호 요소와 볼편 요소에 대해 질의 응답하는 정성적 방법으로 제품 테스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착용 방식에 따른 유형을 1.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형, 2. EEG 헤드셋형, 3.헤드밴드형, 4. 점착패치형으로 도출하였다. 이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부위와 센서 위치에 따른 결과이다. 사용자 조사 결과 가장 선호하는 유형은 헤드밴드형이며 점착패치형, EEG 헤드셋형,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환경과 시간적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유형을 추구하며 이는 유형별 선호 요소에 따른 결과이다. 결론 개인적인 멘탈헬스 케어 가능한 헤드기어 웨어러블 제품 개발 및 디자인에 도움이 되는 착용 방식 중심의 유형을 제시하였으며,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착용 방식별 선호하는 유형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다소 제한적인 실험에서 나아가 다양한 연령의 대상과 제품에 관한 연구로 이어져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XR(확장현실)을 활용한 재난 안전 실감 콘텐츠 제안

        김수민,선섭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4

        This study proposed content in the field of safety education, utilizing Extended Reality (XR) technology, a key trend in the metaverse that has emerged with the advent of the untact era. Specifically, it aimed to explore the improvement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 by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mirrors the real world using XR, particularly in areas such as safety education for disaster preparedness, which involves risks and incurs significant costs. A case study of safety education using XR for domestic disaster preparedness revealed that it was less effective than existing manuals. Consequently, the study proposed improvements to safety education content, enabling learners to quickly acquire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safety education items, beyond spatial limitations. A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anies are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XR headsets and content, learning through XR is anticipated to become more prevalent in the future. This paper is expected to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national disaster preparedness and response systems, alongside enhancing educational effects in the field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It is also anticipated to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similar XR-based content in the future.

      • KCI등재

        캠핑 트렌드 변화에 따른 미니멀 캠핑족의 캠핑장비 사용행태 연구

        이승화,선섭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4

        As the culture of Work-Life Balance gains traction, camping has emerged as a trendy leisure activity, giving rise to various camping styles. Notably, the growing trend of "solo economy" and individualization has led to the popularity of "minimalist camping," where 1-2 individuals enjoy camping with essential gear. Although active development targeting this consumer group is underway, there has been a lack of preliminary research on new equipment.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equipment preferences and usage behaviors of minimalist campers to forecast emerging equipment and features. The study initiated with a detailed compilation of camping equipment lists, spanning from the 1980s to the present, segmented into decade intervals. This comprehensive list was then refined and utilized to conduct a survey among minimal camping enthusiasts. The survey focused on verifying the equipment actually owned by these campers against the pre-established list. This process helped in accurately determining the gear they possess and use during camping. The list of camping equipment was then finalized based on these findings. Following this, observational studies were conducted targeting the finalized equipment list. These studies aimed at understanding the usage patterns of the equipment. The research further delved into identifying possible improvements for each piece of equipment and exploring new functional elements. In addition, it focused on uncovering latent needs and pain points of the campers, paving the way for the development of new camping gea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camping equipment.

      • KCI등재

        Z세대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레트로 감성에 대한 고찰: 피처폰을 중심으로

        이재현,선섭희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7 No.4

        Background As of 2023, some Z generation, which is native to smartphones, are in demand for feature phones. In this background, based on the feature phone, a consideration of the lifestyle of Generation Z is require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smartphones are the mainstream, research is needed on why some Generation Z who use feature phones rather than smartphones use feature phones and prefer them.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ses of feature phones currently in circulation, analyzed the lifestyle of Generation Z, identified the emotional aspects of Generation Z, and analyzed feature phones that are highly recognized by Generation Z. Afterwards,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user interviews. Results Generation Z pursues new things, individuality and economic value, so some of them use new and economical feature phones. Nokia's feature phones, which wer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ppealing retro sensibility, and Light's and Punkt's feature phones were appealing minimalist sensibility. In addition, Generation Z chose feature phones as an alternative to smartphones because they are tired of the mental adverse effects of smartphone use and too many functions of smartphones even though they are native to smartphones. Conclusion The reason why some of Generation Z are in demand for feature phones can be lifestyle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est in new things, emphasis on economic value, and pursuit of individuality, and the combination of emotional factors varies by product, brand, and individual Generation Z. As Generation Z becomes the leading generation in the market, it is believ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rends and lifestyles of Generation Z in the field of product design is needed. 연구배경 2023년 현재, 피처폰에 대하여, 스마트폰 네이티브인 일부 Z세대가 수요를 보인다. 이러한 배경에서, 피처폰을 기반으로,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 스마트폰이 주류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스마트폰이 아닌 피처폰을 쓰는 일부 Z세대가 왜 피처폰을 사용하고 선호하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현재 유통되는 피처폰의 사례를 조사하고, Z세대의 소비자행동과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고 피처폰의 감성 요소를 파악했으며, Z세대에게 인지도가 높은 피처폰에 대하여 조형적 감성의 범주와 기능적 감성의 범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후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Z세대는 새로운 것과 개성을 추구하며, 경제적 가치를 중시하기 때문에, 그들의 일부는 그들에게 새롭고 경제적인 피처폰을 사용한다. 연구 대상이 된 Nokia사의 피처폰은 레트로 감성을, Light사, Punkt사의 피처폰은 미니멀리즘 감성 등을 어필하고 있었다. 또한, Z세대는 스마트폰 네이티브임에도 스마트폰 사용의 정신적 부작용과 스마트폰의 너무 많은 기능에 피로를 느껴 스마트폰의 대체재로써 피처폰을 선택하기도 한다. 결론 Z세대의 일부가 피처폰에 수요를 보이는 이유로는 새로운 것에 관한 관심, 경제적 가치의 중시, 개성의 추구 등 라이프스타일적 특징을 지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요에 관한 제품별, 브랜드별, Z세대 개개인별로 감성 요소의 조합은 다양하다. Z세대가 시장의 주도적인 세대가 됨에 따라 모바일 제품디자인 분야에서 Z세대의 트랜드와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