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콘셉트 수용도 평가를 통한 전략적 기술 구현의 사례 연구 ; 디럭스 유모차 디자인 개발 중심으로

        선섭희 ( Suphee Sun ),윤기훈 ( Kihoon Yoon ),변상태 ( Sangtae Byun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 시장의 지속 성장 확대와 수입 유모차의 비합리적 유통구조 배경으로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는 보육자의 니즈를 충족하고자 기획 단계에서부터 디자인 주도적으로 관여하여 디럭스 유모차 신제품 개발을 진행하였다. 이에 기존 유모차 시장에서 차별화를 위한 전략으로 디럭스 유모차의 요람스윙과 하이체어의 전략적 기능을 도출하고 실현 가능한 기술구조를 개발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국내외 브랜드 조사를 통해 기본 기능과 추가 기능을 분류하고 비참여 관찰 조사를 통해 사용자 관점에서 필요한 전략적 기능을 도출하고, 해당 기능의 구조 아이디어를 제시한 다음, 기능의 구체적 구현을 위해 기구설계가 진행되었다. 기능 콘셉트를 실제 구현하기 위해 기업관계자, 디자이너, 설계자의 밀착 유기적 공조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이는 마케팅과 생산, 사용자의 경험과 만족도, 전략적 기능의 동작 구현을 위한 기구설계 등을 모두 충족하고자 함이다. 마지막으로 구체화한 전략적 기능을 기반으로 디럭스 유모차 시제품을 제작한 후, FGI를 시행하여 신제품의 수용도 조사와 전략적 기능의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수요도 조사는 신제품과 신제품의 전략적 기능에 대한 선호도 중심으로 시행하였으며, 사용성 평가는 전략적 기능에 대한 조작 용이성, 조작행동 유동성, 기억 용이성, 동작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인 중심의 사고를 통하여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만족과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선도는 물론, 기업제품이 고가의 수입 유모차 대체 효과를 이루고 지속 성장의 기반 마련을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deluxe stroller with design- driven from the planning stage to meet the needs of parents who are aiming rational consumption, on the background of continued growth and expansion of baby product market and unreasonable distribution structure of imported strollers. The progr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classify the basic features and additional features of the stroller throug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brand research. And by carrying out non-participant observation research, we derived the key functions require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Next, we derived ideas about the structure of the function and proceed to the mechanical design to implement specific functions. Implementing process was proceeding through organic coordination of corporate representatives, designers, mechanical designers. This is intended to meet all of the needs of marketing and production,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strategic functions, and user’s satisfaction. Finally, we have produced a prototype based on the mechanical design and we verified the new functionality by evaluating the user acceptance and usability such as satisfaction with new features, ease of operation, behavior affordance and memory simplicity by user investigation. Thus, in the wake of this study, we expect that design-driven product development approach will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lead new life-style of users, replace expensive imported products as domestic products and lay the foundation for sustainable growth of SMEs.

      • KCI등재

        BIPV 시스템의 실내용 베니스식 블라인드 태양전지 사용성에 대한 연구

        김중래 ( Joonglae Kim ),선섭희 ( Suphee Sun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22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6 No.1

        연구배경 최근 지구 온난화로 심각한 기후 변화를 전 세계적으로 겪고 있다. 건축 분야는 대안으로 BIPV(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도입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나, 건물 자체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태양전지 분야의 하드웨어 개발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기존 건물과 신축건물에도 적용 가능한 새로운 태양전지에 대한 새로운 솔루션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 조사와 기존시장에서 양산하고 있는 제품을 바탕으로 발표된 성공사례들을 취합하여 장단점 찾아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찾고자 미래 예측기법 중 환경 스캐닝 기법을 활용해서 이머징 이슈를 분석한후 기회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 요소들에 대한 구체적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BIPV System을 적용하고자 하는 신축건물 및 기존 건물의 외관을 훼손하지 않고 유지된 상태에서도 간편하게 시공 가능한 새로운 기구적 구조를 개선한 베니스식 블라인드 태양전지의 제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지속 해서 다음 연구로 넘어 가기 위한 기초를 만들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결론 BIPV System이 성공하려면 건물에서 소비되는 전기에너지를 자체적인 태양광 발전을 통해 최대한 공급을 해줄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더 효율성 있는 태양전지 하드웨어가 보급될 수 있도록 연구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아직은 도입단계이지만 반대로기회의 시장이 될 것이다. 이번 연구를 기초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자료를 만든 것에 큰 의미를 부여한다. Background Recently, global warming has caused serious climate change around the world wide. The construction field is making great efforts to introduce a 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BIPV) system as an alternative, but hardware development in the solar cell field to implement the building's ow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is insufficient. Therefore, we would like to find a new solution for new solar cells that can be applied to existing and new buildings. Methods In order to collect literature surveys and success stories published based on products mass-produced in the existing market, to find new technologies to solve them, we analyzed emerging issues using environmental scanning techniques, and suggested specific solutions to these factors. Results It presented a Venice-style blind solar cell that improved a new mechanical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constructed without damaging the appearance of new and existing buildings to apply the BIPV System, and based on this, it was an opportunity to continue to create a foundation for the next study. Conclusion In order for the BIPV System to succeed, it must be able to supply as much electrical energy as possible through its own solar power generation. Therefore, we found that research is needed to enable more efficient solar cell hardware to be distributed. It's still in the introduction stage,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 market of opportunity. Based on this study,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create data that can conduct additional research.

      • KCI등재

        화상디자인 특허 심사를 위한 분류체계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오민지 ( Minji Oh ),선섭희 ( Suphee Sun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22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6 No.2

        연구배경 2021년 10월, ‘화상디자인을 물품으로 규정한다’는 내용의 디자인보호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화상디자인 특허 심사를 위한 분류체계 개선이 요구되었다. 현재 화상디자인 분류체계는 표시된 물품보다 화상의 용도 및 형태가 중요하지만, 관련된 분류체계가 부족하여 심사의 능률을 떨어트리고 있다. 연구방법 문헌 조사를 통해 화상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했다. 연구에서는 분류체계의 문제점과 해외 사례를 분석하여 개선 방향 및 분류체계에 대한 초안을 작성했다. 초안의 적정성 평가를 위해 인터뷰를 진행했고, 화상의 형태별 출원 빈도 분석 과정을 거친 뒤, 최종 개선 방향을 도출했다. 연구결과 화상디자인의 용도별·형태별 분류체계와 활용법을 제안했다. 용도별 분류체계는 기존 분류체계 내로 도입했고, 분류기호는 개정법 및 로카르노 분류체계를 고려하여 설계하고 설명을 추가했다. 또한, ‘홀로그램 화상 및 투영된 화상’ 분류기호를 도입했다. 형태별 분류체계는 독립된 분류체계로 구성하고 분류기호의 형식은 '도형상표분류지침서'를 참고했다. 분류기호는 4개 대분류로 나누고 20개의 중분류와 9개의 세분류를 도입했다. 결론 본 연구는 디자인 특허 심사의 능률과 정확도 향상을 위해 화상디자인 분류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화상디자인 심사 환경이 개선되고, 나아가 우리나라 디지털 디자인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하길 기대해 본다. Background In October 2021, as the amendment to the Design Protection Act, 'regulating GUI design as an article' came into effect, it was requested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for GUI design patent examination. In the current GUI design classification, the function, shape, and compatibility of GUI are more important than displayed items, but the lack of relevant classification reduces the efficiency of patent examination. Methods A theoretical study on GUI design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this study, the problems of classification and overseas cases were analyzed to prepare a draft for improvement plan and classifica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adequacy of this, and after analyzing the frequency of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UI, the final improvement plan was derived. Results Classification system by function and shape of GUI design and how to use it were presented. Functional classification were introduced into existing classification. The codes wer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vised law and the Locarno classification, and explanations were added. In addition, a classification code for ‘Hologram and Projected GUI’ was newly added. The shape classification was independently constructed, and the code format was referred to 'Vienna Classification'. It was divided into 4 categories and introduced into 20 divisions and 9 sections. Conclusion An improved GUI design classification was propo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design patent examin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practice and strengthening of digital design competitiveness in Korea.

      • KCI등재

        격리자를 위한 패치형 생체신호 모니터링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구

        황선 ( Seon Hwang ),선섭희 ( Suphee Sun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21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5 No.4

        연구배경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대유행에 따른 팬데믹 상황의 지속으로 인하여, 환자들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과 디바이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의사와 대면이 어려운 격리 환자들의 진료를 위해 원격으로 환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시장 요구사항에 부응하고자 격리자가 필요로 하는 원격 진료기기의 생체신호 모니터링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의료분야 중심으로 메가트렌드를 분석하여 디바이스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문헌 조사를 통해 국내외 유사 디바이스의 개발 사례를 파악하여 디바이스의 기능, 외형, CMF, 제원, 등을 조사했다. 격리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경험자들을 선정하여 FGI 진행과 사용자 여정 맵 분석으로 선호 요소 및 잠재적 니즈를 확인하였다. 조사 분석된 내용을 종합하여 격리자들에게 필요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과 외형, 색상, 재질, 마감, 제원의 선호 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격리 기간 동안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일회성 패드와 체온, 산소포화도, 심박수, 호흡량이 측정 가능한 생체신호 측정 및 모니터링 기능, 부드러운 원형의 패드와 얇고 작은 형태, 화이트와 파스텔 톤의 색상, 플라스틱 재질로 긁힘이 덜한 매트한 느낌의 고운 부식 처리된 마감을 선호했다. 결론 본 연구는 격리자를 위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기능과 외형, 색상, 재질, 마감, 제원 중심으로 선호 요소를 파악하여 디자인을 제언해 본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관련 제품의 참고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원격시스템 등 기술 검토와 더불어 추가 연구 진행되어 활용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Due to the continuation of the global pandemic caused by the COVID-19 virus pandemic, the need for a system and device that can efficiently and safely manage patients has emerged. In particular, there is a demand for a device that can effectively manage patients remotely for treatment of isolated patients. Therefore, a biosignal monitoring wearable device for remote medical devices needed by quarantined persons was studied Methods The need for device development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megatrend. Function, form, CMF, specifications investigated in domestic and foreign similar devices. Characteristics of quarantined persons were identified, experienced persons were selected, and preferences and potential needs were identified through FGI progress and user journey map analysis. In summary, the functions, appearance, color, material, finish, and specifications required for the isolated were derived. Results Disposable pad that can be used hygienically during quarantine, biosignal measurement and monitoring function that can measure body temperature,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 A matte finish was preferred.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a design by identifying preferred factors focusing on function, appearance, color, material, finish, and specifications.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a reference for related products in the future.

      • KCI등재

        중년여성을 위한 슬립테크 디바이스 방향성 연구: 디바이스 유형과 기능 선호 요소를 중심으로

        박소현 ( Sohyun Park ),선섭희 ( Suphee Sun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4 No.4

        연구배경 과거에는 잠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수면에 부정적이 었던 반면에 최근에는 웰빙(Wellness), 워라밸(Work-life balance)과 같은 단어가 등장할 만큼 건강과 삶의 질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수면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중년여성의 경우 갱년기, 폐경을 겪으면서 호르몬의 변화로 수면장애에 노출되기 쉬워 남성보다 수면장애 발병률이 높으며, 다른 연령층보다 수면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본 연구는 신체적인 변화 이외에 수면장애 요인에 상대적으로 많이 노출된 경제활동을 하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수면 디바이스의 선호하는 기능적 요소를 도출하여 수면디바이스 개발을 진행할 시 활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해 슬립테크(sleep tech)를 활용한 제품의 사례를 조사하여 주요제품의 유형과 기능에 대해 파악하였다. 수집된 제품들의 유형을 분류하고 장단점을 분석하여 제품의 주기능과 보조 기능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요소를 토대로 중년여성 중 수면 관련 제품 잠재적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선호하는 유형 및 기능 요소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면 디바이스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별도의 착용 장치가 없어 접근성이 높은 비부착형을 선호하였으며 수면 데이터 시각적 자료, 타 IoT 기기와의 연동, 신뢰할 수 있는 수면의 데이터 측정값, 심리적 이완 및 진정시킬 수 있는 향을 선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각각 ‘접근성’ ‘가시성’ ‘연계성’ ‘정확성’ ‘안정성’ 등 5가지의 수면 디바이스 디자인을 위한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질 좋은 수면을 소비하려는 심리가 증가하는 추세인 가운데, 수면장애에 노출되기 쉬운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수면 기능에 대한 선호 요소를 도출하고 그에 따른 수면 디바이스의 방향을 도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향후 수면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에 있어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요소가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Background The importance of sleep is taking central stage as our interest in health and quality of life has been increasing. However Mid-aged women seem to suffer from sleep disorder more than others due to hormonal changes by menopause. The research, targeting on mid-aged women exposed to sleep disorder by active economic activities, tries to obtain prefer functional factors of the sleep-tech device and suggest direction of design to be used in development of the device. Methods We investigated examples of products applying the sleep tech through literature review, understood types and functions of major products, classified types and analyzed pros and cons, and elicited main and sub functions of it. Based on it, by targeting on potential users of sleep-related products, we implemented survey and identified their prefer types and functions. Results Based on the survey, we suggested directions for design of the sleeping device. It wa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preferred easy-to-approach type of devices which can provide visual information, have reliable measured values, can connect with other IoT devices, and contain relaxing scents. Finally, we came up with 5 keywords for the design of the device: accessibility, visibility, connectivity, accuracy, and stability. Conclusion In a time people seek to have high-quality sleep, the research might be significantly meaningful to show preference factors of sleep functions of mid-aged women easy to be suffered from sleeping disorder and to elicit direction of the sleeping device. We expect that the research will be used as a guideline of the design of the sleeping device.

      • KCI등재

        정서적 안정 요소 기반의 반려 디바이스의 핵심 기능 연구: 여성 액티브 시니어를 중심으로

        박주혜 ( Joohye Park ),선섭희 ( Suphee Sun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4 No.4

        연구배경 우리나라는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과 더불어 경제 활동이 활발하고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하고자 하는 ‘액티브 시니어’가 새로운 소비자로 자리 잡았다. 현재 이들 중 남성보다 여성에게 정서적 안정이 결여되는 증상이 더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반려 동물과 식물을 키우면서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기도 한다. 시장에서는 이들을 위한 제품이 출시되면서 ‘반려 산업’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점차적 사회생활에서의 고립이 사회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는 정서적 안정 요소의 결여를 예방하기 위해 ‘여성 액티브시니어의 정서 안정을 위한 새로운 반려 디바이스’ 개발 시 반영해야 할 핵심 기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문헌 조사를 통해 기존 반려 디바이스 개발 사례의 유형과 기능을 파악하고 액티브 시니어의 정서적 측면에 대해 이해하였으며 반려동식물을 통해 정서적 안정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정성적 안정 요소로 여성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반려동식물의 정서적 안정 선호 요소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선호도 분석 결과 반려동식물의 가장 선호하는 요소는 ‘쓰다듬기’, ‘대화하기’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소를 기반으로 ‘물리적 접촉’, ‘대화’, ‘감정표현(소리, 표정, 움직임)’ 3가지 구현 요소를 정서적 안정을 위한 새로운 반려 디바이스의 핵심 기능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여성 액티브 시니어의 정서 안정을 위한 반려 디바이스의 초기 연구로써 의의를 두고, 향후에 시니어를 위한 반려 디바이스를 개발하거나 연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앞으로 그들의 정서 안정을 위한 반려 디바이스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Background South Korea officially became an ‘aged society’ in 2017, where ‘active seniors’ who try to lead an active and independent life become a new type of consumers. Currently, female seniors tend to have more issues with emotional health than male seniors do, and they attempt to improve emotional stability by raising companion animal, plants. With the release of products for them in the market, the ‘companion industry’ is emerging as a new trend. In order to prevent the lack of emotional stability that gradually leads social problems, this study sought to derive core functions to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a ‘new companion device for female active seniors’. Methods The types and functions of existing companion device development cases were identified, the emotional aspects of active seniors were understoo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motional stability elements were derived through companion animal, plants. A survey of female active senior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ir preference for emotional stability in companion animal, plan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preference analysis, the most preferred factors of companion animal and plants were ‘rubbing’ and ‘talking’. Based on these factors, three elements of ‘physical contact’, ‘talking’ and ‘emotional expression(sound, facial expression, movement)’ are presented as core functions of a new device.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n the initial study of companion devices for emotional stability of female active senior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nd researching the devices for the future.

      • KCI등재

        MZ세대 1인 가구의 홈퍼니싱 제품 구매성향 및 선호 요인에 관한 연구

        심현준 ( Hyeonjun Sim ),선섭희 ( Suphee Sun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21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5 No.4

        연구배경 전 세계적으로 1인 가구의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며, 우리나라 또한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증가하는 1인 가구에 따라 주거 형태나, 제품 등이 변화하고 있다. 1인 가구는 자기만족을 위한 소비에서는 아낌없는 성향과 자신만의 개성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이며, 제품 본연의 기능보다 이제 꾸밈의 요소로 하는 홈퍼니싱 시장의 주 고객으로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홈퍼니싱 시장이 확장되어 가는 환경에서 1인 가구 MZ세대의 구매 성향 및 선호 요인을 파악하여 제품 개발에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연구방법 1인 가구 MZ세대의 이론적 고찰, 다음 홈퍼니싱에 관한 선행연구, 문헌 조사를 통한 홈퍼니싱 정의와 홈퍼니싱 제품들을 파악하였다. 이후 MZ세대 1인 가구의 홈퍼니싱 제품구매 성향과 선호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 설문조사는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으로 MZ세대의 연령대별 선호 정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설문과 SPSS 분석 결과로 확인한 MZ세대의 구매 성향은 SNS로 정보취득, 제품구매로 이어지며 구매계기 또한 SNS로 인한 정보취득 과정에서 이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디자인은 우선으로 심플하고 모던한 제품을 선호, 소형 주거 공간 중 ‘침실’을 가장 우선으로 홈퍼니싱 대상 공간으로 생각하며 ‘조명’을 홈퍼니싱 우선 구매 제품으로 희망하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본인의 취향에 맞춰 공간을 위한 제품구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의 만족도는 높았고,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도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MZ세대 중 가장 많이 응답한 20대들의 CMF 선호요소는 색상은 무채색, 소재는 나무, 마감은 도금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자기 지향소비가 강한 MZ세대 1인 가구는 홈퍼니싱이 자기만의 개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하나의 방식이며, 제품의 기능뿐만이 아니라 디자인 요소를 구매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홈퍼니싱 환경에서 MZ세대 1인 가구의 구매성향 및 선호 요인을 파악하는 연구이며, 홈퍼니싱 구매 성향, 디자인 선호 요인을 파악 향후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MZ세대 1인 가구의 홈퍼니싱 관련 제품 선행디자인이나 사업화를 위한 제품 개발 진행 시 기초적인 데이터로 활용되길 기대하는 바이다. Background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s worldwide and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s in Korea, resulting in smaller housing types and products. Growth of the household, household market due to single-person households. This study is based on identifying the purchasing propensity and preferences of single-person MZ households in an environment where the household household market is expanding and developing products. Methods This study identifies the MZ generation of single person households through conceptual prior studies and literature, prior studies of home furnishing, types of home furnishing products, and uses SPSS to cross analyze the age preferences of MZ generation households. Results According to the survey, MZ generation’s purchasing tendency can be seen on SNS, store products’ design, color, and fit, and preferred CMF elements prefer achromatic/pasteltonic, wood/plastic material, plating/ spraying finishing method. The self-oriented consumption MZ generation understands how home Furnishing visually expresses not only the functionality of the product but also the design preference when decorating the house.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pensity and preference factors for single-person MZ households in a home-furnishing environment. It is meaningful to identify home furnishing purchasing tendency and design preference factors.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basic data when developing products for home furnishing-related product design or commercialization of single-person MZ househo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