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청사기 문양을 활용한 넥타이디자인 연구

        유명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9 조형디자인연구 Vol.22 No.4

        In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men, to live comfortably, have built houses, and made furniture and various other household items. In the process, men added supplementary decoration on the surface or important part of them. What represents all the items men added esthetic beauty and meaningful symbolism by decorat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them is ceramic ware. Ceramic ware has been manufactured in human history from pre-historic age up to now. We can say that ceramics made in a specific age reflect the thought and emotion of the age the most honestly in the sense that they are the tools closely related with daily lives of the age. This research is an effort to actively and effectively search for the way to effectively use our traditional materials. It is a research to design necktie using patterns of buncheong ware (grayish-blue powdered celadon). It was possible to find out proper ways to effectively use traditional patterns of buncheong ware in necktie design. It is expected that further efforts to develop various cultural items using traditional materials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Korean textile industry. 인류문명은 생활환경을 보다 편리하고 쓸모 있게 꾸미고 가옥이나 가구, 여러 가지 생활용품 등에서 단순히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표면이나 주요 부분에 보완적인 장식을 더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생활도구나 장식품들의 겉면에 문양을 장식하여 미적인 아름다움과 의미 있는 상징성을 부가한 것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도자기이다. 도자기는 멀리 선사시대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우리 역사의 전 시대에 걸쳐 제작되어 왔으며, 각 시대에 만들어진 도자기들은 항상 당시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생활 속의 기물이라는 점에서 그 시대의 사고와 감성을 가장 솔직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우리나라의 전통적 소재들을 활용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로서 오늘날까지 대중들의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분청사기(粉靑沙器)의 전통문양을 활용하여 넥타이디자인을 연구한 논문이다. 연구결과, 분청사기 전통문양들은 넥타이디자인 분야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적합한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향후 우리나라의 여러 가지 전통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문화상품 개발이 활성화되어 국내 섬유산업에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현대설치미술에서 나타나는 삶과 죽음의 조형 표현 연구

        오혜은,고석인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3

        본 논문은 설치미술작품을 중심으로 전개된 삶과 죽음의 조형적 표현방법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수명연장이 되고 있는 현대에서는 삶과 죽음이라는 모티브를 어떠한 조형 언어를 통해 관람객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표현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참여는 관람객의 공감대를 형성하여 작품과 작가, 관람객이 상호소통하게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이원성을 가지는 수직성과 수평성의 조형 언어를 통해 표현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는 역사의 예는 삼한시대(三韓時代)의 수직성을 갖는 솟대부터 중세 기독교의 시대에 사용된 상징기호인 ‘십(十)자’ 등을 들 수 있다. 현대에는 설치미술을 통해 삶과 죽음을 수직성, 수평성을 응용한 표현으로써 나타낼 수 있었으며 이를 증명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20세기 초반 기하학적 추상 작품에 해당하는 모더니즘 작가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조형은 따로 표현됨으로써 각각의 의미를 명확히 나타내기도 하지만 함께 표현됨으로써 합일, 통합 등의 이원성, 양가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로써 인간에게 삶과 죽음은 깊은 상호 연관성과 조화(造化)성을 띠는 자연적인 현상임을 의미하게 된다. 이렇게 대립하는 조형인 수직과 수평은 동존함으로써 상호보완적인 상관성을 띠기도 하며 융합⋅융통한 성질을 띤다. 일상에 상시 존재하며 만물의 근원이 되는 이러한 기본적 조형은 곧 인간 존재의 본질, 그리고 삶과 죽음을 상징한다. 인간은 모두 죽음을 향해 가고 있으며 우리는 그것을 삶이라고 부른다. 이처럼 인간의 삶은 죽음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인류는 삶과 죽음이 끊임없이 반복되므로 삶과 죽음은 수직성, 수평성과 상호유기적(相互有機的)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죽음은 인간의 숙명이자 영원히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다. 결국 죽음이 있기에 삶은 좋은 것이라는 사실과 삶의 유한성을 받아들임으로써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완화하여 삶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를 설치미술의 상호작용, 참여적 성격을 통해 죽음에 대해 간접적으로 느끼며 현대의 현재를 살아가는 삶의 의미를 다시금 고찰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로써 죽음의 본질에서 삶의 열정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형의 분석은 현대설치미술의 주역인 영국의 젊은 미술가들 ‘yBa(young British artists)’ 중 마크 퀸, 데미안 허스트의 2000년대 인체작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들은 수평의 인체 조형을 활용하여 죽음을 나타냈으며 설치미술의 참여적 요소를 통해 관람자는 수직성을 띠어 삶과 죽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냈다.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ve expression methods pertaining to life and death unfolded through the works of installation art. Through this, it explored what formative languages are deployed to express the motives of life and death in the contemporary world where lifespan is becoming longer. This could be expressed through vertical and horizontal formative elements which have a duality. Alongside the Sotdaebearing the vertical element of the time of the Three HanStates and ‘the Cross(十) which is a symbolic sign used in the middle age Christianity, the vertical and the horizontal elements of contemporary installation art could be manifested based on the interworking with life and death and expression through works of art. For a long time, while the vertical bore active meanings such as liquidity and life, the horizontal had static meanings such as immobility, tranquility and death, which have been expressed into variously shaped forms. While such formative art clearly shows each meaning through separate expression, it also stands for duality and ambivalence such as conformity and integration as they are expressed alongside. Accordingly, to humans, life and death have come to mean natural phenomena revealing deep interrelations and harmony. The contrasting formative statuses, the vertical and the horizontal show mutually supplementary correlation by coexisting while at the same time, they stand for properties of fusion and flexibility. The indirect feeling of death through interaction and participatory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art may help with further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life in the presence in our contemporary time. Also, the analysis of such formative art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the works of art in the 2000s that were created by ‘yBa (young British artists)’ such as Marc Quinn and Damien Hirst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contemporary installation art that appeared since the late 1980s.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 수변을 대상으로 한 유리 조형물 설치

        김정석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2 조형디자인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afe and maintainable glass sculptures for artificial lake spaces in apartment complexes, which are common residential forms in downtown Korea.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public art field of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which has published a collection of materials related to the overall art market, about 75% of the architectural art works were sculptural works aimed at outdoor installation. About 90% of them were made of stainless steel, stone, and bronze, and most of them were fused with non-ferrous metals such as aluminum and above materials. However, in order to revitalize the uniform city covered with gray concrete buildings and apartments, sculptures made of more diverse materials, techniques, and forms need to be provided. Glass is an eco-friendly material that does not negatively affect water and soil. In addition, the transparent material characteristic has the advantage of relieving the pressure or frustration that residents can visually feel due to large-scale sculptures, which can be a good material for environmental sculpture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diversification of environmental sculptures by presenting glass sculptures suitable for the waterfront space of apartment complexes. 본 연구는 국내 도심에서 일반화되어 있는 주거 형태인 아파트단지의 인공호수 공간을 대상으로 안전이 확보되고 유지 보수가 가능한 유리 조형물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술시장 전반에 관련된 자료집을 발간해온 예술경영지원센터의 공공미술 분야 통계자료에 의하면 건축물 미술 작품의 75%가량이 야외 설치를 목적으로 하는 조각 작업이었다. 이 가운데 90%가량이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 돌, 청동을 사용하여 제작되었고 나머지 또한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과 위 소재들과 융합하여 사용한 것이 다수인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회색의 콘크리트 건물과 아파트로 뒤덮인 획일적인 도시에 개성과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소재, 기법, 형태로 제작된 조형물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유리는 물, 토양 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지 않는 친환경적인 소재이다. 또한 투명한 재료적 특성은 큰 규모의 조형물로 인해 거주민들이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는 중압감이나 답답함을 해소하는데 이점을 갖고 있어 환경조형물의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단지 수변공간에 적합한 유리 조형물을 제시함으로써 도시환경 개선과 환경조형물의 다양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디지털 프로그래밍과 모듈화에 기반한 조형 연구

        조희은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3

        21세기 사회적 배경과 기술 발달의 영향은 예술 분야에서 새로운 개념과 형식을 추동한다. 건축에서 시작된 모듈화의 개념은 기능적, 심미적, 조형의 가능성을 추구하기 위한 디자인 방법론으로써 조형예술의 전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박사학위청구논문의 후속 연구로서,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프로그래밍과 모듈화의 개념 및 특성을 살펴보고, 모듈화 디자인에서 도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새로운 관점에서 연구 작품을 제시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의 전반부인 이론적 고찰에서는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모듈화와 디지털 프로그래밍에 관한 개념 정의, 조형적 특성 및 절차, 선행연구를 분석한다. 작품제작에 해당하는 후반부에서는 연구 대상인 두 점의 작품을 제시하고 표현형식 상의 공통분모와 차이점을 비교 서술한다. 연구 작품의 제작 방법은 먼저 질서정연한 건축 형태와 구조적 패턴을 모티브로 모듈디자인을 전개하고 나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모듈화 및 시뮬레이션을 거쳐 톰슨 가공을 통해 제작한 모듈을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것이다. 선과 면으로 모듈화하면 유사한 형태의 변형과 조합방식의 다변화를 통해 복제 생산할 수 있어 21세기 산업의 생산 방식과 일맥상통한다. 대량 생산이 가능한 모듈을 설계하고 제작하여 조형예술에 적용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론으로써 디지털 프로그래밍의 활용 방안과 예시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상호보완적인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와 라이노 프로그램을 활용한 모듈 설계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새로운 예술 형식과 장르를 탐구한 결과, 예술과 기술을 융합하여 독창적인 방법론을 모색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론임을 확인했다. 예술작품과 디지털의 결합은 풍부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컴퓨터 프로그래밍 활용하는 연구방법은 예술작품을 제작하고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일관성, 통일성, 확장성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The social context of the 21st century and the impac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s are driving new concepts and forms in the arts. The concept of modularity, which originated in architecture, is being used in all fields of the visual arts as a design methodology to explore functional, aesthetic and sculptural possibilities, and its scope of application is gradually expanding. As a follow-up to my doctoral thes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programming and modularity, and to present and analyse research works from a new perspective based on concepts derived from modular design. The first part of the thesis, the theoretical review, analyses the definitions,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procedures of modularisation and digital programming, as well as previous research,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In the second part, the production of the works, the two works under study are presented,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expressive forms of expression are compared and described.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research work is to first develop a modular design based on the motif of orderly architectural forms and structural patterns, and then to disassemble and reassemble the modules produced by Thompson processing through modularisation and simulation using a computer program. Modularity with lines and planes allows replicated production through variation of similar forms and diversification of combination methods, which is in line with 21st century industrial production method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examples of the use of digital programming as an efficient methodology for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mass-producible modules for application in the sculptural arts. Through the design and simulation of modules using the complementary programmes Adobe Illustrator and Rhino, new art forms and genres were explored and found to be an effective method of exploring original methodologies by fusing art and technology. The combination of art and digital offers a wealth of possibilities, and research methods using computer programming offer benefits such as consistency, unity and scalability in the process of creating and designing artworks.

      • KCI등재

        3D프린팅 리빙오브제의 조형 유형 분석

        장해림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리빙오브제의 개념을 이해하고 3D 모델링 및 프린팅 방식을 파악하며, 3D 프린팅으로 구현된 50여 가지의 리빙오브제 작품들을 수집하여 디자인 방식 및 조형성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분석한 것이다. 사례를 통해 3D 프린팅 리빙오브제의 조형적 표현을 정리하고 디지털 기술을 살펴봄으로써 창의적인 리빙오브제 디자인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빙오브제 사례들을 수집하고 3D 모델링 및 3D 프린팅 제작 방식과 연계하여 조형 유형을 다공형, 기둥형, 유닛의 반복형, 3D 스캔에 의한 재현형, 왜곡된 변형, 알고리즘에 의한 맞춤형, 찰흙형으로 총 일곱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리빙오브제의 가장 많은 조형 유형은 다공형과 기둥형에서 분류된 회전에 의한 대칭형이며 용도로는 대부분 조명, 의자, 테이블, 식기, 화병, 장식용 리빙오브제로 제작되었고, 화병과 조명이 가장 많았다. 방식 및 소재에서는 섬세한 표현이 가능한 SLS 방식의 나일론 소재가 다수를 이루었으며 프린팅 이후에는 캐스팅 및 주조로 전통적인 내구성 있는 소재들로도 대체되었다. 셋째, 디자이너 및 작가들의 의도에 따라 디지털 기술과 수작업의 혼용,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 툴들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창의적인 작품들이 창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3D 프린팅 리빙오브제의 조형 표현에 대한 이해를 도와 창의적인 3D 프린팅 리빙오브제를 디자인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길 바란다. This study understands the concept of living objects, identifies 3D modeling and printing methods, and collects about 50 living object works realized through 3D printing to classify and analyze types based on design method and formativenes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creative living object design by organizing the formative expressions of 3D printed living objects through examples and examining digital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collecting examples of living objects and linking them with 3D modeling and 3D printing production methods, the formative types were divided into porous, columnar, repeating units, reproduction by 3D scanning, distorted deformation, customized by algorithm, and clay. A total of seven typ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Second, the most common form of living objects is the symmetrical type by rotation, classified into porous and columnar types. Most of them were produced as lighting, chairs, tables, tableware, vases, and decorative living objects, with vases and lighting being the most common. . In terms of methods and materials, the majority were SLS-type nylon materials that allowed for delicate expressions, and after printing, casting and casting were used to replace traditional durable material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creative works are being created through a mixture of digital technology and manual work, and the complex application of software and digital tools,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f designers and writer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you understand the formative expression of 3D printed living objects and serve as basic data for designing creative 3D printed living objects.

      • KCI등재

        유리의 불투명성을 활용한 유리조형 연구

        최혜숙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3

        유리는 투명하고 빛을 투과, 반사하는 물질이다. 또한, 색과 질감을 표현하거나 반투명, 불투명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소재이다. 유리가 예술의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유리 재료가 가진 다양한 특성들이 작품들을 통해 표출되고 있고, 작가들의 재료에 대한 탐구와 자신만의 조형 언어가 현재 유리 예술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은 유리가 가지고 있는 투명성과 선명한 색감 등의 일반적인 특성과는 반대되는 불투명성에 중점을 두고 연구자의 실험 및 작품사례를 통해 불투명성에 대해 고찰한 뒤, <21세기 유물시리즈> 주제를 유리의 불투명한 특성을 활용하여 유리조형 작품제작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는 여러 물질적 대상 중 미(美)와 관련된 현대 물건 중에서 과거에도 존재하였으나 오늘날 상징성을 지니게 된 핸드백과 하이힐을 선택하여 작품의 디자인 소재로 하였다. 연구결과물을 미래의 유물로 표현하기 위해서 출토된 유물의 외형적 특성을 참고하였고 이를 반영하기 위해 유리의 투명도와 광이 없는 거친 질감으로 표현하였다. 본인이 연구한 바에 따르면 유리의 또 다른 특성인 불투명성은 거친 질감 표현과 함께 세월의 흔적이 묻어나는 오래된 유물을 표현하기에 효과적이었고 색, 질감, 형태 등 사물의 다양한 속성을 구현해낼 수 있는 유리 소재의 표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리 소재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재료가 가진 잠재적인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유리의 예술적 표현영역이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Glass is a transparent material that transmits and reflects light. It is also a material that can create color, texture and change into translucent or opaque glass. As glass expands into the realm of art, various characteristics of glass materials are being expressed through artworks, and artists' exploration of materials and their own formative language are currently expanding into glass art. This study focuses on opacity, which is opposite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glass such as transparency and vivid color and considers opacity through the researcher's experiments and examples of works. The purpose is to express the <21st Century Relics Series>, which has been set as the theme, in a formative way through the opacity of glass. The researcher selected luxury handbags and high heels among many objects that represent the beauty of modern women in the 21st century and used them as design motifs for the work. In order to express the research results as future relics,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were referred to, and to reflect this, they were expressed with the transparency of glass and a rough texture without shine. According to my research, the opacity and rough texture of glass were effective in expressing old relics with traces of time, confirming the potential of glass materials that describe various properties of objects; color, texture, and shape. Through this study, I aim to break the stereotypes about glass materials and present the expressive potential possibilities of the materials. I hope the area of artistic expression of glass can be expanded.

      • KCI등재

        ‘소울’(小郁) 죽 공예품의 디자인 요소에 관한 탐색적 요인분석 연구

        왕명쟈,고보형,김아영,김경원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3

        전통공예는 형태, 장식, 기법, 재료, 문화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포함한다.  디자이너들은 전통공예를 활성화할 때 주로 특정한 요소나 특징을 기반으로 새로운 공예품을 개발한다. 그러나 특정 요소에만 집중하는 것은 공예품의 문화적이고 친환경적인 가치 등을 간과할 수 있어 공예의 지속적인 발전에 저해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공예품의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울’ 죽 공예품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선행 연구를 통해 관련 디자인 요소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활용하여 기능적, 외관적, 재료적, 무형적, 그리고 지역적 특색을 포함한  5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은 분산된 디자인 요소들 보다 공예품의 다양한 요소를 포괄하며, 앞으로 디자이너와 장인의 협업 및 ‘소울’ 죽 공예 활성화를 위한 종합적인 시각과 객관적인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죽 공예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 현황과 요구를 파악하여 새로운 공예품이 소비자의 취향에 부합될 것이다. Traditional handicraft is a comprehensive system that encompass a range of elements, including form, pattern, technique, material, and culture. To revitalize handicrafts, designers often create new products based on specific elements. However, focusing on particular elements may overlook the cultural and environmental significance of handicrafts, potentially harming their sustainable development. Therefore, it is crucial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elements of handicraf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esign elements of "Xiaoyu" bamboo handicraft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ing in five design factors: functionality, intangible, regional distinctiveness, aesthetic, and material. These factors provide a more holistic perspective on crafts compared to isolated design elements and can serve as a comprehensive and objective reference for future collaborations between designers and craftsmen, as well a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crafts.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rchasing status and consumer demands regarding bamboo craft products through a survey to better align new craft products with consumers' needs.

      • KCI등재

        오리가미의 가변적 특성을 적용한 3D 프린팅 텍스타일 디자인

        장해림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조합한 오리가미 패턴을 메쉬 원단에 PLA 소재로 3D 프린팅함으로써 텍스타일 구조의 다양한 변형 가능성을 실험한 3D 프린팅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이다. 오리가미의 가변적 특성을 탐구하여 평면적으로는 가방, 입체적으로는 포장 및 오브제인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3D 프린팅 텍스타일 구조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서 문헌 조사 및 인터넷 검색을 바탕으로 오리가미의 개념 및 특성을 이해하고 오리가미의 가변적 특성을 적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및 기존 섬유와 융합한 3D 프린팅 텍스타일 디자인 사례를 탐색한다. 그리고 도서에서 발췌한 오리가미의 기본적 도안들을 조합하여 메쉬 원단에 3D 프린팅함으로써 다용도를 위한 텍스타일의 가변적인 구조를 탐구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리가미를 적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사례를 분석한 결과 펼친 평평한 상태와 접은 입체적인 상태의 두 영역 모두에서 실용 가능한 사례를 찾기 어려웠으며, 대부분 하나의 상품에는 한 가지 방향으로 접는 방식이 전개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히는 네 가지 오리가미 패턴을 3D 모델링하고 메쉬 원단에 3D 프린팅한 후 원단의 상하나 좌우를 연결하여 접히는 구조를 실습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 이상의 오리가미 패턴들을 한 장의 원단에 3D 프린팅하여 서로 다른 패턴들을 조합하여 평면으로는 가방, 입체로는 포장의 기능이 기대되는 구조적 변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PLA 소재와 메쉬 원단과의 융합은 유연성과 견고함이라는 소재적 특성이 상호보완되어 오리가미가 적용된 포장 및 가방으로의 쓰임에 적합하였다. 오리가미의 가변성을 적용한 다용도의 텍스타일 구조의 가능성을 환경친화적인 용도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착상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3D printing textile design study that test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textile structure by 3D printing combined origami patterns with PLA material on mesh fabric.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variable characteristics of origami and present the possibility of a multi-purpose 3D printed textile structure that can be used as a bag in two dimensions and packaging and objects in three dimensions. For the study, we understa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origami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net searches, and explore examples of textile design that applies the variable characteristics of origami and 3D printing textile design that combines existing fibers. And by combining basic origami designs extracted from books and 3D printing them on mesh fabric, we explore the variable structure of textiles for versat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extile design cases using origami, it was difficult to find practical examples in both the unfolded flat state and the folded three-dimensional state, and it was found that most single products were folded in one direction. Second, we 3D modeled four origami patterns that fold in different directions, 3D printed them on mesh fabric, and practiced the folding structure by connecting the top o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bric. And by combining different patterns by 3D printing two or more origami patterns on a single piece of fabric, the possibility of structural transformation was presented, which is expected to function as a bag in two dimensions and as a packaging in three dimensions. Third, the fusion of PLA material and mesh fabric complemented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flexibility and sturdiness, making it suitable for use as origami-applied packaging and bags.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lies in the idea of developing the possibility of a versatile textile structure using the variability of origami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use.

      • KCI등재

        조각보의 기하학적 형태가 지닌 조형성 연구

        김경희,차영순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9 조형디자인연구 Vol.22 No.4

        Contemporary society has made its process through numerous varieties and changes, and the human kind continues to make effort in order to convey such procedures of changes to next generations. I observe a necessity of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heritages from the past in a reasonable way. A nation's creative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he sense of color are precious cultural stock and value as well as the original artistic property. Tradition is a flow that we should procure and inherit, so it must be passed down in progressive and active way. In addition, the innovative endeavors following the new functions and aims required by the present period are significant responsibility and key elements for the tradition successors. The tradition 'Jogakbo' in Korea contains all sorts of emotions of the women in the Joseon Dynastry period. Jogakbo was used as supplies in daily life when fabric was scarce. Consisting of spare textiles connected each other, Jogakbo's flat surface exhibits natural aesthetic senses unintended. Its use in diverse fields today attributes to the reevaluation on it, and has made it a representative genre of Korean traditional crafts. The encounter of thread and textile displays the quality of the intersections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that has the repetition of geometrical structure in straight line or diagonal line, while the overlapping of Gyupbo(multi-layered cloth) of Jogakbo has now developed in the image of Hotbo(single cloth)'s superposition; these all shows infinite possibility of Jogakbo in its artistic form and structure. Since the existing Jogakbos are those of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study of Jogakbo's tradition would be limited within the tim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compare the Korean traditional Jogakbo with the constitu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in the paintings of Mondrian who represents geometric abstraction in art. As a result, I observed that the crossing and piling‘s effect in contemporary Korea's Jogakbo with its geometrical forms reinterpreted today rivals to the western artistic forms. This study also exemplifies the minimalist works to support it and to analyze the simple forms composed with repetitive patterns in Jogakbo. Moreover, this study focuses on the investigation of Jogakbo's formativeness equipped with the possibility of contemporary approaches by introducing the cas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ists who work with the Jogakbo's motive. In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Jogakbo made by ordinary women in Joseon Dynasty period toward the contemporary art works, on the basis of its geometric structure and property,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a momentum so as to expand Jogakbo's artistic value in parallel with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현대사회는 수없이 많은 다양성과 변화를 통해 발전해 왔다. 인류는 이러한 변화의 과정을 다음 세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과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그 중 연구자는 이러한 역사적 과정이 쌓이고 과거에 충실한 결과물인 전통의 유산들이 합리적 방향성을 가지고 이어나갈 때 확실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판단하고 이에 대한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민족 고유의 창의적 조형의식, 색채감각, 예술성은 소중한 문화 자산이며 가치이다. 전통은 우리가 유지, 계승해야 할 중요한 문화요소이다. 더불어 이 시대가 요구하는 예술의 목적과 기능에 따른 새로운 창의적 시도는 중요한 사명이자 의의가 된다. 전통 조각보는 조선 시대 여인들의 삶의 수많은 희노애락을 담고 있다. 직물이 귀하던 시절 조각천을 아껴 생활에 필요한 용품으로 만들어 썼던 조각보는 자투리 천을 연결하여 면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인해 의도치 않은 자연스러운 미적 감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오늘날은 예술 작품으로 재평가되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쓰이며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공예의 한 분야로 현재는 독자적 위상을 계승하고 있다. 실과 천의 만남은 직선 혹은 곡선, 사선의 형태로 기하학적 구조의 반복성을 지닌 수직· 수평과 교차의 특성을 보이고 전통 조각보의 겹보의 겹침은 현재에서는 홑보의 중첩 이미지로 변화 발전되어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현존하는 조각보는 대부분 조선 후기의 것으로서 논문에서의 전통은 조선조 조각보의 연구임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전통 조각보의 개념과 조형적 특징에 대해 기술하고 기하학적 형태가 지닌 특성과 동시대적 미의식으로 재해석된 조각보 작품에서 보이는 교차와 중첩의 효과들을 기하추상의 대가인 피트 몬드리안(Piet Mondrian 1872~1944)의 수직, 수평 구조와 더불어 살펴보았으며 단순한 형태와 패턴의 반복을 미니멀리즘 작가들의 작품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조각보를 모티브로 작업하는 국내외 작가들의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현대적 접근으로의 가능성이 있는 조각보의 조형성 연구에 초점을 두었다. 조선 시대 평범한 여인들에 의해 제작된 전통 조각보의 기하학적 구성과 특성을 근거로 동시대의 예술작업으로 발전함에 있어 본 연구가 현대화, 세계화에 발맞춰 조각보의 가치를 확대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KCI등재

        중국 애니메이션 속 여우 캐릭터 디자인의 희곡 요소 응용

        황몽진,고은영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3

        최근 몇 년간 중국은 애니메이션 산업 발전에 많은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지원 아래, 2015년 이후 상업 애니메이션들이 다수 발표되었고,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중국이 가진 전통 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의 제작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중국 희곡’이 접목된 애니메이션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전통 문화가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활용되는지, 그리고 시대에 따라 어떻게 재해석되는지를 추적해 보는 일은 유의미한 일이다. 본 연구는 중국의 전통 문화인 희곡과 애니메이션의 관계를 고찰한 후, 이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에서 희곡의 구체적인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전통 희곡 애니메이션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천서기담(天书奇谭)>(1983)과 중국 전통 문화 전승에 힘입어 제작된 <백사: 연기(白蛇:缘起)>(2019), 이 두 작품 속의 여우 캐릭터 디자인에 나타난 희곡 요소 응용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천서기담>과 <백사: 연기> 속의 여우 캐릭터 디자인에서 발견되는 희곡 요소의 응용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천서기담>의 여우 캐릭터인 ‘호녀’ 디자인은 중국 전통 민간 장식적 스타일의 특징과 희곡 조형 요소를 갖고 있고, 캐릭터 움직임이 무용 동작을 참고하고 있었다. <백사: 연기>의 ‘보청방주’ 디자인은 외국 캐릭터 디자인의 영향을 받아 희곡 요소와 현대 요소가 공존해 있었으며, 캐릭터 동작은 생활 동작과 희곡 요소 동작의 결합된 양상을 띄고 있었다. 비교 분석을 통해 <백사: 연기>의 여우 캐릭터 디자인이 중국 전통 예술적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다양한 표현으로 확장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에 중국 전통 문화인 희곡적 요소를 접목하는 것은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이는 전통 문화의 보급 보호에도 많은 기여를 할 것이라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China has constantly paid great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industry. With the support of the Chinese government, a number of commercial animations have been released since 2015, receiving much acclaim. In particular, the production of animations is developing vigorously from the new perspective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including a considerable number of animations integrating “Chinese opera”.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rack how traditional Chinese culture has been utilized in the field of animation and how it has been reinterpreted with the advance of the times. Through the investigation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pera and animation, the paper strives to analyze the specific role of opera in animation character design. This study will compare and analyze the application of opera elements in the design of fox characters in the masterpiece of traditional opera animations, the Legend of Sealed Book (2018) and the White Snake: Origin (2019) through inheritance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pplication of opera elements in the fox character design in the Legend of Sealed Book and the White Snake: Origin. The fox character in the Legend of Sealed Book integrate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folk decoration style and the elements of opera, and the character’s movements refer to the dance movements. While, the design of “Baoqing Workshop Master” in the “White Snake: Origin” is influenced by the design of foreign characters, with coexistence of opera elements and modern elements. In the meantime, its character actions show the combination of life actions and opera elements. By virtue of comparativ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fox character design in the “White Snake: Origin” not only involve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art, but also has the diversity of expression. The integ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opera elements into animation character desig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animation industry, which is expected to make great contributions to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tradition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