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명인 매개 네트워크(Celebrity-Mediated Network)가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석승혜(Seok, Seung-Hye),김문조(Kim, Mun-Cho),유승호(Ryu, Seoung-Ho),정의준(Jeong, Eui-Ju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0 No.1

        SNS를 통한 연결망의 확장으로 친족이나 지인을 넘어 유명인과의 직접적 소통이 성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왜 SNS에서 유명인이 개입된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 하며, 그것이 이용자들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사회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13세에서 55세 사이의 전국 표본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 연구에서는 유명인 매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응답자 367명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유명인 매개 네트워크가 SNS 이용과 온·오프라인 사회자본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단순한 SNS 이용은 오프라인 사회자본에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유명인 매개 네트워크를 통해서는 오프라인 결속적 사회자본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드러났다. 온라인 사회자본에 대해서는 SNS 이용이 온라인 결속적·교량적 사회자본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유명인 매개 네트워크를 통해 간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명인을 정책결정 집단, 오피니언리더 집단, 연예 집단으로 구분하여 유명인과의 접속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정책결정 집단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결속적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이 두드러졌다. 오피니언리더 집단은 온라인의 결속적·교량적 사회자본에만 영향을 줄 뿐 오프라인 사회자본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다. 연예 집단은 오프라인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이 두드러졌고, 온라인에서는 교량적 사회자본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SNS 이용자들은 접속하는 유명인의 유형에 따라 유대 형태를 달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Social Network Service(SNS) has become a medium that allows people to know the day-to-day events and concerns of celebrities including politicians, sports stars and entertainers in real time, establish direction relationships with them, and form new communities. This paper explores whether connection with celebrities in SNS intermediates the use of SNS and the relationship of online and offline social capital. In particular, it classified celebrities in SNS into specific types and tri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s of the groups belonging to those networks. Their differences in relation to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were also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SNS influenced offline bonding capital formation only through the connection of celebrities. It also created an indirect effect on online bonding capital and bridging capital by partially connecting them. The types of celebrit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policy decision maker, opinion leader, and entertainer. Although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among the connection groups based on the types of celebrities with regard to their characteristic and motivational factors,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formation manifested different characteristics online and offline, respectively.

      • KCI등재

        극우주의의 프레임과 감정 정치: 언어네트워크방법론을 통한 일베커뮤니티 분석

        석승혜 ( Seok Seung-hye ),장안식 ( Chang Ansik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7 한국사회 Vol.18 No.1

        본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젊은 극우 집단으로 지칭되는 일베를 통해 타자에 대한 분노와 혐오의 감정이 확산되는 과정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베가 등장하는 맥락에 대해 알아보고, 불평등한 현실 속에서 수치심을 이유 있는 분노로 전환하기 위한 프레임의 생산, 그리고 다양한 사회적 위치의 사람들을 동원하기 위한 프레임의 재편성에 대해 살펴본다. 이는 극우 집단이 어떠한 논리도 없는 비이성적인 군중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도덕을 활용하여 감정들을 틀 짓고 그것에 공적인 목소리를 부여하는 집단이라는 논의와 연결된다. 일베 커뮤니티의 게시물을 언어네트워크 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이들은 박정희를 통해 자신의 집단의 도덕적 가치를 `충성(loyalty)`으로, 진보세력을 종북과 등치시키며 `배신(betrayal)`으로 프레이밍하며 타자화한다. 나아가 일베는 자신들의 사회운동을 확장하기 위해 남녀 간대결구도로 프레임을 재편성하는데, 자신들을 사회적 변동 과정에서 생성된 피해자인 반면 여성들은 무임승차하고 특권을 누려온 집단으로 묘사함으로써 배려(care)와 공정성(fairness)의 도덕을 동원한다. 전통과 영광된 과거의 재건을 열망하는 이들의 도덕 프레임은 기득권의 지배 질서에 동화되어 타자에 대한 분노와 혐오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왜곡된 반발의 형식임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유동적인 근대의 불안과 불평등에서 무력감과 그로 인한 수치심을 내재한 집단들이 증가하는 현실은 일베의 도덕 프레임에 공명하며 사회적 갈등과 분열이 확산되고 증폭될 위험성을 갖는다. This paper studies the process in which the feelings of disgust and separation of others are justified through `Ilbe`, which is a young extreme group in Korean society. To this end, we will examine the context in which Ilbe emerges, the production of frames to transform shame into reasoned anger in unequal reality, and the reorganization of frames to mobilize people of various social positions. Through this process, it is revealed that the extreme right group is not an irrational crowd without any logic, but a group that frames emotions with a clear moral frame and gives it a public voi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ublications of the Ilbe community through the language network method, they categorize their groups as loyal to moral values through Park Chung Hee. On the other hand, those who confront their own conflicting positions such as progress. In addition, Ilbe emphasizes that it is a victim of victimization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and gender equality, while women insist that they are free-ride and privileged in this process. The moral frame of Ilbe is a form of distorted repulsion where the emotions of various people with similar frames are mobilized and spread, but eventually become assimilated to the vested interests. This paper, which identifies Ilbe as a kind of social movement and analyzes their moral frames in a comprehensive way,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coherent behavior and emotional logic of the extreme right groups such as the Parental Union and the Rightist Christian Union.

      • KCI등재

        사회집단에의 소속이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석승혜(Seok, Seung Hye),장안식(Chang, Ansik)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6 亞細亞硏究 Vol.59 No.3

        최근 한국사회는 생존경쟁이 격화되고 모든 선택에서 개인의 책임을 강조하는 개인화가 사회집단의 전 영역에 확장됨에 따라 사회적 유대는 무너지고 도덕성이 약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 직업집단, 종교, 시민단체, 계층과 같은 집단에의 소속이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문화성향의 매개효과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한국사회에서 사람들이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대해 옳고 그름의 기준으로 삼는 도덕성 요소는 공정성(fairness), 순수성(purity), 배려(care)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회집단 소속이 각각의 도덕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집단 소속은 공정성과 배려에 부정적 영향을, 순수성에 대해서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집단 소속 정도가 높을수록 부정한 행위를 용인하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는 낮아지는 동시에 순수성을 중시함으로써 자살, 동성애, 안락사 등의 문제에 대해 폐쇄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문화성향의 효과를 고려해 봤을 때, 사회집단에의 소속은 전통적 가치관이라고 여겨졌던 집단주의뿐만 아니라 개인주의 역시 강화하는 복합화 경향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직업집단이나 시민단체에의 참여는 개인의 동등성과 자율에 대한 가치를 존중하는 수평주의 문화성향을 약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집단 소속에 따른 문화성향의 변화 양상은 주로 배려에 대한 인식의 약화와 순수성에의 강조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살핌과 복지에 대해서는 인색하고 동성애, 안락사, 혼전성관계 등에 대해서는 오염의 대상으로 부정하고자 하는 성향을 강화함으로써 사회적 균열의 단초로 작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Recently, the values of outcome driven and competition oriented were expanded to the principles of all the social institutions in Korea. As a result of that, the growing discourse on issues of weakened morality is well-known to everybod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social groups such as family (with children), occupational group, religion, civic participation, SES influence on the morality as well as the mediation effect of cultural disposi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in Korea, the components of morality, which can differentiate right from wrong, are composed of Fairness, Purity, and Care dimensions. Second,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each social groups on the morality, occupational group, religious group, civic participation, and socio economic status negatively influence on the dimension of fairness. On the dimension of purity, family and religious groups positively have a positive effect. However, the greater civic participation results in negative effect on the dimension of purity and it is interpreted as that the greater civic participation make more open to the issues of suicide, homosexuality, and euthanasia. On the dimension of care, religious and SES group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level of purity, that is, more religious and higher SES status weakens a case of care toward the welfare for the disadvantaged in the society. Third, in terms of th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dispositions, most social group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vertical collectivism, which is considered as traditional values of Korean society. In addition, civic participation and social status influence on the vertical individualism and the vertical individualism influence negatively on the dimension of purity but positively on the dimension of care. In sum, the levels of fairness and care were greatly expanded by the social groups in the Korean society which was dominated by the collectivism. At the same time, vertical individualism undermines the morality of care and reinforce social cleavages by outcasting homosexuality, euthanasia, premarital sex as social contamination.

      • KCI등재

        포용적 제도가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

        석승혜(Seok, Seung-Hye),유승호(Shryu, Seung-Hoo) 한국게임학회 2015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일국의 경제 발전에서 포용적 제도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에 미래 경제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인덱스로 게임산업에 주목하고, 독일과 한국의 게임의 제도화 과정과 제도의 차이가 게임산업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여기서 한국과 독일의 게임제도를 비교하는 이유는 양국에서 게임은 국가주도에 의해 육성되기 시작하였지만, 현 시점에서 한국과 독일의 게임제도는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주요 지점으로 제도에 주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게임의 제도화 과정에서 개방적/폐쇄적 연결망은 게임의 사회적 위상에 영향을 준다. 이로 인해 둘째, 법제도에서 게임 인력은 독일의 경우 아티스트로, 한국의 경우 잠정적으로 중독자(중독생산자)로 분류되며, 인센티브 제도에서도 독일은 게임산업의 수익이 재투자되는 창작자 보호로, 한국은 그 수익이 중독치료를 위한 집단으로 이전되는 징벌적 수탈로 이어지게 된다. 셋째, 이러한 제도적 포용성의 차이는 게임시장 규모의 성장과 창조기업 및 인력의 지역적 유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같이 유망 산업인 게임산업에 대한 포용성의 상실은 한국사회가 경제발전의 기회로부터 멀어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he effect of the inclusive institution on a nation's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we focused on the gaming industry as an index that can drive the economic growth in the future. The reason to compare the game institution in South Korea and Germany is that both countries began to develop the game by the State, but the game institution in South Korea and Germany at the present time are sharply opposed, because the institutions can focus on the main points that are experiencing this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pen/closed network in institutionalized aspect affects the social status of the game. This second, game workers in the legal institution has been classified as artists in Germany, as addicts in South Korea. And, Germany also has incentives to creators protected profits reinvested in the gaming industry, Korea leads to punitive exploitation is being transferred to the group for addiction treatment that revenue. Third, this exclusive and inclusive institutional system could affect the stable growth of the game market. As a result, South Korea's state institutions will notice that you get a result away from opportunities for economic development due to the loss of inclusiveness.

      • KCI등재

        SNS 이용자들의 유명인 이용 동기와 사회정체성 형성

        석승혜(Seok Seung-Hye),조성남(Cho Sung-Nam)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6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2 No.1

        본 연구는 SNS의 유명인이 대중들의 집합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NS에서 대중의 유명인 이용 동기와 사회정체성의 형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하여 16세에서 60세 사이의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NS에서 유명인 네트워크에 소속된 응답자 384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첫째, SNS에서 대중들의 유명인 이용 동기는 표현적 동기와 정보적 동기로 구분되었다. 표현적 동기는 구성원들의 사회정체성의 모든 구성요소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지만. 정보적 동기는 동일시와 자기범주화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명인 유형을 정책결정자, 오피니언리더, 연예인으로 구분하여 사회정체성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든 유명인 유형에서 표현적 동기는 사회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오피니언리더는 정보적 동기가 구성원들의 사회정체성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 요소로 나타났다. 이는 SNS에서 대중의 유명인 이용 동기가 일상생활의 상담자나 조언자와 같은 역할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지만, 오피니언리더 집단에의 소속은 자부심이나 자긍심과 같이 긍정적 정체성 부여와는 아무런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인 집단 결속의 유지와 집단적 행위로의 가능성은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Celebrities on SNS form wide range of network while directly interacting with the masses. In doing so, their effects go beyond the realm of online reaching offlineand even affectvoting or civil participation behaviors. In order to explain the effect celebrities on SNS have on collective behavior of the masses, two aspects are to be dealt with. First, the motivation behind the celebrity use on a new media environment, SNS shall be understood. Second, the formation of social identity promoting individuals to identity with collective beliefs and values instead of individual ones needs to be addressed. On SNS, with the progress in the way celebrities and the masses interacts brought changes in the way celebrities are produced. We are witnessing more cases where an individual with limited offline mass recognition gaining popular fame through SNS. It can be argued that this is where an expansion of mass demand for celebrities occurs. Accordingly, this research seeks to analyze use motivation and the formation of social identity by the type of celebrities. The sample of this research comprises of nationally representative individuals between the age of 16 and 60, and they were surveyed online. 384 out of 789 respondents who have online relationship with celebrities on SNS a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s behind the masses using celebrities online are categorized into expressive and informational motivations. Expressive motivation supports previous literatures stressing the social function of celebrities to be providing social belonging and the space where individuals preserve their positive identities. On the other hand, informational motivation refers to using celebrities as a channel for acquiring information of their interest or forming an interest group. Though informational motiv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identity, self-esteem, one of its sub constituents showed no relations. Second, the effect the use motivation for three types of celebrities (policy decision group, opinion leaders, and entertainer group) has on social identity formation is addressed. In all three types, expressive motivation is shown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identity. However, only among opinion leader group followers, informational motiva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formation of social identity among members. The mass demand for opinion leaders, a new type of celebrities born of the rise in SNS environment, can be argued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more traditional celebrities. In short, masses expect the role of life-coaching to these new celebrities. The social identity formed through informational motivation however only affects group identification or categorization while having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self-esteem responsible for assigning positive identity to an individual. It can be said that informational motivation has limited influence on the continuous sense of belonging to a group or collective behaviors.

      • KCI등재

        한국의 중도집단은 탈도덕적인가?

        석승혜(Seung Hye Seok),장예빛(YeiBeech Jang),유승호(Seoung Ho Ryu) 한국사회학회 2015 韓國社會學 Vol.49 No.5

        한국사회의 균열구조는 과거 지역 중심에서 세대나 이념성향으로 다층화되고 있다. 특히, 젠더, 인권, 환경, 복지 등을 둘러싼 갈등은 진보와 보수의 이념대결로 재편, 격화되는 가운데, 최근 무당파의 증가와 안철수 지지 현상에서 나타난 새로운 중도층의 등장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들 집단에 대해 기존 연구는 탈물질적 가치를 지향하는 진보집단의 형성이라거나 혹은 기성의 진보와 보수와 유사한, 실체가 없는 집단이라는 진단을 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중도집단이 진보집단과 또는 보수집단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도덕성에 기반한 집단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탈물질주의, 집단주의와 같은 한국사회의 가치관의 변화와 관련하여 중도집단의 탈도덕적 현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단위의 16~64세 연령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10대를 제외한 총 2,164명의 응답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중도집단의 도덕성 기반(moral foundation)은 충성심(loyalty), 권위(authority), 품위(purity)와 같은 결속기반 요소에서 진보집단과 보수집단의 중간 정도에 위치하고 있지만, 배려(care)와 공평성(fairness)과 같은 개인성 기반 요소에서는 진보집단과 보수집단보다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탈물질적 가치관에서 중도집단은 보수집단과 유사한 물질추구 성향을 가지는 반면, 수평적 개인주의 및 집단주의 가치관은 진보집단과 보수집단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보가 개인성에 기반한 도덕성을, 보수가 결속에 기반한 도덕성을 중요시하는 것과 달리 중도는 개인성이나 결속의 도덕성 기반에 포섭되지 않는 집단임을 말한다. 즉, 중도집단은 도덕적 관념이 결여되거나 미약한 ‘탈도덕적’ 성향을 가진다고 할 수 있으며, 향후 이들 집단의 도덕적 공백으로 한국사회의 갈등이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줄 것으로 전망된다. Socio-structural conflicts and polarity within today"s Korean society has been more noticeable in the gaps by generation and/or ideology than in regional disputes in the past. While in particular the issues on gender, human rights, and social welfare are divided by the ideological disagreement is getting more intensified between the conservatives and the liberal, the recent rise of moderates as an effect of increasing number of independent voters and Ahn CheolSoo syndrome is gaining attention from academia. However, the studies on it have limitations on predicting moderates’ policy preference or voting pattern because of their strict liberals/conservative-focused frame which has long been established from the past.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on the moderates and their moral foundations compared to those of liberals and conservatives. More specifically, we tried examining the amoral tendency of moderates with regards to social change such as post materialism and deepening neoliberalism in South Korea. As a result, moderates with amoral tendency creates widespread apathy towards political parties and weak trust to government. It is assumed that social conflicts and disparity in South Korea will get even more intensified among moderates separately from the liberal-conservative fram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rates exhibited lower scores in individualizing foundations such as ‘care’ and ‘fairness’ than the liberals and the conservatives. The moderates had higher scores in binding foundations such as ‘loyalty’, ‘authority’ and ‘purity’ than the liberals but scores of moderates were lower than the conservatives’ who highly value in-group solidarity. Meanwhile, moderates showed much lower scores in perceived level of ‘horizontal individualism’ and ‘horizontal collectivism’—that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are’ and ‘fairness’ in moral foundations—than those of liberals and conservatives. Thus, moderates’ low level of cultural disposition might possibly be related to their high vulnerability of moral foundations.

      • KCI등재

        한국사회의 마이너리티 생산과 차별태도

        석승혜 ( Seung-hye Seok ),장안식 ( Ansik Chang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6 한국사회 Vol.17 No.1

        오늘날 유연화, 지구화와 같은 사회구조적 변동으로 인한 유동성의 증가는 상시적 불안을 가중시키는 동시에 변화하는 상황에 대한 모든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하는 신자유주의적 가치의 확산은 개인의 취약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같은 변화는 다수 대중들의 사회적 존재가치와 정체성에 대한 위기감을 고조시키며, 긍정적인 정체성을 보존하기 위해 대중들은 마이너리티에 대한 상징적 경계를 형성하고 차별을 확대할 가능성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성, 외모, 신체, 생활양식, 취향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생산되는 마이너리티에 대한 차별의 요인들을 유형화하고, 사회적 불안과 신자유주의적 가치관의 확산이 마이너리티 차별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분석을 위해 16세에서 65세 사이의 전국 표본을 대상으로 인터넷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2,034명의 응답자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자면 첫째, 한국사회에서 마이너리티는 5개의 유형으로 구별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전통적인 차별 영역이었던 결핍 및 열등차별과 새로운 차별 영역으로 취향, 중독, 결혼차별이 확인되었다. 둘째, 생활불안과 구조불안은 마이너리티 차별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신자유주의 가치관의 확산에 따른 삶의 통제감 상실은 차별태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차별의 유형별로 영향 요인을 살펴보면, 신자유주의 가치관인 경쟁의 내면화는 전통적인 차별 집단(결핍과 열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새로운 차별 영역인 취향과 중독 집단에 대한 차별태도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사회적 신뢰가 마이너리티에 대한 차별태도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대인신뢰와 제도신뢰는 결핍과 열등 집단에 대한 차별태도를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취향, 중독, 결혼 집단에 대한차별태도를 감소시키는데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같은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마이너리티에 대한 차별은 사회적 불안보다는 신자유주의 가치가 강제됨에 따라 나타나는 삶의 통제감 상실과 경쟁의 내면화가 중요한 요인이며, 새로운 차별의 영역에 대해서는 대인 및 제도 신뢰가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함으로써 사회적 균열은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Social conflict in Korea has been expanded from the matter of redistribution to the recognition of lifestyles and identities. Especially, targets of discrimination as social exclusion have been expanded in the wave of social/economic chang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begins by considering the types of discrimination. And, it goes on to examine how insecurity, conflicts, and the spread of neoliberal values influence on the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s minority groups. Based on data from 2,034 respondents aged 16 years and over, this study identifies five types of discriminated groups. More concretely, five types of discriminated groups are classified into two territories such as the traditionally discriminated territories that can be discriminated by deficiency and inferiority and the newly discriminated territories, which are based on taste, addiction, and marriag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rust in people and social institutions does decrease discriminatory attitudes, but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the newly discriminated territories. Second, among neoliberal values, the sense of life control directly influences on the discriminatory attitudes, but the internalization of competition increases discriminatory attitudes in the newly discriminated territories of tastes and addicted groups. Finally, age and SES status have a positive effect, but the level of educ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discriminatory attitu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pread of social insecurity and the neoliberal values in Korea reinforce the symbolic territories against minority groups. This result also implies that the reinforcement of symbolic territories can be set in as a social territory and eventually as a structural shutdown.

      • KCI등재

        신자유주의시대의주체생산과저항가능성에대한연구:

        석승혜(Seok Seung Hye)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4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per resistance model in Korea through compare with Foucault and Honneth with a practical possibility of resistance from subordinated agent. Today neo-liberalism is extending not only being limited in institutional dimension but also ideological dimension guiding people universal character and attitude. The principle of neo-liberalism connotes a fetal problem to produce the incomplete agent who voluntarily obeys power and forget about mutual recognition. Both Foucault and Honneth assert a ethical subject as a new human character, but they have different opinions in terms of criteria and the opportunity of resistance, and social solidarity. In summary, Foucault insists people can resist subordination to power by creating difference, while Honneth argues, if we already live in normative society, the object of resistance is the foundation of norms as well as deepening neo-liberalism offers more direct opportunity of resistance by increasing experiences of disrespect and injustice. When we try to adapt these theories in Korea, the most critical problem is how to transfer from individual s experiences to social solidarity. To be more specific, firstly, in contrast of a ethical subject, recently an amoral phenomenon people have littl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are and justice has occurred in Korean. Secondly, individuals or groups may select the easy strategy called out-group denigration for recover damaged identity. In addition, general trust based on social solidarity comes from the expectation of equality and fairness. If these values are weak, social solidarity should fall into immoral familism. Finally, when we deal with the problems of Korean society, the view of recognition without retribution has limitation. 이 연구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예속된 주체로부터 저항적 실천을 강조하는 푸코와 호네트의 이론을 비교함으로써, 현재 한국사회에 적실한 저항을 모델을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오늘날 신자유주의는 제도의 차원을 넘어 보편적인 인간상과 태도를 지도하는 이념으로서 의미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운데 주체는 권력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며 상호인정을 망각한 채 물화된다는 점에서 항시 불완전한 정체성의 문제를 야기한다. 여기서 푸코와 호네트는 공통적으로 새로운 인간상으로 윤리적 주체를 제시하지만, 저항의 준거와 계기, 그리고 사회적 연대에 대해서 그 논점을 달리한다. 간략히 말해, 푸코는 끊임없이 개별화하는 방식으로 권력의 예속화에 저항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반면, 호네트는 이미 주어진 사회 내에서 저항은 그 규범적 기초에 대한 것이며,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무시와 불의의 경험은 더욱 빈번한 저항의 계기와 연대 가능성을 제공한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이들 학자의 논의를 한국사회에 적용하고자 할 때 가장 큰 문제점은 첫째, 이들이 강조하는 윤리적 주체와는 달리 배려나 정의에 대한 인식이 미약한 탈도덕화(amoral)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둘째, 개인이나 집단은 불의로 인해 손상된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해 외집단을 폄하하는 손쉬운 전략을 채택할 수 있으며, 셋째, 사회에 대한 평등이나 공정성의 기대로부터 비롯되는 신뢰의 하락은 보편적 연대가 아닌 비도덕적 가족주의와 같이 내집단 편향적인 연대로 전락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이들 학자들이 이미 선진화된 사회를 배경으로 한다는 점에서 한국사회에서 분배문제를 제외하고 인정문제를 다루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 KCI등재

        왜 한국사회에서 정치적 사회참여는 감소하는가?

        김남옥(Kim, Nam-Og),석승혜(Seok, Seung-Hye),장안식(Chang, Ansi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6 사회와 이론 Vol.28 No.-

        세계적으로 정치사회 문제에 대한 시민사회의 역할이 강조되는 가운데, 한국사회에서 사회참여는 점점 더 위축되어가는 듯하다. 본고는 한국사회가 저항적 참여를 통한 민주화를 이룩한 사회임에도 불구하고 점차 정치적 사회 ‘참여’는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 주목한다. 이는 지구화, 유연화, 신자유주의의 구조적 변동으로 인한 불평등의 심화라는 외적 요인과 상시적 사회불안이라는 내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 사회적 신뢰를 감소시킨 결과라고본다. 따라서 현재의 불평등 양상과 관련된 인정 변수인 차별태도, 갈등경험, 사회적 거리감과 사회불안이 사회적 신뢰와 정치적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정치적 사회참여가 감소하는 요인과 그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생활불안과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정치적 사회참여는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인정과 관련된 변수와 정치적 사회참여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갈등경험은 사회참여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없으며, 차별태도와 사회적 거리감이 사회참여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개인이 가지는 차별태도가 높을수록, 즉 차별이 강할수록 사회참여는 낮아지는 반면, 집단 간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정치적 사회참여는 증가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사회에서 정치적 사회참여는 대인신뢰의 확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제도신뢰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불안은 정치적 사회참여를 감소시키는 핵심요인으로 지목할 수 있으며, 현재 한국사회의 대인신뢰와 제도신뢰의 불균형은 정치적 사회참여를 통한 거시적인 변화의 효과를 창출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role of civil society is emphasized in the course of social and political issues around the globe. However, it seems that social/public participation has been shrunk in Ko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decline in political and social participation even though Korean society was built upon the protests and resistance that helped bring about democracy. The decline in political and social participation in Korea is the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two factors. The external factors can be defined as the deepening divide of inequality which was caused by globalization, the increase of flexibility, and neo-liberal social change and the internal factors can be named as a constant social insecurity which reduces social trust. Therefore, in this paper, we tries to tries to examine the cause of the decline in political and social participation in Korea and find ou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cline of social participation by analyzing how recognition variables such as discrimination attitudes,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social distance, all of which related to current unequal phenomenon, and social insecurity measures influence on the level of social trust and the social/political participation, this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ife and social insecurities te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level of political participation. Secon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variabl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 level of conflict experience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participation, but discriminatory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social distanc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higher discriminatory attitudes tend to have a lower level of the participation, but a higher perception of social distance increases the participation. Finally, political participation in Korea is influenced by the expansion of trust in people, bu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does not hold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olitical participation. It is suggested that current imbalance between the trust in people and the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in Korea has its limit to undergo substantial changes throughout political participation.

      • KCI등재

        <뉘른베르크의 명가수>로 살펴 본 인정관계

        김형일(Kim Hyoung-il),석승혜(Seok Seung-hye),유승호(Ryu Seoungho)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3

        본 논문은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시기를 배경으로 한 바그너의 <뉘른베르크의 명가수>를 통해 개인의 개성이 공동체에 인정되고 확장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인정은 호네트가 지적하듯이, 개인이 공동체에서 동등한 권리를 가진 주체로 존립하는 동시에 온전한 자기정체성을 획득하기 위한 토대이다. <뉘른베르크의 명가수>에서 인정은 가장 원초적인 남녀 간 ‘사랑’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수공업자 조직인 길드가 다른 계급의 사람에게도 경연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고 공동체 구성원들의 인정을 통해 공동체와의 ‘연대’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이러한 인정의 확장이 우연히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는 개인의 특수한 재능이나 이를 발견해 주는 인물에 의해 제도 안에 들어오게 되지만, 공동체의 가치를 보존하고자 하는 정책과 제도에 기반하는 것이다. 즉, 지속적으로 분화되는 사회구조 속에서 완전한 자기정체성을 갖춘 시민을 생산하기 위해 직업과 예술을 결합하고,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의 자본 집중을 막고 균등한 기회를 실현하기 위한 업종 간 경계의 형성과 보호가 그것이다. 이 같은 <뉘른베르크의 명가수>는 오늘날 경제자본이 문화자본, 상징자본으로 손쉽게 전환되어 극심한 양극화를 초래하며, 일상생활에서 무시와 불인정이 개인의 정체성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다원적 정의와 인정관계가 문제 해결을 위한 지향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looks at the process of how individuality can be recognized and expanded into the community throughout the Die meistersinger von Nürnberg that is based on the period when the middle ages turns into the modern times. As Honneth suggested, the term ‘recognition’ is the foundation of individual rights as a bearer of equal rights and the foundation of our individual identity which is shaped by recognition. Die meistersinger von Nürnberg demonstrates several forms of recognition: recognition takes place between two lovers as a form of love, the guilds acknowledge individual rights of other class to participate in the contest, and these patterns of recognition are connected to community solidarity. However, the important point is that the expansion of recognition is not discovered by individual’s talents or by the dispensation of society but is entirely relied on the social system that must be able to express the difference between human subjects. In other words, in order to produce citizen who owns fully recognized and individualized identity in the consistently differentiating social structure, it is essential to create a social system that must be able to avoid the concentration of capital and to protect industrial borders that can give equal opportunity. Nowadays, the economic power as it can be easily transformed into the cultural or symbolic capital aggravates the increasing polarization between rich and poor and the neglect and disapproval in our everyday life threatens to any individual’s identity. As indicated, Die meistersinger von Nürnberg provides some valuable policy implications in our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