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지수로 본 부산경제 진단

        서혜성 부산연구원 2011 BDI 정책포커스 Vol.- No.84

        경기종합지수는 경기변동의 방향, 국면, 전환점과 속도 및 진폭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다. 하지만 부산은 그 동안 이 지표를 작성하지 않았던 관계로 경제주체들이 지역경제 상황을 종합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부산발전연구원은 경제주체들이 생산·투자·소비·고용 등의 합리적인 경제활동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역경기종합지수를 작성했다. 분석 결과 부산경제는 2010년 6월 최고점을 찍은 뒤 현재 완만한 하강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올 6월 이후 지역 경기가 살아나면서 상승국면으로 전환할 전망이다. 부산경제는 과거에 비해 경기수축 기간은 짧아졌고, 확장 기간은 길어졌다. 전국과 비교해도 부산경제의 경기순환 진폭이 과거에 비해 크게 완화됐다. 외부충격을 견딜 수 있을 만큼 부산경제의 건전성이 부분적으로 확보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재 경기 하강국면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사전적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장기 경기상승을 주도할 수 있도록 지역 경제구조의 고도화도 필요한 시점이다. 지역 내 자원의 효율적 배분, 외부 자원의 적극적 유치 노력도 필요하다. 부산경제는 향후 새로운 성장동력을 잘 발굴 한다면 장기 지속성장 구조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그림 참조〉

      • KCI등재

        지역발전정책과 주요 대도시 총요소생산성 비교 분석

        서혜성,주수현,김영재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7 지역산업연구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changes and its economic determinants in major Korean metropolitan cities, by using growth accounting analysis and panel regression approach, respectively. Especially, we focus on the 2000s when the government put emphasis on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outcomes of growth accounting analysis, the average growth rate of TFP during the entire sample period(2001-2009) shows mostly negative growth rates. This implies that the increase oftotal productionduring this period was due primarily to the amount of production factors such as intermediate and capital goods, rather than the increase in TFP. Meanwhile, the results of penal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among 9 independent variables, both population and the growth rate of manufacturing industry have increased TFP, but the number of employer has rather decreased TFP.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역발전정책이 강조된 2000년대 전국 및 7대 도시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성장회계방식을 이용해 추정한 결과, 전기간(2001-2009년) 증가율 평균이 대부분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분석기간 중 총산출의 증가는 총요소생산성 보다는 주로 중간재나 자본재 등 요소투입 부분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7대 도시의 총요소생산성향상에 영향을 준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9개 독립변수들 중에서 총인구와 제조업 비율의 증가는 총요소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으나, 고용자수 증가는 오히려 총요소생산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부산지역 거시계량경제모형 구축과 활용

        서혜성,윤성민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6

        This paper constructed the Busan regional macroeconometric model to analyze the macroeconomic structure of Busan economy and forecast the effects of government policies. This model is composed of 15 behavioral equations on six major economic sectors including production, employment, wage and price, money and banking, public finance and foreign sectors, and 2 identical equations. Each behavioral equation is estimated using annual data from 1985 to 2012, and the estimation results are analyzed. And then, we integrated all the behavioral equations into the simultaneous equations system. To evaluate the stability and goodness-of-fit of the system, we performed historical simulation through the method of both static and dynamic simulation from 2000 to 2012. In most case of endogenous variables, the estimated RMSE% or MAE were 5% or thereabouts, which means very low level. Thus, the constructed model was proved to satisfy high stability and goodness-of-fit standard. Finally, we carried out two scenario analyses on the effects of virtual changes on Busan region's macroeconomy, caused by 10% increase of Won-US Dollar exchange rate or 10% increase of annual expenditure by local government, respectively. 본 연구는 부산지역 거시경제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고 정책 파급효과를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연간 거시계량경제모형을 구축하였다. 이 모형을 생산, 고용, 임금 및 물가, 금융, 재정, 대외부문 등 6개 부문에 대한 15개의 행태방정식과 2개의 항등식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85~2012년 기간의 연간 부산지역 거시통계자료를 이용하여 각 행태방정식을 추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추정된 개별 행태방정식들을 연립방정식 체계로 통합하여 모형을 구성하였고, 전체 모형에 대한 안정성 및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2000~2012년까지 기간에 대한 역사적 모의실험을 동태적 방법 및 정태적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모의실험 추정치와 실적치의 오차를 이용해 측정한 RMSE% 또는 MAE가 대부분의 변수들의 경우에서 5% 내외의 값으로 낮게 측정되어, 본 연구에서 구축한 부산지역 거시계량경제모형은 모형의 안정성 및 적합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모형의 활용 사례로서 매년 원/달러 환율이 실제값보다 10% 높게 유지되었을 경우와 부산지역 일반회계 총세출을 10% 증가시키는 경우의 두 가지 가상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정책 모의실험을 수행하여, 두 가상의 변화가 부산지역 거시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예측하고 분석하였다.

      • KCI등재

        Do External Impacts Cause Differences between Regional and National Business Cycles?: Focusing on the Dongnam Metropolitan Area

        서혜성,주예진 한국무역연구원 2023 무역연구 Vol.19 No.1

        Purpose – This study analyzes larg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through comparison with national level business fluctuations, including differences between regions within the Dongnam metropolitan area, focusing on the impact of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economic shock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nducted econometric analysis using the Markov switching model with the monthly manufacturing production indexes of each region from 2000 to 2020 as data. Findings – The characteristics of Dongnam metropolitan area, distinguished from other regions nationwide, are as follows. First, the regions’s manufacturing focuses on the heavy chemical industry and did not shrink, even during the 7th cyclical recession caused by the global IT bubble bursting. Second, the manufacturing sector in the Dongnam metropolitan area continued a downward trend, even during the 11th cyclical expansion. However, economic impact was found to have varied in size by region. Our analysis results show that Busan was more affected by internal and external impacts than Ulsan and Gyeongnam, showing slower recovery. Ulsan was shown to have much higher manufacturing resilience than other regions, despite several internal and external economic impacts. Finally, Gyeongnam showed several recession phases in 2008 and after 2016, but the duration was found to have been much shorter than in Busan. Research Implications – The impact and characteristics of business cycles caused by external shocks were found to have varied by region. The results imply that regionally specialized industrial support measures are required together with economic stabilization policies at the national level. It was also found that separate measures at the regional level need to be implemented in connection with governmental support measures for regional manufacturing industries.

      • 양성 평등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시효과에 관한 연구

        서혜성,신혜경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2007 사회복지지원학회지 Vol.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양성평등에 대한 의식을 알아보고, 양성평등 교육을 실시하여 여성․남성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양성이 똑같은 인간의 권리를 누리며 행복을 추구하며 함께 살아가도록 하는 긍정적인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집단은 경기도 안산시 소재 어린이집 의 7세아 어린이를 실험․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참여하게 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성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이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질문한 결과 유아들은 고정된 성 역할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양성평등 교육 후 유아들은 양성에 대해 평등한 관점으로 변화하였는가를 알아보았는데 직업, 색깔, 놀잇감, 가사, 육아, 성(性)구별의 6가지 영역으로 유아들의 양성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고루 향상되고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가소성이 매우 큰 시기인 유아기 때에 어떻게 교육하고 보호하느냐에 따라서 유아들의 편견은 제거될 수 있고 함께 사는 사회, 함께 살아가는 정서를 만들어 낼 수 있으리라고 확신했다. 인간은 성에 관계없이 그들이 갖고 태어난 권리와 평등하게 살아갈 권리가 있기에 편견이 고착화되기 전에 교육을 통해 긍정적 사고, 수용적 사고를 갖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결국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들에게 교육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분석 : 그림책 활동을 중심으로

        서혜성,고민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4

        본 연구는 그림책 활동을 중심으로 보육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나타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A시에 위치한 G어린이집 만 3, 4, 5세반 교사 3명과 유아 47명이다. 교사들은 20회기에 걸쳐 유아들과 그림책 활동을 실시하면서 매회기 반성적 저널을 작성하였다. 수집된 반성적 저널을 통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요인인 정서성, 정서조절, 대인관계기술, 사회적 지식이해에 따른 저널을 분류, 텍스트 내용을 추출하여 질적으로 해석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유아들은 자신의 정서를 자연스럽게 표출하였으며, 이러한 정서성은 친구들과 함께 생활하는 동안 배워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들은 공감과 감정이입으로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들은 서로의 생각의 차이를 통해 틀림이 아닌 다름을 인정하고 수용하며 대인관계능력을 형성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들은 친구들을 사회적 구성원으로 이해하고 존중하고 격려하며 변화해 나가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 보육시설에서의 장애유아통합 구성에 대한 찬반 연구

        서혜성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7 아동중심실천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보육기관에서의 장애유아통합 구성이 유아들에게 긍정적이다 라는 시각과 부정적이다 라는 시각이 있는데 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제시해봄으로써 보육기관에서의 장애유아통합 구성이 유아들에게 적절한지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장애유아통합에 대한 현황 및 쟁점에 대해 알아보고, 장애유아통합 구성에 대한 찬성입장과 반대 입장을 제시해 본다. 찬성입장으로는 장애인 복지적 관점에서 편견은 옳지 않으며 아동 복지적 관점에서 유아는 동등하게 보육 받을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하였으며, 또한 특수 교육과 일반 교육의 불필요한 이원화를 없앰으로써 공유된 전문성의 육성을 강력하게 지지 하는 의견이 있다. 한편 장애통합 보육의 반대 입장에서는 학령기 장애 아동의 경우 통합보육의 기회를 제공하기에는 많은 어려운 점이 있으며, 장애 유아로 인해서 교실의 분위기가 산만해져 학습의 능률이 떨어지고 장애 유아로부터 부적응 행동을 모방할 수 있다는 부정적 시각이 있었다. 또한 기관 측면에서는 장애 유아 교육에 필요한 교육 자료 및 시설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있다. 그러나 유아들에게 장애유아통합을 구성함으로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며 보육기관에서도 장애유아통합 학급구성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는 한편 단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많은 연구와 적용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주제어 : 통합보육, 장애유아

      • KCI등재

        전국과 부산의 경기순환 주기 및 지속기간 비대칭성 분석

        서혜성,주수현,유영명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eate a composite coincident index of Busan allowing for objective analysis on the regional business cycle and duration period, maximizing the effect of local governments' economic policy by providing timely information. In compliance with statistics manual, this study applied composite indicators in several simulation process, and eight indicators were chosen in each economic sector including manufacturing production, service, consumption, employment, import and export. As a result of studying,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contraction period of Busan is shorter than in the past, whereas expansion period showed a much longer. In addition, since 2005 Busan appears to be 3-4 months trailing the national economic in the property, it can be available for economic diagnosis. 본 연구는 지역경기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 및 예측을 위해 부산지역 동행종합지수를 작성함으로써 지자체가 효율적인 지역 경제·산업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작성된 지수에 Bry-Boscha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전국과 부산의 경기순환 주기 및 지속기간의 비대칭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통계청이 제시한 지역 경기종합지수 작성 방침을 준용하여 구성지표를 여러 가지로 시산작업(simulation)한 결과, 지역의 제조업생산, 서비스업, 소비, 고용, 수출입 등 각 경제부문에서 8개 지표가 최종 선정되었고, 이를 토대로 지역경기를 진단할 수 있는 종합지표를 산출하였다. 작성된 동행종합지수를 가지고 부산지역 경기전환점을 분석한 결과, 경기국면에 있어서 과거보다 수축기가 짧아진 반면 확장기가 훨씬 긴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2005년 이후 부산지역 경기가 전국의 경우보다 3∼4개월 후행하는 속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국 경기를 통해 부산 경기진단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결정요인

        서혜성(Hye Seong Seo),김연하(Yeon Ha Kim) 한국아동학회 2014 아동학회지 Vol.35 No.5

        This study explored the determinant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mothers of infants, focusing o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rental stress, and parental knowledge. A total 220 mothers of infants were survey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binary logistic regression. A considerable percentage (16%) of mothers of infants were observed to be at a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ercentage (8%) of adult population at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reported by the Korean government. Parental stress from dysfunctional parent-child relationships was a risk factor and parental knowledge about infant development was observed to be a protective factor when it came to the smartphone addiction of mothers` with infants. Howeve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umber of children, age, education, family income, and job)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their smartphone addiction.

      • KCI등재

        보육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에 나타난 반성적 사고 수준의 변화

        서혜성(Seo, Hye Sung),고민경(Koh, Min Gyeo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에 나타난 반성적 사고수준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양적·질적 측면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G어린이집 만 3, 4세, 5세 교사 6명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 및 실험집단 교사들의 사전검사에서 나타난 반성적 사고수준은 교수 수행을 분석하지 않고 기술적인 방식으로 사건을 평범하게 묘사하는 2수준과, 자신의 교수행위에 대한 학습자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교수자의 관점에서만 평가하는 3수준으로 집단 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사후검사에서 비교집단 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수준은 3, 4수준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실험집단 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수준은 복합적인 관점으로 자신의 교수적/비교수적 사건을 평가하고 학습의 특수한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며 더 나은 수행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7수준까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널쓰기에 나타난 반성적 사고수준 변화 결과, 만 3세 교사는 초기 2수준, 중기 이후에는 4수준 로, 만 4세 교사는 초기 4수준, 중기에는 6수준, 말기에는 7수준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만 5세 교사는 초기 3수준에서 6, 7수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아무리 낮은 수준의 반성적 사고를 가졌다 하더라도 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는 반성적 사고수준을 향상시키며 그로 인해 교수방법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 of reflective thinking level appearing in reflective journal writing of nurturing teacher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The subjects are 6 teachers in charge of 3, 4, and 5 year old children at G child care center in the capital area, an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reflective thinking levels appearing in the pre-test for teachers i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level 2 in which teachers normally describe issues in an technical way without analyzing teaching performance and level 3 in which teachers evaluate students in teachers’ view without taking account in learners’ position onto teachers’ own teaching behavior, giv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However, in the post-test, teacher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3 and 4 levels in reflective thinking, explaining no big difference, but the reflective thinking level of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n improved level up to level 7 with complex viewpoints in which level teachers evaluate their own teaching/non-teaching issues, consider special situations and contexts of learning, and present alternatives for better performance. Secondly, in the results from change of reflective thinking level appearing in journal writing, it was shown that there was improvement of up to level 2 at the beginning stage and up to level 4 at the intermediate stage for teachers of 3 year old children, and improvement of up to level 4 at the beginning stage, up to level 6 at the intermediate stage, and up to level 7 at the last stage for teachers of 4 year old children. Especially, for teachers of 5 year old children, it was shown that there was most improvement of up to level 6 and 7 from level 3 at the beginning stage. Accordingly, even however low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teachers might have, it was found that teachers’ reflective journal writing increased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which eventually lead to change of teach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