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청소년 창의(創意)공작 교육의 필요성과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초등학교 고학년 및 중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서진환(주저자) ( Jin Hwan Suh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5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청소년의 창의력 교육에 바탕을 둔 기술과 예술을 접목시키는 융·복합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이다. 우리나라의 인재육성 정책은 대부분 영재교육에 의존하고, 일반교육의 창의성 강화 노력은 미흡한 실정이다. 기술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을 인식하는 환경을 정착시키고, 산업기술의 저변확대를 위해 정부는 우수한 창의적 기술인재를 양성할 책임이 있다. 창의적 인재의 저변확대를 위해서는 창의성 강화 프로그램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기술공작 체험교육 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기술공작 체험교육의 필요성과 그 운영방법 및 실습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범위는 창의공작교육의 개념정립을 위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창의공작의 의미, 현황 및 창의공작교육의 필요성에 관하여 살펴 본 후,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창의공작교육의 국내외 사례조사를 하였다. 기술공작 체험교육은 제조, 건설, 전기, 전자, 운송, 에너지 등의 공학 분야와 인문학, 디자인 및 예술과 통합한 융·복합형 교육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를 토대로 체험적이고 창의적인 기술교육 프로그램을 말한다. 21세기는 융합적인 사고를 하는 인간이 중심이 되는 사회로 후세대가 미래를 대비할 수 있도록 공학·기술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공학기술과 인문학, 예술과의 결합된 감성지향적 교육프로그램을 연구하기 위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원리와 모델에 대한 연구와 함께 교육공간인 창의공작실의 운영원리를 설계하고 창의공작(創意工作)식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it is the study of fusion complex education program to fuse technology and art based on the teaching of creativity of youth.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of our country`s situation depends on the special education most, efforts to strengthen the creativity of education general is not enough. Allowed to settle an environment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and interest in technology, for the base expansion of industrial technology, the government, is responsible for training the technical talent and creative excellence. In order to expand the base of creative talent, along with the increase of the enhancement program creativity, expansion of technology work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earch of practical education program and its operation and how the need for technology education work experience of these. After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for the concept of work education of the creativity, explained the meaning of the work of the creativity, about the need for work education and creativity current situation, the range of the study, the work education of the creativity that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I did case studies in Japan and overseas. The “Technical work experience education”, fusion-complex that is differentiated and family education technology and school in an existing, was integrated humanities and engineering manufacturing, construction, electrical, electronic, transportation, and energy, design, art and refers to technical education program experience and creative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in various fields to type education program. The 21st century is a society in which human being thoughts fusion that combines the engineering and technical thinking and scientific thinking is centered to strengthen the engineering and technical education so as to be able later generation is provided with the future must. It not only helps in real life, training of human resources creative art, will be the leader responsible for the society of the future. In order to study the education programs emotional coupled humanities and engineering technology, and art, to present the principles of operation of the workshop of the creativity is a place of research and teaching models and principles of education programs, I presented a work style education program of the creativity.

      • KCI등재

        정신건강문제가 있는 클라이언트를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서비스 제공과정 연구 사회복지사의 현장체험을 바탕으로

        서진환(Jin Hwan Suh),이선혜(Sun Hae Lee),황순찬(Soon Chan Hwa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관련 기관의 실무자가 정신건강문제 대상자를 발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정신보건서비스에 연계하는 개입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및 이를 통해 제안하는 개선의견을 조사함으로써, 저소득층을 위한 정신보건서비스 개선방안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사용한 초점집단 면접에는, 총 4개 그룹, 18명의 실무자(구청 민생안정TF 준사례관리자, 주민자치센터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지역사회복지관 재가담당자, 지역자활센터 실무자)가 참여하였다. 모든 면접내용은 전사하였고 질적자료분석 프로그램인 Nvivo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사회복지관련 기관의 클라이언트에게서 다양한 정신건강문제의 발생 및 열악한 환경이 관찰되고 있고 실무자들은 이들의 식별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둘째, 기관별 특성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이 경험되고 있으며, 전문기관 의뢰과정에서도 전반적인 전달체계 상의 한계 등 기관내외로 적지 않은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제시되는 실무자 의견의 상당수는 보건과 복지의 통합적 서비스 체계를 바탕으로 하는 전달체계 개선을 요구하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저소득층 정신건강서비스 개선을 위해 1차 대면자인 사회복지기관 실무자의 역량강화, 현행 지역정신보건체계 내 정신보건 서비스 대상자 및 서비스 유형 확대, 사회복지기관의 정신보건전담인력배치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social work practitioners as they attempt to serve low income clients with mental health problems, and to brainstorm directions for service improvement.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een practitioners who had been recruited from four types of agencies serving economically vulnerable population (i.e., Gu case manager, Dong social welfare officer, community welfare agency home care staff, community workfare center staff). The interview session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via Nvivo2, a computerized analysis program for qualitative date. Revealed were the following themes: (1) the prevalence of diverse mental health problems and unfavorable life situations of the clientele; (2) the burden laid upon social welfare agencies of meeting their mental health service needs; and (3) the need for a system of care to meet sufficiently the complex needs of the clientele. The authors recommended to improve the ability of practitioners as the first contact point to recognize mental health problems, include a wider spectrum of recipients and service modality into the current community mental health system, and locate mental health staffs in social welfare agencies.

      • KCI등재
      • KCI등재

        국립고궁박물관 문화상품 현황 및 디자인 제안에 관한 연구

        서진환(Jin Hwan Suh),한귀자(Gwi Ja Ha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1

        박물관은 문화유산의 보존과 계승, 국가 이미지 향상 등 그 나라의 역사, 생활상, 문화 수준 등을 국내 외 관람객에게 잘 전달 할 수 있는 대표성을 지닌 공공장소 이다. 최근에는 단순히 유물을 보존하고 전시하는 기능을 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문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립고궁박물관(國立古宮博物館,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은 조선의 황실 박물관을 계승하여 1945년 해방과 함께 현재의 명칭으로 개명하였으며, 조선왕실의 문화재 및 궁중 유물을 전시·관리하고 궁중유물의 홍보 및 사회교육, 학술도서와 자료의 수집, 출판, 관리 업무도 담당하는 공공기관이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의 왕실문화를 상징하며 궁중생활의 모습을 볼 수 있는 박물관 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상징적인 문화상품의 개발 성과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궁박물관,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의 협조를 받아 고궁박물관의 대표유물을 중심으로 문화상품을 개발, 제안함으로써 다양한 상품개발 및 대량생산의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자 하였다. 문화상품 개발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 문화상품에 대한 현황 조사 및 현재고궁박물관에서 판매되는 문화상품의 정량적인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대표유물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고궁박물관의 대표유물로 인장(Seals), 장신구, 의복, 어차 등의 주요상징물을 기준으로 하여 총 5개 아이템을 개발하였다. 위의 문화상품을 개발, 제시함으로써 대중들에게 문화상품을 통한 전통적 가치 함양과 박물관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갖게 함은 물론 마케팅 측면에서 지역 경제에 기여하는 측면도 가능 할 것이다.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NMK) endeavors to preserve, exhibit, and interpret Korean cultural heritage in a manner that befits its international scale. It also strives to grow into a world-class institution that serves the Korean people through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It is dedicated to providing extensive visitor services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envisioning a cultural multiplex of great accessibility and comfort. Upon liberation, Korea took over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Museum and renamed it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in December 1945.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lies in that it tried to restore the damaged nation`s cultural pride and to correct the false historical images of Korea.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ill be at the forefront in delivering cultural benefit to a broader and more diverse audience, and it is responsible for cultural leadership in this day. Through a variety of exchange programs with other leading museums of the world, the NMK will foster its sense of internationalism. The NMK will be proactive in promotion of Korean culture abroad as well as in attracting world audience by presenting quality exhibitions and a broad spectrum of world shows. Using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NMK will not only disseminate knowledge about our cultural heritage but also maximize the usage of the information by the museum visitors. The NMK will reinforce its public relation function to make it more accessible to the mass. It devotes itself to promotion of cultural development by preserving, researching and displaying invaluable cultural properties left by people in the past. Furthermore, we make every effort to permanently preserve cultural assets and the symbol to the Royal lifestyle of Chosun Dynast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the most representative and extensive museum in Korea. However, existing symbolic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is inadequate to deal with representing the Royal palace culture shown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upporting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NMK) and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we focused on the typical relic as the developing and suggesting cultural product, so it enhances the genuine values of cultural assets through various product development and the possibility of the mass production. From the processing of the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we investigate the existing survey and sale items by the analysis of quantitative as the typical relic. The typical relic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the seals, accessory, clothing, and vehicle of Empress etc. can be the standard 5 items can be developed concerning to the item and price, Developing and suggesting cultural product is the mass production to the marketing field which helps to the regional economy related to research of the possibility of the various product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현대미술에 나타난 대중매체의 활용성

        서진환(Suh, Jin-Hwa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8 조형디자인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everal debates on mass media and to explore the influence and meaning of mass media over contemporary art. And this study research on the inter relationship between mass media and contemporary art, accentuated on the matters of the concept of art and the changes of art through the extension of media. First, the concepts and debates up to now on mass media are addressed. Second,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starts the new question about the concept of art, and also changes the contents and expressions of visual art. Third, in the part of the extension of media, the inter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media is explored through the theories of Benjamin and Mcluhan. Fourth, the definition and properties of digital media are compared with mass media, and the change of artistic images through digital media is investigated through the theory of Flusser. In addition, some digital art works with obvious characters of digital media are exampled and explained.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언론모니터활동 모델 개발연구

        서진환(Suh, Jin Hwan),김정은(Kim, Jung Eun),이호정(Lee, Ho Jeo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4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대중매체의 부정적 보도를 통해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집단이라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정신장애인 당사자와 비당사자가 함께 대중매체의 문제성 보도를 발견하여 기자나 방송국 등에 항의문을 전달하는 ‘언론모니터활동’ 모델을 개발하여 시험적 수행을 마치고, 이를 바탕으로 수정ㆍ보완된 모델을 다시 수행함으로써 보다 체계화된 모형을 도출하였으며, 모델의 현장보급이 용이하도록 개입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국내 내용분석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성 보도 식별기준을 도출하고, 다양한 언론피해 구제제도 사용 사례분석을 통해 효과적으로 밝혀진 항의방식을 적용하여 다각적 항의활동을 수행한 결과, 언론의 사과나 정정보도, 상급기관 권고지시 등의 구체적 성과가 일부 나타났으며, 참여자들의 인식과 태도에서도 의미 있는 변화가 보고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developed from the recognition that those with mental disorder are the major victims of mass media report. Through multiple testing of the ‘media-watchdog program’, mentally disabled people and those without disorder voice complaint against the problematic report of mass media to the reporters or the broadcasting stations. Based on modification of multiple testing, a more systematic program model was developed. In addition, intervention research was applied to promote direct supply of the model to the field. Participants of the program have monitored and responded to media depictions of mental disorder using the standard to filter the media report and ways that found to be effective in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es and case studies. As a result, part of the media has corrected and apologized for their report. And most important of all, significant change in participants’ perception and attitude has been reported. Finally, tasks have been sugges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