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정부 대학평가에 대한 대학 특성별 인식 비교

        서지영(Seo, Jiyoung),서화정(Seo, Hwajoung),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구조개혁평가와 대학기본역량진단의 평가내용, 평가운영과 관련된 사항과, 정부의 대학평가 체제 정립에 있어 주요 문제로 제기되는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의 관계 설정 등에 대한 대학 특성별 인식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한 주요 논의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내용의 타당성과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진단) 지표 유지 여부에 있어서는 수도권대학과 대규모대학은 학생 충원율(신입생 충원율, 재학생 충원율), 졸업생의 취업률 등의 성과 측면에, 비수도권대학과 중규모대학은 교양교육과정, 전공교육과정, 학생 학습역량지원, 진로 및 심리상담 등 과정 측면에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다. 학생 충원율이나 졸업생 취업률의 경우에는 오롯이 대학만의 노력으로 개선하기가 쉽지 않으며, 3차례에 걸친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대학의 조직운영, 학과구조, 교육과정, 교수임용, 학사관리 등은 상당정도 평가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현재의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면서 고등교육 혁신을 위한 지표 설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평가 운영과 관련된 인식에 있어 진단지표의 타당성 제고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음에도 국·공립대학, 비수도권대학, 중규모대학은 평가의 지속 여부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진단 결과가 대학혁신지원사업과 연계되면서 일부 대학에서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등록금 동결이라는 재정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일정 정도 기여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진단 결과가 재정지원을 위한 선별 기능과 수요자의 대학 선택 정보로서의 기능 이외에 대학이 진단 결과를 스스로 확인하고 향후 대학 운영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의 관계 설정에 있어 정량지표 산출식 연계와 함께 대학의 평가 부담 완화를 위해 정량지표, 정성지표의 지표 특성을 반영한 역할 분담, 재정지원 대상 선정을 위한 선정평가와 운영 현황에 대한 성과평가로의 역할 분담 등 다양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perceptions of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and the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considered problematic in establishing the government s university evaluation system. In this study, discussions and conclusions focus on the results of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The evaluation contents, evaluation procedures, and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s and large universities ranked relatively high in terms of student recruitment rates and the employment rates of graduates, while universities in non-metropolitan areas and medium-sized universities ranked relatively high in terms of liberal arts curriculum, student learning skills, and career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In the case of student recruitment rates and the employment rates of graduates, it did not appear easy for universities to improve solely by their own mea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erly respond to the COVID-19 pandemic with governmental assistance and reset indicators for higher education innovation. Second, there was a relatively high awareness of the need for enhancing the feasibility of evaluation indicators in the evaluation process. However, the perception of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non-capital-area universities, and medium-sized universities was relatively high. This is because the financial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freezing of college tuition fees have forced universities to try to solve their financial problems through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the way universities comply with the assessment is expected to require improveme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ccreditation and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should be actively reviewed, including quantitative indicators, role sharing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indica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 KCI등재

        소비자들은 언제 온라인 리뷰를 가짜리뷰라고 지각할까?

        서지영(Seo, Jiyoung),여민선(Yeu, Minsun),이두희(Lee, Doo-Hee)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2

        소비자가 직접 작성한 온라인 리뷰는 기업에서 제공하는 정보보다 높은 신뢰를 받으며, 소비자의 구매의사 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온라인 리뷰가 기업의 중요한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기업이든 소비자든 이를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가짜리뷰(fake review)가 온라인 상에 증가하는 추세다. 소비자 리뷰에 관한 문제들이 주로 가짜리뷰에 의해 발생하고, 진실한 리뷰까지도 정보의 신뢰성을 의심하게 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온라인 상의 리뷰 진위성은 파악하기 어려워 지금까지 리뷰 플랫폼들과 연구자들이 가짜리뷰를 밝히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해왔다. 본 연구는 가짜리뷰를 발견하는 알고리즘은 정확도가 아직 낮고, 결국 가짜 리뷰를 지각하고 판단하여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것은 소비자의 몫이라는 점에 중점을 두고 수행됐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가짜리뷰라고 지각하게 되는 온라인 리뷰의 특성 중 하나인 리뷰어 과거 평점에 초점을 맞추고, 왜 이러한 특성이 리뷰의 지각된 가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했다(리뷰 품질의 매개효과). 마지막으로 리뷰어 과거 평점이 리뷰의 지각된 가짜성에 미치는 영향을 리뷰 품질이 매개하는데 있어 리뷰어 전문성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 결과, 기존 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진 해외 리뷰 플랫폼과는 다른 국내 온라인 리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리뷰어 관련 변수를 발굴 및 그 영향력을 검증했다. 또한 가짜리뷰를 발견하는 변수를 찾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이 어떤 리뷰를 가짜리뷰라고 지각하는지 규명한 초기연구라는 점에서 향후 가짜리뷰 관련 연구의 발전과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User-generated reviews are a more reliable information source than corporate provided information, and they can significantly influence consumers’ decision-making process. As online reviews are important marketing tools for companies, however, the number of fake reviews inappropriately created by consumers and companies has been growing. The increase in fake reviews has raised questions about the reliability of reviews and information provided by actual users. Sinc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deceptive online reviews, many online review platforms and researchers attempt to develop algorithms for fake review detection. However, up to now, detecting algorithms for fake reviews have less accuracy. Current research focuses on the fact that consumers are the ones who perceive the fakeness of reviews, and the fakeness perception affects subsequent decisionmaking. Including the reviewer s historical rating mea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reviewers, we identify which reviewer’s characteristics impact the perceived fakeness of review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view quality. This research also attempts to understand the moderation effect of reviewer expertise in the mediating effect of reviewer’s historical ratings on the perceived fakeness of reviews. Furthermore, in the current research, we suggested and verified the influence of reviewer-related variables provided by Korean online review platform-NaverMyPla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verseas review platforms such as Yelp, Google, and TripAdvisor. We expect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of initial research in fakeness of reviews, and it will help guide future research andmarketing strategy plans.

      • KCI등재

        기능적 전기 자극 치료가 척수 손상 사지마비 환자의 건고정술 (tenodesis grip)에 미치는 영향

        서지영(JiYoung Seo),김희수(HeeSoo Kim),유영열(YoungYoul You) 대한치료과학회 2015 대한치료과학회지 Vol.7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FES) on cervical spinal cord injury patient`s tenodesis grip, Method: Two cervical spinal cord injury patients were applied for 40 minutes one time per days, three days per week for 5 weeks and to measure hand function, Jebsen hand function test, Box & Block test were conducted, Results: Hand function was improved after the experiment than before the experiment, according to Jebsen hand function test, Box & Block test resul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achieving tenodesis grip in spinal cord injury.

      • KCI등재

        학습부진 관련 조례 분석 : 서울특별시, 경기도, 전라남도, 제주특별시 4개 지역 조례를 중심으로

        서지영(Seo Jiyoung),박영민(Park Yo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이 연구는 학습부진 대책과 기초학력 보장 정책의 근거가 되는 법령을 살펴본 후 시⋅도별 조례 분석을 통해, 관련 법규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부진 학생 대상 교수 학습 과정, 교재 개발, 프로그램 운영, 선별과 진단 검사 등이 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먼저 시⋅도별 조례들을 살펴본 후, 서울특별시, 경기도, 전라남도, 제주특별시의 학습부진 관련 조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조례의 명칭, 지원 대상 관련 개념 설정, 지원 계획의 수립과 계획 내용의 적절성, 실태조사 및 진단 검사의 언급 및 내용의 적절성, 교원의 연수, 관련 위원회 및 전담기구의 설치와 역할 등이다. 결과 분석 내용에 따른 논의로는 학습부진의 개념을 기초학력 미달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 기초학력 보장은 읽기, 쓰기, 셈하기 및 관련 교과의 필수 성취기준의 도달에의 보장을 의미한다는 점, 교재와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역시 문해력, 수리력 중심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해석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아울러 선별과 진단을 포괄하는 실태조사, 학습부진 관련 교원 연수의 필요성, 홍보, 타당도 제고 등을 언급하였다. 또한 관련 위원회와 지역 단위 전담기구 설치를 통한 지역사회와의 연계 및 시⋅도별 여건에 따른 학습부진 지원 대책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결론 학습부진, 기초학력 미달과 보장과 관련된 법규에 대한 이해는 정책의 현장 실행의 효율성 뿐만 아니라 교사의 전문성 제고와 책무성 인식에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rough analysis of laws and ordinances that are the basis for measures to prevent learning difficulties and guarantees basic academic ability, and through thi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development of textbooks, program operation, screening and diagnostic tests, etc. The purpose is to enable more effective operation in the field. Methods To this end, first, the ordinances of each city and province were reviewed, and then the ordinances related to poor learning in Seoul, Gyeonggi-do, Jeollanam-do and Jeju-do were analyzed. The analysis targets include the name of the ordinance, the establishment of concepts related to the target of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support plan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s of the plan, the relevance of the mention and contents of the fact-finding and diagnostic examination, the training of teachers, and the establishment and role of related committees and dedicated organizations. Results According to the discussion based on the analysis content, the concept of learning difficulties can be interpreted as a lack of basic academic ability. Accordingly, guaranteeing basic academic ability means guaranteeing the achievement of the required achievement standards in reading, writing, arithmetic and related subjects; It was mentioned that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extbooks and programs also need to be interpreted as focusing on literacy and numeracy skills. In addition, it mentioned the fact-finding survey that encompasses screening and diagnosis, the need for teacher training related to learning difficulties, publicity, and enhancement of validity.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nect with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related committee and a local unit in charge, and to take measures to support learning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each city and province. Conclusions Understanding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poor learning, lack of basic academic ability, and guarantee will act as important factors not only for the effectiveness of on-site implementation of policies, but also for teachers professional enhancement and awareness of accountability.

      • KCI등재

        읽기 능력 수준에 따른 읽기 동기 및 읽기 태도 분석

        서지영(Seo Jiyoung),최영미(Choi Yeongmi),박영민(Park Yo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읽기 능력 수준에 따른 읽기 동기 및 읽기 태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2학년 학생이며 2019년 6월 1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읽기 능력 검사, 읽기 동기 검사, 읽기 태도 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Python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읽기 능력 수준에 따라 읽기 동기 및 읽기 태도의 차이는 읽기 능력이 높을수록 읽기 동기, 읽기 태도가 긍정적이었으며, 읽기 능력 상, 하 집단 간 읽기 동기 및 읽기 태도의 차이는 컸다. 읽기 동기 구인 중에서는 흥미 요인이 집단 간 차이가 가장 컸으며, 읽기 태도 구인 중에서는 학습-인쇄물 요인의 집단 간 차이가 가장 컸다. 동일한 읽기 능력 수준에서의 성별 차이는 읽기 동기 및 읽기 태도 모두 여학생이 높았으며, 남녀 집단 간 차이는 중간에 해당했다. 읽기 동기 구인에서는 여학생이 모든 구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차이는 중간 내지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태도 구인에서는 학습-디지털 요인을 제외한 구인들에서 여학생이 모두 높았으며, 남녀 집단 간 차이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differences in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level of literacy The study was conducted and data collected from June 11 to November 15, 2019, as well as the ability to read, motivation, and attitude.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Python programming language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from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reading ability, the more read ability, the more read motivation, the more positive the reading attitude, and the greater the reading ability, the greater the read motivation, the lower group read attitude, and the greater the read attitude. Among reading motivation workers, interest factors were the largest among groups, and learning-printing factors were the largest among reading attitude hires. Gender differences at the same reading level were high among female students in both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attitudes, while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men and women were mid-way. In reading motivations,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high in all hires. The difference was found to be medium or small. In reading attitude recruiters, female students were all high in job openings except for learning-digital factors, and the gap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was small, the report showed.

      • 혁신생태계 관점에서 본 ‘기술기반 사회문제해결 정책사업’의 개선방향과 중점과제 :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정책사업의 프레임과 정책수단 탐색

        서지영(Jiyoung Seo),박병원(Park, Byeong-Won),김명순(Myungsoon Kim)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1 정책연구 Vol.- No.-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discussing the necessity of a policy response to climate change and aging since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in the mid-2000s. Since then, green growth under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d creative economy policies of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have also become the policy topic of solving social problems through innovation. has emerged as the goal of major innovation policies. As such, ‘social problem’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policy task in Korea’s innovation policy. In this study, 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projects for the social challenge were examined, and second,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rends, it was attempted to explore a policy frame suitable for the social challenge.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at the policy frame for the social challenge is still dependent on theoretical research on innovation policies or the results of discussions centered on European countries. Therefore, as the third task, we tried to examine the policy tools involved in operating this frame in Korea and the policy practices to implement it. The combin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s innovation policy and social problem seems to be very focused on technology development support. In many ‘social challenge’ policy projects, ‘creation of new industries through new technology development’ appears as a policy goal. In addition, social wicked problems, social transformation, and solution of social problems have almost similar policy directions and are progressing within a similar policy framework. Rather than a macro-policy frame that seeks to change the lifestyle and production method of society as a whole, the focus is on solving “local” problems. The policy frame aiming at a social challenge consists of a wide range of contents and a long-term roadmap that aims to trigger not only the structure of R&D and industry, but also changes in scientific knowledge and industrial production methods, and even changes i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itizens. There are three common problems in the application of policy measures for social challenge to the Korean political scene. First, it is pointed out that, despite the partial introduction of anticipatory policy governance through stakeholder consultation, it has not been able to deviate from the policy decision-making method by government officials over the past several years. Second, the feedback system of evaluation-planning, which revises policy project goals and strategies through policy evaluation, is weak. Third, the living lab is being actively introduced as an experimental space for social challenge, but the results of the living lab are not being accepted by the main stream of research and industry. If the policy to promote the interconnection of the social challenge is focused on expanding investment in R&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changing the support method, and promoting the linkage to commercialization, as the Korean government has done so far It will be difficult to achieve the policy goal of the social challenge. Efforts should be made to discover various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that continuously cause social problems and to chang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In addition, efforts to implement anticipatory policy planning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on the premise of assessing the social impact of innovation results.

      • KCI등재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의 쟁점과 과제 - 평가내용과 평가결과를 중심으로 -

        서지영(Seo, Jiyoung),서화정(Seo, Hwajoung),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4

        본 연구는 대학의 평가부담 완화를 위해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 각 평가의 평가범위, 정량지표와 정성지표의 평가내용, 평가결과를 비교하여 양 평가의 중복성을 확인하고 정책 제언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 모두 대학의 주요 기능 중 교육을 평가하고 있다. 양 평가의 정량지표 6개 중 교육비 환원율의 연계가 가장 적절하고, 향후 연계 지표를 지속적으로 발굴할 필요가 있으며, 정성지표는 과정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제도의 유무, 관련 조직체계, 운영 실적, 환류 체계 등의 유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양 평가의 평가결과를 비교해 보면 대학기관평가인증의 인증유예, 불인증 판정을 받은 대학과 대학기본역량진단 등에서 재정지원제한 대학의 비율과 대학의 일치 정도가 상당하다. 이상의 논의 내용을 근거로 대학의 평가부담 완화를 위해 첫째, 대학기관평가인증의 대학별 판정 결과를 활용하여 대학재정지원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방안과 둘째, 대학기관평가인증의 교육 관련 평가준거의 평가결과를 대학기본역량진단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verlap between institutional accreditation and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to ease the fatigue of evaluation by universities and to derive future policy sugges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ystem, scope of evaluation, content of evaluation, and evaluation results of institutional accreditation and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were compar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s, the following measures were proposed to link the institutional accreditation and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to ease the Fatigue of evaluation of universities. First, it is to determine whether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is possible by utilizing the results of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econd, the evaluation results of education-related evaluation criteria of institutional accreditation are used for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As there is a similarity in education-related evaluation criteria, it is to use education-related results of institutional accreditation, which visits universities in person to check the statu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