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 내 구성원의 개인-조직 가치일치성과 목표일치성이 업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

        서승호 ( Seo¸ Seungho ),김준희 ( Kim¸ Junhee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0 HRD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원의 개인-조직 가치일치성, 개인-조직 목표일치성, 상사지원인식, 업무열의 간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도권 중소기업이나 대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로부터 수집된 327부의 설문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개인-조직 가치일치성과 개인-조직 목표일치성이 업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무열의에 대한 개인-조직 가치일치성의 영향력이 개인-조직 목표일치성의 영향력보다 큰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개인-조직 가치일치성과 업무열의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는 없었다. 넷째, 개인-조직 목표일치성과 업무열의 간 관계에서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가 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HRD 관점에서 기업 구성원의 업무열의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 측면, 향후 연구 측면, 이론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employees' person-organization value congruence, person-organization goal congruence,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and work engagement.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we used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rom 327 employees working for a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or large company in the Seoul Capital Area of South Korea. We perform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As a result, we found followings: (1) the employees' person-organization value congruence and person-organization goal congruence had positive impacts on work engagement; (2) the impact of employees' person-organization value congruence on work engagement was greater than that of person-organization goal congruence; (3) the employee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organization value congruence and work engagement; and (4) the employee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had a positive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organization goal congruence and work engagement.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d implications for practice, research, and theory building in the work engagement area for the HRD field.

      •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인식 시스템 연구

        서승호(Seungho Seo),이긍해(Keung Hae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위치 인식 시스템에 대해서 제안한다. 많은 연구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법과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특정 환경이나 시나리오에 초점을 맞추어서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들이 필요로 하는 위치정보를 구분하고 IrDA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위치 인식 시스템의 설치 및 관리에 필요한 기능에 대하여 논한다.

      • IrDA의 통신 특성을 이용한 위치인식 시스템

        서승호(Seungho Seo),이긍해(Keung Hae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사용자의 환경정보(context)는 기존 서비스나 정보 검색을 효과적으로 하기위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정보중의 사용자 위치정보는 많은 어플리케이션이나 연구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미 많은 연구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한 방법을 제안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특정 환경기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개발해서 다양한 위치정보를 필요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의 Line of Sight 통신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위치인식 시스템의 유효성을 보여주기 위한 방법으로 “박물정보 제공 서비스”를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하였다.

      • KCI등재

        가치차원이 국사교과서 근현대사 긍정서술지향과 국정화 찬성에 미치는 영향

        서승호 ( Seo Seungho ),여경환 ( Yeo Kyunghwa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2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사회적 논쟁거리가 되어 온 국사교과서 문제의 쟁점에 대해 그 원인으로 가치차원을 상정하고 그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총248명의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Hofstede의 5가지 가치차원이 국사교과서 근현대사에 대한 긍정적 서술 지향 및 국사교과서 국정화 찬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매개회귀분석을 통해 근현대사 긍정서술지향의 매개효과 또한 부가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집단주의와 남성성이 근현대사 긍정서술지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과서 국정화 찬성에 대해서는 집단주의만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근현대사 긍정서술지향은 집단주의와 국정교과서 찬성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집단주의 성향이 국사교과서 관련 논쟁점의 핵심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value dimensions on positive orientation toward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state-authored textbook. Valid and reliable self-report evaluation measures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248 workers in South Korea. Analytic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esults revealed that collectivism and masculinity had an positive effect on positive orientation toward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Collectivism had a positive effect on state-authored textbook. The results show that collectivism is a important factor for the contents and perception Korean history. Additionally positive orientation toward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ism and state-authored textbook.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의 가치관과 초등학생 자녀의 역사체험교육 참여 여부 간의 상관관계 분석

        서승호 ( Seo Seungh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6

        본 연구는 자녀의 역사체험교육, 즉 박물관 학습, 지역 유적지 답사 학습, 주제 중심 학습의 참여 정도가 부모의 가치관에 따라 다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초등학생 부모를 대상으로 468명의 데이터로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먼저 역사체험교육에 참여한 자녀의 부모는 그렇지 않은 부모에 비해 현대적 가치관의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박물관 역사체험교육에 참여한 자녀의 부모도 그렇지 않은 부모에 비해 현대적 가치관의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적지 답사 및 주제중심 학습교육의 경우에는 참여 여부에 따라 부모의 전통적 가치관 및 현대적 가치관의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역사체험교육 그 중에서도 박물관 체험교육이 부모의 현대적 가치관과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대적 가치관 성향이 높은 학부모가 역사체험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역사체험교육이라 할지라도 그 유형에 따라 부모의 가치관이 다를 수 있음을 발견한 것은 의미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arents’ value on the participation of history experience learning. Parents’ values were classified into modern values and traditional values. Parents were asked of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of history experience program including museum experience learning, historic sites exploration, and historic experience learning focused on theme. Data were obtained from 468 parents in South Korea and analysed through independent t-test. The result first showed that parent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history experience learning significantly have high levels of modern values compared to the one who didn’t participated in historic experience program. Second, parents who participated in museum experience learning also high modern values compared to the one who didn’t. In contras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modern values and traditional values between parents who participated in historic sites exploration, and historic experience learning focused on theme and the one who didn’t. The results imply that schools need to endeavor to reflect the modern value in historic experience learning.

      • KCI등재

        Personal Kiosk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 모델

        박정규(Jeongkyu Park),서승호(Seungho Seo),김양남(Yangnam Kim),이긍해(Keung Hae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2 No.3

        컴퓨팅 서비스가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해결해야하는 문제 중 하나는 다양한 특성의 서비스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관리하느냐는 점이다. 기존에 제안된 유비쿼터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특정 종류의 서비스만을 지원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상황과 서비스의 관계 표현 방법이 복잡해 다양한 사용자가 생활하는 복잡한 공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Personal Kiosk (PK) 모델을 제안한다. PK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유용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목표로 하는 유비쿼터스 서비스 모델이다. 현재 단계의 PK는 로컬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로컬지역에 PK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실내에서의 정밀한 위치인식기법과 효과적인 서비스 발견기법을 설명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위치, 권한, 시간정보를 이용해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PK 모델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소모되는 사용자의 노력과 시간을 크게 감소시켜 보다 편리한 모바일 서비스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한다. Last few years have seen a rapid increase in research on ubiquitous computing. Ubiquitous computing is often touted as a technology that will make computing available to the user anywhere and anytime. One important problem to be addressed in building such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is how to manage services and deliver them to the user in an effective manner. This paper presents our model called Personal Kiosk(PK) as a way of solving the problem. PK is a model of ubiquitous service provisioning that enables the user to use desired services anytime and anywher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PK in the "Local Area" setting with related technical issues are also presented. A location-sensing technique for indoor users and a personalized service provisioning based on user location and privileges are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밀레니얼세대의 직업가치가 첫 직장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 - 개인-직무적합성과 일자리만족의 연속매개효과 -

        최지현(Choi, Jeehyun),서승호(Seo, Seungho)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4

        본 연구는 밀레니얼세대의 높은 퇴사율과 1년 이내 조직퇴직률의 사회적 문제를 배경으로 밀레니얼세대의 근속기간을 늘리기 위한 방안을 HRD 관점에서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의 가장 최근 자료인 2019년(GOMS 2018) 자료에서 밀레니얼세대(1985년-1995년생)의 정규직 1,977명의 응답값을 활용하여 직업가치(내재적/외재적), 개인-직무적합성, 일자리만족, 첫 직장 근속기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만이 일자리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와 일자리만족의 관계에서만 개인-직무적합성이 매개하였다. 셋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와 외재적 직업가치는 첫 직장 근속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 및 외재적 직업가치와 첫 직장 근속기간의 관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은 매개하지 않았다. 다섯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와 첫 직장 근속기간의 관계에서만 일자리만족이 매개하였다. 여섯째, 밀레니얼세대의 내재적 직업가치와 첫 직장 근속기간의 관계에서만 개인-직무적합성 및 일자리만족이 연속매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HRD 관점에서 밀레니얼세대 구성원의 근속기간을 늘리기 위한 이론적 및 실천적 시사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in order to increase millennials’s tenure from the perspective of HRD with the background that social problems of the high turnover rate of millennials and the organizational retirement rate within one year. We used the secondary data set of 2019 (GOMS 2018), the most recent data of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 used 1,977 responses of full-time millennials (born 1985-1995)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value (intrinsic/extrinsic), person-job fit, job satisfaction, and the first tenur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ly the intrinsic work value of millennial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person-job fit mediat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work value and job satisfaction of millennials; third,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of millennial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first tenure; fourth, person-job fit did not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of millennials and their first tenure; fifth, job satisfaction mediat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insic work value of millennials and their first tenure; sixth, personal-job fit and job satisfaction serially mediat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insic work value of millennials and their first tenu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ovided implication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of HRD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