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블록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공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성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lock Activity to conflicted situation o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nd spatial abilit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xamined: First, how does Block Activity to conflicted situation affect young children's self-concept? Second, how does Block Activity affect young children's spatial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young children who were at three different classes of W Kindergarten in Jeon-Ju, Jeon-buk. They were four years old in American age, and all the children in the three class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hich included 12 boy children and 8 girl children each.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gaged in Block Activity which is made by the researcher. The control group was not told to perform Block Activity, and they were made to play Block during their free tim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15 times repetitively for fifteen weeks, three times a week. The instrument which was used to evaluate the self-concept of the young children in pretest and post-test was modified Self-concept Test originally made by Lee Hyun Kyong(2004). Also Hong Hye Kyong(2001b)'s Spatial Ability Test on young children was modified and utilized to assess their Spatial ability. When the pretest was conducted to see if the two groups were equivalent, they were considered equivalent since there appeared no significant intergroup gaps in self-concept and Spatial ability.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Block Activity on their self-concept and Spatial Abil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and t-test was also used. The brief findings of the experiment and as follows: First, in self-concept, the experimental group made significant progress than the control group. In subcategories such as 'emotional self-concept' and 'social self-concept', 'physical self-concept',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xtreme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cognitive self-concept', but their gap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 in spatial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Block Activity also made more significant progress than the control group. In subcategories such as spatial inference, figure-and-ground perception, the visual memory and recall, spatial perception, location within the space perception better scores than the latter.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eye-motor coordination, but their gap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Block Activity is an effective tool for young children to develop their self-concept and spatial abil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Block Activity was a meaningful teaching method that improved children's self-concept and spatial ability, which was applicable to preschool education.

      •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 대상 Satir 변형체계치료모델 적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서성희 전남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Satir 변형체계치료모델 적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유능감, 일치성,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부모 역할을 돕고, 아동 정신건강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신간호 중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9월 10일부터 12월 14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자는 G시 소재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어머니 36명(실험군은 18명, 대조군 18명) 이었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인 Satir 변형체계치료모델 적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김영애 가족치료연구소’에서 개발한 부모역할 훈련프로그램(김영애, 2005)을 근거로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유능감, 일치성 및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est, 왜도와 첨도 및 t-test 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 “Satir 변형체계치료모델 적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긍정적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가 되었다(t = -2.485, p = .018). 2. 제 2 가설: “Satir 변형체계치료모델 적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부정적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지지가 되었다(t = 2.892, p = .007). 3. 제 3 가설: “Satir 변형체계치료모델 적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부모유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가 되었다(t = -2.364, p = .024). 4. 제 4 가설: “Satir 변형체계치료모델 적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일치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가 되었다(t = -2.235, p = .032). 가. 부가설 4-1: “Satir 변형체계치료모델 적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대인간 차원 일치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가 되었다(t = -2.261, p = .030). 나. 부가설 4-2: “Satir 변형체계치료모델 적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심리 내적 차원 일치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가 되었다(t = -2.078, p = .045). 다. 부가설 4-3: “Satir 변형체계치료모델 적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영성 차원 일치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가 되었다(t = -2.352, p = .025). 5. 제 5 가설: “Satir 변형체계치료모델 적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아존중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가 되었다(t = -3.885, p = .001).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Satir 변형체계치료모델 적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유능감, 일치성 및 자아존중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Satir 변형체계치료모델 적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부모 역할을 도와 아동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정신간호 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성취목표지향성, 학습전략 및 학습 몰입의 구조적 관계

        서성희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습자들은 학습을 하는 저마다의 이유와 목표를 갖고 학습에 참여하며 학습 내용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학습 전략을 사용한다. 학습에 임한 동기와 수업시간에 사용하는 학습 전략 양상은 배우는 것 자체가 목적이 되는 즐거운 상태, 즉 얼마나 학습에 몰입하는지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교육자라면 학습자가 학습에 즐겁게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긍정적인 동기를 촉진하는 것과 어떻게 효과적으로 학습 내용을 기억하게 할지 학습전략을 모색하는 일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학습 동기 이론 중에서도 성취목표지향성은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동기요인으로 학습자가 왜 학습하려 하는지, 어떤 목표로 학습에 임하는지 구체적으로 밝힌다. 학습전략은 인지적 정보처리와 관련된 것으로 여러 가지 학습 전략을 통해 학습 내용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진행되는 인지적 정보처리 과정이 학습 몰입을 유도하게 된다. 몰입이란 대단히 즐거운 심리적 상태로 완전히 그 일에 빠져있는 것으로 학업 상황에서 몰입을 경험하는 학습자는 다른 외부적 요인이 없어도 과제를 수행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즐거운 감정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성취목표지향성, 학습전략 및 학습 몰입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습 변인으로 그동안 이 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학습 전략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해서 초등학교 보다는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는데, 이는 어느 정도 인지적 능력을 갖춘 학습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초등학교도 중, 고등학교와 같이 다양한 학습전략을 적용할 수 있는 교과들이 존재하고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도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몰입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또한 저마다 다른 성취목표를 갖출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성취목표지향성, 학습전략 및 학습몰입의 구조적 관계가 성별 및 학년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 검증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취목표지향성, 학습전략 및 학습몰입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성취목표지향성, 학습전략 및 학습몰입의 구조적 모형은 집단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6 학년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 561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성취목표지향성, 학습전략 및 학습몰입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우선적으로 각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성을 살펴 본 뒤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자료 및 상관관계 결과를 토대로 학습전략이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몰입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한다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적합도 지수를 토대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였고,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렴타당도, 집중타당도를 살펴보았다. 모형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확보한 후, Sobel test로 학습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몰입에 주는 영향에서 학습전략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별 하위 학습전략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갖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전략을 표면적 전략, 심층적 전략, 메타인지 전략, 자원관리 전략으로 나누어 각 전략별 매개효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구조적 관계가 집단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성별, 학년으로 집단을 나누었다. 동일한 변수의 집단 간 비교를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 학년 집단 모두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 요인 분산 동일성이 확보되어 집단 간 변수의 유의미한 비교가 가능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이 상이한 집단에서도 공통적으로 적용되는지 타당성을 밝히고자 경로계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집단 간 등가제약을 통한 경로 동일성 검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지향성은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학습전략을 매개로 하여 학습몰입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어 학습전략은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몰입을 부분적으로 매개한다. 둘째, 하위 학습 전략 중 표면적 학습전략은 수행접근목표 학습자가 학습몰입을 하는데 매개효과가 크고, 메타인지 전략과 자원관리 전략은 숙달접근목표 성향의 학습자들이 학습을 몰입하게 하게 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셋째, 남녀 집단 간 성취지향목표와 학습전략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 집단만 숙달접근목표가 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수행접근목표가 학습전략에 보다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수행회피목표는 남학생 집단만 학습전략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학습전략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면 여학생 집단만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넷째, 학년별로 성취지향목표와 학습전략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6학년 집단만 숙달접근목표가 학습전략과 인지 및 정의적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수행접근목표는 인지 몰입에는 부정적 영향을 주었으나 정의 몰입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수행회피목표는 인지 및 정의적 몰입 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성 및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학습자는 숙달접근목표를 가장 많이 지향하며 표면적 학습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현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현주소를 토대로 교육적으로 어떻게 처방해야 하는지 출발점을 분석한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학습전략을 매개로 하여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모형이 성별, 학년 집단과 관계없이 적용된다는 것을 밝혀 학습전략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학습전략을 적극적으로 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다양한 학습전략을 지도해야 한다.또한 성취목표지향성 변인이 학습전략 및 학습몰입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었기에 교사들은 학생들이 바람직한 성취목표를 기를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집단별로 구조적 모형은 동일하게 성립되었으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 전략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집단마다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여 성별, 학년을 고려하여 교육적으로 다르게 개입할 필요성을 드러냈다는 것에서 의의를 갖는다. Learners Participate in learning to have the each of various reasons and goals that to learning, In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learning content, use the variety of learning strategies. Motivation of engage in learning and Learning strategy aspect that used in the class affect, the learning itself that can be a purpose of pleasant state, how much immersed in learning. Therefore, If you are educators, you can only interest in promoting the positive motivation to induce to participate in learning joyfully and seeking the learning strategy that how can I make effectively learners' remembering what learning content. Among the learning motivation theory, as the being actively studied motivational factors recentl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ppear specifically that why learner want to learn, which goals have. Study tha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rom Learner affect the their learning strategies has been actively proceeding, Learners with mastery goals use the variety and effective learning strategy compared to Learners with performance goals. Through a variety of learning strategies, The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that progress in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learning content can induce the learning immersion. As Immersion is a very pleasure psychological state and totally fall in the work, In the learning situation, Learners to experience Immersion feel a pleasant feeling just to perform assignments itself without any other external factors. Like thi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Immersion are learning points that related to each other closely, Meanwhile, the research has been in progress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But, In regard to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there are a lot of study for the middle school, high school students and adults rather than elementary school, This seems to be specified as an object of study who Learners have some of cognitive ability. But like a middle school and a high school, an elementary school has subject that can apply multiple learning strategies, and elementary senior students have an ability to be immersed in what they like. Also each student is exposed in the environment to set different achievement goal, therefore we are going to proceed the study targeting elementary senior students. We are going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model by verifying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flow can be generally applied to all students regardless of gender and grade. We set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to achieve the goal in this study. <Study Problem 1> How ab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concentration? <Study Problem 2> is the structural model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flow applied in common regardless of the group? To verify the above study problem, a questionnaire are distributed for Seoul, Gyeonggi whereabou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5-6, total of 561 were used in the study analysis except the insincerity response. To investigate the first study problem is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immersion, Preferentially after investigating the general trend of each factors,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data and correlation results, The study model was set up that Learning strategies ar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Immersion.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study model, Suitability was determined based on the fit index, an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study model We examined the convergent validity, concentrating validity. After ensuring the suitability and feasibility of the mode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ed effectiveness of learning strategies by Sobel test, It revealed that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s partially mediating effect in effect of the learning immersion. More specifically, To find out mediating effect as each sub learning strategies, learning strategies divided on the surface strategy, in-depth strategy, metacognitive strategy,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and It was able to look at mediating effects of each strategy. We divided the group by gender and grade to investigate whether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he second research problem, is applied in common regardless of the group. For comparisons between groups of the same factors, The prospective average analysis was performed, as the all group of Gender, grade and teachers are secured the Form consistency, the measurement consistency, Section consistency and dispersion factors consistency, It can possible a meaningful comparison of the factors between the groups. Also we examined whether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 by conducting path invariance validation through cross-group equality constraints to reveal the validity whether the model set in this study is commonly applied to different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ffects the learning immersion directly and Indirectly as mediating the learning strategies, so Learning strategy is partially mediated in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immersion. Second, Surface learning strategies of Sub-learning strategies have large mediated effects for learning immersion to perform access goals learners,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are large impact to Learners of Mastery access goal tendency for immersion to learning.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tent of influence tha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strategy affect to learning flow between both men and women groups, Only girl group impact largely the mastery access goal. on learning strategies, the boy group impact largely the perform access goals on learning strategies than girl group. Performance avoidance goals affect the negative impact to only boy groups on learning strategies, Looking at the route of learning immersion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Only Girl group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tent of influence tha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strategy affect to learning flow between both 5 Grade and 6 Grade groups, Only 6 Grade groups affect positive impact on learning strategies and cognitive & definitional immersion to groups mastery access goal, the perform access goal affect negative impact to cognition, but positive impact to immersion. In addition, performance avoidance goal had a negative impact on both cognitive and definitional immersion.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ze of each factor’s general tendency and correlation, we revealed that elementary senior learners are most aimed at mastery goal and use superficial learning strategies the most. It means that we analyzed the starting point that how prescribe educationally based on current circumstances of elementary senior students in present, mediated by learning strategy set in this study. Also w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strategy revealing that the structural model tha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ffects on learning flow is applied regardless of gender and grade groups. Therefore, teachers should educate various learning strategies specifically so that students can use them in learning. In addition, teache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develop beneficial achievement goal because the factor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brought meaningful effect to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flow. Moreover, it is meaningful in the point of that it checked influenc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strategy is different though the structural model of each group come into same, and it discovered the necessity to be involved differently in education regarding gender and grade.

      • 예술사회학 관점에서 본 미술전시의 관람자 연구 : Pierre Bourdieu 이론을 중심으로

        서성희 세종대학교 언론홍보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예술은 사회과학, 대중문화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엘리트예술의 활동에서 벗어나 대중과 상호 소통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그 형식이나 내용의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현대예술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인식의 출현, 특히 예술이 고립된 예술가의 활동이라는 관점과는 달리 예술 활동도 많은 사람들이 관련된 사회적 활동이라는 관점의 출현은 예술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과는 다른 예술사회의 구조, 문화측면의 사회학적 접근의 연구 필요성을 느낀다. 본 연구는 예술의 사회성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방향 중 미적 취향을 실천하는 관람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사회구조로 파악된 관람자를 탐색해 보았다. 이에 부르디외는 예술사회학을 구조와 기능의 차원에서 구조와 행위의 관계를 설명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어 본 연구의 적용에 적절하리라 생각한다. 통계적 방법으로 경험적인 연구를 시도한 구별짓기의 과정은 관람객의 잠재된 미적 취향이나 예술접근에 이르기까지 선호는 순간적인 감흥이 아닌 사회계층별로 육화된 결과이며 또한 우리에게 지극히 개인적인 선택의 영역으로 인식해 왔던 일상 생활의 다양한 예술적 실천과 취향들의 많은 부분들이 사회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을 부르디외 예술론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술과 대중과의 매개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전시장의 관람객이 문화실천의 행위를 하기까지, 즉 관람자가 미술전시를 관람하는 구조적 요인인 문화 자본을 획득함에 있어 어떠한 사회적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지 그 경제자본과 학력 자본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사회적 구조로 파악된 관람자의 문화자본이 문화실천으로 연결되고 있는 상관성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나아가 다양한 측면의 관람자 연구로 대중의 미술전시 접근과, 문화인프라 구축 유도를 기대한다. Nowadays, arts get away from the activity of elite arts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l science and mass culture and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have a remarkable tendency to communicate with the masses and experience many changes in terms of their form and content. The emergence of this new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s, especially the emergence of the perspective that artistic activity unlike the perspective that arts are an isolated activity of an artist. cause people to feel the need for investigation from a sociological approach in terms of the structure and culture of other artistic communities unlike the human-science approach to art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spectator identified as the social structure by adopting the spectator practicing an aesthetic taste in the direction for design investigation of the sociality of arts. Therefore, Bourdieu took a position of explaining the relations between structure and action of artistic sociology at the dimension of structure and function, and it was thought that it was proper to its application to this study. In the process of distinction attempting an empirical study in a statistical way, preference is the result of incarnation in social strata, not momentary impression including the aesthetic taste inherent in the audience or artistic approach. And it could be found through Bourdieu's artistic theory that many parts of diverse artistic practice and tastes of the daily life recognized as the domain of extremely individual choice are socially determined. This study attempted to conduct the questionnaire research to explore the effect of its economic capital and academic capital as well as the role of the social structure in obtaining cultural capital, the structural factor that the audience watches painting exhibition, the process of cultural practice of the audience at the exhibition that performs a mediating role between art and the masses.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udience's cultural capital identified as this social structure and cultural practice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masses will approach the painting exhibition and induce the construction of cultural infrastructure through the research on the spectator from diverse aspects.

      • 유아교육 기관에서 만 3-5세 유아의 초기적응 양상

        서성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young children’s early adaptation behaviors for 20 weeks in order to analyze what changes young children aged 3-5 show as time passes after young children ente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s time passed after young children entered such institutions, the study conducted survival analysis on changes in early adaptation, changes by adaptation areas (interpersonal relations, free choice activities, and basic life habits), and relationships between early adaptation and individual variables (age, gender, and temperament), family variables (sibling status, mothers’ employment, and parenting attitudes), 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variables (institution types) as the factors which affect young children’s early adaptation start time. The subjects were 244 young children of age 3-5 at 4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J Province. Young children’s early adaptation behaviors have been recorded in ‘Early Adaptation Behavior List Observation Record’ for 20 weeks after entering institutions. This study performed survival analysis using its questionnaire on young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as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young children’s early adaptation showed its large changes until 12 weeks after entering institutions, whereas it showed its small changes during 13-20 weeks after entering institutions. Overall, 50% of young children were adapted after 6 weeks. In contrast, about 30% of young children (75 persons) were not adapted until 9 weeks after entering institutions, and about 10% of young children were not adapted even until 14 weeks after entering institutions. In adaptation areas, free choice activitie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basic life habits showed faster adaptation in order. In young children’s individual variables as the factors which affect young children’s early adaptation start time, Age 5, age 4, and age 3 showed faster adaptation in order, so that they showed faster adaptation if their age was older. In gender, female young children showed quicker adaptation. In age. age 5 in both male and female young children showed quicker adaptation. In temperament types, if adaptability was higher, early adaptation was faster. In family variables, if young children had their siblings or young children’s mother was employed, young children’s early adaptation was better. In parenting attitudes, if affection as emotional expression and encouragement as achievement stimulus were higher, early adaptation was better. In institution types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variables, 1 young child (1.1%) showed maladaptation at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whereas 5 young children (3.3%) showed maladaptation at private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re confirmed through survival analysis, which observed young children’s early adaptation behaviors for 20 weeks, and so examined young children’s entire changes in early adaptation, and then analyzed relationships between early adaptation and individual variables (age, gender, and temperament), family variables (sibling status, mothers’ employment, and parenting attitudes) 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variables (institution types) as the factors which affect young children’s early adaptation start time, so that it is meaningful to fi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individual changes and provide information useful for young children’s early adaptation by comparing diverse variables related to early adaptation. These research results can substantially help parents and teachers to guide young children’s early adaptation. It is valuable that the study implies that young children’s early adaptation can be changed as time passes for 20 weeks after young children ente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팀장의 리더십 유형과 팀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서성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 기업에서 운영되고 있는 팀제라는 조직 구조하에서 팀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요구되는 팀장의 리더십 유형 및 팀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팀 효과성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팀 운영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있다. 팀의 효과를 좌우하는 여러 요인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팀장의 리더십이다. 팀장의 리더십이 팀의 성과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들은 팀과 리더십, 그리고 팀제의 효과성에 대한 적절한 인식 부족으로 팀장의 팀 리더십을 효과적으로 육성해오지 못했다. 또한 팀의 효과성에 초점을 맞춘 팀 리더십의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도 아직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 항공사' 객실 승무 조직의 효과적인 리더십 유형에 대한 연구와 함께, 팀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팀 구성원의 가치관 분석이 수반될 때 팀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팀장의 리더십 발휘가 가능하다고 보고, 팀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팀 구성원의 가치관이 팀장의 리더십과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토대로 다음 5 개의 연구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팀장의 리더십 유형, 팀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팀 구성원의 가치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팀장의 리더십 유형은 팀 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팀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팀 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팀장의 리더십 유형과 팀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팀 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팀 구성원의 가치관은 팀장의 리더십 유형과 팀 효과성간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팀 구성원의 특성이 팀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가치관, 연령, 직책, 성별, 기혼여부, 근속 연수 등 팀 구성원의 다양한 특성들을 파악함에 따라 단기간에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충분한 노력이 주어진다면 큰 효과를 올릴 수 있는 요인들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팀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팀 구성원 파악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팀장의 리더십 유형은 변혁적 리더십은 물론 거래적 리더십도 팀 효과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볼수 있다. 이는 팀장이 보다 다양한 리더십을 개발하여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근거를 시사해 주고 있다. 셋째, 팀장이 발휘하는 변혁적 리더십의 카리스마가 높을수록 팀 몰입도는 높으나 팀 생산성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즉 변혁적 리더십의 모든 요소가 팀 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과도한 팀장의 카리스마는 오히려 팀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을 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즉, 단순한 리더십의 강화보다는 유형별 리더십의 개발이 보다 더 팀 효과성을 증대 시키는 중요한 방법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넷째, 팀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매체의 유형이나 대상 범위가 집적적이고 소집단을 이용한 발생회수가 많을 때 팀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팀내 커뮤니케이션의 발생회수가 많을수록 팀의 효과성이 증대 됨에 따라 팀장은 팀내 커뮤니케이션 관리를 통한 팀 효과성 증대를 위해 노력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다섯째, 구세대 가치관을 가진 팀 구성원이 신세대 가치관을 가진 팀 구성원보다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모두 팀 효과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구세대 가치관을 가진 팀 구성원 대부분 팀내 직책이 높거나 근무 경험이 많은 파트 리더들임을 감안해 볼 때 팀장이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이들의 역할 비중이 높다는 것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구세대 가치관을 가진 팀 구성원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해야 함은 물론, 팀 구성원들이 어떠한 가치관을 소유하고 있는지에 따라 리더는 이들의 생각에 부합되는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근거를 시사해 주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두 가지 모두 팀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팀장들이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두 가지 모두를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팀장의 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변혁적 리더십은 물론 거래적 리더십을 팀원들에게 효과적으로 발휘해 줄 수 있도록 해주는 팀제 환경에 대한 지원 시스템의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급속한 외부 환경 변화와 팀 구성원들의 인식 변화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 하기 위해 그리고 성공적인 팀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팀 구성원들의 가치관, 열망, 동기 등을 파악하여 이들의 특성을 살리면서 융화될 수 있는 면모를 다질 수 있도록 그에 따른 팀장의 효과적인 리더십 유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정보화 시대에 요구되는 새로운 리더십 패러다임 속에서 팀내에는 팀 구성원의 자질에 따라 컴퓨터 네트워크 중심의 팀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함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을 사용하며 그들 커뮤니케이션 방법 상호간에 갈등과 균형이 함께 공존하고 있다. 팀 커뮤니케이션의 활용은 팀조직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하부구조로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은 팀의 나아갈 방향을 원조해준다. 즉, 팀 내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은 팀이 보다 협력적이고 생산적인 일에 몰입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도록 해주므로 조직내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팀장의 리더십의 능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수단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본 연구는 'K 항공사'에만 국한 되었지만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른 항공사들을 포함한 확장된 연구가 시도되어져야 한다. 세계 유수 항공사와의 무한 경쟁의 양상은 급속도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항공업계에서의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조직 개개인의 잠재력은 물론, 조직 개발, 팀장의 리더십 개발 등 인적 자원의 개발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특히 고객유치 및 노선 확충을 위한 항공사간의 글로벌 얼라이언스 체제하에 'K 항공사'의 정통한 객실 서비스 품질 구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매진하는 현상황에서는 선진 항공사와의 인적 자원의 개발에 대한 비교 분석이 더욱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다섯째, 리더십에 있어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리더십과 팀 효과성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팀 효과성에 차이를 보이는 다양한 리더십의 연구로 인해 효과적인 팀제 운영을 위한 팀장의 리더십 유형을 찾는 노력은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팀제 운영이 지속 되어가는 한, 팀 조직의 발전 단계에 따른 교육 훈련의 내용이나 방법 등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통하여 팀 조직의 효과성 극대화를 위해 적합한 팀장의 리더십 교육이나 팀 단위의 교육훈련 모델이 개발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eam system, a new leadership form aiming at the reform of management and organization, was introduced and run in our country, and to make an experimental analysis of how a team leader's leadership affected the team effectiveness. By exploring the leadership effect, it's intended to look for a way to use the team system, team leadership and team communication more successfully in business sector. The most essential of the factors controlling the team effectiveness is the team leadership. It absolutely affects the team effectiveness. In spite of its influence, almost all companies have not effectively fostered team leadership, owing to the lack of exact understanding of the team, the team leadership and the team effectiveness. There is not enough systematic research in this fiel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pose ways to properly develop team leadership and team effectiveness for 'K' airline's cabin attendant department. This study treated team communication and members' value as important factors effecting team effectiveness.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goal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5 subjects were derived. First, how would team leadership style, team communication methods and team members' value differ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how would team leadership style influence the team effectiveness ? Third, how would team communication methods influence the team effectiveness ? Fourth, how would team leadership style and team communication methods influence the team effectiveness ? Fifth, how would team leadership style and team effectiveness influence depending on their value ?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cas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point out that the team members' attributes have stronger influence on the team effectiveness. It is not that we can succe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taking advantages of the team members' attributes such as value, age, position, gender, marriage and experience, however, certainly they bring some positive effects. Therefore, in order to run an effective team, the team leader should do a good job in understanding the team members. Second, the team leader's leadership style influences not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also transactional leadership. This reveals that the team leader should develop many kinds of leadership styles to make the team effective. Third, as the team leader demonstrates the charisma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commitment becomes higher. On the other hand, team productivity becomes lower. All factors of transactional leadership can not affect the team effectiveness. Strong charisma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team productivity. It i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method to enhance team effectiv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leadership styles than the reinforcement of simple leadership. Fourth, team communication methods give much influence on the team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load of direct and focused communication methods. The communication load is found to act on the team effectiveness. This reveals that the team leader should make an effort to control the team communic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team effectiveness. Finally, it proves the facts that the old generation has more influenced than the new generation by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lmost all of the old generation have high positions, they are well-experienced part leaders. We can assume they have core positions on the team leadership. Therefore, especially for the old generation, team leader should display effectively not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also transactional leadership. Also, this reveals that team leader should show the effective leadership according to team members' valu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ut forwards. First, the team leader's leadership style gives much influence on not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also transactional leadership. So,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bout the objective and definite methods in which a team leader can display not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also transactional leadership to his/her team member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system about team-based organization's environment in which a team leader can expert not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also transactional leadership to his/her team members in order to enhance the team leader's performance. Second, to flexibly and speedily cope with rapid changes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understanding of team members, to set up the effective team,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eam leader's effective leadership style in which he/she should understand team members' value, desire, motivation and cheer up and harmonize their features. Third, a new leadership paradigm is required in the information era. There are simultaneously conflict and harmony among team communication methods. They use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computer networking depending on members' competence. Using team communication is a basis in the running of an effective team. Effective communication can support the goal of team. The communication methods in an organization should create a job environment that promotes team cooperation and commitment , so it should developed as an effective tool to maximize team leader's leadership and performance. Fourth, this study is limited to 'K' Airline company but it is hoped that it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on other diverse airline companies. Unlimited competition among the advanced airlines causes rapid changes. In the airline industry, an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 power, requir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such as members' potentiality, organization systems and team leader's leadership. Especially, it is required the comparable analysi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mong advanced airlines. Because 'K' Airline company is striving for the excellent cabin service and the enhancement of the competitiveness under the current atmosphere of Global Alliances. Fifth, for team leadership, it is required that we research the relation between various leadership styles for team effectiveness. Since the various leadership styles effect on the team effectiveness, it is very meaningful for the effort of searching for the team leader's leadership style for the effective run of the team system. Finally, as long as the team system continues,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o maximize the team effectiveness through continued study of the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with respect to team systems.

      • 電子製品 生産 工程을 通한 基礎電子實習

        서성희 嶺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전자기초실습을 멀티미디어를 통하여 학습 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기초전자실습은 공업계 고등학교 전자관련학과에서 배우는 가장 기본 교과목이다. 「CD로 배우는 전자여행」이라는 제목의 CD-title로 제작되어져 있으며 공업계 전자와 전기 관련 학과 학생들이 멀티미디어를 통해서 기초전자분야를 학습할 수 있도록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전자소자와 반도체의 생산공정 등을 그림과 동영상을 보면서 집적회로의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각종학습에서는 애니메이션과 캐릭터를 도입하여 학습자에게 친근감을 주어 편안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is paper explains the program that is developed for learning 「Basic Exercise for Electronics」, which is the most basic subject for the students of electronics-department in technical high schools. The program named for 「Electronics Studying Trip through CD」 is made in the form of CD-Title and designed for studying basic electronics through multi-media. Of course, it is useful for students studying not only electronics but also electrics. With the program, students can understand the principle of integrated circuit more clearly by seeing still or moving pictures of the electronic elements, the production process of semi-conductors, etc. In addition, students can also have more comfortable training with animations and characters that the program off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