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eigs` 증후군과 경화복막염을 동반한 양측성 난소섬유난포막증

        지용일 ( Yong Il Ji ),서미원 ( Mee Won Seo ),한은미 ( Eun Mee Han ),김대연 ( Dae Yeon Kim ),대식 ( Dae Sil Suh ),김종혁 ( Jong Hyeok Kim ),김용만 ( Yong Man Kim ),김영탁 ( Young Tak Kim ),남주현 ( Joo Hyun Na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7

        Fibrothecoma is mesenchymal tumor deriving from the ovarian stroma composed of theca-like elements and fibrous tissues. Fibroma is rarely associated with Meigs` syndrome which consists of an ovarian fibroma, ascites, and pleural effusion. And also, sclerosing peritonitis associated with thecoma of the ovary is a rare, but intriguing phenomenon characterized by striking peritoneal reactive fibrosis.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Meigs` syndrome and sclerosing peritonitis associated with fibrothecoma of the bilateral ovaries in a 57-year-old woman. We report a case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만삭 임신 산모에서 분만 진통 유무에 따른 transglutaminase 2의 발현 양상

        김옥경 ( Ok Kyoung Kim ),김아리 ( A Ri Kim ),서미원 ( Mee Won Seo ),안현영 ( Hyun Young Ahn ),양동은 ( Dong Eun Yang ),이귀세라 ( Gui Se Ra Lee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5

        목적: 만삭 산모에서 분만 진통 유무에 따른 Transglutaminase 2 (TGM2) mRNA 및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임신 38주 이상의 산모에서 진통 없이 제왕절개 분만 5예와 진통 후 제왕 절개 분만 5예를 대상으로 분만 즉시 태반 바닥판의 주변부위, 중심부위 및 양막, 융모막을 분리 채취하여 TGM2 mRNA와 단백질 발현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만 진통이 없는 산모와 비교 시 진통이 있는 산모에서 융모막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TGM2 mRNA 발현이 감소되었다. TGM2 단백질 발현은 분만 진통이 있었던 산모에서 분만 진통이 없었던 산모에 비해 실험한 모든 부위에서 감소하였다. 결론: 태반 및 임신막의 TGM2 mRNA 및 단백질은 분만 진통이 있는 산모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TGM 2가 자궁 수축 및 이로 인한 분만 진통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Our purpose was to investigate transglutaminase 2 (TGM2) mRNA and protein expressions in term placentas and fetal membranes delivered with labor compared to no labor. Methods: Samples were obtained from five cases delivered with labor and five cases delivered without labor after 38 weeks of gestation. Each sample was collected from amnion, chorion, central and peripheral portion of the basal plate of placenta.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done to analyze mRNA expression of TGM2. Western blot was done and TGM2 protein level was detected. Mann-Whitney U test was used for statistic analysis. Results: In labor group, TGM2 mRNA expressions were decreased compared to no labor group in 3 sampling sites except chorion (0.66±0.10 vs 1.29±0.12 in peripheral placenta, 0.67±0.23 vs 1.02±0.02 in central placenta, 0.70±0.16 vs 1.04±0.05 in amnion in contrast with 1.62±0.64 vs 1.56±0.21 in chorion). TGM2 protein expressions of four differential portions were decreased in all labor groups (1.05±0.35 vs 1.27±0.19 in peripheral placenta, 0.69±0.84 vs 0.84±0.31 in central placenta, 0.33±0.15 vs 0.39±0.33 in amnion, 0.96±0.18 vs 1.77±0.61 in chorion). Conclusions: This result suggests that TGM2 might involve in labor progress of term pregnancy.

      • KCI등재

        임상 ; 모성 심질환과 임신에 관한 임상 연구

        김아리 ( A Ri Kim ),박병준 ( Byung Joon Park ),서미원 ( Mee Won Seo ),김옥경 ( Ok Kyoung Kim ),김수평 ( Soo Pyung Kim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주산의학회 2007 Perinatology Vol.18 No.4

        목적: 본 연구는 모성 심질환이 동반된 임신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5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와 부평자애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심질환을 동반한 산모의 의무기록을 고찰하였다. 결과: 심질환을 갖는 39명의 산모에서 41건의 분만이 있었고, 1예는 쌍생아 임신이었다. 11예(26.7 %)은 류마티스성 심질환, 3예(7.3%)는 선천성 심질환, 22예(53.7%)는 부정맥이었으며, 나머지 기타에 해당하는 5예(12.3%)는 허혈성 심질환과 울혈성 심부전으로 구성되었다. 폐부종은 4예 모두에서 임신 지속 기간 중에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분만 전후 나타났다. 분만 전후의 New York Heart Association (NYHA) functional class는 32예에서 functional class I을 보였고, 나머지 8예 모두에서 functional class II를 보였다. 분만시 평균 임신 주수는 38.6주였고 평균 출생체중은 3,157g이었다. 2예의 부정맥이 있던 산모에서 태아 기형이 산전에 진단되었다. 결론: 모성 심질환이 있는 산모에서 NYHA functional class I이나 II일 경우 합병증 증가의 위험 없는 양호한 임신의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Objective: To assess the pregnancy outcomes complicated by maternal heart diseases. Methods: From 1995 to 2006, medical records of pregnant women who had received full antenatal care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and Our Lady of Mercy Hospital with maternal heart diseases were reviewed. Results: Forty one deliveries from 39 women were enrolled for analysis. 11 (26.7%) cases of the heart diseases were of rheumatic origin, 22 (53.7%) cases had arrhythmic disease, 3 (7.3%) cases had congenital heart disease, and the remaining 5 (12.3%) cases were consisted of miscellaneous diseases such as ischemic heart disease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There were 4 (9.8%) cases of pulmonary edema which had occurred as maternal complication during pregnancy. One case was a twin pregnancy. All of them were in New York Heart Association (NYHA) functional classes I, II before, during, and after delivery. Mean gestational age at birth and birth weight were 38.6 weeks and 3,157 g respectively. Neonatal congenital heart disease was shown in only one case with tetralogy of Falot and the other fetal anomaly was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successful pregnancy outcome in patients with maternal heart disease would be possible in NYHA functional classes of I and II without any increased risk of complications.

      • KCI등재

        임상 ; cDNA microarray를 이용한 만삭 산모의 분만 진통 유무에 따른 태반에서의 유전자 발현의 분석

        김아리 ( A Ri Kim ),김옥경 ( Ok Kyoung Kim ),서미원 ( Mee Won Seo ),양동은 ( Dong Eun Yang ),안현영 ( Hyun Young Ahn ),박인양 ( In Yang Park ),이귀세라 ( Gui Se Ra Lee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주산의학회 2007 Perinatology Vol.18 No.4

        목적: 본 연구는 분만 진통이 있었던 만삭 산모의 태반에서의 유전자 발현을 분만 진통이 없을 때와 비교하여 cDNA microarray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분만 진통 중 제왕절개수술을 시행하게 된 만삭 산모 다섯 명과 진통 없이 제왕절개수술을 시행받은 만삭 산모 다섯 명으로부터 수술 시 태반 조직을 채취하였다. 태반 조직에서의 mRNA 발현의 정도는 Agilent GeneSpringGX 7.3(Agilent technology,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11.0을 이용하였다. 결과: 시행된 총 38,467개의 유전자 중 분만 진통이 있었던 태반 조직에서 2,374개의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었고, 12개의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됨이 확인되었다. 이 중 40개의 유전자가 유의한 높은 발현의 증가(≥5.0배, p<0.05)를 보였고, 유전자 분석에 따르면 세포사멸, 세포내 신호 전달, 대사과정, 면역작용, 전사 등 다양한 세포생리작용과 관련된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정상적인 분만 진통의 시작 및 과정을 이해하고 이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를 시행함에 있어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각 유전자들의 역할의 분석을 통해 조기 진통과 같은 비정상 진통의 치료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cDNA microarray technology was us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gene expression in the placenta of term women with labor compared to without labor. Methods: Placental tissue was obtained from patients in spontaneous labor (n=5) and those not in labor (n=5) during Cesarean section of full term pregnancy. mRNA levels were examined through cDNA microarray using Agilent GeneSpringGX 7.3 (Agilent technology, USA). SPSS 11.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mong total 38,467 genes, 2,374 genes were detected to be up-regulated in labor samples, while 12 genes were down-regulated. 40 genes of them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levels of expression (up-regulated ≥5.0 fold, p<0.05). According to gene ontology analysis, they are associated with variable cell biologic functions including apoptosis, signal transduction, metabolic process, immune response, and transcription, etc.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our results could provide interesting clues to understanding the initiation and the process of normal labor and might lead to further studies in a more targeted fashion.

      • KCI등재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의 임상적 고찰: 자궁내막 선암과의 비교분석

        이신화 ( Shin Wha Lee ),지용일 ( Yong Il Ji ),서미원 ( Mee Won Seo ),김대연 ( Dae Yeon Kim ),대식 ( Dae Sik Seo ),김종혁 ( Jong Hyeok Kim ),김용만 ( Yong Man Kim ),김영탁 ( Young Tak Kim ),남주현 ( Joo Hyun Na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8

        목적: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은 자궁내막암 중 드문 암종에 속하지만 나쁜 예후를 보인다는 면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내막 선암과 비교하여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을 분석하고, 치료에 대한 결과 및 예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1989년 5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수술로 진단된 21명의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 환자와 332명의 자궁내막 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환자들의 의무기록, 병리보고서를 통하여 임상적 특징, 조직학적 소견, 수술적 병기, 치료 양식, 예후 및 생존율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21명의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 환자들의 진단 당시 평균 나이는 60.9세였다. 폐경 후 여성이 18명이었으며(85.7%), 대부분의 환자가 비정상 질출혈을 나타냈다 (75%). 자궁내막암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비만, 당뇨, 고혈압, 호르몬 대체 요법의 경험 등은 대체로 보이지 않았다. 병기 1기가 10명 (47.6%), 2기가 2명 (9.5%), 3기가 5명 (23.8%), 4기가 4명 (19.1%)이었다. 병기에 관계없이 전체 3년 생존율은 자궁내막 선암에서 97.4%이었고,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에서 43.1%로 나타났다. 수술을 시행 받은 21명의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 환자 가운데, 3명의 환자가 수술만 시행하고 보조요법을 받지 않았으며, 9명의 환자가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6명의 환자가 수술 후 항암 화학요법을, 그리고 3명의 환자가 수술 후 항암 화학요법과 방사선 요법을 함께 시행 받았다. 결론: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 환자들은 자궁내막 선암에 비해 나쁜 예후를 보였다. 따라서, 난소암의 경우와 같은 철저한 수술적 병기결정이 예후를 결정하는데 필수적이며, 충분한 수술 후 보조요법이 필요하다. Objective: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UPSC) is uncommon endometrial cancer, but clinically significant because of its poor progn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inical and 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and to evaluate the overall survival compared with endometrioid adenocarcinoma of uterus. Methods: Twenty one patients with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and 332 patients with endometrioid adenocarcinoma who were surgically staged at the Asan medical Center between 1989 and 2004 were analyzed with review of clinical characteristics; pathologic findings, surgical stages, treatment modalities, prognosis and survival time from medical records and pathologic reports. Results: In 21 patients with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the median age at the time of diagnosis was 60.9 years (range, 38-81 years), which occurred in 18 postmenopausal women (85.7%) and usually presented with abnormal vaginal bleeding (75%). Obesity, diabetes, hypertension, or a history of hormone replace therapy, known as risk factors of endometrial cancer, were not so frequently associated. In 21 patients with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there were 10 patients (47.6%) with stage I disease, 2 (9.5%) with stage Ⅱ, 5 (23.8%) with stage Ⅲ, and 4 (19.1%) with stage Ⅳ. The 3-year survival rate was 97.4% in endometrioid adenocarcinoma and 43.1% in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in all stages. Among 21 patients with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who had surgical staging, 3 patients received only operation and 9 patients received radiation therapy after surgery, 6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and 3 patients eceived concurrent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Conclusion: Patients with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showed a higher rate of abdominal metastasis and poor prognosis compared to patients of endometrioid adenocarcinoma. Therefore, complete surgical staging like in cases of ovarian cancer is vital in determining disease prognosis and vigorous adjuvant therapies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