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호텔운영시스템(HOS)의 특성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지각된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로컬 브랜드와 국제 브랜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명숙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s of hotel operating system factor by focusing on operating system that has recently been highlighted as a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this, sub-factors of hotel operating system factor were drawn. Through the proces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operating system factor of hotel developed 5 sub-factors including efficiency, stability, profitability, convenience, maintenance, and 15 measurement questions. The hypothesis suggested in this research is to confirm the operating system factor effects of hotel on job satisfaction;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job engagement; and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job engagement and perceived job performance. The hotel operating system factor consists of efficiency, stability, profitability, convenience, maintenance. and we also aim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proposed associations across Local brand hotel and International brand hotel.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survey on the basis of parameters derived by previous studies using the empirical analysi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over 20 who have used hotel operating system and worked for more than a year. Using an online survey panel, 313 valid samples were obtained. In the hypothesis verification process, SPSS 23.0 and AMOS 20.0 programs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revealed an edequate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s. The structural model also showed an acceptable fit for the collected dat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fficiency of hotel operating system factors had positive (+) effects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hotel operating system must have a good interface with other programs and must be able to utilize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Second, Stability of hotel operating system factors had positive (+) effects on job satisfaction. This indicates that the hotel operating system must be safe from external hacking and that customer information must be safely protected. Third, Profitability of hotel operating system factors had positive (+) effects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users should be able to conveniently find the necessary functions, shorten customer response time, and have a satisfactory effect on investment costs. Fourth, Convenience of hotel operating system factors had positive (+) effects on job satisfaction.In other words, it should be convenient to use the hotel operating system and have features that can be easily learned and understood. Fifth, Maintenance of hotel operating system factors had positive (+) effects on job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in the event of a problem with the hotel operating system, emergency measures for the system must be taken quickly, maintenance and system upgrades must be possible. Six, job satisfaction had positive (+) effects on job engagement. This means that employees who are satisfied with their jobs are highly likely to work with enthusiasm and vitality for their jobs. Seventh, job engagement had positive (+) effects on perceived job performance. If job engagement is formed for employees, this will lead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hotel companies will be able to maintain high sales and work productivity.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hotel types of local brand hotels and international brand hotel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s of the hotel operating system and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job engagement of the hotel operating system, the factor of the hotel operating system,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job performance was examin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verified. Among the factor of the hotel operating system, efficiency, profitability, and maintena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engagement, and stability and conven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engagement. In addition, efficiency, profitability, maintenance, and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job performance, but stability and conven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job performance. The research results presented academic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hotel industry.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job performance 본 연구는 최근 기술의 발달로 주목받고 있는 운영시스템에 주목하여 호텔 운영시스템 특성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호텔 운영시스템 특성의 하위요소 도출과정을 선행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과정을 통하여 호텔운영시스템의 특성을 효율성, 안정성, 수익성, 편리성, 유지성의 5가지 요인의 하위요소와 15개의 측정문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은 호텔운영시스템의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가 지각된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때 호텔운영시스템의 특성은 효율성, 안정성, 수익성, 편리성, 유지성으로 구성하였고, 본 연구에서 로컬 브랜드 호텔과 국제 브랜드 호텔이라는 소비자가 선택한 호텔의 유형이 조절변수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된 변수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호텔운영시스템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직원이며,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중 1년 이상 호텔에 근무한 경험이 있는 직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의 패널을 활용하였으며, 313부의 유효 표본을 얻었다. SPSS 23.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진행을 통해 가설검증 과정에서 측정항목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동일성 검증을 통하여 가설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호텔운영시스템 특성 중 효율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호텔운영시스템은 다른 프로그램과의 인터페이스가 잘 되어야 하며, 새로운 정보 기술들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호텔운영시스템 특성 중 안정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텔운영시스템이 외부의 해킹으로부터 안전해야 하며, 고객의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함을 나타낸다. 셋째, 호텔운영시스템 특성 중 수익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편리하게 찾을 수 있어야 하며, 고객의 응대 시간을 단축하고 투자 비용 대비 만족스러운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호텔운영시스템 특성 중 편리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운영시스템 사용이 편리해야 하며, 쉽게 배우고 이해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다섯째, 호텔운영시스템 특성 중 유지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텔운영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시스템에 대한 응급조치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며, 유지 및 보수, 시스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해야 한다. 여섯째, 직무만족은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에 대해 만족을 가지고 있는 종사원은 직무에 대한 열의, 활력을 가지고 업무에 임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곱째, 직무열의는 지각된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원들에게 직무열의가 형성된다면, 이는 고객의 만족으로 이어져 호텔기업은 높은 매출액과 업무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로컬브랜드와 국제브랜드의 차이는 호텔운영시스템의 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호텔운영시스템의 특성과 직무열의, 지각된 직무성과와의 간접효과와 직무만족과 지각된 직무성과와의 간접효과 유의성도 검증해보았다. 분석 결과, 호텔운영시스템 특성 중 효율성, 수익성, 유지성은 직무열의와 지각된 직무성과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정성, 편리성은 직무열의와 지각된 직무성과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만족은 지각된 직무성과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호텔 경영에 도움이 되길 기대하며 호텔업계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유아의 문어능력 수행평가 체제개발

        서명숙 원광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of young children's literacy including rubric, contents and methods for the assessment. For this research, thes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examined 1. What is the view of teachers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literacy in terms of the needs and the awareness? 2. What is the structure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of young children's literacy? 3. What is the possibility of actual implement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literacy? 3-1. What is the perceptual change of teachers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literacy? 3-2. What is the result of implement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literacy? At first, a total number of 150 teachers from several preschools in Chungnam, Kyunggi, Chonbuk and Cheonnam provincial area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They were purposed to show the needs and the awareness of the teachers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literacy. The research by Lee, S.H. and Sa, Y.S. (2004) was revised for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10 teachers of several public and private preschools in Choenbuk and Chungnam provincial areas were interviewed. The previous research about the recognition of preschool teachers on young children's assessment was modified for this interview. The next participants to adopt the developed performanc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literacy were 55 children aged between three and five years old from a few kindergartens in D city. They were 15, 20 and 20 children respectively. For the purpose of this, 10 items involved in their literacy assessments were developed and their teachers were given a task of journal writing. With regard to the process of this study, the preschool teachers were trained for the qualifications related to implementing and proceeding this literacy performance assessment at three times. Then,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literacy were practiced for 17 weeks. The gain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age, M and SD through SPSS 10.0 program.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gathered answers of teachers' interview were classified by the items asked. Also, the collected journals from the teachers were addressed and the assessed data was categorized by the experimentally developed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irst, the demands from teachers on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for literacy of young children scored high even though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was very low. This shows that the teachers have positive recognition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Second, through the interview, teachers were discovered that they were lack of understanding, educational training, methodology and rubric for this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Even some teachers who have practiced the performance assessment also felt unsatisfied with current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and wanted more systematical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In addition, they required the appropriate process and method for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field of young children's education. 2. 10 items available for the literacy performance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were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examining and modifying the previous system. They were produced through theoretical study and understanding the needs and the awareness of earlier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s of young children's literacy. 3. In terms of the process of practicing the literacy performanc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3-1. Teacher's perception change in processing of the application on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for literacy of young children became deep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mportant tool for verifying young children's progress on literacy was revealed importance of operant participation, integrated approach in literacy activity, teacher themselves perception change, acknowledgement changes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eaching method, difficulties in observation during performance assessment, difficulties in interpretation, decision making by teacher's self examination. 3-2. The result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literacy of young children during processing research of possibility for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for literacy of young children; First, performance assessment to verify children's literacy progress was interview with children's reading activity, poem writing, name writing, book reading. Second,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for literacy of young children that help teacher's teaching method improve was name letters, using books for education sector, literacy development, check list, writing readiness, writing with theme.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uppos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of young children's literacy which should be the more practical and easier to access to the real circums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 목적은 유아 문어능력 수행평가의 준거, 내용, 방법을 제시하는 유아 문어능력 수행평가 체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문어능력 수행평가 체제에 대한 교사의 요구도 및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문어능력 수행평가 체제의 구성은 어떠한가? 3. 유아문어능력 수행평가 체제의 적용 가능성은 어떠한가? 3-1. 유아문어능력 수행평가 체제 적용과정에서 교사의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3-2. 유아문어능력 수행평가 체제 적용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유아교사의 문어능력 수행평가체제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를 알아보기 위해 전국에 있는 유아교사 중 충남 D시와 N시, 경기 S시, 전북 I시와 J시, 전남 M시의 교사 중150명을 무선 표집 하였다. 연구도구는 이성희, 사영숙(2004)의 연구를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교사 면담은 전북 I시와 충남 D시의 공사립 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면담 을 실시하였다. 면담에 사용된 도구는 유아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국내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질문지 를 SPSS 1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각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 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교사 면담은 항목별로 유목화 하여 정리하였다. 유아 문어능력 수행평가 체제 개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D시에 있는 국공 립 어린이집 만 3세 15명, 4세 20명, 5세반 20명 총 55명이다. 연구도구는 개 발된 유아 문어능력 수행평가 체제 10개 항목과 유아교사의 저널쓰기이다. 연구절차는 총 3회에 걸쳐 유아 교사교육을 실시하였고 17주 동안 유아 문어 능력 수행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교사의 저널쓰기를 분석하였고 유 아문어능력 수행평가 항목별로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첫째, 조사 연구 결과 교사들의 유아 문어능력 수행평가에 대한 요구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교육현장에서는 수행평가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교사들의 수행평가에 대한 기대와 평가 준거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난 것은 교사들이 수행평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면담 결과 교사들은 수행평가에 대한 이해 부족, 연수부족, 방법 및 준 거 부족으로 수행평가를 제대로 실시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 행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교사들 또한 유아 문어능력 수행평가 체제에 대한 요 구가 강하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교사들은 교육 현실에 맞는 수행평가 절 차 및 방법의 제시를 요구하고 있었다. 2. 유아 문어능력 수행평가 체제에 대한 문헌연구와 인식 및 요구도 조사를 통해 개발된 유아 문어능력 수행평가 체제를 수정하고 검토하는 과정을 거쳐 총 10개 항목의 유아문어능력 수행평가 체제를 구성하였다. 3. 유아 문어능력 수행평가 체제 적용 가능성 탐색 결과 3-1. 유아의 문어능력 수행평가체제 적용과정에서 교사의 인식변화는 유아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에서 유아발달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 유아의 진보를 확인하는 도구로서의 중요성 인식, 유아들의 자발적 문어 활동 참여의 중요성 인식, 문어활동의 통합적 접근의 중요성인식, 교사 자신의 대한 인식의 변화로 나타났고 교사 자신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에서는 수행평가와 교수학습 방 법에 대한 인식의 변화, 수행평가 과정에서 관찰의 어려움, 수행평가 과정에서 의 활동 진행시의 겪는 어려움, 수행평가 시 해석상의 어려움을 해결, 교사의 자기반성을 통한 의사결정, 수행평가 과정에서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3-2. 유아의 문어능력 수행평가 체제 적용 가능성 탐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 의 수행평가 결과 첫째, 유아의 문어능력 발달의 진보를 확인할 수 있는 수행평가 활동은 유아 의 읽기 활동 면접, 동시 짓기 및 개작하기, 이름쓰기 활동, 소리 내어 책읽기 활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수 방법에서의 진보를 돕는 유아 문어능력 수행평가 항목으 로는 도서영역 사용하기, 유아의 문식성 발달 체크리스트, 유아의 쓰기 준비 도, 주제를 가지고 쓰기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유아의 문어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유 아 문어능력 수행평가 체제를 개발하였다.

      •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한 한국어 문법 복습의 효과 연구

        서명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advanced 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on using mobile messenger for reviewing Korean language grammar as a way to understand and utilize target grammar precisely an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such grammar review method. On this behalf, the study first reviewed former studies on the educational role and effectiveness of using a mobile messenger and analyzed the significance and effect of feedback and scaffolding in language education. The research consists of following two parts. In the first part, two groups of advancedⅠ(level 5) level Korean learners were asked to review target grammar in different ways in order to examine the perception on Korean language grammar and reviewing grammatical features. And they answered a survey. The learners of the control group wrote sentences using the target grammar in notebooks and submitted them to their teacher and received feedback while the learn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sent sentences through a mobile messenger. Then the learners received feedback from the teacher by scaffolding. And this study intended to study the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grammar and the Korean language grammar review, the 41 questionnaires from advancedⅠ(level 5) level Korean learners were analyzed utiliz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two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multiple response data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degree of interest in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Korean grammar and the awareness on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grammar and producing sentences, the advantage of each method on teacher feedback, and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as a grammar review method.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awareness on learning outcomes. The learners who reviewed the grammar through the mobile messenger also have more positive view on learning outcomes of using mobile messenger. They recognized some benefits of review using a mobile messenger and were willing to keep using it for reviewing grammar. The Second part was conducted to verify there is a difference in grammar comprehension depending on grammar review method, and if so, whether the difference is statistically and practically significant. Using the two dependent sample t-tests, we compared the differences i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for each group and used two independent sample t-tests in order to compare the post-test achievements of the two groups. And also using the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we compared the changes in post-test achievement of the two groups. As a resul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hi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lso the experimental group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as well as two groups were distinguished by changes in the achievemen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t has been found that reviewing grammar using a mobile messenger is effective in enhancing advanced 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ing of grammar.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provides a guideline on the method of reviewing Korean grammar suitable for e-learning environment and functions as basic data for training teachers who attempt to help learners with a new method of reviewing grammar. 본 연구는 고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목표문법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한 문법 복습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살피고, 이러한 복습 방법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모바일 메신저 활용의 교육적 역할과 그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언어 교육에서 피드백, 스캐폴딩의 의미와 효과에 관련하여 이론적인 검토를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의‘한국어 문법과 문법 복습 관련 인식’연구는 고급Ⅰ단계(5급) 학습자 41명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고, 방식을 달리하여 복습을 하도록 한 후, 수집한 41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두 독립표본 t 검정의 통계적 방법과 다중 응답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학습과 문법 학습에 대한 흥미도, 문법 학습과 문장 만들기의 효과성, 교사 피드백 방식별 효과성, 문법 복습 방법으로서 협력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에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한 문법 복습의 학습 성과 인식에서는 두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한 복습의 장점에 대해서도 여러 측면에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로써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서 문법 복습을 한 학습자가 모바일 메신저 활용의 효과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해서 복습을 지속할 의향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두 번째 단계의 ‘문법 복습 방식에 따른 문법 이해도’연구는 고급Ⅰ단계(5급) 학습자를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고, 방식을 달리하여 복습을 하도록 한 후, 복습 전후 또는 집단 간 문법 이해도에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실제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라고 말할 수 있는 차이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두 대응표본 t 검정의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집단별로 사전ㆍ사후 검사 성취도를 비교하였고, 두 독립표본 t 검정의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집단 간 사후 검사 성취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두 집단 간 사전ㆍ사후 검사 성취도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통제집단의 사전ㆍ사후 검사 성취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집단의 사전ㆍ사후 검사 성취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두 집단 간 사후 검사 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나 실제적으로 실험집단의 사후 검사 성취도가 4점 이상 높았다. 그리고 사전ㆍ사후 검사 성취도 변화량에서도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로써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하여 문법을 복습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문법 이해도를 높이는 데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대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이러닝 교수ㆍ학습 상황에 적합한 한국어 문법 복습 방식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고, 새로운 방식으로 문법 복습을 하려는 학습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도움 교사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양보] 문법항목 이해 양상과 효과적인 수업모형 개발 : 복합형 '-는데도', '-고도', '-으면서도'를 중심으로

        서명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복합형 [양보] 문법항목 ‘-는데도’, ‘-고도’, ‘-으면서도’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 이들을 구성하고 있는 문법요소인 ‘-는데’, ‘-고’, ‘-으면서’의 기본 의미기능 이해도가 관련이 있음을 밝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학과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양보] 연결어미 관련 선행 연구들을 살피고, [양보]의 개념과 양보문의 논리구조, 양보문의 의미기능과 문법요소들의 기본 의미기능, 복합형 문법항목의 의미구조에 대한 이론적인 검토를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두 단계의 연구가 내용상 연계성은 있으나, 연구 대상이 다르고 연구 방법이 달라 서로 다른 국면의 두 단계 연구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의 ‘복합형 [양보] 문법항목 이해 양상’ 연구는 중급 Ⅱ단계(4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196명의 검사지를 기술 통계량,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두 독립표본 t 검정의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그 결과, ‘-고도’ 이해도와 ‘-고’의 기본 의미기능인 [순차나열] 의미 이해도, ‘-으면서도’ 이해도와 ‘-으면서’의 기본 의미기능인 [동시성] 의미 이해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고, 복합형 [양보] 문법항목 ‘-는데도’, ‘-고도’, ‘-으면서도’의 이해도와 ‘-어도’의 [양보] 개념 이해도 사이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는데도’, ‘-고도’, ‘-으면서도’ 이해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문법요소 ‘-고’, ‘-으면서’, ‘-어도’를 두 번째 단계에서 실행되는 실험연구에서 ‘수업모형’의 처치변수로 채택할 수 있었다. ‘-는데’의 기본 의미기능 [상황·배경] 경우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얻지 못했으나 실제적인 유의성을 고려하여 처치변수에 포함시켰다. 두 번째 단계의 ‘복합형 [양보] 문법항목의 효과적인 수업모형 개발’ 연구는 중급 Ⅰ단계(3급) 학습자 64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 수업의 사전·사후 검사지를 기술 통계량,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두 종속표본(대응표본) t 검정의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통사적 제약 제시 중심 수업모형’과 ‘의미기능 이해 중심 수업모형’에 의한 실험 수업 결과, ‘통사적 제약 제시 중심 수업모형’으로 수업을 했을 때 ‘-고도’의 이해도에 대해서만 사전·사후검사 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고, ‘-는데도’, ‘-으면서도’의 이해도에 대한 사전·사후 성취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의미기능 이해 중심 수업모형’으로 실험 수업을 했을 때는 복합형 [양보] 문법항목 ‘-는데도’, ‘-고도’, ‘-으면서도’ 세 문법항목 모두의 이해도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보였다. 이로써, ‘의미기능 이해 중심 수업모형’이 학습자의 복합형 [양보] 문법항목 ‘-는데도’, ‘-고도’, ‘-으면서도’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미기능 이해 중심 수업모형’에 의한 복합형 [양보] 문법항목 ‘-는데도’, ‘-고도’, ‘-으면서도’의 교수 활용 방안으로 이들 문법항목의 제시 원리와 수업 구성의 예를 함께 제안하였다. 그리고 전체 내용을 요약·정리하고, 결론을 내린 후 한계점을 지적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 大學生과 父母와의 關係가 老人扶養意識에 미치는 影響 : 全南 地域 大學生을 中心으로

        서명숙 초당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현대 가정 속에서의 노인 부양문제가 사회복지차원은 물론, 국가 정책적 차원에서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차후 부양을 책임져야 할 대학생들의 노인 부양의식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노인부양문제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전남지역에 소재한 5개 대학교 대학생 총 535명을 대상으로 SPSS Windows for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대학생의 개인배경 및 가족특성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 척도별 하위요인을 분류하기 위해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토대로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가족관계와 가족관계하위요인(정서친밀, 인정책임, 수용존중), 부모-자녀간 친밀성과 부모-자녀간 하위요인(신뢰성, 헌신성),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이들의 하위요인(개방적 의사소통, 폐쇄적 의사소통) 및 부모와 조부모 사이, 본인과 조부모 사이, 조부모와의 동거경험, 가정교육형태, 노후 피부양관, 경제수준, 출생순위를 독립변수로 선택하여 이에 따른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전진선택법에 의한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과 가족특성에 따른 부양의식의 차이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부양의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출생순위로는 맏이가, 가족형태나 성장지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경제상황이 높을수록, ‘노후에 자녀와 함께 살고 싶다’ 는 경우에, 그리고 조부모와의 동거경험에 따른 부양의식과 부모나 본인 모두 조부모와의 사이가 좋을수록 부양의식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모-자녀간 친밀성에 따른 부양의식은 하위체계인 정서적, 신체적, 경제적지지에 유의미한(p<.01) 차이가 있었으며,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부양의식이 높아서 전체적으로 부모-자녀간 친밀도가 높을수록 부양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따른 부양의식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p<.01)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위집단으로 갈수록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수록 부양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모와의 친밀도가 높을수록, 가족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어머니가 자신에 대한 기대치가 낮을수록, 모에 대한 헌신성이 높을수록, 본인과 조부모사이가 좋을수록, 부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에 따라 부양의식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서처럼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 외에도 가족과의 의사소통 및 친밀성 그리고 가족관계 등의 관련 변인들에서 노인부양의식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의 제고를 위해 실천적․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 전후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 연구

        서명숙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설은 현실을 소재로 인물들의 삶을 형상화하는 예술 장르이기에 전쟁의 상처를 드러내는 작품들이 많이 발표되었다. 소설의 주인공은 거의가 남성인물로 여성은 그저 주변적 삶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전후소설의 인물연구는 비교적 활발한 편이지만 아직까지 여성인물을 주목한 연구는 그다지 없는 실정이다. 전후소설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전쟁 후 발표되기 시작한 소설들로 전쟁 중의 상황이나 전쟁 후의 사회 현실을 다루고 있는 작품들을 말한다. 본고에서는 50년대를 중심으로 그 이후까지 6.25를 소재로 발표된 소설 중 전쟁 중이거나 또는 전후의 사회적 빈곤에 희생당한 여성 인물이 등장하는 소설이 그 대상이다. 여성인물은 남성인물에게서 흔히 보이는 신체의 손상과 참전의 후유증 대신에 전쟁 당시와 그 이후의 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물질적, 정신적으로 큰 고통을 당했다. 전쟁의 비극은 여성들의 육체에 대한 폭력으로 이어졌다. 전후소설에 등장하는 많은 여성인물들이 남성들에 의해 성적 폭력의 대상이 되었다. 전쟁이 우리 국토를 유린할 때 여성들은 남성들에 의해 짓밟혀야만 했던 것이다. 극도의 궁핍 속에 여성들은 자신의 몸을 팔아 생계를 유지하게 된다. 이중에는 자포자기하거나 또는 향락에 탐닉하기도 하지만 무기력한 남성인물과는 달리 사회의 밑바닥에서도 꿋꿋이 생계를 이어가는 모습을 보인다. 여성인물의 수난에 대한 대응 양상에 따라 자기 체념형과 자기 기만형, 자기 주도형으로 나누었다. 유형을 나누는 기준이 되는 것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그 행동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가치관이 포함된 삶의 태도이다. 전후소설의 여성인물들은 남성인물과 마찬가지로 자기 체념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현실을 개척하거나 초극하려는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주는 경우가 더 많다. 여성인물들은 사회의 암묵적 강요로 희생양적 수난을 당했지만 자신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고난을 딛고 사회로 나아가는 것이다. 수난에 대응하는 양상을 통해 여성인물이 전후소설에서 가지는 의미를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첫째, 희생양적 구원의 대상이자 위대한 모성의 구현이다. 어머니로, 누이로 표상되는 모성은 폐허 속에서도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 내는 힘이었다. 둘째, 전쟁의 폭력성과 잔인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여성이 당해야만 했던 정조의 유린은 전쟁으로 인해 짓밟히는 우리 국토와 우리 민족의 비극의 또 다른 상징이요 표현인 것이다. 셋째, 사회적 존재로서 여성의 사회적 역할 증대와 여성의식의 성장을 보여준다. 비록 궁핍이라는 절대적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지만 여성의 사회적 역할이 증대되고 가정에서의 역할도 변화하면서 전통적 사고방식에서 한 걸음 나아가는 여성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전쟁의 상처로 사회 전체가 궁핍과 폐허 속에 던져져, 허무주의와 무기력이 우리의 정신을 좀먹어 갈 때 현실을 극복하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나아가려는 끈질긴 생명력과 전쟁의 무자비한 폭력과 아픔을 잘 형상화한 것이 전후소설의 여성인물이라 할 수 있다. Since a novel is the artistic genre which describes a character by taking a reality as the subject matter, a lot of novels focusing on the violence of wars were published after the Korean war. Most of the novels described characters who couldn't enjoy normal life because of social poverty and the scar of the war. While male characters suffered from their damaged bodies and the aftermath of the war, female characters suffered from material and mental problems because of social chaos during the war and postwar. Tragedy of the war caused the sexual violence on the women, plenty of women became victims of sexual violence by men. When the war devastated the land, our women were trampled by men. Like male characters, female characters in novels suffered from mental problems owing to sexual violence, but they were a kind of self-initiative character who faced up to reality and strived to get over difficulties in life even in the pain. Although they had to endure all sufferings imposed by tacit enforcement of the society, they rather showed their lasting will to life without losing their identities and by struggling for the sufferings. Sufferings can be divided into material suffering and mental. By female characters' attitudes to cope with ordeals, I classified characters into three types such as self-abandoned, self-deceptive, and self-initiative. The standards for classifying characters are ways of action, and attitudes to life including one's values. Even with the same action, we can devide the characters' type by determining self-initiation based upon attitudes to life and one's values. I suggest that there be three meanings which female characters have in novels according to characters' type coping with sufferings. First, they are not only the object of redemption but also great embodiment of mother's love. Mother's love symbolized by mothers and sisters was the motive power creating new hopes even in the ruins. Second, they show the violence and brutality of the war symbolically. Violating virginity which women were to experience with is another symbol of our land and people trampled because of the war. Third, they show increase in women's role for society and growth in consciousness of women as a social being. Even though it was unavoidable choice for women to get over poverty, an absolute reality, the social role of women was getting increasing and the role of family was changing, which reflect development of traditional way of thinking. The whole society was thrown into poverty and ruins because of the scar of the war and nihilism and helplessness destroyed our spirit little by little. Given the state of affairs, we can conclude that it was the female characters in postwar novels that clearly showed heartless violence of the war and women's lasting will to overcome difficulties in real life and to struggle for bette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