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극의 전통연희 수용과 매체 전환의 문제 : 연극『오구-죽음의 형식』의 영상화를 중심으로

        서덕민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용봉인문논총 Vol.38 No.-

        The paper considers the aspect of acceptance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Lee Yoon Taek's play, [Ogu - The Form of Death] and its course of media conversion. First, [Ogu-The Form of Death] having the religious proposal form called 'Gut' actively introduced was focu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y which excludes the linear flow of time and arranging the plot in parallel seem to be possible by utilizing the functional aspects of (Gut actively). To review the visualization of the play [Ogu - The Form of Death , the plots of film and play were compared. The film [Ogu] integrated the separated Plots of the original to overcome the limit of media and reallocated the narrative linearly. 이 논문은 이윤택의 연극『오구-죽음의형식』의 전통연희 수용 양상과 매체전환 과정에 관해 고찰하고 있다. 우선 연극『오구-죽음의형식』이 굿이라는 종교적 제의 양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선형적 시간의 흐름을 배제하고, 플롯을 병렬적으로 늘어놓는 이 연극의 특정들은 굿의 기능적 측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연극『오구-죽음의형식』의 영상화에 관해 살펴보기 위해 영화와 연극의 플롯을 비교했다. 영화[오구]는 매체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원작의 분절된 플롯을 통합시키고 네러티브를 선형적으로 재배치하고 있다. 영화[오구]는 다양한 이야기의 삽입을 통해 갈등을 축적하고, 굿을 통해 이를 해소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 역시 굿의 기능적 측면을 고려한 결과로 이해된다. 궁극적으로 영화[오구]는 反아리스토텔레스적 극작에서 전통적인 극작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후보

        백석 시의 문학치료적 양상 연구

        서덕민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problems of 'angst', 'conquest', 'therapy' that appears in the poetry of Baek-seok through discussion of the process of Epic of Self in literary therapy. The curability pattern appearing in the poetry of Baek-seok develops in the form to conquest the emotion of angst or destitute and cure for it. This correspond in some sense to the process of 'Epic of Self' as being patients analyze the life of their own to diagnose problems of life. In the early poetry of Baek-seok, the movement to supplement Epic of self can be discovered quite often through return to the past. This can be identified throug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persona and grown up hidden behind. Fear and angst felt by child -person is already based upon conquest. The early poetry of Baeksuk child persona employed well reveals the process offering emotions of 'angst ',' fear ',' destitute. and curing of them. This can be understood to have deep relationship with special epic strategy of Baeksuk which creates magical curing & conquest in the network of grown up and child persona. The latter poetry of Baeksuk, of the network of child-grown up persona had been dismantled, reveals relatively transparent personal quest & process of conquest of the poetic narrator. The latter poetry of Baeksuk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ought negative issue in life, and well exposes specifically the process of curing. As noticed, in the poetry of Baek-seok considerable portion of poetry have been found that properly reveals Epic of Self, based on persona react sensitively to time gap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Such texts reveals concretely the process of awareness of the problem of life and the process of solving it in that sense it can be utilized as a medium of Literary Therapy.

      • KCI등재

        이성복 시에 나타난 질병의 양상 -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를 중심으로

        서덕민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1 No.1

        This paper studies the diseases that appeared in Lee Sung-bok's poems. First of all, he analyzed the aphasia that appeared in Lee Sung-bok's poem. The aphasia was identified by the 「Gu-Hwa」 analysis. The speaker of 「Gu-Hwa」 is poor at choosing words. Speakers are not good at choosing words, but they can be combined to fit grammar. This is very similar to Jacobson's analysis of aphasia. Eventually, you can see that the narrator of 「Gu-Hwa」 is using 'metonymy' to speak. It is a very important phenomenon for the speaker in Lee Sung-bok's poem to speak repeatedly and obsessively. Repeated shouting is very similar to what a a aphasia patient says. These speakers figuratively represent the citizens who lived in the 1980s. Another important thing in this study is insensitivity. To analyze insensitivity, we looked at works such as 「1959」 and 「on that day」. Especially, we looked at words such as stone, fetus, syphilis, and hunchback. These words do not mean fear and pain of disease. What these words point to is citizens who do not feel pain. Lee Sung-bok's poems revolve around his experiences in fighting disease. Lee Sung-bok's poems are meaningful in that he shares his experiences of fighting disease. In Lee Sung-bok's poem, disease is not an individual problem, but a social problem. 이 논문은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를 관통하는 병리적 증상으로서 ‘실어증’과 ‘불감증’의 수사적 양식에 관해 살펴보고 있다. 실어증적 증상에 관한 분석은 메타언어적 언어 운용에 한계를 드러내는 「口話」의 화자를 통해 잘 나타난다. 「口話」의 화자가 보여주는 어휘 선택의 착란과 우연성에 기댄 시어 선택은 이성복의 초기 시에 나타난 병리적 언술 양식의 한 전형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이성복 시의 언술 양식 중 특기할 만한 다른 하나는 ‘반복’이다.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에 등장하는 반복적 외침은 반복강박의 징후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실어증의 증상(언술양식)과 어우러져 보다 극적으로 당대의 병리적 현상을 표출하는 기제로 활용되고 있다. 불감증의 양상은 「1959년」과 「그날」, 「이제는 다만 때 아닌, 때 늦은 사랑에 관하여」 등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이들 작품 분석을 통해 시대의 우울과 불안을 표상하는 병리적 증상이 산재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근원을 알 수 없는 질병의 은유는 “病”, “苦痛”과 같은 시어는 물론 ‘앉은뱅이, 곱추, 돌덩이 같은 胎兒, 매독’ 등과 같은 시어와 시구에도 잘 나타나고 있다. 또한 「그날」을 비롯하여 「정든 유곽에서」, 「1959년」, 「꽃 피는 아버지」, 「모래내」, 「세월의집 앞에서」, 「蒙昧日記」 등은 세계의 병리적 현상을 과거 시점으로 재현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이성복의 초기에 나타나는 질병의 은유는 투병의 기록을 남기는 행위로서 개인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문제를 범사회적 담론의 장으로 견인하는 행위로 이해된다.

      • 박용철 시 연구

        서덕민 한국지역문학회 2013 한국지역문학연구 Vol.2 No.2

        박용철은 1930년대 순수시파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시인이자 시론가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박용철은 시인이나 시론가로서 뿐만 아니라 동서양의 시를 적극적으로 번역해 발표한 번역가로서, 희곡을 쓰고 연극 활동에 참여한 극작가로서 우리 문학사에서 보기 드물게 매우 폭넓은 활동을 펼친 작가로 각인되고 있다. 그러나 박용철의 전방위적 문예 활동은 그의 시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한국 현대시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시기에 순수시 진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박용철의 문학적 위상을 고려할 때, 그의 시만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 연구물이 축적되어 있지 않다는 측면이 본 연구에 적극적으로 고려되었다. 본 연구는 박용철 시의 미학적 특징을 ‘물 이미지’와 ‘동적 언술구조’로 규정하고 있다. 박용철 시에 빈번하게 나타나는 눈물, 바다, 비와 같은 시어들은 ‘밖’을 향하는 근대적 주체의 갈등 양상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 과정에서 물은 의미론적 차원에 그치지 않고 수사적 차원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박용철 시의 언술 구조에 관해서는 서술어로 활용되는 동사에 주목했다. 특히 빈번하게 활용되는 동사 ‘가다’는 박용철 시의 언술 구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박용철 시에 나타나는 ‘가다’라는 서술어는, 당대의 절망적 상황을 의식하는 시인의 낭만적 포즈를 대표하는 언술 양식이다. 박용철 시의 많은 경우가 동사를 서술어로 삼고 있는 시행을 전면에 내세우거나 반복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음율성을 확보하고, 주제를 강조하는 형태를 띠고 있다. This thesis defines the feature of Park Yong-chul's Poetry as the image of water and the sentence of conjugation. The poetic languages such as tear, sea and rain, which are very frequently used, show the poet's mind of leaving for somewhere. Water means many things and the image of water is also used rhetorically in his poetry. When it comes to his sentence structure, the verbs that are conjugated are given attention. Especially, the verb 'go' which is conjugated very ofte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Park Yong-chul's Poetry. There are many poem lines that mainly have verbs as predicates. And he proposes them repeatedly. In this way Park Yong-chul's Poetry makes rhythmes and emphasizes the theme.

      • KCI등재

        2000년대 신춘문예 시의 담화 전략

        서덕민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4 No.3

        이 논문은 2000년대 신춘문예 시의 담화 전략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3년까지 주요 7개 일간지의 신춘문예 당선 시 185편을 분석했다. 당선작 185편 분석을 위해 시적 담화의 구성 요인을 화자와 어조, 진술의 형태, 문체 등으로 구분했다. 각각의 구성 요인을 총 11개의 세부 요인으로 재분류하고 개별적으로 정의해 작품 분석의 지표로 삼았다. 이를 통해 2000년대 신춘문예 시에 나타나는 주도적 담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개성적 화자를 통한 발신자 중심의 서술(36%). ② 몰개성적 화자를 통한 대상 지향의 감각적 진술(15%). ③ 몰개성적 화자를 통한 발신자 지향의 개방적 문체(1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scourse strategies of Sinchunmunye poetry in the 2000s. The paper analyzes 185 Sinchunmunye-winning poetry works from seven major daily newspapers from 2000 to 2023. To analyze the 185 winning works, the structural factors of poetic discourse were divided into the speaker, tone, form of statement, and writing style. Each component factor was reclassified into a total of 11 detailed factors, defined individually, and used as an indicator for analysis of the work. Through this, the dominant discourse strategies appearing in Sinchunmunye poetry in the 2000s were deri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① Sender-centered description through an individualistic speaker (36%). ② Object-oriented sensory statements through an impersonal speaker (15%). ③ Sender-oriented, open writing style through an impersonal speaker (16%).

      • KCI등재
      • KCI등재

        현대시의 음식 모티브 재현 양상 - 백석, 안도현의 시를 중심으로

        서덕민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3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43

        백석과 안도현의 음식 모티브 재현 양상을 크게 두 가지 경향으로 구분하여 살폈다. 우선 백석의 「국수」와 「선우사」의 시적 특징을 살폈다. ‘음식시’라는 범주 안에서 「국수」와 「선우사」는 음식에 대한 화자의 인식과 태도, 수사적 지향과 시적 담화 공간의 차이를 보인다. 「국수」가 상기시키는 선험적 담화 공간과 공동체 지향성은 음식 모티브의 문화적 향유 가능성을 풍부하게 보여준다. 「선우사」의 경우 음식을 통한 현실 인식과 극복, 음식의 감각적 재현이라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성취를 보여준다. 이러한 경향성 안에서 백석의 시를 계승하고 있는 안도현의 여러 음식시를 살폈다. 「국수」와 비슷한 구조를 가진 안도현의 「북방」은 ‘명태선’이라는 음식이 ‘오는’ 경로를 통해 선험적 공간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음식 감각과 인간성의 문제를 통합하고 있다. 그 밖에도 「건진국수」 등의 작품을 통해 인간의 삶에 균형과 조화를 부여하는 매개로 음식을 인식하는 경향을 확인했다. 「선우사」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안도현의 시 「시집」은 음식을 통해 현실의 결핍과 치유 가능성을 동시에 조망하는 알레고리적 공간을 선보인다. 그 밖에도 「무밥」, 「제주 자리젓」과 같은 작품 역시 화자의 현실인식을 통한 결핍 극복과 내면 지향이라는 경향성이 확인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thod of reproducing the food motive of Baek Seok and Ahn Do-hyun. To this end, I first reviewed Baekseok's 「Noodles」 and 「Seonwoosa」.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Noodles」 and 「Seonwoosa」 in the speaker'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food.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rhetorical methods. 「Noodles」 expresses the various symbols of food well. This work shows well how food sends humans to a transcendental space. 「Sunwoosa」 expresses the allegory of food well. This work shows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reality through food. It also shows the narrator trying to overcome reality through food. It is also unusual that the food is reproduced sensibly well. Next, I reviewed how Baekseok's poem's food motive reproduction method was reflected in Ahn's poem. Ahn Do-hyeon's "North" has a similar structure to Baek Seok's "Noodles". This work depicts the process of food being served to humans well, and the symbolism contained in food is also well expressed. Works such as 「Geonjin Noodles」 are also similar to 「Noodles」. In this work, food appears to give balance and harmony to human life. Ahn Do-hyeon's poem 「Poems」, which has a similar structure to 「Seonwoosa」, was also examined. In this poem, it is shown that food can cure deficiency. In terms of rhetoric, it was found to use allegory a lot.

      • KCI등재후보

        백석·이용악 시에 나타난 마술적 상상력

        서덕민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1 No.1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magical-imagination shown in Baek-Suk and Lee Yong-Ak’s poems. Baek-Suk and Lee Yong-Ak are poets representing the 1930s. They are evaluated as expanding the prospect of modern poetry through a unique method introducing ‘narrative’ in the poetry work. In particular, they actively accepted original tales with ethical emotions such as folktales and fairytales. Their esthetic accomplishments are variously analyzed in term of ensuring cultural identity through the ethnic emotion.This researcher analyzed original tales in Baek-Suk and Lee Yong-Ak’s poems, and the divided types of magical-imagination expressed. This researcher also found out magical-imagination in their poems by using the division suggested by James George Frazer’s The Golden Bough. Through this, Baek-Suk and Lee Yong-Ak’s creation methodology could be examined.Baek-Suk mostly used a magic type represented by ‘Homoeopathic Magic’ in his works, so his poetry pursues the imaginary world. On the contrary, Lee Yong-Ak’s works show a type of ‘contagious Magic’ and through this he aims at the real world. Magic types in their poems reflect the world that they aim at.

      • KCI등재후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문예 텍스트 활용 방안

        서덕민 ( Deok Min Seo ) 영주어문학회 2012 영주어문 Vol.23 No.-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plan to make the most of literary text in the actual field of Korean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That the method of involving literature in language teaching should be made by offering adequate literary text to the actual field of education is the basic concept of this argument. Further research was made to find out the degree of literary text being used at the chalkface. According to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literary text, which is used at the actual field of Korean education, comprises ancient stories and poems. Ancient stories, particularly, are widely used due, in large part, to their features that the Korean culture can be easily conveyed to foreign students, and also are being "rewritten" in diverse respects in the actual field of Korean education. In case of the poem, it is used extensively, on account of its short texts that can be easily compiled by textbook. A remarkable thing about the poem is that the most of literary texts exploited in the actual field of Korean education were made in 1920-30``s, which best represents the attitude of education settings that intends to use the texts verifi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order for the literary texts to be used in the actual field of Korean education, specific attention needs to be drawn to the following issues. Firstly, the texts created in around modern era must and shall be "rewritten" to lighten the burden of language teaching settings. Secondly, the texts, which may draw attention from foreigners, must and shall be selected and suggested. "Multi-cultural novel", which deals with the lives of foreigners, shall be considered to be a good option. Thirdly, the method of standardizing the texts must and shall be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beginner to intermediate learners in terms of adaption of literary texts.Provided that the literary texts are extended to the actual field of Korean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it is expected to form a basis that the literature can take part in the language teaching settings for foreingers. The particulars of method and procedure of processing recent texts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are not dealt with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seems practically difficult to answer the questions of to what degree the texts can be processed, and of how they can be used to introduce Korean literature. These parts shall be reinforced through further studies in a foreseeabl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