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8세기 전라도 지역 무신란(戊申亂)의 전개과정

        변주승(Byun, Ju-Seung),문경득(Mun, Gyeong-Deu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9

        무신란(戊申亂)은 영조 4년(1728)에 경기,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지역에서 영조의 왕위계승 정통성을 부정하며 일어난 반란이다. 본 논문은 무신란에 대한 조사와 처결이 기록된 ?무신역옥추안(戊申逆獄推案)?을 주로 활용하여, 전라도 지역에서 일어난 무신란을 크게 반란군의 부안 평교 집결과 박필현의 태인 거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반란군의 부안 평교 집결은 정세윤과 원만주가 포섭한 부안 인근 지역의 반란군이 3월 15일에 평교에 집결한 사건이다. 원래 이들은 3월 19일에 평교에 집결해 청주로 이동해 반란군과 합류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이인좌의 급한 연락을 받은 정세윤과 원만주가 먼저 청주로 이동한 뒤, 15일에 부안 평교에서 집결했다. 그러나 주동자의 부재와 악천후, 적은 규모 등으로 인해 해산했고, 일부만 청주로 이동해 반란에 가담했다. 집결의 주모자인 정세윤은 변산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물인데, 기존의 연구에서 변산적은 흔히 ‘변산의 도적 무리’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정세윤의 행적과 실제로 반란에 가담한 자들을 분석해본 결과, 변산적은 ‘변산의 역적 무리’였다. 박필현의 태인 거병은 당시 태인 현감이던 박필현이 관군을 이끌고 태인을 출발하여, 3월 22일 새벽 전주성 서쪽 삼천까지 진출하여 전주성을 공략하려 했던 사건이다. 박필현은 반란군을 토벌한다는 명분으로 태인의 군사를 이끌고 전주성의 군사와 합류했다가, 결정적인 순간에 배신하여 전주성을 장악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태인 현감에서 파직되고, 부안과 나주의 반란군이 계획대로 오지 않자, 박필현은 태인의 관군만을 거느리고 전주성으로 향했다. 그는 전라감사 정사효에게 편지를 보내 포섭을 시도했으나, 전주영장 이경지가 편지를 받아들이지 않아 실패했다. 이에 바로 청주로 이동할 뜻을 밝히자, 박필현의 목적이 반란군 토벌이 아니라 반역이라는 사실을 알아차린 태인의 관군들이 도망쳐, 박필현의 태인 거병은 실패로 돌아갔다. 다음과 같은 몇가지 점에서 본 논문의 연구 의의가 있다. 첫째, ?무신역옥추안?에 나오는 관련자의 진술을 비교?검증하여, 전라도 지역 무신란의 전개과정을 파악했다. 둘째, 무신란의 전개과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기존 연구에서 자세히 다루지 못한 ‘정세윤’을 분석했다. 셋째, 무신란 당시의 ‘변산적’이 하층민으로 구성된 변산의 도적 무리라는 기존 견해와 달리, ‘변산의 역적 무리’임을 밝혔다. In 1728, there was the national-wide The Musin Revolt against King Yeongjo(英祖) in Gyeonggi(京畿), Chungcheong(忠淸) and Jeolla(全羅) province. I conducted research about the Musin Revolt by using “the investigation record of the Musin Revolt(?戊申逆獄推案?)” and, in particular, examined the gathering of armed forces in Bu`an(扶安) Pyeonggyo(平橋), and marching of Bak Pil-hyeon(朴弼顯)’s Taein(泰仁) army. Th Rebel forces in locality of Bu`an assembled at Pyeonggyo until March 19. they originally planed to move to Cheongju(淸州) and join in rebel forces; but Jeong Se-yun(鄭世胤) left for Cheongju after receiving the urgent message from Lee In-jwa(李麟左), and the others gathered at March 15. However, they were dispersed due to the absence of rebellion leaders and inclement weather, scaled-downed forces. Bak Pil-hyeon who was local governor of Taein planned to lead the army of Taein to convert to the rebel forces. So he assembled the army and marched on Jeonju at March 22. However, rebel forces of Bu`an and Naju did not arrive, and he was also dismissed from the governor. Thus he solely moved to Jeonju. He sent a messenger to Jeong Sa-hyo(鄭思孝), the Govenrnor of Jeonju, and tried to embrace the army of Jeonju. However, Commanding officer of Jeonju, Lee Gyeong-Ji(李慶祉) refused to accept this attempt. Additionally the army of Taein realized Bak Pil-hyeon`s plan to convert itself to the rebel forces, they scattered immediately and Bak Pil-hyeon failed to implement the plan for revolt. This thesis is important in conducting research about following things. First, this thesis analyzes the statements of people concerned who are recorded on the “investigation record of the Musin Revolt”,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Musin Revolt in Jeolla Province. Second, it examines Jeong Se-yun whom precious studies did not focus on. He did not onl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entire Musin revolt. Third, this it proves that ‘the bandits of Byeonsan’(邊山賊) were comprised of people in the low class, and actually rebellious local residents.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유민의 북방 변경 유입과 그 실태

        변주승(Byun Ju-seung) 한국국학진흥원 2008 국학연구 Vol.13 No.-

        조선후기 들어 광범위하게 발생한 유민流民들은 다양한 지역으로 유망流亡했는데, 본거지를 떠난 유민 가운데 일부는 압록강?두만강 일대의 변방지역까지 유입되었으며, 나아가 국경을 넘어 낮선 땅까지 이주했다. 북방변경지역에는 17세기부터 유민들이 유입되기 시작하여, 18세기 들어서는 그 규모가 더욱 커졌다. 압록강 일대에 유민들이 대거 유입됨에 따라 경작지 부족 현상까지 일어났으며, 정부에서도 그에 대한 다양한 대책을 강구했다. 그러나 정부의 대책은 유민들을 해당 지역에 정착시키기에 충분한 수준은 아니었다. 그리하여 19세기 들어서는 변경 지역에 유입되었던 유민들이 압록강 건너편인 청나라 지역으로 넘어가 거주하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9세기 후반부터는 함경도 지역에서 러시아 지역으로 집단 이주하는 현상까지 나타났다. 마침내 정부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인정하고 행정 구역을 따로 설정하여 이주민을 관리하기에 이르렀다. 유민의 입장에서 보자면 국경을 넘어 이주하는 일은 살길을 찾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지만, 유민들의 이주는 결과적으로는 조선인 거주지의 지역적 확대를 가져왔다. In the late Joseon era, the number of migrants increased nationwide. They drifted into various areas. Some of them who had left their native places streamed into the northern border region around the Amnokgang River and Duman River and then crossed the border to a foreign land. Migrant who began to move into the northern border region beginning in the 17th century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18th century. As a massive number of migrants streamed into the region around the Amnokgang River, there was a shortage of agricultural land. In response, the government came up with various measures to resolve the problem. The government measures, however, were not enough to make migrants settle down in the area. Beginning in the 19th century, migrants in the northern border region crossed over the Amnokgang River to live in the land of Qing China and in the late 19th century, groups of migrants began to leave Hamgyeong region and moved into Russia. Finally, the government acknowledged such movement phenomena and set up separate administration districts to control migrants. Although crossing the borders to live into foreign lands was an evitable choice for migrants desperately seeking a way to continue their living, the movement of migrants, as a result, brought about the expansion of the Joseon people's residing area.

      • KCI등재

        조선후기 輿地圖書의 성격과 인천 지역의 특성

        변주승(Byun, Ju-Seu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7 인천학연구 Vol.6 No.-

        The purpose of Yeojidoseo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local societies and the foundation of tax acquisition, and also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 So to speak, Yeojidoseo was the government Jiriji empathized its administrational and practical character. Its usual speciality appears in Ganghwa, Gyodong, Yeongjong, and Incheon, Bupyeong. In comparison of these 5 provinces, Yeojidoseo contained the new items like Bangri(towns), Hogu(population), Doro(roads), Gyeonggye(border), Seongji(the land of castle), Mokjang(stock farms), Jeeon(dams), Changgo(warehouses), Hanjeon(field), Sujeon(paddy field), Jingong(industry and commerce), Bongjin(dedicating), Jojeok(selling and buying grain), Jeonse(tax on field and paddy field), Semi(giving rice to government as tax), Daedong(unity), Gyunse(tax in equal), Gyunyeok(labour for tax in equal), Bongreum(payment for government officials), Gunbyeong(the militaries), Gunhyang(food for the militaries), etc, which were not included in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Researching these new items with existing items that is duplicated in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we could find the circumsta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human geography, or the administrational system, the militaries organization and taxation management in the early 18th century Incheon. However, Yeojidoseo was not published officially, and organized in a consistent system. Therefore, there were a lot of differences between record and the realities. The differences also appeared by Goeul(towns) that even they were in the same Do(province). The character of Yeojidoseo was also shown in Ganghwa, Gyodong, Yeongjong, and Incheon, Bupyeong. Comparing with the information form of 'family names' and 'individuals' and the collecting trend of literature, we found that Ganghaw had different tendency from other provinces. The changes of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seemed to have been accepted in Ganghwa province more than others. When we studied the states from Yeojidoseo in the early 18th century in Ganghwa, Gyodong, Yeongjong, and Incheon, Bupyeong, compared with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Ganghwa had much better conditions than others in Hogu and Mulsan(produce), also it had good natural environment and the foundation of life. The central government also managed Ganghwa specially for the protection of capital Hanyang, so Gangdobu(the department of Ganghwa province and other places near Ganghwa)was in the center of Ganghwa from the view of economics and the militaries. According to the study, we found that Ganghwa recorded much more contents in the aspect of quality and quantity that others in Yeojidoseo.

      • KCI등재
      • KCI등재

        18세기 전라도 지역 무신란(戊申亂)의 준비과정 -「무신역옥추안(戊申逆獄推案)」을 중심으로-

        변주승 ( Ju Seung Byun ),문경득 ( Mun Gyeong Deu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46 No.4

        무신란(戊申亂)은 영조 4년(1728)에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지역에서 영조의 왕위계승 정통성을 부정하며 일어난 반란이다. 본 논문은 무신란에 대한 조사와 처결이 기록된 「무신역옥추안(戊申逆獄推案)」을 주로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논문은 『추안급국안』 「무신역옥추안」에 실린 진술을 분석하여 이러한 사건의 실상과 관련자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전주·남원 괘서 사건은 영조가 경종을 독살했다는 내용의 괘서가 영조 3년 12월 12일 전주에, 12월 14일 남원에 걸린 사건이다. 박필현이 심유현과 이유익으로부터 경종 독살설을 나만치에게 전달했고, 나만치는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괘서 사건에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 전주에 괘서한 사람은 정탁이나 송하, 남원에 괘서한 사람은 정탁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 괘서의 목적은 영조가 경종을 독살했다는 사실을 세상에 널리 알려 반란의 정당성을 선전하기 위한 것이었다. 담양 화약고 방화 사건은 담양부사 심유현과 박미귀가 담양의 화약고에서 화약을 훔친 뒤, 흔적을 은폐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이다. 이들은 화약을 훔쳐 이유익과 남태징의 집으로 운반하였는데, 이 화약의 용도는 반란군이 서울을 공격할 때, 홍화문과 돈화문을 부수기 위한 목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담양의 화약고 방화 사건은 무신란을 위해 주요 전략물자인 ``화약``을 확보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이었다. In 1728, there was the national-wide The Musin Revolt against King Yeongjo(英祖) in Gyeonggi(京畿), Chungcheong(忠淸) and Jeolla(全羅) province. This study is conducted by using “the investigation record of the Musin Revolt(「戊申逆獄推案」)” that includes investigation and judgment about this revolt. This thesis has significance in term of analyzing “the investigation record of the Musin Revolt(「戊申逆獄推案」)”in the Chu`an and Guk`an and grasping the cases and the people involved. Anonymous posters that King Gyeongjong(景宗) was poisoned to death by King Yeongjo(英祖) were put up at December 12 in Jeonju(全州) and at December 14 in Namwon(南原). These posters would have to do with spreading information to justify the revolt. In this context, there was incendiarism at a gunpowder storage in Damyang(潭陽), since Sim Yu-hyeon(沈維賢) and Bak Mi-gwi(朴美龜) stole gunpowder and removed all traces. After stealing gunpower, they transported it to houses of Lee You-ik(李有翼) and Nam Tae-jing(南泰徵). This gunpower would have used to destroy Hong-hua(弘化門) and Don-hua gates(敦化門). In other words, this case occurred because they were willing to secure gunpower, one of significant war materials. Lee ho(李호) tried to win Naju(羅州) Na(羅) Clan over to rebel force through Na Man-Chi(羅晩致) who lived in Eunjin(恩津) at Chungcheong province. Lee ho wanted to raise up an army in Naju at Jeolla Province. But this attempt to embrace Naju Na clan was failed and they did not participate in the Musin Revolt. Leaders of the Musin Revolt prepared themselves for rebellion in Jeolla province, and made an effort to propagate justification and secure war materials and rebel forces. Their efforts triggered off the Musin revolt.

      • KCI등재

        『輿地圖書』의 성격과 道別 특성

        변주승(Byun Ju-seung)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5

        조선 후기 들어 사회경제적 변동이 진행됨에 따라 지방 사회는 큰 폭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지역 실정의 변화를 반영한 읍지들이 각 고을 별로 작성되고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전국적인 지리지를 편찬하여 지방의 실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나아가 지방 통치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필요성이 낳은 산물이 바로 『輿地圖書』이다. 『여지도서』의 편찬은 조선전기에 간행되어 조선 후기까지 지방 통치에 널리 활용되고 있던 『東國輿地勝覽』을, 변화된 조선 후기의 실상에 맞게 개정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했던 것이다. 『여지도서』는 대체로 『동국여지승람』보다는 『世宗實錄地理志』의 체제에 가깝다. 즉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수록되어 있었지만 『동국여지승람』에서는 빠졌던 戶口 · 田結 · 賦稅 · 軍兵 등 국가의 통치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경제와 군사 관련 조항이 『여지도서』에는 단일 항목으로 편성되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편찬된 지 거의 2세기가 지난 『동국여지승람』을 조선 후기 실상에 맞게 개정하면서, 국가의 지방 통치에 유용한 행정적 · 실용적인 측면이 강화된 전국적인 읍지를 새로 편찬하려는 흐름이 『여지도서』의 편찬으로 이어졌는데, 『여지도서』의 수록 항목에 나타난 이러한 특징은 그러한 의도가 반영된 당연한 결과라고 하겠다. 또한 『여지도서』의 지역별 특성을 살피기 위해 인물 관계 기사와 문학 작품을 道別로 비교한 결과를 보면 도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해당 지역의 읍지를 작성하는 의도나 목적이 각각 달랐기 때문으로 보인다. 요컨대 전국적인 官撰 지리지의 편찬과 간행이라는 목적을 표방했던 『여지도서』는, 공식적인 간행으로 이어지지 못해 빠진 고을이 많고 도별과 지역별로 수록 기준과 내용에 큰 차이를 보임으로써 ‘미완의 전국 지리지’로 남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여지도서』는 18세기 중엽이라는 특정 시기에 나름의 기준을 가지고 전국 313개 官府의 읍지를 수합함으로써, 조선 후기 지방 사회 실상의 연구에 아주 중요한 자료의 보고가 되었다.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social and economic changes was being progressed, local societies were changing wildly. Therefore. Eupjis, which reflected the changes of local reality, were being prepared by district. It was suggested that there was the necessity of researching the realities of all the district and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 by compile a national Jiriju based on Eupjis. The Yeojidoseo was produced by the necessity of its age. The Compilation the Yeojidoseo was started from an intention to rectify Dongguk yeoji seungnam, which was issued in the early Joseon and used until the late Joseon for governing the loca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reality of the late Joseon. The system of Yeojidoseo is generally closer to Seojong sillok jiriji rather than Dongguk yeoji seungnam In other words, the items-Hogu(population), Jeongyeol(taxes on land), Buse(taxation), Gunbyeong(the militaries)-related to economics and the militaries which are necessary to govern the nation practically were included as a sole clause like Seojong sillok jiriji, but they were excluded from Dongguk yeoji seungnam. Rectifying Dongguk yeoji seungnam, which had been 2 centuries to be issue, according to the realities, the compilation of Yeojidoseo was from the current to compile a national Eupji of which administrational and practical contents were strengthen for useful local government. Therefore, its speciality in clauses was sure to reflect this intention. Also,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of record and literature by district for studying the character of Yeojidoseo, and it seems each Do(district) had different position or purpose to compile Eupjis. The point is that Yeojidoseo is remained 'the uncompleted national Jiriji' that had a goal to compile and issue a national Jiriji by the government. It is a reason why it was not able to issued officially then, left out many towns and the level of recording and contents by each district or localities was excessively different. However in spite of limitation, Yeojidoseo is very important information for investigating of the realities of local societies in the late Joseon by gathering and combining 313 of Eupjis from towns and provinces with its own standard in the middle of 18C.

      • KCI등재

        조선후기 유민정책 연구

        변주승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民族文化硏究 Vol.34 No.-

        조선 후기 들어 농민층의 광범위한 유망 현상에 직면한 조선왕조 정부는 다양한 유민 대책을 모색했다. 정부의 직접적인 유민대책은 첫째, 유민을 통제하고 정착시켜 부세 수취체제내로의 재편입을 도모하기 위한 流民統制策, 둘째, 유민을 본적지로 되돌리기 위한 流民還送策, 셋째, 유민을 구호하고 정착을 지원하는 流民安集策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17세기 말 18세기초를 고비로 정부의 유민 정책은 직접적, 강제적인 규제와 통제 경향에서 점차 탈피해갔다. 이는 대규모로 발생한 유민을 모두 본적지로 환송하는 것은 실효를 거두기 어렵고, 농촌을 떠난 유민의 일부는 도시·광산 등지에서 새로운 직업을 갖거나 임노동으로 살아가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정책의 변화이었다. 요컨대 조선왕조 정부는 유민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제반 정책의 변화를 적극 도모했다. 하지만 근본적인 유민대책은 수립되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세기 들어 三政의 문란으로 불리는 부세 수탈은 더욱 심화되었다. 따라서 19세기에 이르면 몰락농민층은 유망을 통한 생존조건의 변화도 여의치 않고, 국가의 안집책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 시기에 浮游集團의 증가에 따른 각종 폐단이 늘어가고, 民亂이 대대적으로 발생한 것도 이러한 상황과 무관하지 않았다. By the la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government facing the widespread phenomenon of the life of the peasants who lost their land and left their villages tried to solve it in many ways. The government enforced the control programs such as Hopaebeop(號牌法) and Ogajaktongje(五家作統制) designed to prevent the peasants from abandoning the land they worked. However the peasants were totally unable to maintain their ground in this period, and it was an unavoidable selection for the poor peasants and ruined farmers to avoid the heavy burden of taxes and secure new means of livelihood. They were inevitably forced to leave their villages. Therefore the government's control-oriented policy was difficult to take effect. Meanwhile, the government tried every possible means to settle the yumin, but the settlement programs such as numerous relief measures and tax-cutting policy were of little avail. the settlement practices were differed from region to region, and time to time, and by the nineteenth century they became reduced little by little, together with the general withering of relief program. In brief, the Joseon dynasty confronting the growing tendency of the number of yumin was deeply concerned for the problem so that the government tried to change the policy earnestly. However, it did not alleviate the suffering of the peasants and the fundamental measures was not prepared y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