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적 관점에서 본 신화의 상호소통 방식과 의미

        변숙자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101

        This Paper covered ecological idea that appears in Korean mythology and based on this, mutual communication style of existence and the world in ecological way to look for human and nature of organic perspective. The Mythology to talking about that world in surrounding the human composed in an organic associations between the nature and the transcendental existence, the natural world and the transcendental world not only human. The Mythological character is shaped into existence with the dualistic properties of the personality and the divinity, the personality and the animal personality and so on. Then natural and human, transcendent beings are confirms that the existence of communication possible as ecological organisms. ‘The transcendental world—The human world—The natural world’ in the Mythology are a Symmetric spaces that exists as independent. However The space is not severed, but is set to the continuous space movable as possible. The power of a transcendent world serves as a mechanism for overcoming the practical finiteness in human world. Whiles The power of a transcendent world by instantiation in natural objects of ‘Flower’ or ‘Tree’ and others, the transcendent world and the human world, the natural world should be recognized that a continuous space organically. Such as Ecological mutual communication ways of Mythology led to a collective sharing of ecological idea, it can be seen a positive effects as a cognitive mechanism to establish a social order. 이 논문은 인간과 자연을 유기적 연결체로 보는 생태적 관점에서 한국 신화에 나타난 생태적 관념과 이를 기반으로 한 존재와 세계의 상호소통 방식을 다루었다. 신화는 인간을 둘러싼 세계가 인간만이 아니라 자연과 초월적 존재, 자연계와 초월계와의 유기적 연관 속에서 구성됨을 이야기한다. 신화 속 주인공은 인격과 신격, 인격과 수격 등 이원적 속성을 지닌 존재로 형상화되면서 자연과 인간, 초월적 존재가 생태적 유기체로서 소통 가능한 존재임을 확인시킨다. 신화에서 ‘초월계—인간계—자연계’는 각기 독립적 공간으로 존재하는 대칭적 공간이나, 단절된 공간이 아니라 얼마든지 유동 가능한 연속적 공간으로 설정된다. 초월계의 힘은 인간 세계의 현실적 유한성을 극복하는 기제로 작용하는데, 초월계의 힘이 ‘꽃’이나 ‘나무’ 등의 자연물로 실체화됨으로써 초월계와 인간계, 자연계가 유기적으로 연속된 생태 공간임을 인식하게 한다. 이러한 신화의 생태적 상호소통 방식은 생태 관념의 공동체적 공유로 이어지고, 사회 질서를 확립하는 인식적 기제로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숙향전>의 제의적 성격과 의미

        변숙자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0 고전문학과 교육 Vol.44 No.-

        This study on the ritual character and communication style in "Sookhyangjeon" and reveals that the process of reading "Sookhyangjeon" is meaningful in terms of exploring the existential identity of humans. To this end, I proposed that the ritual acts in the story, such as drinking a Sacred tea, ritual nakedness, and saving the empress using Sacred drugs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hardships of Sookhyang and Lee Seon are equivalent to the ritual experience of restoring the original self as a heavenly being through negotiations with the transcendent world. This experience is a symbolic mechanism that allows us to recognize the two heterogenic worlds, the celestial and the human in an integrated and resilient way. As such fundamental human desire and raw vividness that is love is achieved through the proposed ritual experience, whereby negotiations with the transcendental world are as meaningful as the process of finding the existential identity of humans. As such, "Sookhyangjeon" is based on ancient mythological thinking that views the two heterogeneous worlds of heaven and earth, that are characterized by unity rather than separation. 이 연구는 <숙향전>이 지닌 제의적 성격과 소통 방식에 주목하여 <숙향전> 읽기의 과정이 인간의 존재론적 정체성을 찾는 과정으로서 의미가 있음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숙향과 이선의 고난 극복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액 마시기, 제의적 벌거벗음, 선약을 이용한 황태후 살리기 등의 제의적 행위가 초월계와의 교섭을 통한 천상 존재로서의 본래적 자아를 회복하는 제의적 경험에 해당함을 밝혔다. 이러한 제의적 경험은 천상계와 인간계라는 두 이질적 세계를 평면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적이고 탄력적으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제의적 경험→고난 극복→애정 성취→천상 회귀’라는 중층적 서사 층위를 형성하는 상징적 기제로 작용한다. 또한 제의적 경험을 통해 인간의 원초적 욕망인 사랑을 성취하는 과정은 인간의 존재론적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으로서 의미가 있다. 이처럼 <숙향전>은 천상과 지상, 초월계와 인간계라는 두 이질적 세계를 분리가 아닌 통합의 시선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고대의 신화적 사유에 기반한 작품이다. 이를 통해 신화의 제의적 속성이 후대 서사문학의 흐름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학교자치에 관한 교직원 인식 분석 연구

        변숙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2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학교 운영에 참여하는 교직원, 즉 교사, 관리자, 교육행정직, 교육공무직을 대상으로 학교자치에 관한 실행 양상 및 인식을 조사‧분석하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자치 실현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학교자치에 관한 교직원의 인식은 직위, 학교급을 중심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에 교직원의 협력과 소통에 기반한 학교자치 실현을 위해 지원이 요구되는 측면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교육행정직의 경우 교원 집단에 비해 학교자치에 관한 필요성에 관한 인식은 낮으나 개념 이해에 대한 요구가 강하게 나타나, 교육행정직 집단을 대상으로 학교자치 관련 직무연수와 컨설팅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교원 집단의 경우, 학교자치에 관한 관리자와 교사 집단 간에 상당한 인식 차이가 존재하므로, 관리자의 민주적 리더십 연수와 학교 구성원의 의사결정 참여의 제도화 등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자치를 위해 선행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학교 구성원의 소극적, 수동적 태도의 개선을 통한 협력적 조직문화 형성인 것으로 나타나, 교직원의 집단적 효능감을 높여 협력적 학교문화를 조성해나갈 수 있도록 교원과 교육행정직 집단이 함께 참여하는 직무연수 개설 및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학교급에 따른 학교자치 문화 요인이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급에 따른 역량 강화 지원 방안을 차별화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 구성원의 원활한 의사소통 문화 형성과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의사소통 교육, 토의‧토론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국어교사를 활용하여 교직원 대상의 의사소통 역량 강화 연수를 지속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implementation patterns and perceptions of school autonomy for school staff at school site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school support for realizing school autonom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First, support for job training and consulting related to school autonomy is required for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oup. Second, it is necessary to have managers' democratic leadership training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chool member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Third, in order to foster a cooperative school culture by enhancing the collective efficacy of the faculty and staff,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support job training in which the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oup participate together. Fourth, there is a need for policy support to differentiate the support plan for capacity building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Fifth, it is necessary to form a culture of good communication in schools,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conduct competency-building training for faculty members.

      • KCI등재

        미래사회 대비 교수학습 및 평가에 관한 국어교사의 인식 분석

        변숙자 청람어문교육학회 2024 청람어문교육 Vol.- No.98

        이 연구는 미래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및 평가에 관해 국어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여 미래 국어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국어교사들은 미래교육을 위해 현행 교수학습 및 평가의 개선이 필요함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교육 주체의 참여와 관련하여 학생의 주도성과 교사의 촉진자적 역할은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나, 학부모나 지역사회의 교육 참여에 관해서는 소극적인 경향을 보였다. 교육 내용 및 방법 측면에서는 지역교육생태계 연계 교육 및 역량 중심 평가, 탄력적 교육과정 운영 및 학습 지원 공간 구축 요인에 관한 현재수준은 가장 낮게, 주도성 신장 및 공동체 가치 함양 교육, 디지털 소양 및 문제 해결력 함양 교육, 과정 및 활동 중심 수업과 평가 요인에 관한 중요도는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미래교육에 관한 국어교사들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미래 국어교육을 위해서는 생태전환교육, 노동존중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및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등의 교육 내용이 강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디퍼러닝(Deeper Leraning) 및 크로스오버러닝(Cross Over Learning) 등의 교육 방법이 새롭게 도입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iagnose how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ive and implement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in a future-oriented perspective, in order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Korean language educators have prominently recognized the imperative necessity for enhancements in pedagogy, instructional methodologies, and assessment practices from a future-oriented vantage point. However, a discernible inclination has been observed whereby the practical execution within the current educational framework is perceived to exhibit a suboptimal standard. In order to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future-ori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 concerted emphasis is necessitated on pivotal support pertaining to the integration of educational content encompassing ecological transition pedagogy, labor-respecting instruction, media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education. Furthermore, the adoption of educational methodologies such as Deeper Learning and Cross Over Learning warrants attention. To this end, the establishment of conducive learning environments conducive to repose and leisure, as well as the creation of individualized and collaborative learning spaces, stands as imperative requisites.

      • KCI등재

        <세경본풀이>에 나타난 문화 형상화 양상 고찰

        변숙자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1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ltural elements of Segyeongbonpuri, a Jeju shamanic myth, using Moran’s cultural classification model, and reveal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embodied in it through the interaction process between theele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element “House” represents the oppressive family 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Jacheongbi who the main character, became a god of agriculture and parents;“Forest” represents Jeongsunam's professionalism and herding 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Jacheongbi and Jeongsunam who the servant of Jacheongbi and became a cattle god. ; and “Heaven”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Jacheongbi and Mundoryeong who the son of heaven, husband of Jacheongbi and became a god of agriculture. Thus, Segyeongbonpuri embodies the agricultural cultur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heaven, earth, and the underworl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process by which the cultural perspective of the mythical community is represented as an act of Jacheongbi by applying a cultural classification model and analyzing the cultural phenomena seen in Segyeongbonpuri. 본 논문은 모란(Moran)의 문화 분류 모델을 활용하여 제주도 무속신화 <세경본풀이>의문화 요소를 분석하고, 문화 요소 간의 상호작용 방식에 근거하여 <세경본풀이>에서 특정문화를 형상화하는 양상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세경본풀이>는 집, 숲, 하늘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자청비와 부모, 정수남, 문도령과의 상호작용 행위가 유발되고, 해당 공간과 이질적 세계와의 지속적 교섭을 통해 가정문화, 목축문화, 농경문화가 형상화되고 있다. 첫째, ‘집’을 중심으로 한 자청비와 부모의 상호작용은 가부장제적 가족관, 남성중심 세계관이 강하게 작용하는 가정문화를 형상화하고있다. 둘째, ‘숲’은 자청비와 정수남의 관계를 통해 정수남이 지닌 목축인으로서의 전문성, 야성성을 드러내면서 전문가 집단인 목축공동체의 정체성과 이에 기반한 제주의 목축문화를 형상화하고 있다. 셋째, ‘하늘’은 자청비와 문도령의 관계를 통해 자청비의 신성성과 사회적 정체성이 완성되는 공간으로 천상의 오곡씨앗과 저승의 환생꽃을 획득, 활용하는 행위 방식을 통해 이질적 세계의 통합을 지향하는 생태적 농경문화를 형상화하고 있다. 본논문은 문화 분류 모델을 방법론으로 적용하여 <세경본풀이>에 나타난 문화 현상을 분석하고 신화 전승 공동체의 문화 관점이 자청비의 행위로 표상화되는 과정과 의미를 해석한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중·고 학생의 미디어 이용 양상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변숙자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media culture that students experience outside of school and the media literacy that they experience in school to reveal the realization of school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to derive certain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 directions. This Studies have shown that students tend to rely on digital media in their daily lives, using a lot of digital-based New Media such as online video platform and social media. There was a low perception of experiencing media literacy education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was experienced mainly in information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Ethical use education of media was the most active, and the education on the reliability of media information and data production using media were the least sufficient, but the educational demand for the reliability of media information was the strongest.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atization of school media literacy education requires education reflecting students' media culture, hierarchy by school level, accurate diagnosis and verification of media literacy capabilities, and integrated media literacy education.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경험하는 미디어 문화와 학교 안에서 교육적으로경험하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조사 분석하여 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현태를밝히고,앞으로의 교육 방향성에 관한 일정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학생들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소셜미디어 등 디지털 미디어(Digital Media)에 관한 사용 빈도와 의존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학교 교육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경험한다는 인식은 낮았으며,정보와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미디어의 윤리적 사용 교육이 가장활발하였고,미디어를 활용한 자료생산과 미디어 정보의 신뢰성 판별 교육은 가장 미흡하였으나,미디어 정보의 신뢰성 판별에 대한 교육적 요구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정보 찾기 역량에 관한 인식은 높은 반면,미디어를 활용한 자료 생산과 공유 역량은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체계화를 위해서는학생들의 미디어 문화를 반영한 교육,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의 학교급별,교과별 위계화,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관한 정확한 진단과 확인,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천에 관한 성찰,국어교육을 비롯한 교과 간 통합적 미디어 리터러시교육과정 설계와 구체적 실현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근거이론을 활용한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 분석

        변숙자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3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teachers with media literacy teaching experience to identify various phenomena, conditions, and strategies that appeared in teachers’ experience of media literacy teaching based on grounded theory. We attempted to formulate implications for a revitalization plan for school media education. After analyzing the in-depth interview data, 187 concepts, 56 subcategories, and 28 categories were derived. Based on the paradigm model of grounded theory, We found that important phenomena such as the difficulty in carrying out curriculum-integrated media literacy education, confusion of perspectives on media education, the desire to perform media literacy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subject,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learner-centered media literacy curriculum were found. A process model was developed for ‘enhancing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xpertise through media literacy classes’, Five policy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school media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사서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 분석

        변숙자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3

        This study is to analyze librarian teachers' experiences of media literacy classes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school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middle and high school librarians with experience in media literacy classes, and the process of media literacy class experiences was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erspective and the reestablishment of the role theory of librarian teachers were discussed regarding reading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In addition, development of new literacy education typ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cooperative classes between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librarians, development of convergence and cooperative teaching methods between librarians and subject teachers, support for the improvement of media education professionalism of librarians, and cooperative school culture The development of a media-based curriculum and improvement of the school media education environment were suggested as policy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role of librarian teachers, which has not been noticed in media literacy education, is reviewed, second, the direction of school media education based on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teachers and librarians is explored, and third, media literacy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reviewed. The point is that it provided certain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emphasizes. 본 연구는 사서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에 관한 경험을 분석하여 학교 미디어 교육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이 있는 중․고등학교 사서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서교육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국어교육적 관점 및 사서교사의 역할론 재정립에 관해 논의하였다. 또, 국어교사와 사서교사와의 협력수업을 통한 국어교육에서의 새로운 리터러시 교육 유형 개발,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융합 및 협력 수업 방안 개발, 사서교사의 미디어 교육 전문성 향상 지원, 협력적 학교 문화에 기반한 미디어 교육과정 개발, 학교 미디어 교육 환경 개선 등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첫째, 그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을 검토하고, 둘째, 교과교사와 사서교사의 협력적 관계에 기반한 학교 미디어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였으며, 셋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리터러시가 강조되는 국어교육에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 KCI등재

        2015 개정 초·중등 국어 및 문학 교과서의 신화 제재 수용 양상

        변숙자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3 고전문학과 교육 Vol.52 No.-

        This study analyzes the inclusion of mythological materials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and the aspects in which learning activities have been implemented for each material. First, after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mythological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Jeju Island shamanic myth <Woncheongang Bonpuri> was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Grade 4 of elementary school and Grade 1 of middle school. Furthermore, <The Myth of Jumong> was included in the Korean textbook for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and <The Myth of Dangun>, <The Myth of Jumong>, and <The Myth of Suro>, Jeju Island shamanic myth <Cheonjiwang Bonpuri>, and <The Myth of Baridegi> were 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book for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Second, mythological materials tend to focus on understanding the hero's biography structure for which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mythology is required. 본 논문은 2015 개정 초·중·고등학교 국어 및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신화 제재의 수록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논의는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교과서 발행을 앞둔 시점에서 신화 제재의 교과서 수록 및 신화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일정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초·중·고등학교 학교급 별 국어 및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신화 제재 수록 양상을 살펴본 결과, 초등 4학년 국어 교과서에 제주도 무속신화 <원천강본풀이>의 애니메이션 개작본인 <오늘이>가 처음 등장하였고, 중학 국어 1학년 5종 교과서에 <주몽신화>, <원천강본풀이>, <삼공본풀이>가 수록되었다. 고등 1학년 국어 2종 교과서에는 <주몽신화>가, 고등 2학년 문학 7종 교과서에 <단군신화>, <주몽신화>, <수로신화>, <천지왕본풀이>, <바리데기>가 수록되었다. 둘째, 건국신화와 무속신화 제재 활용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건국신화인 <주몽신화>, <단군신화>, <수로신화>를 제재로 한 학습활동 내용이 전반적으로 영웅의 일대기 구조 파악과 신이성 파악 중심에 편향된 교육 활동이 반복된다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건국신화 교육에서는 건국신화의 정치적, 역사적 성격이 구체적으로 교육 내용에 반영되어야 한다. <주몽신화>는 초, 중, 고등학교에서 연속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나 교육 경험의 연속성, 확장성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바, 현대 문화콘텐츠와의 비교 활동 등 현대 학습자들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고, <주몽신화> 등 건국신화가 민족 신화 성격으로 전승되는 사회문화적 맥락 이해 교육이 요구된다. <단군신화>는 전설, 민담 등 설화의 하위분류 학습 제재로 활용되고 있으나, 민족의 시원과 관련한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담론 형성의 역할이 교육 내용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무속신화인 <원천강본풀이>는 초·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연속적으로 다루어지는 제재로, ‘내용 요약’ 활동이 반복되고 있으나, 주인공 ‘오늘이’의 문제 해결 행위를 중심으로 자아 성찰, 타자의 이해와 소통, 문학 치유와 공감 등 청중과의 교감 중심 메시지로서의 무속신화의 특성이 교육 내용으로 구안되어야 한다. <천지왕본풀이>는 웹툰 <신과 함께>와 교과서에 병행 수록되어 있는 바, 무속신화가 현대 문화콘텐츠로 변용될 수 있는 서사적, 환경적, 문화적 요인을 발견하는 등 신화의 현재성, 현대 학습자와의 공감을 적극 고려할 수 있는 학습이 요구된다.

      • KCI등재

        배경설화에서 본 <구지가>와 <해가>의 선후관계 해명

        변숙자,현승환 한국언어문학회 2024 한국언어문학 Vol.126 No.-

        This study starts from the question of the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ong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ujiga” and “Haega” shown in the tale of King Suro of Gaya in “Garakgukgi” and Lady Suro of Silla in “Surobuinjo” recorded in “Samgukyusa”. To state the conclusion in advance, I would like to reveal that “Haega” is more ancient than “Gujiga”. It is said that “Haega” was sung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deok of Silla, so the temporal distance from“Gujiga” to “Haega” is a whopping 700 years. The main focus is to understand what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of the two songs. The foundation is found in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folklore. The purpose is to find meaning by comparing the changes in folklore 700 years ago and 700 years later. In this article, we attempted to explain the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Gujiga” and “Haega” based on folkloristic evidence related to the historical change process of the “Gimhae” region, which is the regional background of “Garakgukgi”, and the ancient marriage ritual and Ritual for wishing for a chil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it can be asserted that “Haega”, originating from the belief in the marine realm, predates “Gujiga” which amalgamates beliefs in the sea and the subsequent celestial dom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