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입 냉동새우에서 검출된 YHV3와 IHHNV의 계통학 및 병원성 분석

        백은진,정예진,정민아,박지연,김광일,Baek, Eun Jin,Joeng, Ye Jin,Jeong, Min A,Park, Ji Yeon,Kim, Kwang Il 한국어병학회 2022 한국어병학회지 Vol.35 No.1

        Yellow head virus (YHV), Infectious hypodermal and hematopoietic necrosis (IHHNV), Taura syndrome virus (TSV), and Infectious myositis virus (IMNV) cause serious mortality to Penaeidae shrimp in the aquaculture. In this study, YHV, IHHNV, TSV, and IMNV were surveyed from imported frozen shrimps between 2019 and 2020 via molecular diagnostic assay. Among 10 shrimp groups, YHV (n=1) and IHHNV (n=4) were detected by RT-PCR and PCR, respectively. From the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partial ORF 1b region of YHV, YHV was classified into YHV genotype 3 (YHV3). And IHHNVs (n=2) detected from Litopenaeus vannamei belong to infectious IHHNV type 2. Although IHHNVs (n=2) identified from Penaeus monodon showed PCR positive results (MG 831F/R primer set), the sequences of ORF 2 and 3 were not amplified, suggesting that those samples might possess type A IHHNV related sequence of P. monodon. Furthermore, in the challenge test, even though PCR-detected isolates (YHV3/type A IHHNV related sequence or infectious IHHNV type 2) were not induced mortality to L. vannamei, viral genes were amplified suggesting that the viruses in the frozen shrimp could be non-pathogenic particles which are not enough to induce mortality.

      • KCI등재

        역사교사의 역사교육 목적에 관한 사례 연구

        白銀珍(Baek, Eun-Jin) 역사교육연구회 2014 역사교육 Vol.131 No.-

        The discourse about the purpose of the history education has rarely been seen since Independence of Korea in 1945. It is partly because the top-down approach, which is divorced from the actual classroom experience. Also, there has rarely been research on what teachers and students actually consider as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and what they really teach and learn. It is a natural consequence of the stance that regards teachers as neutral deliverer of historical facts. Defying this trend,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urposes of teaching history actually set by teacher, who is the primary agents of the education, and the practices to achieve them. A history teacher in middle school was selected for this research. In depth interviews on his perceptions on purposes of teaching history were conducted, and their classroom practices were observed to find realizations or distortions of their expectations. His views are commonly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history education would be beneficial to real life of the students. And he addressed the purposes of his teaching in the test class. He included all units of the text book in their annual curriculum, and continued to apply and use single method and text book. Therefore, history teachers’ education institutes should provide programs which allow history teachers to make a choice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ing that suit their own intention. Through this, they should learn how to reflect their intention to their teaching and how to self-examine it.

      • KCI등재

        역사학습의 목적과 역사교사의 역사교육 목적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

        白銀珍(Baek, Eun-Jin) 歷史敎育硏究會 2015 역사교육 Vol.133 No.-

        There are two main agents in history classes: teacher and students. This research is about the students’ perception, especially perception of teacher’s purpose of the teaching history. The research is carried out by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Students are also asked to say their own understanding on the purpose of learning history, in order to discover how they find a meaning in their history classes. 15 students are interviewed; 6 of them ar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others ar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or Gyeonggi-do Province. The following are the observations drawn from this research. First, students’ understanding of learning history is more likely based on personal context or experience than that of teachers. Second, even though some students have partial understanding of their teacher’s purpose, this doesn’t always mean they sympathize their teacher’s view. Third, with their own basis, some students hold different views on the goals of teaching history set by their teacher, or on the content or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m. Fourth, no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objective and their study achievement. Understanding these purposes set by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 of their teacher’s purpose will be helpful to building more communicative history class.

      • KCI등재

        역사 교수법의 의미와 역사다운 교수법의 필요성

        백은진(Baek Eu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history teaching method suggested in domestic history education research was reviewed and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history teaching method was presented. Methods The meaning and perspectives of history teaching method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results since the 1970s, history teaching methods and classification criteria presented in the domestic history education community, and problems caused by formal understanding or mechanical application were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reflections were drawn in the application and issues of history teaching methods. And history teaching methods for disciplinary literacy in History were suggested. Conclusions The method of teaching history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history teacher s own history education purpose or history lesson goal, and the method of history research is taught.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역사교육 연구에서 제시되어 온 역사 교수법의 의미를 검토하고 역사다운 역사 교수법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때 역사다운 교수법이란, 역사의 성질이나 특성을 반영하는 교수법을 뜻한다. 방법 먼저 교수와 학습의 관계, 역사 교수법의 의미와 이를 바라보는 관점들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구분하였다. 이후 1970년대 이래 국내 역사교육 개설서와 국내외 관련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국내 역사교육계에서 제시되어 온 역사 교수법의 분류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형식적 이해나 기계적 적용이 낳는 문제들을 제기하였다. 결과 이와 같은 분석의 결과로 역사 교수법의 적용상 유의점들을 도출하였고, 역사를 역사답게 가르치고자 하는 교사가 역사수업을 통해 학생의 삶과 성장에 기여하고자 할 때 고려할 필요가 있는 역사 교수법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결론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역사를 가르치는 방법을 선정할 때 역사답게 가르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으로, 역사를 가르치는 방법이 역사교사 자신의 역사교육 목적 또는 역사수업 목표와 일관성을 가져야 할 필요성과 역사 연구의 방법을 가르칠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역사 문서 읽기와 맥락화 교수학습을 강조하였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역사과 핵심역량 설정의 현황과 모순

        백은진 ( Eunjin Baek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5 사총 Vol.86 No.-

        What ought to be the crucial goals of teaching history? This question demands collaboration of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y. There are plenty of issues whose satisfactory solutions cannot be achieved with one-sided approach: Which historical knowledge should students acquire? What should be learned from these historical facts? How to train students to practice the methods of historical research? How to guide students to fai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exts? How to apply these lessons from the classes to students`` real life? In light of these questions, General Guideline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Key Competencies seems to have less common ground with the inquiries of history researchers and teachers than the needs of labor market. Moreover the Key Competencies of the history curriculum proposed by the draft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merely follows that of General Guideline without bearing the context of recent discussions and researches in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gy. What ought to be taught, and why? Researchers and educators have always sought meaningful answers to these questions. What kind of abilities should middle school students obtain through the curriculum? How history teaching is helpful to students`` practical life? What can be learned in the history and cannot be learned in the subjects other than history such as language arts, foreign language training or art class? Without interfacing with these endeavor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its detailed classification of knowledge and abilities will constrict the content and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 KCI등재

        역사 교재로서의 사진

        백은진(Baek, Eu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6

        역사 교재로서의 사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사진이 갖는 역사적 증거력을 강조하는 맥락에서 과거 사실을 생생하게 재현하는 매체라는 점에 강조를 두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사진이 과거를 생생하게 재현하는 것 외에도, 역사 문해 력 함양을 위해 교재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최근 연구들이 발전시키고 있는 역사 텍스트 독해에 대한 맥락화 교수학습의 방법을 비문자 텍스트인 사진 활용 역사 교수학습 활동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사례를 통해 제시하였다. 주로 문자 텍스트에 적용하여 연구되어온 출처 확인, 비교와 대조, 종합의 과정을 사진에 적용하여 역사교사의 발문과 함께하는 맥락화 교수학습의 과정을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문자 텍스트뿐 아니라 비문자 텍스트도 맥락화 교 수학습을 통한 역사 문해력 함양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주었다. Today we are surrounded by flooding multi-media and visual images. In this situation, there are so many materials and variable media for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This study analyzes photograph as historical materials. Above all, photography is a media to explore the implication of historical evidence. And it can be used for cultivating historical literacy. For developing historical literacy, history teachers need to understand historian’s thinking and reading skills. The skills can apply to read photograph in historical context. Reading the historical text and thinking historically include sourcing, corroboration, and contextualization. This article attempts to show possibilities for reading and contextualizing photograph historically.

      • KCI등재

        민주 시민 양성을 위한 역사교육: 접점과 간극

        백은진(Baek, Eu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최근 역사교육계에서 논의가 활발한 민주주의 교육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기존의 역사교과교육연구들은 주로 민주 시민 양성이 사회과 교육이나 도덕과 교육의 목표이자 과제라고 규정하며 이와의 차별성을 부각하는 역사교과의 특수성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최근 한국 사회의 변화는 역사교육계에도 민주 시민 양성에 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역사교육의 목적이 민주주의의 발전에 기여하는 데에 있음을 강조하는 흐름을 형성하게 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들은 민주주의에 기여하는 역사교 육의 과제로 교수 내용, 교수 방법 등 여러 측면의 변화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사학사적인 측면에서 보면, 역사적 교훈의 의의를 강조하는 맥락에 있다고 할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경향들에는 역사적 교훈을 강조함과 동시에 비역사적․ 탈맥락적 이해로서의 현재주의가 나타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사교육이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할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역사학의 방법론적 특수성을 놓치지 말아야 할 필요성과 과제를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democratic education which is active in history education. First, the existing history education researches have mainly emphasized the specificity of the history subject. They emphasizes the differenti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as the goal and task of social studies education or moral education. Recent changes in Korean society, however, have increased the interest in the democratic citizenship, and have led to a trend to emphasize that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addition, these studies raise the necessity of various aspects such as teaching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s the tasks of history education which contribute to democracy. This tendency is in the context of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of historical lesson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However, these research trends emphasize historical lessons as well as presentism as a de-contextual or non-historical understanding.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 the ne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while posing the necessity and task to not miss the methodological specificity of history.

      • KCI등재

        한국의 역사수업 연구(2014~2020)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백은진(Eunjin Baek),김민정(Kim Minjung)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1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역사수업 연구 논문을 분석한 선행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2014년부터 2020년 사이에 국내에서 발표된 한국의 초⋅중등학교 역사수업에 관한 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이후 시기 역사수업 연구의 주제, 연구 방법상 특징과 한계, 연구 문제와 결과 논의의 정합성, 이전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변화된 점을 포함하고 있다. 동료 평가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포함한 역사수업 연구 중에서 총 63편의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역사수업 연구자의 연구 주제와 이를 풀어가는 연구방법론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공동 연구진의 개별 연구 분석 및 분석 틀에 입각한 분석 결과, 초⋅중⋅고등학교별 모든 학교 급에서 고른 연구가 이루어졌고, 역사수업에 대한 여러 측면이 서로 교차하는 교직(交織) 차원의 주제를 다루는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저자로는 교사 연구자가 많았고,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실행 연구를 수행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연구방법론의 타당성 검토는 해당 역사수업 연구가 채택한 연구방법론에 대한 개별적인 평가에 기초하여, 연구 문제 설정과 선행 연구와의 관계, 연구 방법과 연구 과정상에서 신뢰성 확보의 문제, 연구 문제와 연구 결과의 정합성 및 연구 결과 도출의 타당성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사례 분석과 제시를 통해 첫째, 역사수업에 대한 연구 문제 설정 시 선행 연구의 충실한 검토와 이론적 틀 속에 위치시키는 접근이 지닌 의미를 밝히고, 둘째, 연구 문제에 따라 적절한 연구 방법의 설계와 연구 과정의 신뢰성 확보가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가 설정된 연구 문제와 차용된 연구 방법에 비추어 타당할 때, 역사수업 연구 결과가 우리의 역사수업 연구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난 20여 년간 이루어진 역사수업 연구 주제와 연구방법론에 대한 분석은 연구의 경향과 그 저변에서 흐르는 쟁점을 규명하고, 향후 역사수업 연구의 질적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Based on the critical review of research on history teaching in 2000-201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n elementary and secondary history teaching published during 2014-2020, focusing on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questions include the themes, distinguishing features of methodologies and finally changes made from the previous results, if any. The analysis of the 63 empirical studies highlights the growing number of teacher researchers as authors, conducting mainly action research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termine whether each research method can be justified, we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questions and previous research, the problem of securing reliability in data collection and coding, 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research question and results as well as the validity of results from the research process. The discussion would highlight the discussion of further teaching history research as well as research methodology.

      • KCI등재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 역사 교과 고유성과 역사 탐구

        백은진(Eunjin Baek) 한국역사교육학회 2023 역사교육연구 Vol.- No.46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각론 체제와 역사과 교육과정의 체계를 돌아보며 향후 역사과 내에서 대안들을 내놓으려 애써야 할 쟁점들은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이라는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 속에서 체계적으로, 즉 낱낱의 부분이 일정한 원리에 따라 짜임새 있게 조직되어 있는가? 둘째,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은 최근 20여 년간 ‘역사교육학의 역사’, 특히 역사과 내 여러 논의와 연구 결과들에 비춰 타당하게 구성되었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 함양 교육과정을 표방하면서 역량의 총체성(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범주)을 강조하였다. 각 교과(목)의 내용 체계는 역량의 범주에 따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범주로 나누었다. 이때 ‘과정・기능’은 ‘교과 고유의 사고 및 탐구 과정 또는 기능’으로 정의하여 각 교과가 교과 고유성이나 탐구를 교과 나름의 원리와 방법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영역’과 ‘핵심 아이디어’의 관계는 각 교과(목)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설정할 여지가 있었고, 민주시민 교육이나 환경・지속가능발전 교육(총론 고시 이전의 ‘생태전환 교육’)과 같은 범교과 학습 주제를 각 교과(목) 교육과정에 어느 정도로 반영할지는 각 교과의 몫이었다. 그러나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은 역사 교과 고유성과 역사 탐구의 의미와 이를 가르칠 방법에 대한 체계성과 타당성 측면에서 아쉬움을 남겼다. ‘역사과’는 ‘역사’를 중심으로 단일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공간이나 세력이라고 보기 힘들다. 오히려 여러 입장과 경향들이 더 나은 선택과 결정을 위해 서로 대안을 제시하고 토론, 설득, 실행하며 이론과 실천 영역 모두에서 검증을 거쳐야 하는 공간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그런 점에서 향후 역사 교과 고유성과 역사 탐구를 비롯하여 국가 교육과정의 주요한 쟁점들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역사과 내 소통적 연구가 중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history curriculum. The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First, is the 2022 revised history curriculum organized systematically, that is, according to certain principles, within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system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econd, is the 2022 revised history curriculum appropriately structured in ‘history of history education’, especially in various discussions and research results within the fields of history educati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mphasized the totality of competencies (knowledge/understanding, process/skill, and attitude) while claiming to be a competency development curriculum. At this time, 'process/skill' was defined as 'subject-specific thinking and inquiry process or skill' so that each subject could give meaning to subject-specific characteristics or inquiry with subject-specific principles and methods. In addi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and 'key idea', each subject had room for setting in its own way. It is difficult to see the fields of history education as a space or force that can make a single decision centered on ‘history’. Rather, it seems reasonable to view it as a space where various positions and tendencies must go through verification in both theory and practice, suggesting alternatives, discussing, persuading, and practicing each other for better choices and decisions. In this respect, communicative research within the fields of history education is important to provide alternatives to major issu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including the subject-specific characteristic in history and historical inqui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