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일논심기(五一論心記)>의 주제론적 접근 -변증법적 인식을 통한 삶에 대한 성찰-

        백운용 ( Woon Young Baek ) 택민국학연구원 2013 국학연구론총 Vol.0 No.11

        <五一論心記>는 붓, 먹, 벼루, 종이 등 문방사우와 硯滴의 의인물이 작자의 꿈속에 등장하여 마음에 대해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꾸며진 몽유의인소설이다. 의인소설이면서 동시에 몽유의 양식 속에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으며, 산문인 問對와 운문인詞賦의 양식을 통해 주제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고소설사에서 보기 드문 독특한 양식의 소설이라 할 수 있다. 게다가 유일본이어서 그 가치는 더 높다. 작자는 조선 후기 인천에 거주하였던 具龜年(1752~1822)인 것으로 보이며, 이 작품은 그의 만년에 지어진 듯하다. <五一論心記>에서는 주제를 드러내기 위해 몽유와 의인, 문대와 사부의 형식을 적절히 배열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때 작품의 뼈대는 몽유와 의인이라는 허구적 수법을 통해 구조화하였으며, 그 내부는 산문인 問對와 운문인 사부로 채웠다. 그리고 주제는 문대와 사부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 한편 외부 구조에 있어서, 몽유는 일반적 몽유 양식과는 달리몽기류와 몽유록의 중간적 성격 정도만을 띠고 있을 뿐이며, 의인 양식의 경우에도 가전의 일부만을 차용하여 인물을 소개하는 데 그치고 있다. 작자가 이처럼 몽유와 의인 양식의 일부만 차용하면서 몽유라는 액자에 擬人物이 등장하여 행동하고 사건을 만들도록 구성한 것은 이 작품이 허구임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려는 인식이 반영된 것이다. 즉 작자는 앞으로 드러날 주제는 허구적인 세계에서 허구적인 인물이 구축한 것이므로 크게주목할 것이 없다는 전제를 두고 작품을 전개하고 있는 것이다. 문예물인 問對와 사부를 통해 제시하고 있는 주제는 心에 대한 철학적 토론이나 논변이 아니다. 그러나 심을 어떻게 유지하고 갖추어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심각한 문제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작자는 심의 문제를 끄집어내기 위해서 문대를 통해있어야 할 것과 있는 것을 대비하고 있다. 喜, 愛, 快는 ‘있어야 할 것’이며, 不快는 ‘있는 것’이다. 있어야 할 희, 애, 쾌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고 불쾌만이 있는 현실이 갈등을 유발하고 그 갈등 속에서 心은 훼손된다. 이어서 작자는 사부를 통해 문제의 해답을 제시한다. 一剪梅에서는 이상적인 삶의 태도를 견지하는 것으로 갈등의 해결이 가능하다고 하였다[正]. 이어서 訶訶笑歌에서는 이상적인 삶을 태도를 견지하는 그런 방법은 어리석은 짓이며 현실을 인정하면서 만족하라는 현실주의적인 삶의 태도를 제시한다[反]. 그러나 마지막에 이상주의적인 삶의 태도를 비난하면서 현실에 맞추어 살라는 가가소가 의 대안은 곧바로 부정된다[合]. 이와 같은 변증법적 사유 과정을 통해 얻게 된 진리는 “심의 문제는 일시적인 회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평생을 통한 각고의 노력을 통해 극복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Oilnonsimgi> is a Mong-yu (strolling in the dream) personification novel written in the form that personified things of Yeonjeok (a container for inkstone water) and the four precious things of the study such as brush, ink, inkstone, paper etc., appear in the dream of the author and talk about mind. It can be said to be a novel with the unique form which is rare in the Korean ancient novel history in terms that it is a personified novel and the story is developed in the form of Mong-yu and its theme is revealed through Mundae which is prose and Sabu which is verse. In addition, its value is higher because it is the only version. The author of <Oilnonsimgi> seems to be Gu, Gwin-yeon (1752~1822) who lived in Incheo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and this work seems to have been written in his later life. To reveal its theme, the forms of Mong-yu and personification, Mundae and Sabu are properly arranged for formation. At this time, the frame of the work was structured through fictional techniques called Mong-yu and personification and the inside was filled with Mundae which is prose and Sabu which is verse. And the theme is presented through Mundae and Sabu.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the exterior structure, unlike general Mong-yu form, Mong-yu just takes on the intermediate nature of Monggiryu and Mongyurok and also in the case of personified form, it borrows only a portion of Gajeon and just to introduce characters. The fact that while borrowing only a portion of Mong-yu and personified form like this, the author configured for personified things to appear, act and make events in the frame called Mong-yu reflects the perception trying to reveal that this work is a fiction. That is, the author develops the work under the premise that the theme to be revealed in the future was built by fictional characters in the fictional world so it is not worth noticing that much. The theme presented through Mundae , a literary work and Sabu is not a philosophical discussion or argument about mind. But it shows a serious critical mind on how to maintain and prepare mind. To draw out the mind issue, the author is preparing things that should be present and things that is being through Mundae. Hui (joy), Ae (love) and Kwae (pleasure) are ‘things that should be present’ and displeasure is ‘a thing that is being’. Hui (joy), Ae (love) and Kwae (pleasure) that should be present do not exist in reality and the reality where there is only displeasure causes conflict and mind is damaged in the conflict. Then the author presents the answer to the problem through Sabu. In I ljeonmae , the author said that conflict can be resolved by maintaining the ideal attitude of life [thesis]. And then in Gagasoga , the author presents a realistic attitude of life saying that such a way of maintaining the ideal attitude of life is foolish and one must acknowledge the reality and be satisfied with it [antithesis]. However, finally, the alternative of Gagasoga blaming the idealistic way of life and accepting reality is immediately denied [synthesis]. The truth obtained through such dialectical speculative process is that “the problem of mind cannot be resolved temporary evasion and can be overcome through life long hard work.”

      • KCI등재

        “사제담”의 구성과 의미 지향

        백운용 ( Woon Young Baek ) 택민국학연구원 2012 국학연구론총 Vol.0 No.10

        스승과 제자 사이의 관계를 문제 삼고, 사제의 문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피력하면서, 스승과 제자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이야기를 ‘師弟談’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스승은 전수할 만한 능력을 공인 받은 사람 가르치겠다는 의지가 분명히 드러나는 사람 가르칠 제자가 있는 사람으로 한정되며, 제자는 공인된 능력자로부터 능력을 전수받는 사람 배우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사람으로 스승이 있어 능력의 수수가 이루어진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스승과 제자의 이야기인 사제담은 스승과 제자가 서로를 인정하는 인정담, 그 이후 능력을 전수하는 전수담, 전수의 결과를 드러내는 성패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순차적 구성의 이면에는 당위적 관계를 지향하는 의지가 강하게 나타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인간적 욕망에 의해 당위적 관계가 훼손되고 있으며, 능력의 유무에 따른 관계의 역전도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서술자는 사제담 속에 사제관계를 바라보는 서술자의 인식을 노출하고 있다. 하나는 욕망을 절제하고 능력과 관계없이 스승을 존중해야 한다는 ‘당위적 관계 인식’이며, 하나는 현실적 한계를 인정하고 새로운 관계를 정립할 것을 요구하는 ‘현실적 관계 인식’이다. 서사문학의 양상에 따라 사제관계를 인식하는 다양한 편향이 존재한다. 구전설화에서는 지켜야 한다고 여겨졌던 가치가 전복되기도 하고, 인정받아야 할 권위가 훼손하기도 하면서 현실적 관계 인식을 드러낸다. 문헌설화에서는 당위적 관계 인식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지만, 스승이냐 생존이냐 하는 현실적 선택의 문제에 직면하면 삶을 선택하기도 한다. 고소설의 경우에서는 영웅소설류에서는 당위적 인식이 우세하며, 신선소설류에서는 현실적 인식이 우세하다. A story which contains the story about a teacher and a student with expressed various opinions about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can be ``the dialogue between master and disciple``. At this time, the master is limited to 1) the certified ability to transfer, 2) show their willing to teach clearly and 3) whom with disciples; and the disciple is the 1) one who is passed down the talent from a certified capable person, 2) the one who shows their willing to learn and 3) the one who received the ability from the master. The dialogue between master and disciple which is the story about them is made up of the ``dialogue to recognize each other``, the ``dialogue of passing down`` from the master to the disciple and the ``dialogue about success and failure`` revealing the results of the transfer. And behind of this sequential configuration, a relationship with appropriateness is being damaged by a human desire, and an inverse relationship is being made up of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bility. The narrator, on the other hand, exposes its perceptio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of master and disciple in their conversation. The one is ``the perception of relationship with appropriateness` which has to respect the master in regardless of the ability and control one`s passions, the other is ``the realistic perception of relationship`` that needs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to acknowledge the realistic limitation. A diversity of bias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 and disciple exists according to the aspects of Narrative. The realistic perception of relationship is revealed while the authority to be recognized is damaged, and overthrown the value that were considered to be kept in a story that has been passed on orally. There is a lot of showing the perception of relationship with appropriateness in a story that has been passed on in literature, but if it would face with the realistic selection of master or life, sometimes life is selected. In case of the classic novels, the perception of appropriateness is dominant in heroic novels and the realistic perception is dominant in the novels of Taoist hermit.

      • 대구지역 구곡(九曲)과 한강 정구

        백운용 ( Woon Young Baek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8 No.-

        대구지역에는 聾淵九曲, 雲林九曲, 守南九曲, 臥龍山九曲 등 4곳의 구곡이 있다. 이 가운데 농연구곡은 정구의 제자인 최동집과 관련이 있으며, 운림구곡과 와룡산구곡은 각각 정구의 강학처였던 泗陽書堂과 사수동을 원두로 삼고 있어 대구지역 구곡은 정구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운림구곡을 노래한 우성규의 < 用武夷棹歌韻賦雲林九曲 >은 정구의 정신을 되살리는 것이 자신의 학문적 자세를 가다듬고 동시에 당면한 시대적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어 정구와 대구지역 구곡의 관련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작품이다. 우성규는 제1곡 ``龍山``에서 나루를 물음[問津]으로써 학문의 자세를 가다듬는 일과 당시 급변하는 시대 상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이어 안개와 노을이 자욱하다고 하여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음을 드러낸다. 그러나 제2곡 ``魚臺``에서 옅은 구름이 걷히고 봄빛이 드리운다고 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본다. 이어 제3곡 ``松亭``에서 덤불 속에 우뚝이 서 있는 소나무를 노래하며 추위에도 시들지 않는 굳건한 기상을 본받겠다고 다짐한다. 제1곡~제3곡의 여정을 통해 우성규는 제시한 문제를 마음가짐을 확고히 함으로써 해결하고 있다. 이는 개인적 차원의 해결이라 할 수 있다.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연대를 통해 제시한 문제를 해결한다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우성규는 제4곡과 제5곡에서 사회적 연대를 통한 해결을 모색한다. 제4곡 ``梧谷``의 외로운 오동나무는 고립된 개인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오동나무는 詩想이 거문고로 이어지고 거문고는 다시 ``知己``로 연결되면서 道伴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이어 우성규는 물길을 따라 올라 제5곡 ``江亭``에 이르러 수많은 선비들이 영욕에 매이지 않고 고매한 삶을 지향함을 보았다. 이들은 우성규와 뜻을 함께하는 知友들이며, 이들과 연대하여 함께 고민하고 실천한다면 앞서의 문제는 보다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제5곡을 지나면서 제1곡에서 제기된 문제는 다시 한 번 극복되고 해결의 가능성은 더욱 커져간다. 제6곡에서 제9곡까지의 여정은 문제 해결의 구심이 정구라는 점을 노래한 것이다. 제6곡 ``淵齋``는 ``伊洛書堂``을 가리킨다. ``이락``이 가리키는 바는 서사원과 정구이며, 또 주자학이라는 도도한 흐름이기도 하다. 이 두 가지는 사회적 연대의 구심과 매개의 역할을 하는데, 서사원과 정구는 연대의 구심이 되고, 주자학은 연대의 매개가 된다. 주자학을 매개로 한 연대는 제7곡 ``仙차``에서 서사원이라는 구심을 만나고, 이는 더욱 첨예화화여 제8곡 ``鳳巖``에서 정구의 형상을 그려내며 마침내 제9곡 ``泗陽書堂``에서 頂點인 정구를 만나게 된다. 이렇게 볼 때, 우성규에게 운림구곡은 학문의 자세를 가다듬고 학문의 본령을 다시 확인하는 과정이었고, 또 서구열강이 각축하던 당시 도학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었다. 그리고 정구는 그 과정의 도달점이자 문제의 해결책이었다. Daegu·Gyeongbuk region has Gugok wonlim and Gugok-si the most in the nation, which can be called the cradle of Gugok culture, also, in Daegu, Nongyeon gugok(聾淵九曲), Woonlim gugok(雲林九曲), Sunam gugok(守南九曲), and Waryongsan gugok(臥龍山九曲), etc. are existed. Nongyeon gugok is related to Choi, dong-jib, a disciple of Jeong Gu, and Woonmun gugok and Waryongsan gugok are based on Sayang seodang(泗陽書堂) and Sasudong, Jeong Gu`s discipline place, accordingly, Daegu gugok can be said to be closely related to Jeong Gu. Amont them, Woo, seong-gyu`s < Yongmuyidogawoonbuwoonlimgu(用武夷棹歌韻賦雲林九曲) > is based on Jeong Gu with its origin, contextually, it emphasizes that reviving his spirit is a ke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eriod, therefore, it can be said to be the work that most emphasizes the relation between Jeong Gu and Daegu gugok. When analyzing Woo, seong-gyu`s gugok poem, song no.1, no.2, and no. 3 expressed the perception on the problem situation of early 20th century, crisis of study and revolution of time, intending to solve them in personal level. Song no.1, ``Yongsan(龍山)``, suggested the problem situation of that period regarding asking naru [Munjin(問津)], fog and sunset are thick, song no.2, ``Eodae(魚臺)``, felt spring view, and song no.3, ``Songjeong(松亭)``, sang the spirit of pine. This can be said the resolution to strive for study by emulating the firm spirit which does not wither even in the intense cold, which is the metaphor of the problem situation. Song no.4 and no.5 emphasized overcome of crisis through social solidarity beyond individual level. In song no.4, a lonely paulownia of ``Ogok (梧谷)`` was connected with geomungo, again, with ``Jigi(知己)``, importance of ``Doban(道伴)`` was cognized. Also, many scholars of the previous period and the relevant period stood lofty in song no.5, ``Gangjeong(江亭)``. Woo, seong-gyu viewed possibility of problem solving through solidarity with classical scholars, and in advance doubt goes forward to a bigger confidence by being overcome again. The journey from song no.6 to song no.9 continues to the confidence that the center of problem solving is in Hangang Jeong Gu. In song no.6, in the name ``Yirak(伊洛)`` of ``Yeonjae(淵齋)``, it met Seo, sa-won and Jeong Gu, also, the lofty stream of neo-Confucianis. This met Seo, sa-won in song no.7 ``Seonsa(仙차)`` by being concretely realized, eventually met Hangang Jeong Gu as the central part of problem solving in song no.9 ``Sayangseodang(泗陽書堂)`` via song no.8 ``Bong-am(鳳巖)``. For Woo, seong-gyu, Woonlim gugok was a process to straighten the attitude of study and reconfirm the essence of study in the backwater of life as well as a process to search the method to solve social problems, where Jeong Gu was the answer of the problem. Meeting with Jeong Gu via waterway was not limited only to Woo, seong-gyu. Human cannot but face problem situation even as time goes by, and the method to solve this should be learned from the sages of the past. Besides, humane value of gugok is infinite. It could be appli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insight of life, enhancement of social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the ancestors` cultural assets, etc. Accordingly, today it should not be abandoned, but be restored by devising various methods.

      • KCI등재

        ‘景物詩’를 통해 본 龜巖 李楨 詩作의 향방

        백운용 ( Baek Woon-yo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嶺南學 Vol.- No.81

        시인이 대상으로 삼는 공간은 크게 자연의 공간과 인공의 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시인은 이를 대상으로 외적인 경이를 시화하기도 하고 내적인 상징을 시화하기도 하며 외적인 상징을 시화하기도 하고 내적인 경이를 시화하기도 한다. 구암 이정이 시를 쓰는 방법도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이들 시작 법에 의거하여 이정의 시를 분석해 보면, 첫째, 자연의 공간을 대상으로 외적 경이를 시화하여 외경에 압도되어 흥취를 표출하기도 하며, 외경에 동화되어 자연의 공간을 완상의 대상으로 보기도 하였다. 또 외경을 통해 정감을 환기하여 자연의 공간에서 추억에 젖기도 하였으며, 한 차원 나아가 외경이 삶의 현실을 배태한 공간임을 분명히 드러내기도 하였다. 둘째, 자연의 공간을 대상으로 내적 상징을 시화할 때는 자연의 공간에서 도를 구하기도 하고 그 공간을 도가 실현되는 경지로 파악하기도 하였다. 이때 ‘源頭’에 대한 집착은 구도의 절실함으로 통하였고, 자연은 속세와 격리된 이상향이자 도가 실현되는 ‘大家’였다. 이정은 여기서 더 나아가 득도의 체험을 형상화함으로써 내적 상징의 시화가 이룰 수 있는 최고의 경지에 이르렀다. 셋째, 인공의 공간을 대상으로 외적 상징을 시화할 때는 상징에 매몰되어 교훈적 어조로 당부하기도 하였고, 인공물이 담지하고 있는 상징성을 풀어 설명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여기에 머물지 않고 이정은 외재한 상징을 넘어서 자신만의 독특한 상징을 창출하는 데까지 나아가기도 하였다. 넷째, 인공의 공간을 대상으로 내적 경이를 시화할 때는 그가 처한 시간과 공간적 분위기에 젖어 상징을 버려두고 공간의 분위기를 묘사하였다. 또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공간이 가지는 상징적 의미를 ‘발견’해는 경지에 도달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인공의 공간이 가지는 상징적 의미를 ‘발견’해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를 위해서는 상징적 언어에 대한 투철한 인식이 필요하고, 상징적 의미 사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철학적 체계가 완성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 의미를 체화하여 실천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 이정의 시 쓰기는 ‘경물시’만 놓고 볼 때, 일정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시작의 네 가지 양상이 모두 구현되어 있으며, 그 표출 양상도 다양하다. 이뿐만 아니라 현실에 눈감지 않고 현실을 직시하였으며, 득도의 경지를 체험하고, 새로운 상징을 창출하였으며, 감춰진 상징을 발견해내는 데까지 이르렀으니 그 가치를 더욱 높이 평가할 수 있다. The space targeted by poe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natural space and artificial space. The poet poems external wonders, internal symbols, external symbols, and internal wonders. The way Guam Lee-jeong writes poems is also not out of this. According to these starting methods, Guam's poems were analyzed. First, the external wonders were visualized in the natural space, overwhelmed by the external view, and the natural space was assimilated into the external view and viewed as an object of completion. In addition, by evoking affection through the outer diameter, he was immersed in memories in the natural space, and furthermore, it was clearly revealed that the outer diameter was a space that originated the reality of life. Second, when poeticizing the inner symbol for the natural space, the Tao was obtained from the natural space and the space was identified as the state of realizing the Tao. At this time, the obsession with 源頭 led to the urgency of the composition, and nature was a 大家 where utopia and capital were realized, isolated from the world. Guam went further from here, and by embodying the experience of 得道, it has reached the highest level that the poetry of the inner symbol can achieve. Third, when poeticizing external symbols for artificial spaces, they were buried in symbols and asked for them in an instructive tone, and explained the symbolism of the artifacts. However, without staying here, Guam went beyond the external symbols to create its own unique symbols. Fourth, when poeticizing the inner wonder for the artificial space, he was immersed in the time and spatial atmosphere he was in, leaving the symbol behind and describing the atmosphere of the space. In addition, it took a step further from here and reached the stage of 'discovering' the symbolic meaning of space. It can be said that Guam's poetry has reached a certain level in terms of Gyeongmul Poem[景物詩]. All four aspects of the beginning are implemented, and their expression patterns are also diverse. In addition, it has faced reality without turning a blind eye to reality, experiencing the level of 得道, creating new symbols, and discovering hidden symbols, so its value can be appreciated even more. This is why we call Guam a scholar and a literary man.

      • KCI등재

        실제의 기록과 허구적 창작에 보이는 어득강의 인물 형상

        백운용 ( Baek Woon-yo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3 嶺南學 Vol.- No.87

        灌圃 魚得江(1470~1550)은 조선 전기 헌납, 교리, 대사간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그에 관한 기록은 『왕조실록』, 『승정원일기』, 『국조보감』 등 관찬 사서뿐 아니라 『목계일고』 등 당대 및 후대의 많은 문집, 『밀양지』 등 지리지, 『姓號譜彙』, 『海東野言』 등 문헌 전승 자료 등에도 다수 전하고 있으며, 그를 주인공으로 한 고소설 『어득강전』도 있다. 따라서 기존의 『관포시집』과 『어득강전』을 중심으로 한 어득강 연구에서 나아가 역사서를 바탕으로 실제의 기록에 주목하여 어득강의 인물형상을 구체적으로 살피거나, 실제와 허구의 인물을 면밀히 검토하여 어득강의 인물 형상을 천착하는 등의 연구도 진행해야 어득강 관련 연구가 균형을 갖추고 한 단계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들 자료를 검토해본 결과 『왕조실록』에 드러난 인물 형상을 바탕으로 어득강의 실제의 모습을 기록하기도 하였고, 허구적 모습을 창작하기도 하였다. 이때 실제에서는 원칙론자의 성격이 강하다면 허구에서는 기지 넘치는 재담가의 모습이 두드러진다. 원칙의 긴장과 재담의 여유라는 상반되는 가치가 동전의 양면처럼 한 인물에게 공존하면서, 실제와 허구라는 양식 속에서 선명하게 구분되는 것이 어득강 인물 전승에 보이는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어득강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허구적 형상화의 원리를 설명하는 자료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하여야 한다. 이 글은 우선 실제와 허구에서 어득강의 인물 형상 양상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왕조실록』에 보이는 그의 언행과 평판에 주목하여 살펴본 결과, 어득강은 백성을 구휼하는 데 힘쓴 목민관이었으나 세상의 영예에 관심이 없었기에 염퇴하여 절의를 지키는 삶을 살았고, 이 때문에 우활하고 세상 물정 모르는 이상주의자라는 평판을 얻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그의 성향이 언행을 통해 표출될 때, 그는 법과 원칙에 따라 문제의 근원을 해결하고자 한 원칙주의자의 모습을 보였고, 냉철한 판단으로 분명하게 간언한 강직한 신하의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어득강이 실제로 하고자 한 일은 세상의 교화에 도움이 되는 역할, 이른바 치인이었기에 인재 양성을 위해 서원과 書肆 설치를 주장한 실용주의자의 면모도 동시에 보였다. 이와 같은 역사적 인물 형상은 지지나 문헌 전승 자료 등에 선택적으로 편입되기도 하고, 소설 등에서 허구적 인물을 창출하는 바탕이 되기도 하였다. 지지에 선택적으로 수용된 어득강의 인물 형상은 문재가 뛰어난 문장가, 백성을 구휼한 목민관, 염퇴와 절의의 지사, 재기와 유머가 넘치는 재담가였다. 지지에 선택적으로 수용된 자료로 볼 때, 지지의 기록자들이 주목한 어득강의 모습은 조정에서 활약하는 강직한 신하가 아니라 염퇴하여 자적하는 지역의 인사였다고 할 수 있다. 문헌 전승 자료에 등장하는 어득강의 인물 형상은 지지에 보이는 절의와 염퇴의 지사로서의 모습과 대동소이하지만, 재기와 유머가 넘치는 재담가의 모습이 부각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재담가의 모습을 그리면서 어득강의 인물 형상에 허구적 창작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어 주목할 만하다. 『어득강전』은 문헌 전승 자료에 등장하는 재기와 유머가 넘치는 재담가의 모습과 친연성을 보여주면서도 어득강의 실제 인물 형상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새로운 인물 형상을 제시하고 있다. 즉 대리인을 통해 속임수를 수행하는 책사적 영웅, 부당한 권력의 압제에 기지를 통해 저항하는 인물, 희극적이고 유연한 징벌로 불의에 맞서서 승리를 쟁취하는 따뜻한 인물의 모습으로 그리고 있다. 실록과 소설에서 제시한 인물이 극단적으로 대립하고 있는 이러한 양상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양 극단을 지양하는 지혜일 것이며, 이렇게 ‘있는 것’과 ‘있었으면 하는 것’이 조화를 이루면서 어득강의 인물 형상이 입체적으로 구현한 것이 어득강 관련 자료에 보이는 그의 인물 형상이라 할 수 있다. Gwanpo (灌圃) Eodeukgang (1470-1550) was a civil official who served as a dedication, doctrine, and great affai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Records on it include not only official librarians but also many literary collections of the time and later generations, and also a novel 『어득강전(Eodeukgangjeon)』. Therefore, research on Eodeukgang should be conducted by expanding the horizons, and paying attention to actual records based on history books, or carefully examining real and fictional characters. As a result of paying attention to his words and reputation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Eodeukgang was a Mokmingwan who worked hard to save the people, but he was not interested in the world's glory, so he retired and lived a life of keeping the temple, and for this reason, he gained a reputation as an idealist who was active and ignorant of the world. When this tendency was expressed through words and actions, he showed a principleist figure who wanted to solve the root of the problem according to laws and principles, and a staunch servant who clearly spoke with cool judgment. However, what Eodeukgang actually wanted to do was play a role that helped the world to edify, so he also showed the aspect of a pragmatist who insisted on establishing a a school of honor and set up a bookstore to cultivate talent. The figure of Eodeukgang in the geographical journal, was a writer with excellent literary talent, a Mokmingwan who saved the people, a retirement from integrity, and a joke artist full of talent and humor. Eodeukgang's figure, which appears in literature transmission materials of a fictional character, is the appearance of a joke artist full of humor and humor. This shows that Eodeukgang's figure, which was noted in the realm of fictional creation, was more of a resourceful joke than a principleist figure. 『어득강전(Eodeukgangjeon)』 presents a new figure. In other words, it is depicted as a book-historical hero who performs tricks through an agent, a person who resists the oppression of unfair power through a base, and a warm person who wins victory against injustice with comical and flexible punishment.

      • KCI등재

        〈강능추월전〉의 구조와 '헤어짐과 만남'

        백운용 한국문학언어학회 2003 어문론총 Vol.38 No.-

        <Gangneungchuweoljeon(강능추월전)> is a story that a sweetheart met with the heaven's fates was separated by a pirate's robbery, and since then their son Lee, woon-hak(운학) kidnapped by just a pirate, finally, after many twists and turns they achieve the reunion of family relationships. And so,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Gangneungchuweoljeon(강능추월전)> is the story of 'Separation and Reunion'. But, up to date, there is no study of Separation and Reunion's meaning about this work. So, in this study, it will be analyze the structure of a <Gangneungchuweoljeon(강능추월전)> owned by a professor Kim, gwang-soon, and then make clear that reunion is more important than heroic activity from an structural point of view. In result of structural analysis, it can be tell that from the biographical structure of view, this work shows imperfect heroic life, on the contrary, from the repeated structure of view, it bring out gradual solidification of family relationships by means of repetitive join. Separation and Reunion's inner meaning of the work can be abridged as follow. In process of Lee, choon-baek(이춘백)'s reunion, separations and joins are formed repetitiously, and his reunion is only repatriation from leaving hometown. He is obedient to fate, and cope with the state of affairs heteronomously and passively. So, produce a result of reunion is mere an accident. Lee, woon-hak(이운학)'s reunion is a process that fulfill the lack, and as a result of reunion, he restores his own position. In this process, he deal with a situation spontaneously and actively, and show a different aspect from his father's. Jo, chea-lan(조채란) is a foreigner who get married to Lee, choon-baek(이춘백) from a yeonam(여남). To her, husband's family is the object that must be adapted and make solid her own position. She depart from her father Josangseo(조상서)'s home in yeonam(여남), but go by way of reunion process she consolidate her position in husband's family. And, reunion's meaning is not only subsist in each main character, but also in generation between father and son. In this case, father's reunion speaks for their sense of values based on fatalism, on the other hand, son's speaks for their sense of values based on actualism. As the matter solved by son, we can say that the work emphasize the latter. Besides, reunion is significant because this work reflect the realities of life about separation and join. It was aspects of life to the people of those days that separation induced by war and needy life, and they dreamed of hope for join through a little romantic reunion. Particularly, in the female readers case, because of similar situation with Jo, chea-lan(조채란) reunion's meaning is better special. Her achievements might give a hope to female readers who must be adapted new family. And then readers's wishs are reflected in an alternate version adding Lee, woon-hak(이운학)'s second taking the fiel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