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과 포레스트를 활용한 대졸 청년층의 직무와 전공 일치가 첫 직장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백예은(Yeheun Baek),정혜원(Hyewon Ch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24 교육평가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대졸 청년층의 직무와 전공 일치가 첫 직장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 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9년도 자료에 머신러닝 기반의 인과효과 추정 방법인 인과 포레스트 (casual forest) 기법을 적용하여 직무와 전공 일치가 첫 직장 만족도에 미치는 평균 처치효 과 및 공변인에 따른 차별적 처치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졸 청년층의 개인, 대학, 직장 관련 공변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직무와 전공의 일 치가 첫 직장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취 업캠프 참여 여부, 사업체 유형에 따라 차별적 처치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에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대졸 청년층의 전공과 연계된 취업을 통한 높은 직장 만족도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mpact of major-job matching on first job satisfaction among college graduates. To do so, the casual forest technique, a machine learning-based causal inference method, was applied to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019 data to analyze the average treatment effects of major-job matching on first job satisfaction and the heterogeneous treatments effects by covariat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jor-job matching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first job satisfaction even after controlling for personal, university, and workplace characteristics as covariates. Second,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s were observed by gender, participation in job camps, and business type. Based on the key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high job satisfaction among young college graduates through employment related to their major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백예은(Baek, Yeheun),정혜원(Chung, Hyewo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5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하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의 초4 패널 2차년도 자료인 초등학교 5학년과 중1 패널 2차년도 자료인 중학교 2학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변인 간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였고 이에 대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초·중학생 공통적으로,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지지가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지지가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지지의 경우,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학업열의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학생에게만 특징적으로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지지가 학업열의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도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이 지각한 또래지지는 학업열의에 직접적으로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였을 때는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급을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각 변인 간 달리 나타나는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기 청소년의 학업열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arly adolescents’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parental, teacher, and peer support), self-esteem, and academic engagement. For this purpose, a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the 2 wave of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data sets (5th graders, n=2,471 and 8th graders, n=2,590). Results are as follows. For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students’ perception of parent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by mediating self-esteem. Also, students’ perception of teacher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Moreover, students’ perception of peer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by mediating self-esteem. In addi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only, students’ perception of teacher support had a both significant direct effect as well as indirect effect by mediating self-esteem on academic engagement.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peer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it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high academic engagement through self-esteem as a mediato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academic engagement of early adolescen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백예은(Yeheun Baek),정혜원(Hyewon Chung)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의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학생 개인, 부모, 학교 생활 및 교사 변인이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하는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자료의 중학교 3학년에 해당되는 초4 패널의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의 3단계 접근법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은 3개의 잠재프로파일 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낮은 학업성취도-낮은 진로성숙도-낮은 공동체의식’, ‘중간 학업성취도-낮은 진로성숙도-중간 공동체의식’, ‘높은 학업성취도-높은 진로성숙도-높은 공동체의식’ 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한 결과, 학업적 효능감, 수업 방식, 자유학년제 만족도, 교사의 ICT 활용정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다양한 발달의 측면(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을 고려하여 분류된 집단의 특징을 확인하고 집단 분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함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career maturity, and sense of community and also to explore the impact of relevant factors on the identified latent profiles. For this propose, a latent profile analysis with a three-step approach was applied to the sixth band of the elementary 4 panel (9th grade)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inth grad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a) low academic achievement—low career maturity—low sense of community, (b) middle academic achievement—low career maturity—middle sense of community, and (c) high academic achievement—high career maturity—high sense of community. Second, as a result of exploring variable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relevant factors such as academic efficacy, teaching method, satisfaction with the free school year system, and the degree of the teacher's ICT us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scusses educational implication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profiles and exploring the effect of various factors on the latent profiles in consideration of a variety of aspects (academic achievement, career maturity, and sense of commun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ment.

      • 서울 소재 노후아파트의 근대유산적 가치보존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백예은(Baek, Ye-eun),최정민(Choi, Jeong-min) 한국주거학회 2018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0 No.2

        Recently, the reconstruction of apartment complexes constructed since the late 1960s is in a situation where the presence of old apartments is likely to disappear and many apartments have already disappeared from the cit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raise public awareness of the modern heritage value of old apartment complexes, which contain the liv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Seoulites. To that end, the survey will identify the current public perception of old apartments and research literature and data to find common values of old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Next, through field survey to check the value, based on this, we intend to establish a value standard by classifying the value system of old apartment complexes as a modern housing heritage as historical value, architectural value, and social and cultural value. Lastly, by Suggesting visualization of value as a way to increas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and proposing a residential museum using the wisdom of advanced cases abroad, the housing museum aims to help decide how to deal with old apartments with modern heritage.

      • KCI우수등재

        혁신학교 재학 경험에 따른 청소년의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성취 변화

        정혜원(Chung, Hyewon),백예은(Baek, Yeheun),김아름(Kim, Arum)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8

        본 연구는 부산형 혁신학교인 부산다행복학교 재학에 따른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성취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이러한 성취 변화에 학생수준 및 학교수준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의 초4패널 1차(초4)~5차년도(중2) 자료에 경향점수 매칭을 적용하여 일반학교와 부산다행복학교의 집단 간 동등성을 확보하고,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의 국어, 수학, 영어 학업성취도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행복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공동체의식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부산다행복학교 재학 여부에 따라 수학 학업성취도와 학교행복감의 초기치(초4 시점)에서 일반학교와 부산다행복학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초4 시점에서 부산다행복학교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학교행복감 평균이 일반학교 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어, 영어 학업성취도 및 공동체의식의 초기치와 변화율에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업성취도와 학교행복감, 공동체의식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학생 및 학교수준 요인이 미치는 유의한 영향을 탐색한 결과, 다양한 학생 및 학교수준 요인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nges in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achievement following enrollment in Busan innovative school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student- and school-level factors on these changes. To do this,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multilevel modeling were adapted to the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BELS) data from the 1st to 5th wave (4th to 8th grad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students Korean, math, and English academic achievements were found to increase, and school happiness decreased. However, the growth rate in sense of commun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initial stage (4th grade) for math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happin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novative schools and general schools, with both being significantly lower in innovative schools than in general school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novative schools and general schools in the initial stage in the growth rate of Korean and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nd sense of community. Various other student- and school-level factor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itial stage and the growth rate of academic achievement, school happiness, and sense of community.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 예측 변인 탐색

        정혜원 ( Hyewon Chung ),김아름 ( Arum Kim ),백예은 ( Yeheun Baek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1 중등교육연구 Vol.69 No.4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2018년, 2019년, 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원격수업을 통한 비대면 수업이 진행된 2020년에 특징적으로 나타난 학업성취도 예측 변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고등학생의 최근 3개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학생이 학교에 내재된 자료의 구조를 반영하여 머신러닝 기법 중 자료의 다층적 구조를 고려한 혼합효과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적용하였다. 2018년, 2019년과 비교하여 2020년에 나타난 특징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0년 국어, 수학, 영어 학업성취도 공통적으로 ‘방과 후 활동’ 영역에서 사설 기관에서 제공하는 강의 참여도와 관련한 문항이 도출되었으며 국어와 영어 학업성취도의 경우 ‘학습 관련 정의적 특성’ 영역에서 학생의 학업동기와 관련한 문항이, ‘원격수업 환경 변화’에서 학교에 대한 소속감과 관련한 문항이 주요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수학과 영어에서 ‘방과 후 활동’ 영역에서 EBS 교육방송 시청 시간과 관련 문항이 공통적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riables predicting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in 2020 when online classes were conducted. To do this, the mixed-effects random forest, one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considering the multi-level data structure, was applied to data from 2018, 2019, and 2020 of high school students'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ing. In 2020 academic achievement,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lecture participation provided by private institutions in ‘after-school activities’ was commonly selected for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achievements. In both Korean and English achievements, the questionnaires related to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and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in ‘learning-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online class environment' were selected as important variables.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 related EBS education broadcasting viewing time in ‘after-school activities' was commonly selected for both mathematics and English. Based on the result, implications for improving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를 적용한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설명 변인 탐색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정혜원(Hyewon Chung),김아름(Arum Kim),백예은(Yeheun Baek) 한국교육평가학회 2022 교육평가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국어, 수학, 영어 학업성취도의 주요 설명 변인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공하는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학생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학생이 학교에 내재된 다층 구조의 속성을 고려한 머신러닝 기법인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Mixed-effects random forest)기법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어, 수학, 영어 공통적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 ‘수업시간 집중도’, ‘운동 빈도’와 관련된 문항과 더불어 ‘학습 자료를 읽다가 혼돈되는 부분이 있을 때 되돌아가 이해하려고 노력한다’와 같은 학습 태도와 관련된 문항이 주요 설명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교과별로 특징적으로 나타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수학과 영어의 경우 ‘사설기관에서 제공하는 강의 참여 정도’와 관련된 문항과 각각의 교과 태도에서 교과에 대한 자신감과 끈기와 관련된 문항이 도출되었으나 국어의 경우 도출되지 않았다. 이 외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학생, 교사, 학교장 수준의 다양한 설문문항을 활용함으로써 도출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국어, 수학, 영어 교과의 균형 있는 학업성취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variables explaining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math, English based o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For this purpose, the Mixed-effects random forest,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that considers multi-level data structure was us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questions related to ‘study time on my own’, ‘concentration of class time’, ‘frequency of exercise’ and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overall learning attitude, such as ‘I try to return and understand when there is confusion while reading learning materials’ were commonly selected as important explanatory variables in Korean, math, English. On the other hand, questions related to ‘participation in lectures provided by private institutions’, ‘confidence and persistence in subjects’ were selected as explanatory variables in math and English only, but not Korean.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by using various questions at the level of students, teachers, and principals provided in the national-level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implications for balance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math, and Englis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