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선택과 美的 진화의 상관성

        백영제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79 No.-

        이 논문은 인류의 진화사에서 과거 조상들이 미적 감각과 미적 감성을 획득하게 된 데에 성선택sexual selection과의 관련이 작용했을 가능성을 살펴보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찰스 다윈과 데이비드 버스 및 제프리 밀러를 참조하는데, 다윈은 성선택 이론을 정초하였고 데이비드 버스와 제프리 밀러는 다윈 이후 성선택 이론을 정교하게 다듬은 동시대의 진화심리학자들이다. 다윈은 『종의 기원』을 통해 제출했던 자연선택 이론으로 잘 설명되지 않는 문제들, 곧 번식의 문제와 성의 진화 문제를 성선택 이론으로 다루었다. 어떤 수컷이 다른 수컷에게는 없는 어떤 감각기관과 같은 구조를 획득하고 있는 것은 생존경쟁에 적합하기 때문이 아니라 번식과 생식에서 다른 수컷보다 유리한 이점이 그들의 수컷 새끼들에게 전달되었기 때문이며, 이러한 경우가 자연선택이 아닌 성선택이 작용한 결과라는 것이 다윈의 설명이다. 데이비드 버스는 남녀 간의 짝짓기 전략을 중심으로 성의 진화와 관련한 인간의 심리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밝혀내고 있는데, 건강과 헌신성에 대한 선호와 함께 신체의 적정한 비율과 대칭적 얼굴에 대한 선호 성향들이 성선택에서 배우자에 대한 미적 선호의 기준이 되었음을 보여준다. 데이비드 버스는 인간의 미적 감각이 후천적으로 습득되기 전에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형질이라는 점에도 주목하고 있다. 제프리 밀러는 자연선택과 관련한 생존주의 가설로는 인간 문화의 유희적인 측면들과 장식적인 요소들, 그리고 음악, 미슬, 스포츠, 드라마, 코미디, 정치적 이상 등에 대해서 납득할 만한 설명을 내놓지 못한다는 점을 말하면서, 인간의 마음에서 가장 독특한 측면의 대부분이 우리 조상들의 짝 고르기를 통해 진화해왔음을 강조한다. 미적 감성과 같은 인간 마음은 성선택을 통한 번식이익 추구의 기능을 면밀히 들여다보아야만 마음의 진화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논문의 검토를 통하여 성선택 이론을 중심으로 한 이들의 논의가 인간이 갖는 풍부한 미적 감성과 미적 소양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인류가 지닌 특유의 미적 감각이 형성되고 획득된 계기와 배경에 대한 설명으로는 유효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xual selection and aesthetic evolution, and it has a purpose to research a probability that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such as aesthetic senses and sensibilities has given by sexual selection of the ancient human ancestors. For this aim, this thesis referred Charles Darwin and David Buss and Geoffrey Miller. Charles Darwin formulated the sexual selection theory, and David Buss and Geoffrey Miller are evolutionary psychologists who elaborated the sexual selection theory after Darwin. Darwin dealt with the problems of reproduction and sexual evolution by sexual selection theory, because they wasn't explained well by natural selection theory. Darwin explain as follows : “since in such cases the males have acquired their present structure, not from being better fitted to survive in the struggle for existence, but from having gained an advantage over other males, and from having transmitted this advantage to their male offspring alone, sexual selection must here have come into action.” David Buss demonstrat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human being concerning sexual evolution centering on the men and women’s mating strategies. He discuss on the aesthetic preferences for health and commitment, appropriate ratio of body, symmetrical face. In the result, he emphasize that the innate character such as aesthetic senses has given by sexual selection. According to Geoffrey Miller, even if the survivalist theory could take us from the world of natural history to our capacities for invention, commerce, and knowledge, it cannot account for the more ornamental and enjoyable aspects of human culture: art, music, sports, drama, comedy, and political ideals. He argue that the most distinctive aspects of our minds evolved largely through the sexual choices our ancestors made. Through the study of this thesis, I arrived at a conclusion that their discussions are a convincing explanations for the aesthetic senses and sensibilities that human being has developed by sexual selection.

      • KCI등재

        공공미술을 통한 미적 체험의 특성과 효과 : 감천문화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백영제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4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space through Public Art. Public Art is not only a method of the urban regeneration but also a significant motiv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of urban space. Modernism (Modern Art) as aesthetic subjectivism is appreciated by the individual experience and the private possession. But Public Art has some specific character that is popular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 public interest and is located at some public place. Accordingly, it shows a effect of art education from the execution process itself. First, the thesis comments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ublic Art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the aesthetic experience that Public Art has. In the area of Public Art, the receptive masses is no more the object who only receive passively the arts offered by professional artist. They recognize themselves as a creative subject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Comparing this experience with the conventional art-experience,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art education And through the instance of ‘Gamcheon Culture Village’ which is constantly practiced from 2009, this paper demonstrates the significance and concrete effect of the aesthetic experience of space formed by Public Art. The concrete effects are ‘vitality’, ‘self-confidenc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and ‘comprehension of culture’. ‘Gam-cheon Culture Village’ is acquired the meaningful results by the execution process of last 4 years. Recently, adding cultural contents through Public Art, they publish the village newspaper and have the community center named 'Gan-nae social center', which has the space to experience and learn cultural art. 이 논문은 지난 20세기 후반부터 새롭게 부상한 동시대의 공공미술이 도심재생의 기능과 함께 공간에 대한 미적 체험의 계기가 된다는 것을 논점으로 다루면서, 구체적으로 필자가 예술감독으로 참여한 ‘감천문화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공미술을 통한 미적 체험의 특성과 그 구체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공공미술은 20세기 모더니즘 미술이 갖는 개별적인 미적 체험과 사적 전유를 뛰어넘어, 공공의 공간과 장소에 위치하고 공적 관심사에 입각하면서 대중의 참여와 소통 및 공유라는 주된 특징을 갖는다. 공공미술의 영역에서 과거의 수용 대중은 더 이상 전문 예술가가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예술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하는 객체가 아니라, 문화적 주체로서 능동적으로 소통하고 참여하는 가운데 스스로를 창조적 주체로 경험하게 된다. 논문은 2009년부터 지금까지 공공미술프로젝트가 지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대상지 마을에서 공간의 미적 체험이 갖는 특성과 효과를 활력, 자부심, 참여와 협력,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 등으로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시대 공공미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공격성의 극복 기제로서의 미와 도덕

        백영제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5 No.-

        전쟁과 같은 집단 간의 행태나 개별적인 살인 행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인간의 공격성은 예술과 도덕과 사상을 포함한 풍부한 문화사를 가져온 인류에게 부정할 수 없는 어두운 자화상으로 자리한다. 그런데 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생물학의 방법론과 관점을 인문학에 적용하려는 학문적 시도를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전통적으로 인간의 공격성의 원인을 후천적 환경과 그릇된 문화의 소산으로 보아왔다. 이 논문은 “인류의 모든 문화는 진화의 산물이다.”라는 명제를 기본적으로 수용하는 입장에서 공격성의 원천을 진화론과 생물학적 견지에서 찾아보고, 아울러 미적 감각과 도덕적 감정의 최초 형성의 배경도 진화사적 계기 위에서 살핀다. 그리하여 양자 간의 진화생물학적 연관을 추적하여, 공격성을 극복하거나 최소한 완화하게 하는 기제로서 미와 도덕이 작용하고 자리하게 되었을 가능성을 검토하고 논의하며, 논의를 통해서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논점들을 다룬다. · 우리 인류가 ‘인간’ 또는 ‘사람’으로 불리게 된 것은 언제부터였으며, 어떠한 계기를 가지고서 그러한 혁명적 변화를 가지게 되었을까? · 그러한 변화와 미적 존재로서의 성립과는 어떤 관련을 갖는다고 볼 수 있는가? · 도덕의 발생에는 어떠한 생물학적 동기가 자리하며, 진화심리학에서 말하는 성 선택 이론은 타당한 것인가? · 미와 도덕은 어떠한 진화생물학적 연관을 갖는가? · 공격성이 선천적 기질로서 주어지는 것이라면, 그러한 행태가 오랜 진화의 시간 안에서 유전적으로 자리하게 된 요인은 무엇인가? · 미와 도덕은 공격성을 극복케 하는가?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beauty and morality as solvable mechanism of the aggressiveness. It has been hot issue all along whether the aggressiveness is wholly innate or is acquired part or wholly by learning. Generally, the modern anthropology and philosophy have regarded the aggressiveness as a posteriori(acquired) behavior that is formed by cultural and environmental causes. Of course, the aggressive behavior is also brought about cultural and environmental causes. But, in biological viewpoint, the aggressiveness is a innate nature of mankind. The aggressive nature of Homo sapience is a problem of biological and evolutionary issue. Is the aggressiveness in mankind adaptive? It certainly seems to be in viewpoint of evolutionary biology. Steven Pinker quote three motives of the aggressive behavior from Thomas Hobbes' Leviathan. First is competition, second is diffidence(distrust), and third is the emotion of self-importance. The essential of the aggressiveness is a exclusively monopolistic employment of the self-centric right to live. The beauty and morality take their place at antipodes of the aggressiveness. Probably, through the sex contract and the experience of family relation, early ancestors of mankind might have reached at an idea that the right of counterpart is as much respectable as my right to live. And then, they might have been aware of a new way of life and the aesthetic vision. And the sexual selection of mating might have developed the sense and sensibility of morality, through the inter-respect and trust and the experience of promise performance. Woman needs the man who is responsible for the breeding of their child and herself, because she has not the labour power sufficiently. Therefore, woman wants moral man. Because the human is a biological being primarily, it is necessary to applicate sociobiological methodology to mankind. The theory of evolution has contributed to the conceptual unification(consilience) of the sciences.

      • KCI등재

        미적 감수성과 예술 발생의 진화론적 배경

        백영제 대동철학회 2007 大同哲學 Vol.41 No.-

        인간에게 미적 감수성이 주어지게 된 내력이나 예술의 발생에 관한 문제는 미학 예술학의 주요 과제로 자리한다. 그럼에도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충분한 해명이 주어지지 않은 듯 보인다. 어쩌면 인문학 또는 사회과학적 관점과 방법론에 따르는 기존의 미학 예술학으로는 주제의 근원적인 장소에 도달하는 것이 어려울런지도 모른다. 지난 20세기 후반에 다시금 강력히 부상한 다윈주의의 진화론적 방법론은 하버드대학 생물학과 교수 에드워드 윌슨이 주창하였듯이 자연과학과 함께 사회과학과 인문학을 모두 포함하는 ‘새로운 종합’의 연구방법을 내세우고 있다. 이들의 기본 전제는 ‘인류의 문화는 진화의 산물이다’라는 것이다. 이 논문은 동시대 다윈주의의 주장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입장에서 미학 예술학의 문제들을 새롭게 검토하고자 하며, 우리 인류가 침팬지에서 인간으로 변모해가는 과정에서 획득된 미적 감수성이나 예술이라는 삶의 방식이 최초로 채택되게 된 초기의 배경을 보다 면밀히 파악할 수 있기 위해서는 진화론적 생물학의 문제취급 방식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취한다. 그리하여 미적 감수성의 형성과 획득의 배경에 관해서는 진화론적 인류학자 헬렌 피셔와 리처드 랭험의 견해를 참조하면서 진화의 주요 경과 안에 자리해온 핵심적 변천의 내용들을 살펴볼 것인데, 특정의 두 개체 사이에 주어지는 최초의 본격적인 관계의 형성과 소통을 통해 미적 감성의 새로운 지평에 눈뜨게 되는 과정을 검토한다. 그리고 예술 발생의 계기와 배경에 관해서는 진화예술학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저서들을 이미 발표하고 있는 엘런 디사너예이크와 낸시 에이컨의 입장들을 검토하면서 미학 예술학의 진화론적 연구의 가능성을 논의한다. 디사너예이크는 성 선택 개념과 함께 어떤 평범하고 일상적인 것을 ‘특별한 것으로 만드는’ 데에서 예술이 발생했다고 보며, 에이컨은 어떤 특별한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자극이 예술이라 불리는 사물 현상 안에 자리한다고 설명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evolutionary background of aesthetic sensibility and the origin of art. Why does art persist? Why do people make art? Why do people enjoy art? What purpose does art serve? How otherwise mundane items are made into the special things we call art? After all, what is art? The traditional research to these questions does not answer adequately. Past attempts at answering these questions have taken for granted that a mysterious creative drive that seeks beauty is at the root of art. But these traditional approaches fail, on at least one count, because they are not inclusive of all art for all time and they have not a biological viewpoint. I think in principle that the application of sociobiology to man is necessary, because we are biological being primarily. The theory of evolution ha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conceptual unification of the sciences. And the consequence of Darwinian thinking is that the old dualism of mental/physical and biological/cultural are no longer valid. A sociobiological account of the arts must consider when and why people universally have gone to additional trouble to employ such features or elements that we call art. Ellen Dissanayake who is the author of What is Art For?(1988) explain art as 'making special'. She defines art in terms of ethological viewpoint. She writes that the manufacture or expression of what are commonly called 'the arts' is based on a universal inherited propensity in human nature to make some objects and activities special. Nancy E. Aiken who is another Darwinian propose that the emotional response to art results from reflexive reactions to certain configurations of line, shape, color, and sound, and that these reflexive emotional responses to certain visual and auditory images provide the rationale for the origin of art.

      • KCI등재
      • 철도운행선 횡단 굴착공사가 도상침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영제(Young-je Paek),양훈혁(Hun-Hyuk Yang),정규경(Kyu-Kyung Jeong),김만철(Man-Cheol Kim),조국환(Kook-Hwan Cho),박용걸(Yong-Gul Park) 한국철도학회 201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10

        철도 운행선로를 횡단하거나 운행선 인접구간에서 각종 굴착공사를 진행할 경우 지반침하, 구조물 변형 등 선로에 변위가 생기며 궤도틀림이 발생하여 열차의 운행안전 및 승차감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도시철도 8 호선 지상구간 선로하부를 비개착굴착공법(UPRS)으로 횡단하는 보도설치공사를 대상으로 공사 구간 직상부 자갈도상에 접촉 센서를 설치하여 약 8 개월 동안 주기적으로 관찰하면서 굴착단계별로 침하량을 측정하여 침하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If you proceed with the excavation at various crossing lines or operate a railway line runs adjacent section subsidence, and affects driving safety and ride comfort of a structure displacement on the track by track irregularity has occurred train. In this study, drilling while observing by installing a contact sensor in construction zones directly above gravel ballast intended for sidewalk installation work across the bottom of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Line 8 ground segment lines in a non-excavation drilling technique (UPRS) for about 8 months step-by-step the settlements were the cause of the subsidence measured by.

      • KCI등재

        진화예술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예술의 발생 계기

        백영제(Young-Jeh Baik) 현대미술학회 2014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8 No.2

        이 논문은 예술의 발생 계기를 진화예술학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예술의 기원 및 발생 배경과 관련한 논의의 폭을 확장하고 심화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동시대의 진화예술학을 체계화하고 있는 엘런 디사나야케의 이론을 중심으로 신경생물학자 월렌스타인과 진화심리학자 제프리 밀러를 참조하면서, 초기의 예술이 인간의 쾌감 본능과 성 선택에 관련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을 짚어보았다. 아울러 디사나야케가 예술의 고유한 특성으로 제출하고 있는 ‘특별화하기’(Making Special) 개념과 ‘향상 수단’ 개념을 검토하였는데, 예술 행동을 중심으로 예술론을 펼치는 디사나야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변경을 통한 종합적 문제해결의 방식’으로까지 발전한 예술의 보편적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여기서 ‘변경’이란 개념은 삶과 세계의 재구성을 통해 미적 실현의 전망을 제시함으로써, 우리 자신과 우리들의 삶과 세계를 실제로 바꾸어내는 예술의 역동적 기능을 의미한다. This thesis, examining the beginning background of art from the viewpoint of the evolutionary art theory, has a purpose to extend the width of discussion concerning the biological origin and the beginning background of art. For this aim, on the basis of E. Dissanayake’s theory, which is systematizing evolutionary art theory of today, referring Neuro-biologist G. Wallenstein and Evolutionary Psychologist G. Miller, I have researched a possibility that early art happened in relation to human pleasure instinct and sexual selection. In addition, I considered the concept of ‘Making Special’ and ‘means of enhancement’ presented by Dissanayake as a property of art. And to get over the limits of Dissanayake, which is developing the art theory pivoting on the haman behavior of art, I discussed the universal essence of art, which has been developed as a way of synthetic solution of problems through the alteration. The concept of alteration suggests a prospect of aesthetic realization, and it means the dynamic function of art that actualize ourselves, our life and the worl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