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흠흠신서(欽欽新書)』의 여성 관련 범죄 분석을 통해 본 정약용의 여성 인식과 시대적 의미

        백민정 ( Min Jeong Baek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3 No.-

        이 글은 정약용의 인명사건 판례집인 『欽欽新書』의 여성 관련 범죄를 분석한 것이다. 특히 동시대의 관찬 판례집인 국왕 정조의 『審理錄』, 『秋官志』의 사건 기록과 비교하면서, 여성 관련범죄 평가에 드러난 유학자 정약용의 여성인식의 의미와 한계를 밝히고자 했다. 조선은 강상윤리와 풍속에 의한 도덕교화를 중시했는데, 정약용은 충효열의 강상윤리를 지나치게 우상화하는 정부정책과 이에 따른 효자 열부의 범람현상을 경계했다. 다산은 남편 사망 후에 따라죽는 부녀들의 순절행위를 비판했으며, 정조를 지키기 위한 여성의 과도한 자살 및 복수형 살인행위가 양산되는 것도 매우 우려했다. 열부에 대한 국가의 포상과 징계정책 때문에 여성들이 심각한 성적위핍의 상황이 아닌데도 맹목적으로 자살과 살인을 감행한다고 본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다산은 여성을 중심으로 빚어진 성관련 사건에서 국가가 아닌 개인들의 사적 응징과 처벌이 확산되는 현상에 대해서도 분명한 반대 의사를 피력했다. 하지만 여성의 죽음을 심각하게 우려한 다산의 관점은 여성 자신을 위한 것이라기보다 여성이 책임져야 남성 가부장 중심의 가족질서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점에서 분명한 한계를 갖는다. 다산은 남편을 따라 죽은 부녀가 아니라, 남편의 시부모 봉양과 자손 양육의 책임을 자임하는 존재야말로 참된 열부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가부장 가족의 영속을 위해 헌신하지 않고 한 때 울분으로 자살하거나 복수 살인하는 여성의 행위를, 다산이 편협한 부녀들의 우발적 자살소동, 부당한 복수행위로 비판한 것은 바로 이런 점 때문이다. 다산은 효제자의 인륜관계에서 아내를 제외하면서, 아내로서의 여성은 남편 시부모와 후손 양육의 역할을 철저히 수행함으로써 비로소남성 가족의 일원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흠흠신서』에 수록된 여성 관련 사건들은, 오히려 여성이 이런 도덕적 책무에서 벗어나길 원했고, 가부장 중심의 가족질서에 부딪히면서 자신의 욕망을 표출하거나 혹은 욕망의 표출 결과 심각한 폭력적 대가를 감수해야 했던 상황을 보여준다. 정절의 윤리를 자발적으로 묵수하거나반대로 거부하는 수많은 사건들 사이에서, 우리는 당시 여성들이 어떠한 의지적 판단과 선택에 따라서 행위 했는지 살펴볼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Jeong Yagyong’s evaluation of crimes involving women in Heumheum Sinseo (A New Book of Criminal Law), a collection of judicial precedents for murder cases. The paper seeks to elucidat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Confucian view of women in his evaluation of crimes involving women in comparison with the incidents recorded in contemporary governmental documents, including the Simnirok (審理錄) and the Chugwanji (秋官志). Joseon emphasized ethics on the basis of three bonds and five virtues, and Jeong was wary of the government’s excessive idealization of loyalty, familial reverence, and fidelity, and the consequent proliferation of filial sons and virtuous wives. He criticized the proliferation of female suicides and of retributive murder to preserve chastity. Jeong believed that women committed these acts even in situations that did not involve serious sexual violations due to the state policy of rewards and punishments for virtuous or straying wives. He also opposed the spread of punishments by individuals instead of the state in sexual incidents involving women. However, Jeong’s concern for women’s deaths stressed the patriarchy more than women. For him, the wives who cared for their parents-in-law and children instead of dying after their husbands were truly virtuous, and only then could they become members of their husbands’ families. However, incidents in the Heumheum Sinseo reveal that some women rejected those moral duties, and paid a fatal price for expressing their opposition to the patriarchy.

      • KCI등재
      • KCI등재

        정약용『經世遺表』구성의 철학적 원리

        백민정(Baek, Min-Jeong) 한국동양철학회 2012 동양철학 Vol.0 No.37

        『經世遺表』는 정약용의 대표적인 정치경제학 저작이다. 그는 『자찬묘지명』에서 철학적 의미를 다룬 應學과 정치사회적 문제를 다룬 經世學이 本末구조를 이룬다고 말했다.『경세유표』의 경우 철학적ㆍ사상적 토대는 알려진 것처럼『周禮』와 『尙書』라는 고대유학 경전이다. 정약용은『周禮全注』를 기획했지만 이루지 못했기에『주례』에 대한 그의 입장은『상서』등 다른 경전 주석을 통해 살펴볼 수밖에 없다. 『주례』에 대한 다산의 관점은『春秋』『周易』및『中庸』『大學』 과도 긴밀히 연계돼 있다. 그는『주례』를 중심으로 육경사서를 연결시킨 후 이러한 철학적 경전 이해를 통해『경세유표』의 사회제도 개혁안을 구상했다. 특히『주례』와『상서』의 上帝 개념을 통해 君主의 의미와 역할을 규정하고 君民 관계를 유비적으로 설명했고,『주례』의 6부 정부조직안을 모델로 조선의 중앙정부와 관료제를 구상했다. 수도권과 지방의 교육체제, 토지와 조세제도의 개혁, 도시와 지방의 구획 및 운영 등을 모두『주례』의을 바탕으로 제안한 것이다. 물론 정약용의 제안은 조선후기 현실에 맞게 유학 경전의 내용을 상당 부분 변형한 것이다.『경세유표』에서 다산이 제안한 사회개혁안에 따르면, 국왕과 신료 모두 철저한 관료제시스템에서 제도적 방식을 통해 제한된 권력만을 행사할 수 있다. 정약용은 王權을 강조한 것이 아니라 상징적 왕을 통해 公權力을 강조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관료기구의 확대, 중앙정부의 철저한 지배, 직업과 거주지, 교육, 사회신분 등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차등적으로 통제할 것을 주장했다. 관료제 중심의 개혁안은 다산이 중간 기득권층의 횡포를 막고 국가 전체를 일관된 제도적 원리에 따라 효율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내놓은 방안이지만『경세유표』가 전제한 철학적ㆍ이념적 원리에 대해서는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Jeong Yak-yong's Gyeongseyupyo is a well-known work on politics and economics. As the Joseonhak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periods spread in the 1930s, Jeong Yak-yong wa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Silhak scholar and, of his numerous “Yeoyudang” works, Gyeongseyupyo became the most famous. For his own epitaph, however, Jeong Yak-yong wrote that his Gyeonghak(經學), which dealt with philosophical matters, and his Gyeongsehak(經世學), which dealt with sociopolitical matters, were intimately connected and that they complemented each other. With Gyeongseyupyo, it is well-known that its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foundations were based on ancient Confucian writings called Jurye(周禮) and Sangseo(尙書). Jeong Yak-yong had wanted to write a comprehensive commentary on Jurye but could not carry it out. His thoughts on Jurye can only be indirectly examined through his studies on Sangseo. Jeong Yak-yong's thoughts on Jurye are also intimately linked to the Six Classics(六經) such as Chunchu (春秋) and Juyeokl(周易), and also the Four Books(四書) such as Jungyong (中庸) and Daehak(大學). He connected the Six Classics and the Four Books using Juryeas the focal point, and designed his plan for reforming the social system in Gyeongseyupyo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those classic philosophical texts. In particular, he defined the meaning and the role of the sovereign(君主) using the idea of Sangje(上帝) found in Jurye and Sangseo, and anagogically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r and the ruled (君臣). He also conceived Joseon's central government and its bureaucracy using the six-part government organization plan in Jurye as his model. His suggestions on the educational system for the capital and provincial areas, organization of farmlands and the land system, comprehensive reformation of the tax system, division of cities and provinces and their operational principles were all based on the contents in Jurye. Of course, he also made many modifications in his presentation of those contents in order to suit the realities of the late Joseon period. According to the ideas proposed in Gyeongseyupyo regarding social reform, both the ruler and the ruled can only function with limited authority exercised through systemic and procedural methods which are bound by a thoroughly bureaucratic mechanism. Jeong Yak-yong did not emphasize sovereign power(王權) but rather the public authority of the state. In other words, his emphasis was on governmental authority(公權力) as represented by a symbolic King. He also argued that such matters as the expansion of bureaucratic organs and the central government's detailed control of its people, their jobs, residence, education and social identity should all be strictly limited and individually controlled. This type of bureaucracy-centered reformation plan, however, has already appeared many times in history and is known to have various shortcomings. Jeong Yak-yong's proposals were aimed at stopping the tyranny of the mid-level authorities and enable the state to efficiently rule the entire country according to consistent institutional principles. Nevertheless, the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principles premised in his Gyeongseyupyo need to be critically examined.

      • KCI등재

        정약용(丁若鏞) 철학에서 "효제(孝弟)" 관념이 갖는 공적(公的) 의미

        백민정 ( Min Jeong Baek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3

        孝弟[孝悌]는 고대유학 경전에서 부모에 대한 친애의 감정[孝]과 형제간의 공경심[弟]을 의미한 용어다. 이것은 유가에서 이해한 인간의 선천적 정감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감의 도덕적 원리를 의미하며, 나아가 사회와 국가에 확장됨으로써 혈연적 가족 너머의 타인과 관계맺게 해주는 가장 기초적인 관계의 원리로 이해되었다. 『論語』에서 孝弟를 강조하며 그것을 仁의 근본으로 삼고 맹자가 ``仁之實事親, 義之實從兄``이라고 말한 이래로 孝弟, 親[親愛]과 尊[恭敬], 仁義의 문제는 유학적 인륜 문제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원리로 간주되었고 정약용 역시 이 점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그가 효제의 원리를 인간 본성[性]과 관련해 어떻게 규명하고, 주자학의 이기론 및 인의예지론과 연관해 어떻게 해명했는지 문제가 중요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지금까지는 다산 본인이 대표적인 학문적 업적이라고 자부한 禮學 관계 저술, 즉 士家禮와 邦國禮를 아우르는 그의 저작 가운데 나타난 친애와 공경에 관한 경학적 입장을 분석한 연구가 주종을 이룬다. 그러나 親親과 尊尊 원리에 대한 다산의 입장은 孝弟忠信, 親親·尊尊[長長·賢賢], 仁義禮智 등 다른 개념들과의 연계를 통해 그가 주자학과 씨름한 성찰의 전 과정을 함께 고찰할 때 보다 분명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다산의 수많은 저작 중에서 孝弟를 강조한 경전적 문맥을 살펴보면서 왜 정약용이 효제라는 유학의 규범 원리에 주목했는지 검토했다. 그는 효제가 인간 마음에 선천적으로 주어진 본성이 아니며 실천을 통해 사후적으로 완성되는 덕목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뿐만 아니라 孝弟慈라는 天屬의 논리와 이를 바탕으로 확충해나가는 義合[人合]의 논리를 구별하는가 하면 가족과 국가의 경계 혹은 위정자와 民의 관계에 대해서도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다산의 물음에는 仁을 두 사람의 관계로 해석하면서 天屬으로서의 父子之間 역시 두 사람이라는 자기[己]와 남[人]의 타인 관계로서 이해한 다산의 독특한 관점이 전제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다산의 孝弟論과 親親 및 尊尊의 논리가 전통적 가족의 협소한 경계를 넘어 공적 사회의 실현과 관련해 어떤 유의미성을 갖는지 살펴보았다. The concept of "hyoje" (孝弟), or filial piety, as found in Confucian texts refers to feelings of love toward one`s parents and respect between siblings. It represents the idea of innate warmth that human beings possess and the moral principle of such warmth as understood in Confucianism. Furthermore, as the concept spread throughout the society and the nation, it has also come to function as the most basic relationship principle, which goes beyond blood ties and family to enable relationships with other human beings. TheAnalectsofConfucius(論語) emphasizes "hyoje" and makes it the foundation for "in"(仁, benevolence), while for Mencius, the essence of "in" is to stay close to one`s parents and the essence of "ui" (義, justice) is to respect one`s siblings. After Confucius and Mencius, concepts such as "hyoje," "chinchin" (親親), jonjon (尊尊), and "inui" (仁義) have become the most important principles for forming human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It was, therefore, not possible for Jeong Yak-Yong to be free from their influence. How he defined the principle of "hyoje" with respect to human nature and also with respect to the concept of "inuiyeji" (仁義禮智) in Zhu Xi`s teaching (朱子學) is important for this reason. This paper surveys the contexts in which Jeong Yak-Yong emphasized "hyoje" in his voluminous writings, and examines the reason behind his special focus on the Confucian principle of "hyoje." Jeong Yak-Yong argues that "hyoje" is not part of the innate nature that people are born with. According to him, it is a moral virtue which is perfected through practice ex-post facto. He further distinguishes the "cheonsok" (天屬) logic of "hyoje" and "inhap"(人合) logic, which is based on the first type and expands outward. He also asks fundamental questions regard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state and the family, or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ians and the common people. Among the questions he asks, certain underlying premises can be seen. He had a unique perspective in his interpretation of "in"(仁) as a relationship between two people, which led to his understanding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s also a relationship between two separate people. This paper examines his position on "hyoje," how his reasoning of "chinchin"(親親) and "jonjon"(尊尊) reaches beyond the traditional boundaries of family, and what their significance is with respect to the realization of a public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마테오 리치와 다산 정약용 철학의 거리

        백민정(Baek, Min-Jeong) 한국교회사연구소 2012 敎會史硏究 Vol.0 No.39

        Jeong Yak-yong is a representative Confucian intellectual of the latter 18th century Joseon. His time was a period when various thoughts and books of foreign countries were being introduced through diplomatic envoys sent to China and Japan. New thinking such as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from the end of Ming and early Ching Dynasties, the Ching Dynasty’s study of ancient documents, the medieval thoughts and Catholicism of the West, and the classic doctrines of Japan were accepted, and Dasan tried to intellectually deal with such circumstantial changes. During this period, the books of Western learning translated into Chinese by Western missionaries represented by Matteo Ricci had a very import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Dasan’s philosophy. Ricci’s concept of God provided the philosophical basis for Dasan’s argument for a personal Sangje(Ruler of Heaven) while criticizing Zhu Xi’s Neo-Confucian Theory of Li Ki. Furthermore, through this, Dasan moved beyond the moral metaphysics of Zhu Xi’s Neo-Confucianism that explained nature and man with the same principles. He argued that the nature of man is different from that of animals and plants and only man has the heart of spiritual clarity to communicate with Sangje, that is, only man has the spiritual clarity embodied. The spiritual clarity embodied is composed of three elements: the nature of innate liking of good and disdain of evil, the balance determining the choice of good and evil, and the process of acting where it is difficult to do good and easy to do evil. That Dasan understood the human heart with the concept of spiritual character or spiritual clarity, considered this as the common link between God and man, and saw there is in the human heart a free will to choose good have all been judged be perspectives resulting from the impact of Western learning. But this impact of Western learning is difficult to explain with the logic of one-sided conveyance or acceptance. The reason is that Dasan as a Confucian intellectual has already learned Zhu Xi’s doctrines in his own way through exchanges with Sungho School scholars, scholarly encounters with Jeongjo at Gyujanggak, and his particular intellectual experience. Hence Dasan’s interest regarding Western learning and Cheon-ju-sil-ui resulted in finding only what he himself wanted to find within his inner tradition. This is different from Matteo Ricci’s position and Zhu Xi’s, and in fact, is premised on the distinct philosophical perspective of Jeong Yak-yong himself. Particularly when considered from the overall structure of Dasan philosophy that connects the concept of innate nature as regarded as making preferences and the perspective on spiritual clarity and God with the interpretive studies of Confucian classics and politics, Dasan’s viewpoint has a distinctiveness that is difficult to explain with just the impact of Western learning. Therefore, Dasan’s position on the books of Western learning, including Cheon-ju-sil-ui, should be understood not as simple acceptance, but as a Confucian thinker’s intellectual response, that is, as philosophical action toward a changed era.

      • KCI등재

        다산(茶山)과 노소론계(老少論系)학자의 인성론(人性論)비교 연구: 다산(茶山)『맹자요의(孟子要義)』와 『경사강의,맹자(經史講義,孟子)』 세 조목의 조대(條對) 내용을 중심으로

        백민정 ( Min Jeong Baek )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9 No.-

        본 논문은 다산 『孟子要義』 중 현존하는 條對기록과 정조 『經史講義·孟子』 중에 수록된 老少論系講員의 條對내용을 세 가지 조목을 통해비교한 것이다. 『맹자』「고자·상」3조의 人物性문제와 관련해 다산과 다른 강원들은 정조로부터, 이곳의 性은 本然之性인지 氣質之性인지 질문을 받았다. 노소론계 학자들이 대부분 맹자가 말한 인물성은 하나의 본연지성을 가리킨다고 보거나 인물간에 차이나는 서로 다른 본연지성을 의미한다고 답한 반면, 다산은 인물성이 天命에 의해 다르게 품부된 것이라고 보았고 오직 인간만이 道義之性을 가졌음을 강조했다. 이에 따르면 다산은 이미 초년부터 本然·氣質의 이분법을 비판했음을 알 수 있다. 또 「이루·상」27조와 관련해 정조는 `仁之實事親, 義之實從兄`의 의미를 질문했는데, 주희 『맹자집주』를 옹호한 노소론계 강원들은 주희가 仁義를 根으로, 孝弟를 實로, 忠君·弟長을 華로 비유했다고 본 반면, 다산은 孝弟야말로 實이고 인의예지 같은 명칭[名]은 마지막에 이루어지는 덕목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다산이 仁義禮智내재성을 비판했던 관점이기도 한데, 후년에 노론계 문인 李載毅와 논쟁을 벌일 때도 이 관점이 강조되었다. 한편 다산은 「진심·상」1조의 `盡心·知性` 문제에 대해서도 다른 강원들과 함께 정조로부터 질문을 받았다. 이에 답한 다산 條對를 보면 마음을 다 실현하는 공부를 먼저 해야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게 된다고 주장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강원들은 格物窮理를 통해 理와 性을 모두 알게 될 때 비로소 마음을 다 실현하게 된다는 『맹자집주』 해석을 옹호했다. 이처럼 다산 『맹자요의』 중 條對만을 따로 보아도, 『맹자』를 둘러싼 다산의 인성론 이해가 당시 노소론계 강원들의 『맹자강의』 답안 내용과 상당히 달랐음을 잘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compare Jongyagyong with the faction of Lo(老) and So(小) of those days in the interpretation of Maengja. So I should investigate into Jongyagyong`s Maengjayoui(孟子要義) and the dialogues in the part of Maengja of Gyongsaganguimodes(經史講義). Three issues about the theory of human nature are as follows. Firstly, when Jongjo(正祖) asked the identity and difference between human nature(人性) and animal nature(物性), most scholars of the faction of Lo and So emphasized the identity of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namely Bonyonjisong(本然之性). On the other hand, Jongyagyong thought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s different, and the human as having ethical nature, namely Douijisong(道義之性). Secondly, when Jongjo(正祖) asked the meaning of such phrases as `Injisilsachin(仁之實事親)` and `Uijisilsahyong(義之實從兄)`, scholars of the faction of Lo and So interpreted Inui(仁義) as root, Hyojei(孝弟) as fruit, and Sagunjeijang(事君弟 長) as flower. On the other side Jongyagyong regarded Hyojei(孝弟) as root, and emphasized such virtues as Inui(仁義) as ex post factor. Thirdly, when Jongjo(正祖) asked the meanings of JInsim(盡心) and Jisong(知性), most scholars of the faction of Lo and So like Juja(朱子) regarded the Jisong(知性) as the way to JInsim(盡心). On the other hand, Jongyagyong claimed the opposit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