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論語>에 대한 正祖의 철학적 관점 분석 − <論語講義> 御製條問 및 條對와 <魯論夏箋> 問答을 중심으로 −
백민정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2 No.-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into Jôngjo's philosophical viewpoints of Nonô(論語)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Nonôgangui(論語講義) and Nolonhajôn(魯論夏箋). These two texts comprised dialogues between Jôngjo passed judgement on Confucius' moral conducts and the method of teaching, and entertained a doubt as to Juja's Neo-Confucian interpretations of Nonô. Also he should propose new political interpretations of Nonô, for he was actual king of Chosôn dynasty. Ostensibly he recognized Juja's Neo-Confucian interpretations as an orthodox doctrine. However it was evident that he doubted the status of Confucius as a saint and the authority of Neo-Confucian interpretations of Nonô. 본 논문은 정조 문집 가운데 『論語』 관계 토론서인 『論語講義』와 『魯論夏箋』을 중심으로 정조의 論語觀을 살펴본 것이다. 두 작품에는 정조가 다양한 학파의 文臣들과 『論語』 경문에 대해 질문하고 토론한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곳에서 정조는 聖人으로서의 孔子의 처신 및 교육방법 등을 비판적으로 문제 삼았고, 주희의 경전해석 경향에 대해서도 강한 의문을 표명했다. 정치적 문제에서도 君師 혹은 聖王으로서의 자신의 처지에 입각해 『논어』에 대한 독특한 정치적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정조가 『논어』와 이에 대한 주희 해석을 가장 권위 있는 학설로 인정한 것은 사실이지만, 당시 진행된 실제 講義 내용을 보면 이미 聖人과 주희 학설에 대한 상당한 수준의 비판적 논의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수록 민담의 유형 분포 분석을 통한 일제 강점기 3대 전래동화집의 성격 고찰
백민정 한국구비문학회 2012 口碑文學硏究 Vol.0 No.35
일제강점기의 3대 전래동화집은 그전까지 구비문학으로만 존재했던 아동 대상의 민담류 들이 처음으로 단행본으로 편찬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아울러 이들의 존재는 아동 의 발견이라는 근대적 패러다임 속에서 관심을 모았던 아동문학을 구비문학의 전통과 연결 고리를 만들었던 중대한 성과이기도 하다. 본고는 일제강점기 3대 전래동화집인 『조선동화집』, 『조선동화대집』, 『조선전래동화집』 의 수록동화를 최인학의 <한국민담유형표>에 맞추어 분류하고, 그 유형의 각 동화집별 분포 도, 대단위별 분포도, 중단위 및 중하단위별분포도를 각각 표와 그래프를 통해 알아보았다. 먼저 『조선동화집』은 ‘동식물민담(48%) > 보통민담(36%) > 소화류(3%)’의 분포도를 보 이고 형식담, 신화적 민담, 기타 유형에는 해당 설화가 없다. 즉, 세계적으로 동화류 가운데 가장 분포도가 높은 동식물민담이 이 책의 분포도에서 1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의 주된 목적은 조선 아동을 식민지 국민으로 기획하고 양성하기 위함이었으므로, 그 대 상 독자를 철저히 조선의 아동으로 하였다. 따라서 동화가 갖고 있는 속성에 충실한 민담류 를 최대한 선별한 결과, 동식물 민담류가 높은 분포도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조선동화대집』에서는 ‘소화(42.17%) > 동식물민담(30.12%) > 보통민담(25.30%) > 신 화적민담=기타(1.20%)’의 분포 순위를 보이고 있다. 즉 소화류가 가장 높은 분포도를 보이 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의 저자 심의린은 한글학자이자 교육자였다. 일제강점기라는 국가적 위기를 조선의 올바른 교육으로써 극복하고자 했던 사람이다. 그가 스스로 대상으로 지목 한 독자가 ‘학동’이므로, 이들을 의식한 동화들이 자연스럽게 모인 책이 바로 『조선동화대 집“이라 할 수 있다. 단, 아동 중에서도 배우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배움에 적합 한 이야기가 좀더 치중된 것이 분포도에서 드러난다. 이 책에는 소화류 가운데에서도 ‘바보 이야기’나 ‘어른과 아이’에 대한 이야기의 비중이 높은데, 이들은 지혜를 교훈으로 하는 이 야기들이 대부분인 것이 바로 이를 증명하고 있다. 『조선전래동화집』은 ‘보통민담(57.33%) > 소화(24%) > 동식물민담(12%) > 형식담=신 화적민담(2.67%) > 기타(1.33%)’의 분포 순위를 보이고 있다. 보통 민담
백민정,현명호 한국임상심리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7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chizotypal personality features, such as disordered thinking/perception, in individuals at risk fo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Recently, an obsession model has been proposed, which classifies obsessions into two different subtypes: autogenous obsession and reactive obsession. This model has suggested an association between autogenous obsessions and thought disorder. Previous studies on semantic priming have suggested that schizophrenia and schizotypy enhanced the indirect semantic priming effects at short prime-target intervals relative to controls. Therefore, semantic priming paradigms were used to test whether autogenous obsessions display increased indirect semantic priming effects. The participants were 3 groups of college students: 14 had elevated autogenous obsessive-compulsive (OC) symptoms and autogenous obsession scores, 15 had elevated reactiveOC symptoms and reactive obsession scores, and there were 15 normal control participants. Subjects performed a lexical decision semantic priming task at short prime-target intervals under two experimental conditions (direct semantic priming and indirect semantic priming).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the subjects with Autogenous Obsession (AO)s displayed increased indirect semantic priming compared to the subjects with the with Reactive Obsession (RO)s and normal controls. Contrary to expectation, the ROs exhibited significantly enhanced direct semantic priming compared with the AOs and normal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togenous and reactive obsessions, in their relationship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s, do not appear to be attributable merely to the type of obsession AO, RO may be linked to the schizophrenia spectrum along a continuum of multidimensionality of schizotypy.
백민정 한국구비문학회 2009 口碑文學硏究 Vol.0 No.28
This paper focus on explaining the Korean Folk tale narrative structural original form and its meaning. Korean folk tales narrative structural origin could be greatly seen as N form structure and M form structure. This is to set the happiness(+happiness) and unhappiness(-happiness) which is given to the protagonist as a mathematical figure and putting it as Y-axis, the narrative stages of the motifs development of the story as X-axis which is named after making a curve that comes and goes + and - values repeatedly like a trigonometric function graph. This kinds of folk tales narrative structure could be considered as the origin of the folk tales narrative structure. The N form structure is the structural origin of the tale that the protagonist starts with some kind of lacking situation but finally gains happiness after overcoming hardships. The M form structure is the structural origin of the tale that has a tragic ending because the protagonist got punished or continually being misfortuned for being avaricious. Comparatively simply stories comes with less of N, M curves and the stories which have intricate narrative development will come with more N, M curves. In other words, the stories narrative simpleness or the complexity could be known by the numbers of the serial links of N form and M form curves. This kind of narrative structural origin of a folk tale takes a decisive role on how strong the handing down of the tale is. This takes a role as a framework for the story tellers to remember that folk tale in their unconsciousness. Moreover the motif which appears at the highest and the lowest peak of the curve is the main factor that draw interest of the tale. Further more it is able to be an reference for each versions which have been numerously changed by the story tellers are not separate folk tales but one. 본 논문은 한국 민담의 서사 구조의 원형과 그것이 갖는 의의를 밝히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한국 민담의 주인공에게 주어지는 행(+행)·불행(-행)을 수학적 값으로 정하여 Y축으로 놓고, 이야기의 화소 전개의 서사적 과정을 X축으로 놓았을 때 마치 삼각함수의 그래프와 같이 +와 -값을 일정하게 반복하며 오가는 곡선이 생성된다. 이러한 곡선의 모양은 N형이 연쇄되는 경우도 있고 M형이 연쇄되는 경우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를 N형 구조, 후자를 M형 구조로 명명하고, 이를 민담의 서사 구조로 보았다. N형 구조는 무언가 결핍된 상황에서 시작한 주인공이 시련을 이겨내고 행운을 찾는다는 결말을 가진 민담의 구조적 원형이다. M형 구조는 주인공이 욕심을 가져서 응징되거나, 불운의 연속으로 비극적 결말을 지니는 민담의 구조적 원형이다. 이러한 N, M의 굴곡이 적은 횟수로 등장하는 이야기일수록 단순한 서사 구조를 지닌 민담이며, 복잡한 서사 전개로 이루어진 이야기들은 N, M의 굴곡의 횟수가 많다. 즉, N형과 M형의 연쇄된 수가 많고 적음에 따라 이야기의 서사적 단순성이나 복잡성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민담의 서사 구조적 원형은 민담의 전승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는 담지자들의 무의식 속에서 그 민담을 기억하게 하는 골격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굴곡의 정점과 저점에서 나타나는 화소의 등장은 민담의 흥미성을 이끌어내는 주된 요소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담지자들이 숱하게 변이된 각편들을 별개의 민담이 아니라 하나의 민담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하는 준거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다문화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백민정,신지현 한국미술치료학회 2023 美術治療硏究 Vol.30 No.6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이 자아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14세 남자 다문화청소년이며, 2022년 10월 11일부터 2023년 1월 20일까지 주 1회 90분간 총 16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전체 미술치료 회기 및 심층면담의 녹음파일과 축어록, 작품 사진,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회기별 과정의 내용 분석과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작업을 통해 자기를 이해하고 수용하게 되었다. 둘째,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분노 감정을 조절하게 되었다. 셋째, 미술작업을 통해 형성된 긍정적 자아상을 바탕으로 긍정적 미래를 전망하게 되었다. 넷째, 작품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문제해결력이 향상되었고 자신의 꿈을 위한 능동적 실천을 모색하게 되었다. 따라서 자아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는 다문화청소년이 자기를 이해하고 조절하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내적인 힘을 회복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는 변화와 성장을 이루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a multicultural adolescent in art therapy for ego-resilience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ose experiences. The participant in the study was a 14-year-old male multicultural adolescent who received a total of 16 sessions of art therapy, once a week for 90 minutes, from October 11, 2022, to January 20, 2023. Data collection involved audio recordings and transcripts of all art therapy sessions and in-depth interviews, as well as photographs of artwork and the researcher's observation journal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session-based content analysis and an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ly, the study participant came to understand and accept himself through art therapy. Secondly, he learned to express his emotions and regulate feelings of anger. Thirdly, through the art therapy process, he developed a positive self-image, which allowed him to look forward to a positive future. Fourthly, as he completed his artwork, his problem-solving ability was improved, and he began actively seeking ways to pursue his dream. Therefore, art therapy for ego-resilience enabled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to regain inner strength, understand and regulate himself, and solve problems, leading to personal transformation and growth.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지식재산기반 창업영재교육프로그램 체계화 -한국과학기술원 IP영재기업인교육원을 중심으로-
백민정,김범석,강경균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학기술원(이하 KAIST)의 IP영재기업인교육원의 교육 운영 체계 및 교육 프로그램을 검토하여, 지식재산 기반 창업영재교육프로그램을 체계화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AIST IP영재기업인교육원의 교육 과정을 문헌을 통해 고찰하여 교육과정의 이론적 탐색을 하였으며, KAIST IP영재기업인교육원의 교육 경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KAIST IP영재기업인교육원의 교육체계는 다음과 같다. KAIST IP영재기업인교육원의 교육목표는 창조성과 협력성에 기반하여 기업가정신과 지식재산 역량을 갖춘 융합인재를 즉, ’협력하는 괴짜‘를 양성하는 것이다. 인재상은 지식재산에 기반을 둔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사회에 가치를 창출하여 혁신을 주도하는 융합인재이다. 교육 운영은 7C로 정의되는데, ’창의와 협력‘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또 함께 공진화적 성장을 할수 있도록 한다. 교수학습방법은 학생주도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운영한다. 교수학습전략은 ’스스로 문제를 찾는 교육‘, ’과정중심의 맥락(context)교육, ‘실제적이고 차별화된 성과 도출 경험’ ‘협업을 통한 공진화적 성장 경험’, ‘사회적 가치창출’로 제시할 수 있다. 수업 평가는 상호평가(Peer Review)를 통해 Social Learning의 일환으로 활용되며, 전문가 평가도 학습에 일부분으로 제시하고 있다.
귀신의 공공성과 제사의 정치 ─ 정약용의 상제-귀신론과 정치사상
백민정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4 다산학 Vol.- No.44
이 글은 정약용의 상제-귀신론을 국가의 제사의례와 관련해 분석한것이다. 『춘추고징』에서 제시된 길례와 흉례 등을 살펴보면 다산이 상정한 초월적 상제와 천신들, 인간 혼령의 성격과 의미를 엿볼 수 있다. 주목할 점은 상제ㆍ천신ㆍ인귀가 개인적인 종교적 섬김의 대상이기보다는 다산이 구성한 국가례의 핵심적인 제사 대상이며, 왕조의 정치적 기획과 운영을 통해서 그 전모를 이해할 수 있는 존재였다는 점이다. 다산은 초월적 영역에서 상제ㆍ천신ㆍ인귀의 형이상적 위계질서를 제시함과동시에 세속에서 인군ㆍ인신ㆍ만민의 정치적 위계를 동일한 논리로 구조화했다. 그리고 형이상학적 세계에서 혼령을 천신에 배향할 때 그들의 정치적 공과 덕을 기준으로 삼았고, 이런 인귀의 공덕을 세속 정치에서군신들이 백성에 대해 베풀어야 할 정치적 치적으로 삼았다. 요컨대 상제-귀신론은 다산의 정치 형이상학으로 기능했으며 특히 귀신의 공과덕이라는 공적 가치, 즉 귀신의 공공성을 강조했던 점이 중요한 특징의 하나다. 나는 다산의 귀신론에서 인귀, 즉 망자의 혼을 다루는 그의 생각이 흥미로웠다. 다산은 인간이 상제ㆍ귀신과 동일한 영명을 가졌다고보고 인간의 영명한 마음을 영체라고 표현했다. 다산에게 영체(영명)는 상제가 부여한 것이기에 특정한 발생 시점을 가지고 사후에도 상존하는 고유한 실재(인귀)로 상정되었다. 다산은 사후의 혼이 뒤바뀔 수 없는 개체적 특성을 간직한다고 보았고, 고유한 영체가 저마다 선악의 가능성을 내장한다고 이해했다. 다산은 영체가 자신의 의지적 공부를 통해 상제의 명령을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는데 이른바 그의 도심이란 것이 바로 그런 마음이다. 영靈의 기원과 실재성에 대한 다산의 믿음은 그의 제사의례와도 직결되며, 서학과의 지적 교섭에서도 주목받았던 주제이다. 다만 다산이 오랜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 완성한 저작들 상당수가 예학서라는 점에 주목할 때, 인간의 영명과 사후 혼에 대한 그의 관심은 결국 예학, 특히 국가와 문중의 상제례와 깊은 관련을 가진다고 할수 있다. 특히 다산은 국가 제사와 문중의 상제례를 중시했으며 상제뿐만 아니라 조상 혼의 의미를 깊이 성찰했다. 제천의례는 이미 오래전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다산 『춘추고징』의 주요한 특징은 조상혼의 이해 그리고 조상보본의 뜻을 더 큰 공적 가치에 결부시킨 체제사의 의미를 승화시킨 데 있다. 그것은 다산 사유의 핵심이 조상제사를 바탕으로천신과 상제로 이어지는 유대의 긴 과정을 복원하는 데 있었다고 보기때문이다. 이런 형이상학적 세계의 재구성이 그가 지향했던 세속 정치의 공공성을 제고하고 확장하는 데 궁극적 목적을 두었음은 물론이다. 이 점에서 다산의 상제-귀신론도 그가 구상한 인륜질서와 왕도정치라는 전체 기획을 통해서 비로소 온전한 의미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Jeong Yak-yong[丁若鏞, 1762~1836. pen name: Dasan(茶山)]’s theories on the Sangje(上帝, Supreme Emperor) and Ghosts(鬼神, ghosts and spirits) in relation to the official rituals of the state(國家禮). The auspicious and unauspicious occasions of rituals presented in Chunchoogojing(『春秋考徵』) give us a glimpse into the characters and meaning of the transcendent Sangje, heavenly spirits(天神), and the human soul after death(魂靈; 人鬼) that Jeong envisioned. It is noteworthy that, rather than being objects of personal religious worship, the Sangje, heavenly spirits and human spirits were central to official rituals of the state organized by Jeong, and can be understood in their entirety through the political planning and operation of the dynasty. In addition to presenting the metaphysical hierarchy of the Sangje, heavenly spirits and human spirits in the transcendental realm,Jeong structured the political hierarchy of monarchs, subjects and people in the secular world with the same logic. In the metaphysical world, Jeong considered the political contribution(功) and virtues(德) of human beings to be an important criterion for offering the human soul after death to the Sangje and heavenly spirits, and he regarded these human spirits’ contribution and virtues as exemplary political achievements that monarchs and subjects should bestow on their people in secular politics. In short, the theories of Sangje and ghosts operated as a political metaphysics for Jeong Yak-yong, and his emphasis on the public value of ghosts’ contribution and virtue, or the public nature of ghosts, is an important feature of his remarks about the spiritual entities. I have been intrigued by Jeong’s ideas about dealing with the spirits of the dead in his ghost theory. Jeong viewed humans as possessing the same spiritual intelligence(靈明) as the Sangje and heavenly spirits, and he characterized the human mind with this spiritual intelligence as a spiritual body(靈體), or spiritual intelligent body. For Jeong, the spiritual body was bestowed upon humans by the Sangje and therefore had a specific point of origin, and this spiritual body was envisioned as a unique entity that exists even after death. Jeong believed that spirits retain distinct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cannot be altered after death, and he understood that each unique spiritual body contains within it the potential forgood or evil. He believed that the spiritual body can understand the commands of the Sangje through its own volitional study, the so called Dao-Mind(道心). Jeong’s belief in the origin and existence of spirits after death is directly related to his theory on ancestor rituals, and it is a topic that was also of interest in his intellectual engagement with Western Learnung(西學). However, the fact that so many of Jeong’s long and laborious works are related to Confucian rituals suggests that his interest in human spiritual intelligence and spirits after death eventually led him to the study of Confucian rituals(禮學), especially state and family level rituals and ancestral rites. He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national and family rituals and ceremonies, which led him to reflect deeply on the meaning of not only the Sangje but also the individual ancestral spirits. Rituals to Supreme Emperor had already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and interest even before Jeong. I believe that Jeong’s increased attention in Chunchoogojing was an intellectual task that expanded and deepened the meaning of ancestor rituals in a more public way. The core of Jeong Yak yong’s thought was to restore the deep process of bonding with heavenly spirits and Sangje based on exemplary ancestor rituals. This reconstruction of the metaphysical world was ultimately aimed at raising the potential public value of Jeong’s secular politics and expanding it. In this respect, Jeong’s theory of ghosts can only be fully understood...
백민정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유학연구 Vol.64 No.-
This article is designed to reflect on the research history of Dasan Studies over the past hundred years, aiming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Dasan scholarship. Dasan Jeong Yakyong (1762-1836) was invoked by colonial Korean intellectuals who published Yeoyudang Jeonseo in the 1930s. Driven by the urgent needs of the times, Dasan's scholarship was recognized as an autonomous reform proposal that embedded the logic of democracy, civil rights, economic equality, and national strength. Even in the light of the immanent development theory popularized in the 1960s and 1970s after liberation, Dasan Studies and Practical Learning were still read as modern disciplines based on the Western development path. Since the specific analysis of Dasan's Lixue (禮學, ritual scholarship, or rituals) began around the year 2000, there has been an expansion of research aiming to illuminate his social reform theory in line with the internal flow of Confucian society, rather than as a model of Western modern development. This led to the activation of specialized studies,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rituals, which could be called a social reform theory based on rituals. Jeong Yakyong presented a consistent and systematic social reform theory based on rituals at various levels, including national rituals, royal rituals, rituals in local communities, and rituals of private families. Through this, he advocated for an ethical politics where the common people could actively practice filial piety and deference. Dasan considered legal principles and legislation as auxiliary means of politics based on rituals. In this text, we can identify the ideological background supporting his political theory based on rituals, including the concept of the state, ancestral spirits, and metaphysics. The metaphysics of Emperor above (the Supreme Ruler) and ghosts, which I have focused on in this article, can also be seen as an ideological background that supports his ritual-based political theory. Based on the above perspectives, this article suggests thre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Dasan Studies. First, the identification of archival and new sources, second, the clarifying the overall natures of Dasan scholarship, and third, the comparative examination of modernity and East Asian discourse. Among these, I propose the following detailed topics related to the characterization of Dasan scholarship. First, it is necessary to organically examine the figures and ideas of the major schools of thought that formed the intellectual background of Dasan scholarship; second,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Dasan's political theory in terms of the logic of ritual-based social management; and third, it is needed to read his theory of mind and discipline in the context of ritual-based political theory. Furthermore, in this comprehensive research field, it will be necessary to evaluate whether Dasan scholarship can contribute to the universal humanistic value and social publicness that we aim for today. I expect that such a rigorous evaluation and reinterpretation will revitalize and extend Dasan scholarship into the future. 이 글은 과거 백년 다산학 연구사를 돌아보며 미래 다산학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기획한 글이다. 다산 정약용은 1930년대 여유당전서를 공간한 식민시 시대 지식인들에 의해 호명되었다. 시대의 긴박한 요구에 의해 다산의 학문은 민주와 민권, 경제적 평등, 부국강병의 논리를 내장한 주체적인 개혁안으로 평가받았다. 해방 후 1960-70년대내재적 발전론의 시야에서도 다산학과 실학은 여전히 서구적 발전경로에 기반한 근대적학문으로 독해되었다. 2000년 전후 다산의 예학에 대한 구체적 분석이 시작되면서 그의경세론을 서구근대의 모델이 아닌 유교사회의 내적 흐름에 맞춰 조명하려는 연구경향이확대되었다. 이른바 예치적 경세론이라고 부를 만한 다산 경세학의 토대로서 예학 분야에 대한 전문연구가 활성화된 것이다. 다산은 국가례, 왕실례, 향례, 사가례 등 일관된 예치적 경세론을 통해 백성이 자발적으로 효제를 구현할 수 있는 덕정(德政)을 지향했으며, 형률과 법제를 예치의 보조 수단으로 간주했다. 이 글에서 주목한 상제・귀신론도 다산의예치적 경세론을 뒷받침하는 형이상학적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을 기반으로 이 글에서는 미래 다산학 연구의 방향을 세 가지로 제시했다. 문헌 고증과 신자료 발굴, 다산학의 전체 성격 규명, 근대 및 동아시아 담론과의 비교 고찰이 그것이다. 이 중 다산학의 성격 규명과 관련된 세부주제를 보면, 다산 학문의 지적 배경을 이룬 중요 학파의 인물과 사상을 유기적으로 검토하는 일, 예치에 기반한 사회운영논리로 다산 경세학을 재구조화하는 작업, 예치적 경세론의 구도에서 다산의 심성론과수양론을 새롭게 독해하는 작업 등이 있다. 나아가 이런 포괄적 연구시야에서 볼 때 다산학이 오늘날 우리가 지향하는 보편적 인문주의 정신과 사회적 공공성에 기여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일도 요청될 것이다. 이런 엄정한 평가와 재해석이 오늘의 다산학을 살리고미래로 확장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