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부ㆍ민간 지원의 효과: 재무제표 보정 및 패널 데이터 분석

        배현회 ( Hyunhoe Bae ),최유진 ( Yujin Choi ) 한국행정연구원 2021 韓國行政硏究 Vol.30 No.3

        사회적 기업에게 제공되는 정부지원금과 민간지원금이 사회적기업의 목적 달성에 어느 정도 기여 하는가에 대한 질문은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부지원금과 민간지원금이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ㆍ사회적 성과를 달성하는 데 기여하는가? 라는 연구질문에 대해 선행연구와의 차별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먼저 자율경영공시 참여 사회적 기업의 2012-2019년의 성과 및 경영정보를 추적하는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여 패널고정효과모형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경제적 성과 지표로서 사용되어온 재무제표상의 수치를 사회적 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분석대상을 제조업 분야로 한정하고 비영리와 영리기업을 구분하여 조직 형태 간 특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모형 추정에 대해 대안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유의성을 높인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여 사회적 기업의 성과 논의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The question of how much external financial support contributes to social enterprises achieving their objectives is crucial with respect to social enterprise sustainability. With an alternative approach from prior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government subsidies and private grants on social enterprises' financial and social performance. Specifically, we adjust balance sheet data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 and conduct the fixed effect model analysis, using the voluntary disclosure of management information as it pertains social enterprises (2012-2019). We also compare the differences in empirical results between nonprofit and for-profit organization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ur study contributes to a discussion on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by attempting an alternative approach to model estimation and presenting empirical evidence.

      • KCI등재
      • KCI등재

        녹색기업지정과 기업의 환경성과 - 성장곡선모형(Growth Curve Model)으로 분석한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추이 비교 -

        임유미 ( Yumi Im ),배현회 ( Hyunhoe Bae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4

        우리나라의 녹색기업지정제도는 기존의 규제 중심적 환경정책에서 벗어나 기업 스스로 환경성을 평가하고, 개선 계획을 실행하도록 하는 기업의 자발적 환경 관리제도이다. 기업은 정부 주도의 환경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고, 외부 행위자들과의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고자 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더 큰 규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유인책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유인책을 가지는 기업들이 녹색기업지정제도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어떤 행태를 보이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녹색기업지정제도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유해화학물질 배출량을 줄이고자 노력하는지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녹색기업과 녹색기업으로 지정되지 않은 비지정기업 간에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경로패턴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비지정기업보다 녹색기업에서 초기에 배출량이 더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지정기업보다 녹색기업에서 급격하게 배출량이 감소되는 경로패턴을 보였다. 먼저, 녹색기업이 초기 높은 배출량을 보이는 결과는 유해화학물질 배출량이 높은 기업들이 향후 발생가능한 정부의 더 강력한 규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녹색기업지정제도에 참여하는 전략을 채택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녹색기업들의 유해화학물질 배출량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지정기업들의 배출량보다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로패턴을 보이면서, 실질적으로 녹색기업지정제도가 기업들의 배출량을 줄이는데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시사한다. The green company designation policy in Korea is a voluntary environmental management policy to ensure that companies evaluate their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implement remedial measures themselves. The voluntary participation can serve as inducements to participating companies by providing opportunities to generate economic profits, buil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external stakeholders, and prevent another introduction of stricter regulations in advance.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ose companies who are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green company designation policy with various incentives. In particular, this study questions whether the voluntarily participating companies had actually made any effort in reduc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and tries to answer that question by finding differences in the path patterns of released amount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s between those designated as green companies and those who are not.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initial amount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s released by green companies was higher than the amount released by non-designated companies. However, green companies showed a sharper decrease in the path pattern of the released amount than non-designated companies over time. The higher initial amount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s released by green companie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companies that had released a large amount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s strategically participated in the green company designation policy in order to avoid stricter future regulations. However, the path pattern of the released amount of green companies declining more sharply than that of non-designated companies over time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the green company designation policy as a practically effective alternative in reducing the amount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s released by companie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대규모 재개발에 따른 소득계층별 주거 분포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대단지아파트 조성에 따른 수도권의 주거지 분리 -

        한승혜 ( Seunghye Han ),배현회 ( Hyunhoe Bae ) 한국정책학회 2021 韓國政策學會報 Vol.30 No.2

        본 연구는 소득계층별로 주거지가 분리되는 문제에 대해 대규모 재개발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서울ㆍ인천ㆍ경기의 수도권 지역 64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각 지역의 주거지 분리 수준을 파악하고, 대규모 재개발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요인들이 주거지 분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우선 수도권의 주거지 분리는 저소득층의 분리와 고소득층의 분리로 구분하여, Wong(2005)이 제안한 일반화 상이지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지역의 도시개발현황을 반영할 수 있도록 직전 5년간 신축된 대단지아파트 건수와 다양한 주거유형(단독, 연립ㆍ다세대, 아파트)의 혼합 정도를 변수화하여 사용하였다. 주거지 분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한 결과, 대단지아파트의 신축이 많이 이루어질수록 저소득층의 분리가 심화되었으며, 주거유형 다양성이 높아지면 저소득과 고소득 모두의 분리 수준이 완화되었다. 국내의 도시정비 및 주택공급을 위한 정책들은 수급 불균형을 해소한다는 명목으로 아파트단지의 대량 공급 자체에 치중되어 있으나, 계층별 사회적 배제를 완화하고 다양성을 높이는 더 다양한 정책적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Regarding the issue of the residential segregation by income level,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impact of large-scale re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vel of residential segregation in 64 cities and coun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Incheon, and Gyeonggi,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large-scale redevelopment on the residential segregation. First, the residential segregation in the target area was divided into the segregation of the low-income families and the high-income families. These were measured using Generalized Dissimilarity Index by Wong (2005). In order to reflect the current state of urban development in each province, the number of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newly built in the previous 5 years and the degree of mixing of various types of housing were used as variable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sidential segregation, the more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were newly built, the more low-income families were segregated. The more diverse housing types existed, the more the segregation of each income level was eased. Housing policies in Korea are focused on the mass supply of apartment complexes in order to resolve the supply-demand imbalance. In the future, various policy alternatives should be suggested to ease social exclusion and increase diversity.

      • Do Political Power Shifts Reduce Corruption in Korean Local Governments?

        Moonsoo Lee(이문수),Hyunhoe Bae(배현회)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0 No.8

        Corruption is expected decrease when the checks on political power is high Political power shift is a variable indicating the degree of checks on political power. Existing literature shows that Korean local governments are perceived as less corrupt when the leadership changes. Based on these facts, the authors focus on political power shifts as the variable that reduces the degree of corruption in Korean local governments. Unlike the 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focuses on changes in the party of the local head and the local council majority as determinants of corruption in Korean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more frequent political power shifts contribute to reducing corruption. If one political power shift significantly diminishes degree of corruption, repeated political power shifts should amplify this effect.

      • KCI우수등재

        지역정책수요와 시민조직화가 정책의제에 미치는 영향

        정용찬(Jung, Yong chan),배현회(Bae, Hyunhoe) 한국행정학회 2018 韓國行政學報 Vol.52 No.1

        지방정부의 정책결정은 이제까지 의사결정자를 중심으로 혹은 지역 내외부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되어 왔지만, 이러한 접근은 그 두 요인을 통합하는 설명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도시레짐이론은 이러한 한계를 통치구조와 지역 내 사회구조의 상호작용에 의해 도출되는 레짐연합이라는 개념을 통해 넘어선다. 나아가 이 이론은 지방정부가 언제 지역 내 불평등의 개선을 위한 정책결정을 하는지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였고 그러한 변화의 요인으로 중산층과 저소득층의 조직화를 제시하였다. 지방정부 정책결정에 대한 통합된 설명을 제공해주고 그 연구영역을 확장시키는 이러한 논의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지역정책수요와 시민조직화가 지방정부의 정책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통계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중산층과 저소득층이 많은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일수록 중산층 진보정책과 저소득층 기회확장정책을, 환경 · 문화 · 저소득층 관련 시민단체가 많은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일수록 저소득층 기회확장정책을 주된 정책의제로 결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 내 계층구조가 지방정부의 정책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충분히 다루지 못한 기존연구들을 보완하고, 또 시민조직화가 가지고 올 수 있는 지역 내 불평등의 개선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있다고 하겠다. Policy determinants of local governments have been explained by decision-makers or structure with local governments are faced. Although these two factors ar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local government policy making, few studies have been able to combine them theoretically. Urban regime theory solves this problem with the conception of regime coalitions, which are made by the interaction of governing structure and social structure in the region. Furthermore, researchers of urban regime theory extend the research range by raising the issue when local governments develop policy to reduce inequality in the local society. Concerning this, some researchers say that if the middle-class or lower-income group is organized, local governments are more likely to develop a policy to reduce inequality. Focusing on urban regime theory, this study intends to statistically verify whether local policy demand and citizen organization have an impact on policy making.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determines which local autonomous entities located in a region with a greater population of middle-class and lower-income residents than higher-income residents are making a more middle-class progressive policy agenda and a lower-class opportunity expansion policy agenda. Moreover, this study finds out which local autonomous entities make a more lower-class opportunity expansion policy agenda if many NGOs regarding environment, culture, or lower-income groups are located in the region.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in that they supplement preceding studies that did not analyze the impact of regional hierarchy on policy making and the possibility of reducing inequality in the local society as a result of citizen organization.

      • KCI등재

        환경정보공개정책에 대한 기업의 전략적 행동 -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정보공개를 중심으로 -

        유상욱 ( Sanguk Yu ),배현회 ( Hyunhoe Bae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3

        사업장들의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정보를 의무적으로 공개하는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조사제도(PRTR)의 정책목표는, 환경배출량 정보가 공개된 사업장들에 대한 공공의 압력을 유발함으로써 사업장들의 배출량 저감을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그에 따른 인체유해성 감소를 달성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공개되는 정보가 공공의 압력을 유발하기에 적합한 형태와 유용성을 갖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공개되고 있는 배출량 정보는 각 사업장들의 단순 배출량 총량(kg)만을 공개하고 있는 상황으로, 최종 인체유해성 정도와 추이가 궁극적인 관심사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공개된 정보의 정책목표와의 불일치성 문제는 기업들의 전략적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즉, 유해화학물질을 배출하는 기업들은 공공에 공개되는 정보의 형태인 총 배출량 수준을 저감하려 노력하지만, 실제 정책목표인 인체유해성 수준 저감에는 우선순위를 두지 않는 전략적 디커플링(decoupling) 또는 그린워시 (greenwash)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사업장별 유해화학물질 배출량과 그에 따른 인체유해성 수준을 도출해 비교함으로써, 실제로 이러한 전략적 행동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실증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특히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정보공개 이후에 총배출량 수준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지만, 인체유해성 수준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PRTR제도의 궁극적인 정책목표인 인체유해성 수준의 저감을 위해서는 정보의 정확성 혹은 유용성 증진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rimary policy goal of the Pollutant Release & Transfer Register (PRTR), which mandates plants to disclose their chemical emission informaion to the public is to reduce human health risks by creating public pressure against polluters. However, the PRTR reports the information on only total quantity based information of toxic chemical releases, not human health risk level. The disclosure of inaccurate information might causes plants’ strategic behavior, such as greenwash, in which plants put priority on reducing their total toxic chemical releases over reducing the health risk level to gain instant environmental legitimacy. In this study, we examines if plants have shown this the strategic behavior after the PRTR data disclosure by comparing total chemical releases with corresponding health risk scores. Our results show that information disclosure of total chemical releases leads to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total releases, but had little effect on the health risk scores. We conclude that one of the key precondition to achieve underlying goals of information based regulation is to disclose an accurate inform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