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콘크리트 구조물의 자동화 균열 평가를 위한 컴퓨터 비전 기반의 통계적 균열 정량화 기법

        배현진 ( Bae Hyunjin ),안윤규 ( An Yun-kyu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2

        본 연구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자동화 균열 평가를 위한 컴퓨터 비전 기반의 통계적 균열 정량화 기법을 제안한다. 구조물 외관의 균열 손상을 대상으로 취득한 비전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딥러닝 기반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균열을 검출하고, 검출결과의 실제 균열 영역을 추출하여 구조맵을 형성한 후 종점과 분기점을 토대로 정밀 물량 산출을 위해 균열을 분리한다. 분리한 단일 균열을 대상으로 정량적 평가 시 통계적 신뢰구간을 바탕으로 폭과 길이 값의 추정치를 도출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기술은 실제 콘크리트 교량에서 취득한 비전 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 KCI등재

        쿠사마 야요이의 ‘무한(無限)’ 공간 실현을 위한 조형적 특징과 의미

        배현진(Hyunjin BAE)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3

        쿠사마 야요이의 작품은 간결하면서 복잡하다. 그녀의 초기부터 최근까지의 작품은 크고 작은 점으로 구성된 ‘도트(dot) 무 늬’가 가득한 작품을 지속해왔다. 순간성과 반복성, 연속성과 무한성을 내포한 ‘점’은 무한 공간을 구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이자 조형적 주체가 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쿠사마 야요이의 작품 속 대표적인 조형적 요소인 점과 거울이라는 매체로 그녀 가 만든 무한 공간 처리 방식과 특징을 분석하고 ‘자기 닮음’과 ‘자기 소멸’을 통한 무한 공간 실현의 반복적 순환성이 가지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점과 거울을 통한 반복은 쿠사마의 작품에서 중요한 형식으로 실제와 가상의 융합적 체험을 전달한다. 또한 거울 방이라는 닫힌 공간에서 하나의 점으로 속박된 신체와 우주와 같이 경계를 알 수 없이 무한하게 열린 공간이라는 이중적 성격을 제시하며 의식과 무의식을 뛰어넘는 시각적 확장을 제공한다. 이러한 특징은 보이지 않는 우주 공간으로부터 작은 조각들이 분해되고 반사하는 것처럼 현실에서 느끼지 못한 낯선 아름다움이라는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쿠사마는 제로(zero)와 비움-공(空)의 상징인 점과 거울로 현실과 비현실을 뛰어넘는 모든 가능성의 공간 을 실현하였고 마음 속 무한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Kusama Yayoi s work is simple and complex. From the beginning to the last few years, her work has been full of ‘dot patterns’, especially small and large dots. In her works, ‘dots’ including instantaneity, repeatability, continuity, and infinity becom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and forming themes of infinite spac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Yayoi Kusama s infinite space processing methods and characteristics as a medium for Yayoi Kusama s representative formation elements and mirrors, and realize infinite space through ‘self-similarity’ and ‘self-obliterate’. In particular through the repetition of points and mirrors, Yayoi Kusama s important form conveys the fusion of real and virtual experiences. In addition The mirror room also provides a visual extension beyond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is feature is to experience a strange and beautiful new world, which is not felt in reality when small fragments break down and reflect from invisible cosmic space. Yayoi Kusama realizes the space of all possibilities beyond reality and unreality through the dots and mirrors of the zero and emptiness symbols, and tries to reveal the infinite in the mind.

      • KCI등재

        구겐하임 미술관 컬렉션의 지형 변화와 의미 : 구겐하임 UBS 맵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배현진(Hyunjin BAE)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8

        21세기 이후 구겐하임 미술관은 기존의 북미와 유럽에 치중되어 있던 컬렉션의 범위와 영역을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으로 확대하기 위한 ‘구겐하임 UBS 맵 글로벌 아트 이니셔티브(Guggenheim UBS MAP Global Art Initiative)’ 즉, 구겐하임 UBS 맵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동시대 미술에 있어 다양성에 대한 논의는 핵심적인 사항이 되었고 구겐하임 미술관은 오늘날 세계적인 미술관의 의미에 대해 스스로 자문하며 글로벌한 연결방식으로 제3세계 미술에 대한 적극적인 상호 작용과 문화적 교류를 위한 작품 컬렉션을 지속해왔다. 이 프로젝트는 스위스 금융 그룹 UBS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으며 이들 소외된 지역의 예술가와 큐레이터, 교육자를 선정하여 전 세계를 아우르는 문화적 실천과 역사를 반영하였고 컬렉션 확장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동시대 미술관을 대표하는 구겐하임의 컬렉션 확대는 지역 사회와 소통하고 관람객 참여를 중심으로 미술관의 수집, 보존, 연구, 전시라는 전통적 기능에 교육과 체험을 통합해 미술관의 사회적 기능을 높이고자 한다는 것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구겐하임 미술관의 컬렉션 확대가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속적인 작품 수집과 전시를 통해 관객과의 능동적 대화와 교육적 정보를 활성화하고 미술관 컬렉션이 지역 사회와 문화에 새로운 이해와 교류의 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Since the 21st century, the Guggenheim Museum launched the ‘Guggenheim UBS MAP Global Art Project’ to expand its collections, which were previously focused on North America and Europe, to South Asia, Southeast Asia, Latin America,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In contemporary art, the discussion about the diversity of the world has become a key issue. The Guggenheim Museum maintains its collection of works of active interaction and cultural exchanges with third world art through its connections with the world and consulting on the meaning of today s world-class art museums. The project was supported by the Swiss financial group UBS and selected artists, curators and educators from these impoverished areas to reflect cultural customs and history around the world and propose ways to expand the scope of the collection. In addition, the collection of the Guggenheim Museum is valuable because it seeks to enhance the social function of the museum by combining education and experience with the traditional functions of the museum’s collection, preservation, research and exhibition, and focusing on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participation of visitors. Therefore, this thesis attempted positive conversations with the visitors and activated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aning with the aim of grasping the meaning of the Guggenheim Museum s collection expansion.

      • Super Rabbit: 고전 게임을 응용한 모바일 게임

        배현진 ( Bae Hyunjin ),권지희 ( Kwon Ji-hee ),양근아 ( Yang Geun-a ),오신혜 ( Oh Shinhye ),홍지원 ( Hong Jiwon ),노웅기 ( Loh Woong-k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Super Rabbit 게임은 고전 게임의 양식을 가지고 현대 사회의 유아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귀엽고 다양한 캐릭터와 간단한 게임 방법을 이용하여 개발한다. 고전게임 특유의 간단한 조작방법과 짧은 여가 시간 내에 성공할 수 있는 게임을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중등학교 미술교사의 경험과 인식

        배현진 ( Bae Hyunjin ),홍정숙 ( Hong Jeongsuk ),이현주 ( Lee Hyunjo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이 통합된 중등학교 미술수업에 대한 미술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여 성공적인 통합 미술수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지적장애학생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중등미술교사 8명에게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전사 자료는 연속적 비교분석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22개의 하위 주제, 5개의 주제, 2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 미술수업은 교육과 정적 통합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었으나, 미술교사는 자리배치, 심리·정서적 배려, 또래 도우미 배정 등의 교수환경 수정과 연수 참여 등 개인적인 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고, 통합 미술수업을 통해 지적장애학생은 사회성 기술 향상을 비롯한 긍정적 성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편 미술교사들은 통합교육 관련 전문성 부족, 열악한 교수환경, 원활하지 않은 구성원 간 협력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이와 관련한 지원 요구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미술 교수학습방법, 평가 방법 등이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과 교재교구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셋째, 보조 인력 및 전문 인력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미술교사의 통합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연수가 제공되어야 한다. 다섯째, 미술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여섯째, 통합교육에 대한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인식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successful inclusive art education by analyzing art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and experience of art classes in inclusive secondary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secondary art teachers who had inclusive educational experienc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22 sub-themes, 5 themes and 2 categories were classified. As a result, the current art education did not reach to the curriculum inclusion, but art teachers made personal efforts such as modifying the teaching environment including seat arrangement, psychological/emotional consideration, and assigning peer assistant, and participation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positive outcomes including improved social skills through inclusive art classes. Meanwhile, art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such as lack of expertise on inclusion, poor teaching environment, and low collaboration among school staff, and requested support needs in this regard.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t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evaluation method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st be improv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inclusive art education programs and teaching materials. Third, it is necessary to support personnel and professional personnel. Fourth, systematic teacher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expertise on inclusion.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art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ixth, it is necessary to raise positive awareness among school staff about i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