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반도 전략환경 분석을 통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해군적용 방향

        배학영(Bae Hackyoun),유병준(Yu Beungjun)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2019 海洋硏究論叢 Vol.52 No.-

        Studies on how to apply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for the naval development based on analysis of Korean Peninsula security environment. This paper analyze strategic and technical security environment around Korea peninsula. Strategic security environment analysis brings nine strategic demands. This paper suggest their current situation and end state of the nine demands. Technological security environment analysis finds the technical readiness level of Korea is relatively inferior to the countries around Korea peninsula. We suggest that Korea should adopt selection and concentration strategy to apply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o naval development for asymmetric strategy to respond to future security challenges.

      • KCI등재

        미·중간의 지정학적 해양패권경쟁과 한국의 안보전략

        배학영(Bae, Hack-Young)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2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7

        인도·태평양전략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인도·태평양(해양)을 중심으로 한 지전략(Geostrategy)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미·중경쟁을 주제로 인도 태평양전략을 연구한 논문들은 많은 부분을 미 중의 두 강대국 간의 다양한 분야(정치, 경제, 군사 등)의 국제관계 혹은, 미·중의 국내정치적인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지전략의 출발은 해당 지역의 중요성, 전략적 가치에서 출발해야 제대로 된 전략을 도출할 수 있다. 그러나 국제정치적 수준에서 다루다 보니 인도·태평양 자체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간과한 면이 있다. 이 논문은 인도·태평양을 지전략으로 정의하고, 해당 지역의 전략적 가치를 해양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인도·태평양의 중요성을 인구, 지역경제블럭, 해양관할권, 심해 저자원, 원유수송로 등의 해양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미국은 이렇게 중요한 인도·태평양에서 미국과 중국은 충돌할 가능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미국은 인도·태평양사령부를 중심으로 3가지 노력선(Prepareness, Partnership, Promoting a Networked Region) 구현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중국, 또한, 해양실크로드 건설을 위해 인도·태평양을 중심으로 전세계 해상교통로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이렇게 미·중간의 경쟁이 지전략적인 가치가 높은 인도태평양지역에서 심화되면서 우리에게도 중요한 인도·태평양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하지만 인도태평양 지역(특히, 동·남중국해)가 왜 우리에게 중요한지 우리의 산업구조를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만일 미중 갈등으로 인해 해상교통로가 마비되면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를 제시하고자한다. 또한, 주변국과 해양경계획정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보다 넓은 해양영토확보를 위해 인도·태평양 지역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미 중 갈등,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과 군사적 활동, 인도·태평양의 우리에게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앞으로 미·중 경쟁 속에서 우리가 마주할 다양한 양자택일의 해양에서 이슈에 대해 우리 국익이 최대가 되는 방안을 선택할 수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 As its name suggests, the Indo-Pacific Strategy is a geostrategy centered on the Indo-Pacific(Ocean). However, many of the scholars that have studied the U.S. Indo-Pacific strategy on the subject of the U.S.-China competition so far deal with international relations and domestic politics of the U.S. and China. The start of the geo-strategy must start from the importance of the region and strategic values to derive a proper strategy, but the importance of the Indo-Pacific itself has been overlooked as it is handled at the international political level. This paper defines the Indo-Pacific Strategy as a geostrategy and analyzes the strategic value of the region from the maritime perspective. The importance of the Indo-Pacific Ocean was presented from the marine perspective of population, regional economic blocks, maritime jurisdiction, deep-sea resources, and crude oil transport routes. The United States is making various efforts to implement three lines of effort (Preparance, Partnership, Promoting a Networked Region) centered on the Indo-Pacific Command. This Indo-Pacific is also important to us. Due to Koreas industrial structure, it relies heavily on imports of raw materials and exports of final products through the sea. Therefore, the maritime transportation route itself is very important. In addition, the Indo-Pacific region is very important to secure a wider marine territory in the absence of a agreement on maritime delimitation line with neighboring countries. Considering the U.S.-China conflict, the U.S. Indo-Pacific strategy and military activities, and the importance of the U.S.-China competition to 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Korea can choose various policy options to maximize national interest in the future.

      • KCI등재

        중국 해양세력의 서해상 활동증가와 우리의 대응 방향

        배학영 ( Bae Hack-young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0 국방연구 Vol.63 No.3

        최근 들어 서해에서 중국의 다양한 선박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서해에서 활동배경은 시진핑 주석의 중국몽(中國夢) 실현을 위한 해양굴기(海洋崛起) 부터 한·중 해양경계획정협상에서 우위를 차지하려는 목적까지 다양한 의도가 숨겨져 있다. 이러한 중국의 서해에서 활동증가에 우리 정부의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한 이때, 이론보다는 실질적인 정책대안을 제공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러한 대응을 위해 중국의 중간선 이동(以東)에서 활동을 억제하고 반대로 우리 선박의 중간선 이서(以西)에서의 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중국선박 활동 대응은 첫째, 중국선박의 중간선 이동(以東)에 허가 없는 해양과학조사 활동은 우리의 국내법인 해양과학조사법에 위반되는 활동으로 금지시키고, 非 상업선의 활동에 대해서는 우리의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활동 중임을 여러 경로를 통해 인식시켜야 한다. 둘째, 우리도 중국의 중간선 이원에서 활동에 대응해 중간선 이서(以西)에서 해양과학조사 활동, 관측부이 설치, 군함의 활동을 동종동량(同種同量)의 원칙에 따라 실시한다. 우리 선박의 중간선 이서(以西)에서의 활동은 중국의 활동에 비례하여 대응하는 개념으로 해양의 환경을 영구히 변형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대응은 효과적인 집행을 위해 개별업무를 실행하는 관계부처에 방향성 제시를 위해 중장기 전략의 기획과 추진을 위한 조직의 신설·발전이 필요하다. China's maritime activities have been increasing at the West Sea. The purpose of these activities is various ranging from materializing 'China Dream' to having an upper hand on maritime delimitation negotiation with South Korea. South Korea needs to respond to China's activities based on international norm and law.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ies at the west side of the equidistance line should be controlled based on international/internal law. the maritime scientific research vessels should be enforced based in the “South Korea maritime research law”. China's non-commercial vessels should be informed that they comply with internal law and South Korea's law about duties in South Korea's EEZ. Second, South Korea can conduct scientific research, install observation buoy, patrol with naval ship at the west side of the equidistance line based on tit-for-tat strategy. For these suggestions, South Korea needs a long term strategy where all national power can be focused to pursue maritime strategy effectively.

      • KCI등재

        우주전장시대 해군력 발전방향

        배학영 ( Hackyoung Bae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1 국방연구 Vol.64 No.2

        새로운 전장의 확대는 새로운 군(공군, 우주군 등)을 만들기도 하지만 기존의 군의 새로운 변화를 강요하기도 한다. 우주가 새로운 전장으로 등장하고 확대되면서 해군도 그 역할 및 능력에 있어서 새로운 길을 고민해야 할 시기가 되었다. 우주전장시대에 해군력 발전방향에 대해 기존 능력 확대와 새로운 능력 확보의 한 차원과 해전 능력 향상과 합동 능력 지원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8가지 능력(해양감시능력, 해양공격능력, 탄도탄 감시/요격능력, 우주자산 공격능력, 우주감시로부터 회피, 우주공격으로부터 회피, 우주전장인식능력, 우주발사체 지원능력)을 제시하였다. 8가지 제안된 능력에는 기존 장기계획에 포함된 내용도 있으나 대부분이 아직 개념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은 새로운 능력들이다. 이 논문을 시작으로 앞으로 해군력에 있어서 쫓아가는 발전(Fast Follower)이 아닌 선도형 발전(First Mover)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우주전장 시대에 국방부 차원에서 해군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 관한 정책·전략·전력·작전 구상에 사전 연구로써 기여할 것이다. New security domains compel us to initiate a new force and to innovate pre-existing services. The expansion of space as a security domain leads the navy to think about new capabilities in the space era. This proposes eight capabilities in these two aspects: 1) whether there are pre-existing capabilities or not, 2) whether this is more advantageous for naval capability or joint force capability. These two aspects suggest eight future navy capabilities in the space era: MDA (Maritime Domain Awareness), Attack from space to maritime, BMD (Ballistic Missile Defense), ASAT (Anti-Satellite Weapon), Stealth from space, Protection from space attack, SDA (Space Domain Awareness), Support for satellite sea-launch. These suggestions include pre-existing plans and new capabilities that the navy can take from concept to dynamic asset. This paper will be a preliminary study for future naval force development plans in the space era.

      • KCI등재

        북한 SLBM 상쇄(Offset)방안: 전력건설을 중심으로

        배학영 ( Bae Hackyoung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6 국방연구 Vol.59 No.4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Submarine Launched Ballistic Missile)은 군사적 무기이다. 이러한 군사적 무기에는 군사적 수단을 이용한 대응이 선행되어야 한다.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우리의 강점을 이용한 군사적 수단과 방법을 이용하여 북한의 SLBM을 상쇄(Offset)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여 억제하고, 억제 실패 시 방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가 가져야 하는 전력을 정량적인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전력건설의 우선순위와 방향에 기여하고자 한다. 북한의 SLBM운용전술을 기준으로 대응능력을 평가 하면, 임무구역으로 이동하는 잠수함에 대한 전략대잠전을 수행 할 수 있는 전력의 확보가 가장 시급하며, 정박단계 및 SLBM발사 이후의 단계는 기존의 Kill-Chain, KAMD의 능력의 확장으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구체적으로 북한이 2년 내에 SLBM을 전력화 하여 실전배치 할 것이라는 평가를 기준으로 2018년이내에는 탐지를 위해서는 도입이 결정된 글로벌호크, 해상초계기, 이지스함을 旣 계획된 데로 사업을 추진하거나 추가적인 도입이 필요하다. 타격을 위해서는 북한의 방공망을 피해 신속히 무력화 하는 능력을 위해 현재의 순항미사일의 속도 개량, 잠수함 추가건조, 現 이지스함에 SM-3운용과 탄도탄 방어를 위한 성능개량이 필요하겠다. 2018년 이후에는 해상전용으로 만들어진 트라이톤 UAV를 포함해 국산 중·고고도 UAV, 국산화 된 다기능위상배열레이더를 보유하는 것이다. 타격을 위해서는 미국에서 개발이 진행중인 해양플랫폼에서 바로 발진 하여 항내의 SLBM을 바로 타격 가능한 무인기, 스노켈 없이 끝까지 탐지한 잠수함을 지속적으로 추적해 타격이 가능한 핵추진잠수함, 그리고 탄도탄이 수중에서 발사되어 속도가 낮은 부스트 단계에서 격추가 가능한 요격능력을 갖춘 요격탄이 필요하다. North Korea asserts she completes SLBM(Submarine Launched Ballistic Missile) development and it will enter service soon. This paper explores the written to find direction of combat development for offsetting North Korea`s SLBM. For this purpose, it analyzes the alternative forces for the South Korean military using quantitative method. As a result, the future forces are suggested based on the estimated SLBM`s operational three phases which is port stage, movement toward mission area stage, and SLBM launch stage. For the port stage, South Korea need capability for 24 hours surveillance and neutralizing Gorae class SLBM submarine at port. For the capability, Global Hawk class UAV, and enhanced cruise missiles are the best force. Second, to contact, identify, attack the submarine moving to the mission area, South Korea need Anit-Submarine Warfare aircraft and nuclear-powered submarine. Third, to intercept SLBM in the mid-course phase, SM-3 is assessed the highest score and to be acquisited as much as the number of SLBMs. This paper will contributes to execute necessary acquisition projects to offset SLBM in a timely manner so that we achieve necessary preparations against North Korean additional nuclear threat(SLBM).

      • KCI등재후보

        주요국 우주작전 개념 분석 및 한국 해군의 우주작전 발전방향

        조태환(Taehwan Cho),배학영(Hackyoung Bae),임경한(Kyunghan Lim),엄정식(Jungsik Um) 한국해군과학기술학회 2021 Journal of the KNST Vol.4 No.2

        Currently, advanced space countries are operating space power b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space opera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In Korea, the concept of space operations was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but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space operations at the military level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oncept of space operations in advanced space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hina, Russia, and Japan, and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space operation suitable for the ROK Navy.

      • 우주강국 도약을 위한 해상발사체계 효용성 고찰

        임종수(Chongsu Lim),배학영(Hackyoung Bae),김주형(Juhyung Kim) 한국국방우주학회 2023 한국국방우주학회지 Vol.1 No.1

        우리나라 나로우주센터는 지리적으로 중위도에 위치하고 있고, 주변국에 둘러싸여 있어 우주발사체 발사방위가 크게 제한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형적인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해상발사체계의 유용성을 주장하였다. 해상발사체계는 탑재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동향발사가 가능하고, 발사 실패로 인한 2차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폭증하고 있는 국내외 위성 발사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시대에 걸맞은 매력적인 옵션이다. 그동안 새로운 발사장과 발사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많았지만, 구체적인 대안으로 해상발사체계의 가능성에 대해 의견을 제시한 논문은 찾아보기 힘들다. 아직 국내에서는 제대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해상발사체계에 대해 담론을 제기하는 만큼, 구체적인 구현방법과 사업화 전략에 대한 논의에는 한계가 있지만, 이 논문으로 말미암아 앞으로 해상발사체계에 대한 구체적이고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Korea's Naro Space Center is located in mid-latitude and is surrounded by neighboring countries, so the launc h direction is greatly restricted. In this paper, the usefulness of the maritime launch system was argued as a way to overcome this problem.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maritime launch systems will enable the launch to increase payload, reduce secondary damage due to possible failure, and meet the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satellite launches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anies.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o n the need for a new launch site and launch system, it is difficult to find a paper that presents an opinion o n the possibility of a maritime launch system as a specific alternative. As we are raising a discourse on the maritime launch system, which has not yet been properly discussed in Korea, there are limitations in discussin g specific implementation methods and commercialization strategies. However,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lead to detailed and active research on marine launch systems in the future.

      • KCI등재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의 군사학 연구방법론 고찰

        백승진 ( Baek Seoung Jin ),배학영 ( Bae Hack Young ) 미래군사학회 2023 한국군사학논총 Vol.12 No.4

        본 논문은 Chat-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군사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고찰 필요성을 제시한 연구이다. 생성형 AI는 데이터 처리용량의 향상과 신속 정확한 분석능력 등 군사학 연구방법론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인간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연구주제를 도출하고, AI를 활용하여 연구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하는 형태의 군사학 연구방법론 발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군사학은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 분류되어 있지만 군사와 관련된 광범위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론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AI 기반의 연구방법론은 기존 연구방법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이미 AI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사례가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생성형 AI의 장점을 활용하여 군사학 연구방법론의 세 가지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첫째는 기존의 정성적·정량적 연구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효율성을 증대하는 것이다. 둘째는 시뮬레이션·행태주의·반사실적 분석·페르소나 활용 등 기존 연구방법론으로 수행이 제한되었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다. 셋째는 거시적 차원의 경향성 도출과 다른 학문과의 연계를 활용한 새로운 연구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necessity of research methodologies in military science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exemplified by Chat-GPT. Generative AI, with its enhanced data processing capacity and rapid analytical abilities, offers diverse functionalities applicable to military science research methodologies. Building on this, the study advocates for a discourse on the development of military science research methodologies. This involves deriving research topics from human creativity and employing various AI-supported methodologies to substantiate research claims. While military science falls within the realm of social sciences, addressing a broad spectrum of military-related issues necessitates the application of diverse methodologies. From this perspective, AI-based research methodologies show promise in overcoming limitations inherent in traditional research methods, as evidenced by various cases in other academic fields. The paper proposes thre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ilitary science research methodology by leveraging the advantages of generative AI. Firstly, it suggests enhancing efficiency in applying exist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Secondly, overcoming limitations inherent in traditional research methodologies, such as simulation, behaviorism, reflexive analysis and utilize persona. Thirdly, developing of new research techniques focusing on macro-level trends and utilizing interdisciplinary connections with other academic fields.

      • KCI등재

        한 · 일 해상전력 비교분석과 시사점 - 문헌조사를 통한 비교와 전문가조사를 통한 분석구조 개선을 중심으로 -

        유병준(Byungjun You),배학영(Hackyoung Bae),오순근(Soonkun Oh) 동아시아일본학회 2021 일본문화연구 Vol.- No.77

        본 연구는 2022년 말 완성을 목표로 준비 중인 ‘한국형 해군력지수(KNPI)’를 만들기 위한 예비연구로 착수하였다. 필자는 시행착오를 통해, KNPI를 만들어 가겠다는 생각으로, 2020년 ‘韓·日해상전력 비교분석과 시사점’이라는 예비연구를 계획 및 시행(trial)하였다. 본고는 이 예비연구에 관한 내용이다. 이 예비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韓·日해상전력 비교분석과 시사점’을 도출함은 물론, 기존의 ‘해상전력 전투효과지수’가 가지고 있는 한계성을 고찰하였고, 보다 객관적이고 접근이 용이한 ‘전투효과지수 분석구조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2021년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투효과지수 분석구조 개선(안)’을 재검증한 후, 이를 바탕으로 ‘韓·中·日해상전력 전투효과지수 연구’를 시행할 예정이다. 2022년에는 2020~2021년간의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KNPI를 개발하고, ‘韓·中·日해군력 연구(KNPI적용)’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후, 매년 관련 연구를 수정보완하며, 발전시켜 나가고, 매년 말에는 연구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2023년 이후, 이러한 연구 결과물은 해군 전력건설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의사결정 지원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launched as a preliminary study to create the “Korea Naval Force Index (KNPI)” which is being prepared for completion by the end of 2022. I planned and implemented a preliminary study called ‘Korea-Japan Naval Power Comparative Analysis and Implications’ in 2020 with the intention of creating KNPI through trial and error. The main article is about this preliminary study. In this preliminary study,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Korea-Japan naval power are deriv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lso,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Naval Power Combat Effectiveness Index” were considered and a “Improvement of the Combat Effectiveness Index Analysis Structure” was proposed, which is more objective and easy to approach. In 2021, I will re-verify the “Improvement of the Analysis Structure of Combat Effectiveness Index” proposed in this study and then conduct a “Study on the Korea-China-Japan Marine Power Combat Effect Index.” Afterwards, the research will be revised and supplemented every year, and the results will be published at the end of each year. After 2023, these findings could be useful decision support material for naval power construction professionals.

      • 韓日 해상전력 비교분석과 시사점

        유병준(You, Byungjun),배학영(Bae, Hackyoung),오순근(Oh, Soonku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20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naval power of Korea and Japan and to draw implications. What happens if Korea and Japan collide? After the low-flying threat flight of the Japanese patrol plane in December 2018, military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escalated, raising interest in this. Some argue that Korea"s military strength is strong based on the fact that the GFP(Global Fire Power), which analyzes the level of military power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ranked Korea 7th out of 136 countries in terms of potential war performance in 2018, and Japan 8th. Does this claim make sens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Japan, which is an island nation, the comparison of naval capabilities between Korea and Japan should be made first. In this presentation summary, we first look at the concept and evaluation elements of force, and briefly explain the main par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arine power in Korea, focusing on the evaluation e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