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 분석 범주로서의 ‘젠더’ 개념과 페미니스트 문화 연구

        배은경(Bae Eun-Kyoung) 한국여성연구소 2004 페미니즘 연구 Vol.- No.4

        이 글의 목적은 젠더(gender)라는 말이 학계와 일상에서 점점 더 친숙한 용어가 되고 있으면서도 그 페미니즘적 뿌리나 개념적 특징 혹은 유용성에 대한 관심은 악화되는 듯 보이는 최근 한국 사회의 담론 상황에 이론적으로 개입하는 것이다. ‘젠더’는 원래 문법적 성 구분을 뜻하는 평범한 단어였으나, 양성의 차이가 생물학적 결과물이 아니라 사회적 관행의 결과에 불과함을 밝히고자 한 1960~1970년대 제2물결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새로운 의미를 가진 개념으로 성립하기 시작했다. 말하자면 젠더는 처음부터, 페미니스트 문제의식을 가진 사회과학, 혹은 사회분석을 촉구하는 일종의 개념 도구나 분석 범주로서 등장한 것이었다. 통상 젠더는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성’이라고 이해되는데, 이 글은 이러한 일반적 개념규정의 의미를 정밀하게 밝히기 위하여 문화에 대한 페미니스트들의 관심과 젠더 개념의 발전 과정을 연계하여 문제의식의 교차와 접목을 살펴보는 전략을 취하였다. 개념으로서의 ‘젠더’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성적 특질에 대한 단순한 자칭으로부터 그러한 특질을 생산하는 행위들에 대한 수행적인 개념으로, 또는 남성 지배를 위한 이데올로기적 도구로서의 ‘섹스에 대한 지식’이거나 현실 자체를 구성하는 담론적 권력의 한 형태로, 점점 더 다양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분화ㆍ발전해 왔다. 젠더 개념의 이러한 변화 과정은 그간 관련이 있다. 페미니즘 운동은 남녀의 평등을 주창하는 것으로 시작되어 여성성을 재평가하고 여성 문화를 강조하는 흐름을 지나, 여성을 고정된 정체성으로 총체화하기보다는 여성들 간의 차이를 인정하고 그러면서도 연대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오늘날의 상황에까지 왔다. ‘담론 이론’과 탈구조주의 내지 포스트모더니즘의 문제의식을 경유하며 성이나 정체성이 고정되고 불변하는 어떤 원래적인 것이 아니라는 관점을 받아들인 페미니즘은 특정한 역사적 국면에서 ‘여성’ 이 구성되는 방식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여기서 젠더의 개념은 ‘여성’ 혹은 ‘남성’을 구성해 내는 힘, 현실 속에 주체들과 의미들을 생산해 내는 어떤 분류 체계로서의 젠더라는 개념은 문화주의, 구조주의, 담론 이론의 문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로지른다. 오늘날 젠더는 문화가 대상을 구별하고, 이항대립을 설정하고, 위계질서를 생산하는 방식 및 그 효과에 대한 질문으로까지 이어지는 이론적 화두가 되고 있다. 그리하여 개별 학문의 한계나 국가의 한계는 물론이고 자연/문화 혹은 몸/정신 같은 구분까지 초월하는 메타 범주로서 연구되어야 한다고 지적된다. 사회이론에서 문호에 대한 문제의식이 발전하고 정교화되어 온 과정들은, (단순히 남성과 여성이 아닌) ‘젠더’ 범주의 작동이라고 하는 새로운 연구 영역의 발견에 공헌하였다. 문화와 사회에 대한 인식이 풍부해질수록 젠더라는 범주는 더욱더 중요해졌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 속에 들어설 여지가 생겼다. 그간 많은 페미니스트 연구자들의 작업에 의해 젠더가 ‘문화’나 ‘권력’이나 ‘현대성’만큼이나 보편적으로 사회현상들 아래 깔려 있는 구조를 가리키는 범주임이 드러나면서, 젠더의 생산ㆍ재생산ㆍ변형에 대한 연구가 사회과학적 작업의 핵심에 맞닿아 있는 문제라는 점이 밝혀졌다. 오늘날 ‘젠더’의 개념을 통해 사회 분석 작업을 한다는 것은 결국 문화와 사회의 학문이 전체 영역에서 성, 그리고 남녀라는 구분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처음부터 다시 묻는 일이 되고 있다. For ten years or so, we Koreans become more and more familliar with the English word ‘gender’. Today ‘gender’ is readily used as ordinary term both in the academic and the everyday-life context, but the theoretical uniqueness of the concept or its feminist origin is often neglect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ervene theoretically in this situation. The word ‘gender’ aquired a new meaning in the 1960~1970’s by the second-wave feminists, who wished to emphasize that the differences in the behavior between the sexes were not a consequence of biology but of social convention. The concept of gender was redefined as the theoretical device to analyze and conceptualize the social relation between women and men, so it can be said that 'gender' appeared as a conceptual tool or a category for analysis of social sciences and discourses. A proper trace into the peculiar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gender can make this more clear. To investigate what it "means that gender is the social and the cultural", this study examines and associates the concerns about the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gender’ within social/feminist discourses. The concept of gender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to have more and more complex meanings since the 1970’s, from early usage to mean the sexual traits constructed socially, up to the various usages to mean the performativity of the social construction of femininity/masculinity, the ‘knowledge abou sex' as a means for male chauvinism, or a form of discursive power constructing the reality itself. The change of the concept of gender has been related closely to that of the feminist concerns about the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feminist movements. Current Feminisms share the viewpoint that gender or identity is not fixed or unchangable with the ‘discourse theories ’, postculturalism, or postmodernism, and pay attention to the ways and effects of constructing the woman in specific historical conjunctures. The concept of gender in this context is the power constructing the ‘woman’ or the ‘man’, the categorical system generating subjects and meanings in the reality. ‘Gender’ as a categorical system forming subjects in the historical conjuncture transects the theoretical concerns about 'the culture of culturalism, structuralism, and ‘discourse theories’ The concept of gender nowadays has become the theoretical topic questioning the ways and the effects of the culture which distinguishes the objects, establishes the dichotomies, and generates the hierarchical orders. Therefore, it is asserted that gender should be investigated as one of the meta-categories transcending the borders not only of particular disciplines and countries but of the dichotomies of nature/culture or body/spirit.

      • KCI등재

        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험인식

        정순둘(Chung, Soondool),최혜지(Choi, Hye Ji),배은경(Bae, Eun Kyung),이경민(Lee, Kyoung Min)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3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위험인식을 고찰하고, 우리 사회의 고령화 사회 준비와 그 방향을 모색해 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위험에 대한 Slovic의 구성주의적 인식과 Taylor-Gooby의 신사회적 위험의 시각을 바탕으로 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험인식을 위험순위와 위험인식으로 유형화하여 고찰하였다. 사회조사 연구로 설계했으며, 할당표집으로 추출한 20세 이상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험인식은 11개 위험영역 중 7번째로 나타났으며, 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험순위는 '고령화 사회에 살고 있는지에 대한 인지여부', '고령화가 삶에 미치는 영향', '최종학력'에 의해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험인식은 '고령화 사회의 자신과 연관성', '고령화가 삶에 미치는 영향', '최종학력'에 의해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구성원의 고령화 사회 준비와 그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risk regarding an ageing society and to suggest the ways of preparation for an ageing society. Based on the social constructionist paradigm from Slovic as to the perception of risk and the perspectives of new social risks from Taylor-Gooby, we observed risk perception of an ageing society in two ways: ordering of perceived risks and risk perception. Social survey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and data collected from 1,500 subjects aged 20 and over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isk perception of an ageing society was ranked 7th out of 11 social risks. 'Whether or not one perceived he/she lived in an ageing society', 'an ageing society's effects on one's lives',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ordering of perceived risks of an ageing society. Also, perception of risk regarding an ageing socie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lation of ageing society with his/her own life', 'an ageing society's effects on one's lives', and 'educational background'. Further discussion for the preparation of an ageing society was provided based on these results.

      • 군 폐렴 증가 원인에 관한 연구

        황세민 ( Se-min Hwang ),오경식 ( Kyung Sik Oh ),이희경 ( Hee Kyeong Lee ),배은경 ( Eun Kyoung Bae ),황점숙 ( Jeom Suk Hwang ),천병철 ( Byung Chul Chun ),김민자 ( Min-ja Kim ) 국군의무사령부 2010 대한군진의학학술지 Vol.41 No.1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search regarding to the cause of increasing military pneumonia in 2009, among Influenza A(H1N1), Vaccination of seasonal influenza, Reporting bias, Pneumococcus, Leptospirosis, Orientia tsutsugamushi, Hemorrhagic Fever Renal Syndrome Methods: This study subjects were 200 soldiers for survey of questionnaire and investigation of medical record from 15 military hospital and 11 medical department of an army devision from July 2009 to February 2010, we examined the cause of increasing military pneumonia of the questionnaire for 37 military physicians, 32 military nurses, 7 other Healthworker, 32 patients of pneumonia. Difference for response of this survey by occupations were assessed with Χ2 test or Fisher exact test. Proportion of Influenza A(H1N1) for military pneumonia was evaluated 92 patients from The Armed Forces Capital Hospital. Results: According to response of this survey, The 'Increasing diagnosis by mass media and an official notice, education of Influenza A(H1N1)' comprised of 53%(mean by military hospital and medical department of an army devision) followed by the ' Increasing Influenza A(H1N1)' comprised of 25.2%, respectively. and response by occupations were different from military hospital survey(p value=0.004). Proportion of Influenza A(H1N1) for military pneumonia(46 case) was as same as the other pneumonia(46 cas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e most important cause of increasing military pneumonia in 2009 was increasing diagnosis by mass media and an official notice, education of Influenza A(H1N1). therefore we have need to manage reporting bias for new infectious disease.

      • 코로나19 군 확진자 특성 분석과 예방접종이 미치는 영향

        여나림 ( Na Lime Yeo ),이순영 ( Soon Yong Lee ),최윤정 ( Yun Jung Choi ),배은경 ( Eun Kyoung Bae ),최선영 ( Seon Young Choi ),강인표 ( In Pyo Kang ),김강 ( Kang Kim ),이민영 ( Min Young Lee ) 국군의무사령부 2023 대한군진의학학술지 Vol.54 No.1

        Objectiv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onfirmed cases of COVID-19 in the ROK military, and to use the analysis results as basic data to establish a prompt response strategy in the event of a new type of infectious disease in the military in the future. Method A simpl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COVID-19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of the Armed Forces Medical Command during the period from February 2020 to December 2021. The incidence rate was compared with that of general community of the same period. Results The total number of confirmed cases of COVID-19 in the ROK military was 3,280. The route of infection was mostly community contact, followed by contact in the military and overseas inflow.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VID-19 vaccination (two rounds), the number of the confirmed cases was analyzed again in September 2021, which found that the number of the confirmed cases of unvaccinated soldiers was 44.2% higher than vaccination completion group. The incidence rate in the military was 4.8 per 100,000 persons, which was only 2.7% of that of general community (179.6 per 100,000 persons).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in the military, it is important to take preemptive measures, such as compliance with quarantine rules, recommendation of vaccination, and taking quick measures when the disease starts to spread in community.

      • KCI등재후보

        억제대 적용지침 개발을 통한 불필요한 억제대 적용율 감소활동

        곽경선,김성은,배은경,이은숙,이은혜,최윤정,이윤경 한국의료QA학회 2009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5 No.2

        문제: 억제대 적용에 대한구체적 적용지침 없이 의례적으로 억제대를사용함으로 인해 환자들의 신체적 또는 정신적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목적: 완전 진정상태 이거나 근력이 약하여 발관능력이 없는 환자에 대한 예방적 적용, 바빠서 환자를볼수 없 는경우, 간호사본인의 판단이 없이 타인의 요구에 따르는등의 불필요한 억제대 적용이 증가하는 원인을 파악하여 중환자실의 특수성에 맞는 억제대 적용및 제거 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의료기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의과대학 소속병원의 집중치료실 개선효과: 억제대 적용에 대한중환자실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면 태도 정도 p=0.09(p<0.1), 올바른 수행 능력은 p= 0.005 (p <0.0히로통계적으로유의한것으로 나타났다. 지식 정도 p=0.172(p<0.05)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는 않지만 모든항목이 개선 활동전 에 비해 2,3차 개선 활동후에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활동전에 8.1%였던 간호 기록, 0.7%였던 간호중재, 0%였던 의사처방율이 3차 개선 활동 후 3가지 모두 100% 달성되었다. 이는 억제대 적용율 갑소 및 부적절한 억제대 적용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교훈: 중환자실 간호사의 억제대 적용에 대한태도, 지식, 올바른 간호 수행 능력은 지속적으로 재평가 되어지고, 교육내용은좀더 나은 간호제공을 위하여 개발 되어져야 할 것이다. 억제대 적용 기준과 제거 기준을 Check List 하여 객관성의 유지를 위한 개선 활동은계속적으로 Feedback 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