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인의 재난시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정순둘,박현주,최여희,이지현,Chung. Soon-Dool,Park. Hyun-Ju,Choi. Yeo-Hee,Lee. Ji-Hyun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1

        Warning phase of disaster is a critical period in determining the likely survival of threatened citizens. Elderly requires special attention primarily because they tend to be uncompliant and less likely to cooperate with authorities. But there is much less research on how elderly respond to disaster warnings, while there is a strong consistent empirical literature on older citizen in the recovery periods of disas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ping behavior of elderly when they are at risk of disaster.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senior citizens aged over 60 who are residing in Pyungchang and Injae in Kangwon province which had damaged due to heavy rain in 2006. Perry & Lindell(1997)`s index, a series of six categories that represent coping behaviors which progressively approximate the action of evacuating was used : do nothing(1), check environmental cues for evidence of a threat(2), engage in threat-specific property protection(3), engage in protective action for personal safety(4), prepare to evacuate(5), evacuate the areas as instructed in the warning(6). Almost respondents(69.2%) chose the level 6(51.5%) and level 5(17.7%). This proves the elderly are not uncompliant or uncooperative population. Furthermore, this finding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ublic warning in case of disasters. And 13.8% of total respondent checked level 1 for their reaction.

      • KCI등재

        재난 시 노인의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정순둘,박현주,최여희,이지현,Chung, Soon-Dool,Park, Hyun-Ju,Choi, Yeo-Hee,Lee, Ji-Hyun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8 No.5

        본 연구는 재난에 특히 취약한 노인에게 재난 경고시의 행동 요령과 정보전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재난 시 경고시간(warning phase) 동안의 노인들의 대처행동을 분석하고 대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06년 집중호우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가 있었던 강원도 인제군과 평창군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130명이었다.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노인들이 자연 징후를 보고 수해를 알게 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대처행동을 6단계로 나타내는 Perry & Lindell(1997)'s index를 통해 재난시의 노인들의 대처행동이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ADL)과 거주기간이 대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해 노인들은 ADL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대처행동을 보였으며, 거주 기간이 길수록 낮은 수준의 대처행동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약 70%의 노인들이 재난시의 대처 행동에 충실하게 따랐으며, 노인들이 재난 시 비협력적이거나 비순응적인 집단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노인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경고의 발령과 전달의 중요성을 강조해주는 결과이며, 자연재해에 대한 사전 정보와 지식 전달, 그리고 대피에 대한 인식과 비상시의 대피계획 등에 관한 학습과 훈련의 필요성을 나타내 주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oping behavior of the elderly in the warning phase of disaster and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the coping behavior of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senior citizens aged over 60 who are residing in Pyungchang and Injae of Kangwon province which had damaged by flood disaster in 2006. Perry & Lindell (1997)'s index, a series of six categories that represent coping behaviors which progressively approximate the action of evacuating in the warning phase of disasters was used.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have high coping skills. Although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coping behavior, length of residence has negative effect on the coping behavior of the elderly. This finding proves the elderly are not uncompliant or uncooperative population in the warning phase of disaster. This result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apid and accurate giving of public warning system of disaster and necessity of prior notification of useful information about natural disaster and effective evacuation plan for the elderly.

      • KCI등재

        시설거주 노인의 우울증 원인에 대한 경로분석

        정순둘(Chung, Soondool) 한국노년학회 2005 한국노년학 Vol.25 No.3

        본 연구는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우울증의 중요한 요인들을 찾고, 경로분석을 통해 그 메카니즘을 밝힘으로서 우울증 예방을 위한 이해를 넓히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조사대상은 307명의 경기도 지역시설에 머물고 있는 노인들이었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사용된 독립변수는 사회인구학적 변수로 나이, 성별, 종교, 교육정도가, 건강관련변수로 주관적 건강상태평가와 신체활동능력, 그리고 사회적지지 변수가 고려되었다. 자아통제감은 건강관련변수와 우울증을 매개해주는 변수로 사용되었다. 조사결과 자아통제감은 시설노인의 우울증을 매개해 주는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설생활특성변수가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종교, 주관적 건강상태평가, 사회적지지 등이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dentify major factors that affect geriatric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of institutional settings an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depressio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depression mechanism. Total 307 Elderly people in the institution of Kyunggi-Do area were interviewed, using depression and self-efficacy scales. In the survey research,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gender, religion, education level,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rated health status). In addition to these variables,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al life for the elderly were inclu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ose variables. The research model postulates the sense of control as preceding cognitive process of depression. For this, a path analysis is employed.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support, self-reported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of institutional lif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se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and also have a positive effects on a sense of control. The findings show that a sense of control does not mediate the process of developing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developing depression, and suggest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of institutional settings.

      • KCI등재

        사회적 자본과 고용 및 복지서비스 인지의 관계

        정순둘(Soondool Chung),이은진(Eunj in Lee)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1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과 고용 및 복지서비스 인지에 대한 청년ㆍ중년ㆍ노년의 연령대별 차이를 살펴보고, 그 함의를 찾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전국을 대상으로 할당표집을 통해 추출된 20세 이상 성인남녀 1,216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분석결과 고용 및 복지서비스 인지에서 청년ㆍ중년ㆍ노년의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청년층보다는 중년층이, 중년층보다는 노년층에서 고용 및 복지서비스 인지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별로 관련성을 살펴보면, 신뢰는 고용서비스와 복지서비스 인지 모두 청년층과 중년층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참여는 청년층의 고용서비스와 노년층의 복지서비스 인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령대별 사회적 자본 요인을 고려한 고용 및 복지서비스 인지 제고 방안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recognition of employment and welfare service in three different age groups such as the young,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by a quota sampling method from 1,216 Korean adults aged 20 and abov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Age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recognition of employment and welfare service, which is that the recognition of those services becomes lower with age. Trust, a component of social capital, appeared as an important variable to predict the recognition of employment and welfare service in two age groups such as the young and the middle-aged. While social participation was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employment service for the young, it was also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welfare service for the middle-aged. Further discussions concerning method for promoting the recognition of employment and welfare service including social capital intervention by age were provided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research was proposed based on the study result.

      • KCI등재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정순둘 ( Chung Soondool ),성민현 ( Sung Min Hy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保健社會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각 연령대별로 나타나는 사회적 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과 함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전국 15개의 시도를 중심으로 연령, 성별로 층화하여 표본 할당 및 조사 대상을 추출하였다. 표본은 20~44세 406명, 45~64세와 65세 이상에 대해 각각 405명씩 할당 표집하였고, 총 1,216명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삶의 만족도 평균은 각 연령집단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노인층의 삶의 만족도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 변인들로는 인구사회학적 변인들과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들로 나타났는데 연령대별로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자본은 각 연령별로 영향을 미친 하위요인이 다르게 나타나 각 연령대별로 고려해야 할 점이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자본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연령별로 찾아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life-satisfaction by three different age groups. Sampling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by quota sampling considering residential district, age, and gender of the respondents. A total of 1,216 people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age groups: aged 20 to 44, aged 45 to 64, and aged 65 and over. Result showed that the elderly group had lower level of life-satisfaction than any other groups. Economic status appeared as a common variable to predict life satisfaction for all age groups. Life satisfaction was explained by different sub-dimensions of social capital in each age group. On the basis of results,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related to social capital and life-satisfac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비교연구

        정순둘(Soondool Chung) 한국노년학회 2007 한국노년학 Vol.27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i) to observe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ii)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between Korean elderly men and elderly women, and (iii) to find the factors including related variables that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Korean elderly aged 65 and over were sampled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Subjects were selected from Seoul and other rural areas and they have utilized senior welfare center services. After pilot testing, data were collected by face to face interview with the elderly in the senior welfare centers from April to June, 2006. A total of 527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elderly women for successful aging was not different from elderly men, each of elder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uccess of their children and accompanying with their spouse. The variables affecting successful aging of elderly women were self-esteem, social support, residential area, age, self-rated health status and self-rated economic status, spirituality, and social activity. For elderly men, spirituality, social support, spouse, self-rated health status, and social activity were important variables. Based on these findings,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aging for the elderly men and elderly women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여성노인들과 남성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 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각각 분석해 이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함의를 찾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농촌에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여성노인과 남성노인들로 의도적 표집에 의해 추출되었다. 자료수집은 훈련받은 조사원에 의한 면접으로 이루어졌으며, 여성노인 326명, 남성노인 201명 등 모두 527명이 응답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여성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수준은 남성노인과 차이가 없었으며, 여성노인은 자녀성공을, 남성노인은 부부간 동반자적 삶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성별로 차이가 있었다. 여성노인은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거주지역, 연령, 주관적 건강평가와 경제평가, 영성, 사회활동 등이었고, 남성노인은 영성, 사회적 지지, 배우자 생존, 주관적 건강평가, 사회활동 등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가지고 성공적 노화에 대한 함의를 찾아보았다.

      • KCI등재

        노후불안과 고령화 사회에 대한 불안

        정순둘(Soon Dool Chung),최혜지(Hye Ji Choi)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0 No.2

        본 연구는 고령화에 대한 불안과 고령화에 대한 지식과 태도 사이의 연관성을 밝히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고령화에 대한 불안을 그 원인에 따라 노후불안이라는 미시적 차원과 고령화 사회에 대한 불안이라는 거시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할당표집을 통해 추출된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150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했으며, 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했다. 노후불안은 노인에 대한 지식이 낮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반면, 고령화 사회에 대한 불안은 고령화 사회에 대한 지식이 높고, 고령화 사회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끝으로 노인에 대한 바른 이해와 노인 및 고령화 사회에 대한 긍정적 태도형성을 통한 고령화 불안감소의 방안을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ed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1) between knowledge on and attitudes and anxiety toward later life, 2) between knowledge on and attitudes toward aging society and anxiety toward aging society. Data of 1500 aged over 20 drawn by allocated quota sampling were analyzed through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level of anxiety of later life was highest among those who had lower knowledge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aged. The level of anxiety of ageing society was highest among those who showed higher level of knowledge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aging society. Both knowledge on and attitudes toward later life and aging socie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xiety of later life and aging society.

      • KCI등재

        노인혐오표현을 접한 경험 수준이 노인낙인에 미치는 영향: 노인과의 교류경험의 조절효과

        정순둘(Chung, Soondool),박민선(Park, Minseon),이연지(Lee, yeonji),안순태(An, Soontae) 한국노인복지학회 2021 노인복지연구 Vol.76 No.3

        본 연구는 비노인층을 대상으로 온라인/오프라인에서 노인혐오표현을 접한 경험 수준과 노인낙인과의 관계에서 가족 및 친척 노인, 가족 및 친척 이외 노인과의 교류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노인혐오차별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만 20세-59세 성인 600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온라인/오프라인에서 노인혐오표현을 접한 경험 수준은 노인낙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프라인에서 노인혐오표현을 접한 경험 수준과 노인낙인과의 관계에서 가족 및 친척 노인과의 교류경험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는데, 가족 및 친척 노인과의 교류경험 수준이 높을수록 오프라인 노인혐오표현을 접한 경험 수준이 노인낙인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낙인을 줄이기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xperience of interacting with older people in the family, older people outside the fami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xperience of encountering hate speech against older people in online/offline and stigma of older adults. To this end, the data of the “Survey on hate and discrimination against older people” were used,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600 adults aged 20-59 years old. The analysis found that first, the level of experience encountered hate speech against older people online and offline has a static effect on the stigma of older people.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experience of interacting with older people in the family was confi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xperience of encountering hate speech against older people in offline and stigma of older adult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acting with older people in the family, the stronger the impact of the level of experience encountered offline hate speech against older people on the stigma of older adult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esent a discussion to reduce the stigma of older people.

      • KCI등재

        경기도 노인상담사업 상담사의 노인상담 경험 연구

        정순둘(Chung, Soondool),김춘남(Kim, Chun Nam),맹성준(Maeng, Seong Jun)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1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ways to improve counseling with older adults, specifically focused on the counseling environments for counselors in Gyeonggi-do, Korea.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dopted to collect the experiences of counselors with older adults. Nine participants were selected with the reputational case selection,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dditionally,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suggested by Krueger and Casey (2009)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nine subcategories, 1) an increase of clients due to COVID-19, 2) a non-face-to-face counseling environment, 3) shortage of manpower, 4) poor working conditions for counselors, 5) insufficient support programs for counselors, 6) a job identity confusion, 7) burnout experienc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8) experiences in the client s change, and 9) rewards for counselors working with older adul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such as 1) a development of new ways of counseling to respond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2) the improvement of the treatment for counselors at work and manpower supplement, 3) the provision of donated materials consider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clients, and 4) the construction of a supervision system to secure the expertise of counselors.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노인상담사업 상담사의 노인상담 경험을 통해 노인상담사업을 어렵게 만드는 환경을 규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평적 사례선택(reputational case selection)을 활용하여 총 9명의 연구참여자들을 선정하였고,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Krueger와 Casey(2009)가 제안한 초점집단면접 분석 틀 중 반복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내담자 증가, 비대면 상담 환경, 부족한 인력, 열악한 처우, 상담사 지원 사업 미비, 직무 정체성 혼란, 노년기 특성으로 인한 소진, 내담자의 변화 경험, 상담에서의 보람으로 총 9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자들은 상술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는 새로운 노인상담 전개, 상담사의 처우개선 및 인력충원, 내담자인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후원물품 제공, 상담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지원정책 개발과 같은 노인상담사업의 발전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며느리를 둔 시어머니의 적응과정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정순둘 ( Soon Dool Chung ),이현주 ( Hyen Joo Lee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28 No.-

        본 연구는 한국에서 외국인며느리를 둔 시어머니들의 적응과정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 보다 풍부한 이해를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면서 외국인며느리와 가까운 거리에 사는 시어머니들로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등록된 자이며 총 5명이다. 자료수집방법은 심층면담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Colaizzi가 제시한 6단계들에 의거하였으며 연구 결과, 경험의 본질적 구조로서 17개의 주제와 7개의 주제묶음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경험의 7가지 주제묶음은 ‘돌파구로 선택한 외국처녀와의 결혼’,‘아들 결혼으로 평안을 되찾음’,‘외국인며느리와의 생활이 답답하고 불편함’,‘어려움을 혼자서 참아냄’,‘물심양면으로 도와줌’,‘며느리가 점점 마음에 듦’,‘자식의 앞날에 대한 걱정’등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도시지역에 사는 외국인며느리를 둔 시어머니들의 경험의 의미를 사회복지와의 관련성 속에서 심도 있게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적 실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s of mothers-in-law who have foreign daughters-in-law and to enrich our understanding. Research participants were five mothers-in-law residing in Seoul, Korea and they have lived with foreign daughters-in-law in the neighborhood. The five participants, also, have registered in family support center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by six steps based on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cedure, we have derived 17 themes on the essential structure of experience and 7 theme clusters. The final 7 theme clusters that were derived are as following: selecting a marriage with a foreign woman as a breakthrough, regaining peace after son`s marriage, feeling heavy and discomfort in life with foreign daughters-in-law, enduring adversity for herself, supporting their daughters-in-law both materially and spiritually, growing tender of a foreign daughter-in-law gradually, worrying about the future of my son and daughter-in-law. Based on the findings, we have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mothers-in-law who are living in the city with foreign daughters-in-law in Korean, and lastly have made suggestions for the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for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