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尙州지역 詩社의 전통과 그 史的 전개양상-秋水社, 竹雨社, 悅雲社와 「洛遊帖」을 중심으로-

        방현아 우리한문학회 2022 漢文學報 Vol.47 No.-

        This paper examines the tradition of Sisa formed around the literati of the Sangju area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 In particular, it is the main purpose to reveal that the Namin literary circle, which inherited the literary traditions of Gukpo, Moheon, and Siksan, continued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paying attention to the succession of the society of Yeolunsa in 1828 and Seonyusihoe in 1832. Chususa, formed in 1794, is a current poetry centered on the descendants of Gukpo Gangbak, Moheon Kang Pilsin, Siksan Lee Manbu family. This poetry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Nakgang Poetry Society of the 17th century, and was sung by Horin Kang Se-baek and Imha Lee Gyeong-yu. In 1816, the 11 poat group of Jukwoo Soksa left over 100 poems in Jug-usa Poems Collection . Lee Seung-bae, who wrote 「jug-usasiseo」 ‘Cheongpyeong Pungyung(淸平豐融) and ‘Junryeocheongjeol(遒麗淸絶)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oems, and mentioned that the prosperity of Korean watches came from this current situation, and that even if China evaluates them, they are by no means small. After Kang Se-baek and Lee Gyeong-yu passed away, Kang Se-baek's younger brother Kang Se-ryun and Kang Se-baek's son Jang-heum Kang re-established Yeolunsa and continued the tradition starting with eight members. In 1823, people on boat and society participants of the Nakgang Poetry Meeting were all their children or relatives, and the poetry meeting of that day remained Nakyucheop . Those who passed on the tradition as the predecessors of Yeolunsa and the coaches of the Nakgang Poetry Society were Jiwon Kang Se-ryun, Gwaam Kang Se-eun, Banseong Kang Jang-heum, Honjae Cheol-heum Kang, and Seoldang Lee Jeong-hwan.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in which the tradition of Nakgang Beomwolhoe(洛江泛月會) held in Sangju and Nakdong River in the 17th century was passed down to Yeolunsa in the mid-19th century, following the lineage of Chususa and jug-usa in the 18th century centered on Gukpoga(菊圃家) and Moheonga(慕軒家) and Siksanga(息山家). The formation of their literary circles occupies a position no less important than that of government literature. These Sisa in the Sangju area are examples of the systematic succession of the literary circles and activities of local Sarim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rough generations, and the Gukpo poetry line that were passed down to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본고는 18~19세기 尙州지역 문인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詩社의 전통과 그 史的 전개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특히 1828년 悅雲社의 結社와 1832년 船遊詩會까지의 계승에 주목하여 菊圃, 慕軒, 息山의 문학적 전통을 이어받은 남인문단의 시맥이 19세기말까지 이어졌음을 밝히는 것이 주목적이다. 1784년에 결성된 秋水社는 菊圃 姜樸, 慕軒 姜必愼, 息山 李萬敷 가계의 후손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시사이다. 이 시사는 이전 17세기 洛江詩會의 전통을 이어받고, 皓隣 姜世白, 林下 李敬儒가 주축이 되어 始創하였으며, 1804년에 竹雨社로 개명된 뒤 본격적으로 활동하였다. 竹雨社는 竹雨原社와 竹雨續社로 활동하였고 1816년 竹雨續社 12명의 문우들은 竹雨社詩集 에 일백여수의 시를 남겼다. 「竹雨詩社序」를 쓴 李升培는 이들의 시의 특징으로 ‘淸平豐融’, ‘遒麗淸絶’을 들고, 우리나라 詩契의 융성함이 바로 이 시사에서 나왔으며 중국 사람들이 평가해도 東音이 결코 뒤지지 않는다고 언급하였다. 竹雨社는 강세백과 이경유가 세상을 떠난 이후 강세백의 동생인 姜世綸과 강세백의 아들 姜長欽이 함께 悅雲社를 재결성하여 8명을 시작으로 그 전통을 이어갔다. 1823년 낙강시회의 船遊者들과 시회 참석자들은 모두 이들의 자제이거나 친족으로 그날의 시회는 「洛遊帖」으로 남았다. 열운사의 전배이자 낙강시회의 次韻者로 전통을 이어준 이들은 芝園 姜世綸, 過庵 姜世誾, 半醒 姜長欽, 渾齋 姜哲欽 雪堂 李正煥 등이다. 본고는 17세기 상주와 낙동강을 중심으로 개최된 낙강범월회의 오랜 전통이 국포가와 모헌가 식산가를 중심으로 18세기에 추수사와 죽우사의 시맥을 이어 19세기 중반 열운사까지 계승되는 사적 전개과정을 고구하였다. 이들의 문단형성은 관방문학의 중요성 못지않은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상주지역의 이들 시사는 18~19세기 지방 사림의 문단형성과 활동이 세대를 거쳐 가며 체계적으로 이어진 예로 菊圃詩脈을 조선 말기까지 내린 대표시사이다.

      • KCI등재

        18~19세기 南人 詩壇의 시적 특징의 일면 -菊圃의 시맥과 상주지역의 洛江 船遊를 중심으로-

        방현아 동방한문학회 2023 東方漢文學 Vol.- No.97

        본고는 18~19세기 남인 시단에서 보이는 시적 특징의 일면을 연구한 것이다. 근기 남인의 시맥에서 중요하게 평가되는 菊圃 姜樸(1690~1742)은 詩社를 통해 일련의 문학동인을 형성하며 후대 문인들에게 전범이 되었으며, 詩經 을 중심으로 한 그의 시론과 문학적 특징은 주변 문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근기 남인의 문학적 특징이 18~19세기를 거치며 근기는 물론 영남의 남인 문단으로 그 전통을 이어가고 있는 바, 悅雲社와 낙강을 중심으로 한 洛江泛月의 船遊 문학은 17세기 남인 시맥이 누대를 거쳐 19세기 후반까지 내린 대표 사례라 하겠다. 7월 기망과 10월 보름에 있었던 洛江의 船遊는 16세기 말에서 17세기에 상주지역에선 이미 오랜 관습으로 자리 잡았다. 1622년 5월 淵嶽文會를 통한 淵嶽文會錄 외에도, 임술년 선유에 의한 壬戌泛月錄 과 18세기 후반 續竹雨社를 통한 竹雨社詩集 , 19세기 중반의 洛遊帖 은 모두 그 성과물이다. 시회의 구성원 중 일부는 현실적 대응의 일환으로 임란 이후 현실적 문제를 극복하고자 己亥合禊(1599)를 조직하여 존애원을 창설하고 도남서원을 창시하는 등 도학을 기본이념을 현실에 실천하였으며, 본 계회는 20세기 초까지 유지, 존속되었다. 이들이 창작한 시는 국포 시의 溫藉함과 幽雅함을 따르고 姜世白(1784~1824)의 ‘詩貴自然’, ‘自然者, 天機也’라는 시 정신을 담고 있다. 국포의 손자인 姜世綸(1761~1842)은 맹자 의 觀水와 息山 李萬敷(1664~1732)의 觀山之術을 들어 선유 문학을 觀水之術로 설명하여 자연의 觀物을 통한 性情의 流露와 이를 통한 道體의 실현으로 설명하였다. 선유 문학의 미학적 전통은 최종적으로 仁에 도달하고 仁義禮智信을 실현키 위한 유학적 이념에 근간을 두었다. 또한, 姜世綸․姜世揆․趙奎和는 1517년부터 1704년까지 행해진 연악문회를 통한 낡고 오래된 淵嶽書院古蹟帖 2권과 同遊題名錄 1첩을 정리함으로써 會文補仁과 繩武의 함의를 몸소 실천하였다. This paper is a study of aspects of poetic characteristics found in Namin poetry from the 18th and 19th centuries. Gukpo of the 17th century Namin poetry circle formed a series of literary circles through current affairs and became a model for later generations of writers. The influence of his poetry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centered on Poetry , on the literary people around him is considerable.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Geungi Namin continued through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ontinuing the tradition through Geungi and Namin literary circles in Yeongnam. The Seonyu(船遊) literature of Nak river Beomwol(泛月), centered on Yeolunsa(悅雲社) and Nak river is a continuation of the poetry of Namin in the 17th century. It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period of the traditional context being set to the late 19th century. Nak river seonyu(船遊) held on the first full moon of July and the first full moon of October, had already become a long-standing custom in the Sangju region in the late 16th and 17th centuries. In addition to Yeonakmunhoerok through Yeonakmunhoe in May 1622, Imsulbeomwolrok by seonyu(船遊) ImSul-year(壬戌年), JukwooSa-anthology through Sokjukwoosa(續竹雨社)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Nakyucheop in the mid 19th century are all the results. As a practical response, some of the members of the council organized Gihaehapgye (1599) to overcome realistic problem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founded Jonaewon and Donamseowon, and were active in putting the basic ideology of Taoism into practice. It lasted until the early part of the century. The poetry they created followed the onja(溫藉) and yooa(幽雅) of Gukpo poetry and expressed the poetic spirit of Kang Se-baek's ‘Poetry values nature’ and ‘Nature is the purity of human nature.’ Kang Se-ryun cited the gwansu(觀水) of Mencius and the gwansanjisul(觀山之術) of Siksan, explaining that the gwansujisul(觀水之術) is the flow of nature through the look at nature and the realization of conduction through it. The aesthetic tradition of boating literature is based on Confucian ideology to ultimately reach benevolence and realize Five Constant Virtues, and contains the implications of huemunboin(會文補仁) seongmu(繩武)palindrome and monk dance.

      • KCI등재

        皓隣 姜世白의 생애와 시경향-家乘과 詩社를 중심으로-

        방현아 한국고전번역원 2022 民族文化 Vol.62 No.-

        This article introduces the family line and life of Horin Kang Se-baek, a writer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examines group of portry and a literary trend. Kang Se-baek is a geungy nam-in born in Ahyeon, the Seongseo, and Yeongnam nam-in with ancestor's roots in Yeongnam. As the eldest son of an obsessive compulsive nationalist, he inherited sadism and made great efforts to pass down the family's literature, leaving behind Jinjongseongheon . He learned torture from an early age, and took as his teachers not only Chinese Tang and Song writers but also Korean scholars. He inherited the scholarship of Gukpo, regarded him as a model in every way, and received the academic teachings of his maternal grandfather, Jaehu Lee, pupil of Seongho. His literary talents were honored in Hanyang by Chae Jea-gong, Hong Soon-ho, and Mok Man-jung. Kang Se-baek's 'Gogajajen(古家自典)', which preserves the long tradition of one family as a model in life, and 'Jijae Sang-woo(志在尙友)', which maintains an old-fashioned attitude, is the basis of literature. He held on to his posture. He founded Chususa in 1784 with Imha Lee Kyung-yu, mainly in the Sangju area, and is the representative writer of Sangju-sisa, who acted as the main member of Jukwoosa in 1804. “Poetry values nature, and nature is the manifestation of the heavenly spirit.” Through poetry, he described natural objects and developed his own thesis. Kang Se-baek can be estimated as one of the major writers who acted as a bridge, in transmitting the literary tradition after Gukpo, between the Namin literary circle and the next generation in the 19th century. 본고는 18∼19세기 문인 皓隣 姜世白(1748∼1824)의 가계와 생애를 소개하고 그의 시사활동과 문학적 경향을 고찰한 글이다. 강세백은 城西인 鵝峴에서 태어나 근기남인의 맥을 잇고 영남에 선조의 뿌리를 둔 영남남인이다. 菊圃 姜樸의 장손으로 가학을 이어받고 가문의 문학적 전승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晉宗成憲 을 남겼다. 어려서부터 고문을 학습하고 중국의 당송문인은 물론 우리나라의 선학들을 스승으로 삼았다. 국포의 학문을 계승하고 모든 면에서 그를 전범으로 여겼고 성호의 문인인 외조 이재후의 학문적 가르침을 받았다. 그의 문학적 재능은 한양에서 채제공, 홍순호, 목만중 등의 기림을 받았다. 강세백은 한 집안의 오랜 전통을 삶의 전범으로 삼아 지켜나가는 ‘古家自典’과 尙古的 태도를 견지한다는 ‘志在尙友’를 문학의 기본자세로 삼아 고수하였다. 상주지역을 중심으로 林下 李敬儒와 함께 1784년 秋水社를 창립하였으며, 1804년 竹雨社의 主盟으로 활동한 상주시사의 대표 문장가이다. “시는 自然을 귀하게 여기며, 自然은 바로 天機가 발현된 것이다.”라고 하여 시를 통해 자연의 사물을 묘사하며 자신의 시상을 전개하였다. 강세백은 국포 이후 남인문단의 문학적 전통이 19세기까지 이어져 계승되는데 그 교량적 위치에서 역할을 감당한 명실공히 상주지역의 주요 문학가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19세기 북관기행 한시집 『北征錄』 연구

        방현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2 규장각 Vol.61 No.-

        본 연구는 규장각 소재 유일본인 『北征錄』에 형상된 19세기 함경도 지역의 특징적인 인문경관 및 자연경관을 소개하고 姜世綸(1761-1842)의 관리로서의 실천적 삶과 작가의식을 고찰한 것이다. 『북정록』은 1821년 강세륜이 함경북도 鍾城으로 가는 39일의 여정과 1년여의 북관 생활을 통해 그곳의 생리와 국토의 奇觀, 勝景을 묘사하고, 백성을 觀風察俗하며 관리로서의 실천과 체험을 기록한 한시집이다. 姜世綸은 근기남인의 비조격인 菊圃 姜樸의 손자로 李滉과 許穆을 위시하여 蔡濟恭과 菊圃로 이어지는 南人의 문학적 전통을 이어받았다. 『북정록』의 한시는 理致와 史實을 담은 詩史로서의 성격과 인간의 순수한 정에서 우러나온 古詩의 풍격을 내포하고 있다. 한시의 리듬과 심상, 율격을 통해 미적 감수성을 살리면서도 小序를 통해 역사적 사실을 구체화하여 함경도 지역이 조선의 발상지이자 고토임을 상기시키며 민족의 자존을 드높이고 있다. 본고에서는 『북정록』의 선행연구에서 번역되지 않은 한시 중 세 가지 주제에 주목하였다. 첫째, 함경도 어촌의 활기차고 생생한 풍정과 주민들의 어려운 삶의 이면을 동시에 그려내었다. 둘째, 두만강 연안의 토지유실로 인한 개간의 현장과 관민이 함께 극복해가는 治者로서의 실천적 면모를 보여주었다. 셋째, 古土와 聖蹟을 드러내고 失地의 아쉬움과 유구한 역사에 대한 懷古의 정서를 묘사하였다. 이는 지역주민의 삶에 관심을 더하며 직접 현장을 살피고 실천하는 관료문인으로서의 의식을 강하게 보여준다. 『북정록』은 19세기 초 북관을 중심으로 조선의 실상을 노래하고 북관의 생리를 다각도로 조망하고 있어 북관 연구에 소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芝園 姜世綸의 「漢京雜詠」 硏究

        방현아 우리한문학회 2019 漢文學報 Vol.41 No.-

        「Hangyeongjapyoung」 is a collection of some 40 poems that sing for Seoul. It is written by Hong Ui-ho, Kang Se-ryun and Kang Jun-heum and the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Kang Se-ryun. 「Hangyeongjapyoung」 is a series of some 40 poems, written in the early period of the 19th century, that sing Hanyang. There is a previous study on 「Hangyeongjapyoung」 of Kang Jun-heum. They all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 in a similar period to spend substantial amount of time together and in particular, they gathered frequently at the home of Hong Ui-ho in lower part of Namsan to exchange poems. One day, Kang Se-ryun proposed Hong Ui-ho to write 'Japyoung' to imitate 'Samdobu' since the 8-gyeongsi(八景詩)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ould not be connected of the royal palace after King Sukjong, due to the arrogant munjang. and after a few days, Hong Ui-ho wrote some 40 poems on large traditional Korean paper and, in return, Kang Se-ryun also wrote 40 poems in the same titles. The chronology could be assumed around 1817. For the case of Kang Jun-heum, considering to write to be completed around 1818. The contents of 「Hangyeongjapyoung」 have certain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uthor, but it imagined the map of provincial town around five rivers and topography of Hanyang, and it projected the palace, pavilions, historic record of the dynasty and so forth. In addition, its lyrics were on the city around Jonggak, Gwangtong-gyo and the recreational sites in Samcheong-dong, Cheonghak-dong and others. It had a variety of styles in the 5-eon, 7-eon, ancient poetic style, Akbuche and so forth. 「Hangyeongjapyoung」 is a great record to take a look at the Hanyang's appearance in the 18∼19th century as well as looking into their method of reasoning and sentiment. 본고는 洪義浩·姜世綸·姜浚欽 세 사람이 공통적으로 남긴 「漢京雜詠」을 살펴보고 姜世綸의 「漢京雜詠」을 분석하였다. 「漢京雜詠」은 19세기 초 한양을 노래한 40題의 연작시이다. 洪義浩의 「漢京雜咏」은 『澹寧瓿錄』卷之二十에 40제 40수, 姜世綸의 「漢京雜詠」은 『芝園集』卷之三에 40제 54수, 姜浚欽의 「漢京雜詠」은 『三溟詩集』六編에 40제 40수로 수록되어 있다. 姜浚欽의 「漢京雜詠」은 최근 두 편의 선행연구가 전개되었으며, 洪義浩의 연구논문들의 경우 姜世綸과의 교유와 「漢京雜咏」은 언급되지 않았다. 이들은 비슷한 시기에 급제하여 성균관에서 함께 많은 시간을 보냈으며, 특히 남산아래 홍의호의 집에서 자주 만나 시를 酬唱하곤 했다. 어느 날 강세륜은 홍의호에게 漢陽八景은 이미 숙종대왕의 시가 있으나 참람되게 내가 감히 이어지을 수 없으니 雜詠을 지어 三都賦를 모방할 것을 제안하였고 몇일지나 홍의호가 큰 두루마리에 40제의 시를 지어 보내자 강세륜 또한 화답하여 동일한 제목의 40제를 짓게 된다. 저작연대는 1817년경으로 추정되며 강준흠도 1818년경에 완성한 것으로 보인다. 「漢京雜詠」의 내용은 작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한양의 地勢와 五江을 중심으로 國都의 全圖를 형상하였으며, 宮闕과 樓閣, 王朝의 事跡 등을 詠懷하였다. 또한 鐘閣과 廣通橋 등의 市井과 三淸洞, 靑鶴洞 등 遊園을 노래하였다. 형식은 오언, 칠언, 고시체, 악부체 등 다양하다. 「漢京雜詠」은 18∼19세기 한양의 다양한 공간과 작가의 사유방식, 정서를 살펴보는 데 좋은 자료이다.

      • KCI등재

        녹리(甪里) 고성겸(高聖謙)의 「한성악부(漢城樂府)」 연구

        방현아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6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28 verses of “Hanseong-akbu (漢城樂府)” written by Go Seong-gyeom (高聖謙). “Hanseong-akbu” is a collection of 28 verses of a quatrain with seven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selected by him from those poems singing the reign of peace and prosperity with focus on the descriptions of the mountains and streams, palaces, prominent figures, rivers, and folklore of the capital. This collection leads the readers to think about the background of their creation including the author’s view of the capital city and also shows that the poems based on Hanyang continued until the mid-19th century. Go Seong-gyeom was worried that there was no poem about Nam Mountain and the Han River to be left for the future generation, even though Hanseong had been established as the nation’s capital over four hundred years since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magnificence of the capital’s scenery including mountains and rivers as well as its customs, cultural relics and institutions are at its highest in the country. That’s the reason why he wrote “Hanseong-akbu” for the purpose of handing it down to the posterity. In addition, the topics and contents were described separately and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1) the grandeur of the scenery, castles, and palaces; 2) the rituals held by the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the morning assemblies and the formalities of paying tributes; and 3) various types of figures including the noblemen in high-class society, bold, vigorous and righteous persons, those engaged in big merchandising, famous gisaeng, and marketplaces among others. The representative poems that described Hanyang since the 18th century, are “Seongsijeondosi” written under the command of King Jeongjo and “Hankyongsa” written by Kang Yi-cheon around the same time, and “Hankyoung-jabyoung” written by Kang Se-ryun, Hong Eui-ho, and Kang Jun-heum at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They reportedly succeeded the trend in the aspect that they all recited the prosperous age of the city and the private and social life around the common space of the national capital. “Hanseong-akbu” shows that such trend continued until the mid-19th century. This is the product of the combination of his spirit of writing, who wanted to leave a legacy of prosperity centering around the nation’s capital and his thought for the classical poem genre of ‘akbu’. Go Seong-gyeom’s “Hanseong-akbu” emphasized melody and rhythm, and differentiated itself from previous works. 이글은 녹리(甪里) 고성겸(高聖謙, 1819∼1886)의 「한성악부(漢城樂府)」 28절(絶)을 분석한 것이다. 「한성악부」는 고성겸이 성대(聖代)의 풍요(風 謠)중에서 취한 칠언절구 28수로 서울의 산천과 궁궐, 인물, 풍속에 대해읊은 것이다. 이 작품을 통해 고성겸의 국도(國都)에 대한 사유와 창작배경, 그리고 한양을 소재로 노래한 연작시들이 19세기 중반 이후까지 이어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성겸은 국조 400년 동안의 도읍인 한성(漢城)의 산천과 풍속, 문물과제도의 성대함이 온 나라에 최고임에도 불구하고 후대 사람들에게 남겨질 종남(終南)과 한강을 소재로 국도를 노래한 시가 없음을 한탄하였다. 이에 후대까지 남길 목적으로「한성악부」를 창작하고 소재와 내용을 다양하게 서술하였다. 그 첫째는 산하(山河), 성궐(城闕)의 장엄함, 둘째는 군신의 조회와 의례, 셋째는 귀개(貴价), 호협(豪俠), 대고(大賈), 명기(名妓) 등의 인물과 전사(廛肆)의 다양한 묘사이다. 18세기부터 한양을 묘사한 대표적인 한시로 정조의 하명 하에 지어진 「성시전도시」가 있고, 비슷한 시기에 지은 강이천의 「한경사」가 있으며, 19세기 초에 와서 강세륜, 홍의호, 강준흠이 쓴 「한경잡영」이 있다. 이들은 모두 국도라는 공통공간을 중심으로 도시의 성세(盛世)와 인정세태를 읊고 있다는 점에서 그 계보를 잇고 있으며, 「한성악부」는 19세기 중반 이후까지 이러한 사조가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는 국도의 풍요(風謠)를 남기고자 했던 그의 기록정신과 악부에 대한 사유가 결합한 산물이다. 고성겸의 「한성악부」는 음률과 리듬을 중시하여 기존작품들과 차별화하였다.

      • KCI등재

        半蒼 洪醇浩의 생애와 초기시 연구

        방현아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2

        This article introduces the life and poetic literature of Banchang Hong Soon-ho and examines his early poetry. Hong Sun-ho is a writer from Dangu, Gangwon-do, the son of Hong Rae-bo of the Pungsan Hong clan, and the cousin of Damnyeong Hong Eui-ho. About 2,000 Chinese poems and prose remain in BanchangSago(半蒼私稿) ( DangyeManrok(丹溪漫錄) ). Hong Sun-ho was the only son born to Hong Rae-bo at the age of 60. He had a weak and quiet personality. He started studying at the age of 5 and got married at the age of 12. At the age of 19, under the title of Yojin(要進) , he collected the writings of his childhood and made an effort to advance himself. In 1809, in Jagak-dong, Hanyang, with Hong Yu-ho, Hong Dae-ho, and Hong Ui-ho, the 'Jongnam Sahohoe' was formed. In 1812, Lee Ki-kyung, Kang Se-ryun, and Yuk-sunsisa(六巡詩社) were written and devoted to literature. The characteristics of his early poems are: First, there are many Dongmong(童蒙) poems and Chinese poems written in his teens, and the contents reveal a very mature spiritual world. The poem 「Geumgak(琴客)」, a poem written at the age of 9, 「Dangusashi Gyeongseo a poem(丹丘四時景序詩)」 at the age of 12, and 「Yahohaeng(夜虎行)」 a 13-year-old poem, stand out the most. Second, Giseok(紀俗) poetry, which records childhood experiences, stands out. 「Sangwontajo(上元打鳥)」 written at the age of 14, described experiences as a Daeboreum[the day of the first full moon of the year] custom related to bird chase in Gangwon-do. His poetry is the crystallization of his hard work and deep contemplation for learning in Dangu. The hometown of Dangu was Hong Soon-ho's hometown, the origin of Taoism, and the origin of literary creation. To investigate the life and friendship of Hong Soon-ho and to study his literary world is essential for the study of the literary relationship with the Namin literary group, the Pungsan-Hong family and writers centered in the Wonju area. 본고는 半蒼 洪醇浩(1766~1820)의 생애와 시문학을 소개하고 그의 초기시를 고찰한 글이다. 홍순호는 강원도 丹邱 출신의 문장가로 豐山洪氏 菊泉 洪來輔(1706~1780)의 아들이며 澹寧 洪義浩(1758~1826)의 사촌동생으로 半蒼私稿 ( 丹溪漫錄 )에 2천여 수의 한시와 산문들을 남겼다. 홍순호는 홍래보가 환갑의 나이에 낳은 외아들로 몸이 약하고 조용한 성격이었으며, 5세부터 학문을 시작하여 12세에 결혼을 하였다. 19세에 要進 이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어린 시절의 글들을 모아 직접 성첩하며 進取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한양과 단구를 오가며 많은 문학적 수창을 하였다. 교유의 대상은 주로 사촌형들과 남인문인들로, 한양 紫閣洞에서 1809년에는 洪留浩, 洪大浩, 洪義浩와 함께 ‘終南四皓會’를 결성하였고, 1812년에는 이기경, 강세륜과 六巡詩社를 만드는 등 문학 활동에 전념하였다. 그의 초기시의 특징은 첫째, 동몽시와 10대에 지은 한시가 많은데, 그 내용이 매우 성숙한 정신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9세에 지은 「琴客」, 12세의 시 「丹丘四時景序詩」, 13세의 「夜虎行」이 가장 돋보인다. 둘째, 어린 시절 체험을 기록한 기속시가 두드러진다. 14세에 쓴 「上元打鳥」는 강원도 지방의 대보름 풍속인 새쫓기[打鳥]와 관련한 체험을 묘사한 것이다. 그의 시는 丹邱에서 이루어진 학문에 대한 노력과 깊은 사색의 결정체이며, 丹邱의 幽處는 고향이자 道學의 원류이며 문학창작의 근원지였다. 홍순호의 생애와 교유관계를 규명하고 그의 문학세계를 연구하는 것은 남인문단과의 문학적 관계, 원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豐山洪氏 가문과 문장가들에 대한 연구에 필수적이다.

      • KCI등재

        朴弼履 家와 인왕산 洗心臺, 공간의 일고찰 -李顯坤의 山天齋와 鄭敾의 「山天齋圖」를 포함하여-

        방현아 한국고전번역원 2023 民族文化 Vol.64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pace around Mt. Inwang, a hot place during the literary revival in the 18th century, and the aspects of space enjoyment by the literari who lived there. Sesimdae is the place that Jeongjo used to climb every March missing his father, the late Crown Prince Sado, after visiting Yuksanggung, Yeonhuigung and Seonhuigung. It was a place where the king threw a feast to his servants, to take a rest for flower-viewing, archery, or composition of poems. Long before, the space of this pavilion and tower owned by Lee Hyang-seong; in the 18th century, Pak Pil-li built his residence below the cliff Sesimdae to live there. Afterward Park’s son Park Sa-seok, with his two sons, Yun-won and Jun-won, settled down there to enjoy the residence for a long time. Their space enjoyment features three aspects. First, Pak Pil-li built a residence at the foot of Mt. Inwang and used it as a study and a retreat(goban考槃). Second, brothers Park Yun-won and Jun-won used it as a space to summon their childhood memories, following Han Yu’s words: ‘某水某丘, 童子時所遊.’ Third, there is a context of communication through Jeong Seon's painting and the poems and writings by Park Sa-seok and Jun-won. In addition, Sancheonjae of Park Pil-li's son-in-law, Lee Hyeon-gon, is a literary space to be noted, and it contains the meaning of 『Juyeok(周易)』 and was left in Jeong Seon's Sancheonjaedo(1753). Lee Hyeon-gon owned Sancheonjae, a reading center in Gungchon, Gwangju, Gyeonggi-do at the time, and Jeong Seon stayed 3days and expressed his nostalgic mind and academic passion through painting. Sancheonjae means a house containing the sky in the mountains, and it contains the meaning of building virtue and developing the power of creative learning. This paper is about Sesimdae at the foot of Mt. Inwang, famous for its literary space, and Park Pil-li’s family, who lived in the vicinity, The location of Sancheonjae and Ssangbong was considered. In particular, the year of birth and death of Lee Hyun-gon was corrected and Sancheonjae was assumed to be the current Daemosan Mt. in Gangnam-gu, at the foot of Ssangbong near Lee Hyeon-gon lived. As such, the space serves as a background for literary arts combined with painting, literature, and studies. It has an extended meaning. 본고는 18세기 문예부흥기의 핫 플레이스인 인왕산 주변 공간을 고찰하고 그곳에 살았던 한 집안의 인물들의 공간향유 양상을 살핀 글이다. 세심대는 정조가 매년 3월 경복궁 북서쪽의 毓祥宮과 延祜宮, 선희궁에 참배하고 사도세자를 그리워하며 신하들과 올라가 술과 음식을 내리고 꽃구경, 시 짓기, 활쏘기로 쉬던 곳이었다. 또한, 오래전 그곳의 정자와 누대는 이향성의 소유였다가 18세기에 들어와 박필리가 세심대 아래 집을 짓고 살았다. 박필리의 아들 박사석과 손자 박윤원, 박준원은 그곳을 세거지로 삼아 오래도록 향유하였다. 이들의 공간향유는 세 가지 양상을 보인다. 첫째, 박필리는 인왕산 아래 집을 짓고 은거지인 考槃으로 삼아 학문과 은거의 장소[衡泌薖軸之所]로 삼았다. 둘째, 윤원과 준원 형제는 한유의 ‘某水某丘, 童子時所遊’라는 글을 인용하여 어린 시절의 추억의 소환처로 삼았다. 셋째, 박사석과 박준원은 詩와 文을 통해 정선의 繪畫와 소통하며 문예를 향유하는 공간으로 삼았다. 또한, 박필리의 사위인 이현곤의 山天齋는 특기할 문예 공간으로, 『周易』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정선의 「山天齋圖」(1753)에 남겨지게 되었다. 이현곤은 당시의 경기도 광주 궁촌에 독서처인 산천재를 소유하였고, 정선은 그곳에서 3일을 유하며 그리운 마음과 학문적 열정을 회화로 표현하였다. 산천재는 산속에 하늘이 담긴 집이라는 뜻으로 尙古함으로 덕을 쌓고 창조적인 학문의 힘을 키운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본고는 문예 공간으로 이름난 인왕산 자락의 세심대와 그 주변에 거주했던 박필리 家와 쌍봉의 산천재의 위치를 고찰하였다. 특히 이현곤의 생몰 연도를 수정하고 산천재는 이현곤이 살았던 宮村 근처 쌍봉 자락인 지금의 강남구 대모산 일대임을 상정하였다. 이처럼 공간은 회화, 문학, 학문 등과 접목된 문예의 배경으로 좀 더 확장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양파껍질과 양파육질의 용매추출물에 따른 항산화 효과

        방현아,조정순 대한영양사협회 1998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4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onion as a natural antioxidant. Onion was distinguished as yellow onion peel and onion flesh. Onion samples were extracted with 5 different kinds of solvents such as water, 70% ethanol, 99.9% ethanol, 99.9% methanol, and 96% butand in order to select optimal extraction solvents. In this part of study linoteic acid was used as an model system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antioxidant activities. The optimal extraction rate of various solvents containing onion sample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extraction yield,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thiobarbituric acid(TBA), and thiocyanate, which are common methods for measuring antioxidant activity. As a result 70% ethanol was shown as the most effective solv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