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통합경험이 있는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분석

        방명애(Myong-Ye Bang),김근아(Keun-A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3

        본 연구는 통합경험이 있는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을 밝히고,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통합교육의 개선방안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을 밝히기 위하여 가족의 총수입, 아동의 연령, 아동의 장애정도 및 통합기간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통합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가족의 총수입이 높고 아동의 나이가 어릴수록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었으며, 아동의 장애정도와 통합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통합경험이 있는 장애아동의 부모가 제시하는 통합교육의 개선방안의 상위 3순위는 (1)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와 비장애아동의 관심, (2) 부정적 태도의 개선, (3) 일반교사의 장애아동교육에 대한 전문성 신장이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parents’ perceptions of the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d been integrated into general education classes and (b) to investigate parents’ recommendations for inclusive education. One hundred and forty-nine parents who had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e first research purpose, four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family income, age of the child with disability, the degree of child’s disability, and the duration of inclusion were selected. Parent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were the dependent variable measured by ‘The Parental Attitudes Scale Toward Mainstreaming’ developed by Green and Stoneman(1989). The scale is composed of 32 items.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mily income and child’s ag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parent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That is, as family income was higher, the more positive parent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expressed. And, as a child was younger, the more positive parent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expressed. But, the degree of child’s disability and the duration of inclusion experiences we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parent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Second, as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inclusive education, parents suggested that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nondisabled children should be more concerned with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and that the attitude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nondisabled children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improved.

      • SCOPUS

        정신지체 고등학생을 위한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의 적용효과

        방명애(Bang, Myong-Ye),김수현(Kim, Soo-Hyu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6 No.2

        본 연구는 정신지체 고등학생에게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 고등부 정신지체 여학생 9명이었으며, 2001년 1학기에 41회기에 걸쳐 의사결정기술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는데, 담임교사와 부모가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후에 각각 아동의 의사결정기술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대응표본 t- 검정과 상관계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로부터 수집된 사전ㆍ사후검사 자료를 대응표본 t- 검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전검사의 평균과 사후검사의 평균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교사는 연구대상인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의사결정기술이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부모로부터 수집된 사전ㆍ사후검사 자료를 대응표본 t- 검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전검사의 평균과 사후검사의 평균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부모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따르면 사후검사의 평균이 사전검사의 평균에 비해 향 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추후연구를 통해 각 장애영역에 있어서의 의사결정기술에 대한 기초연구와 교수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elf- determination program on the self- determinat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 s with mental retardation. One- group pre- test -post - test research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Nine high school girls with mental retardation participated in the self- determination program. Self- determination skills of subject s were measured by their teacher s and parents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using Self-Determination Teacher Perception Scale and Self-Determination Parent Perception Scale developed by Hoffman, Field, and Sawilosky (2000). Matched pair t- test was used for the analyse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teacher percep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self- determinat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fter implementing the self- determination program. (2) According to the parent percep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self- determinat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 s with mental retardation even after implementing the self- determination program.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한 초등 장애학생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분석

        성경선 ( Sung Kyung Sun ),방명애 ( Bang Myong Ye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하여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초등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34편의 일반적 특성(연구대상, 연구설계, 종속변인, 독립변인, 중재효과)을 분석하고, CEC(2014)와 Horner(2005)가 사용한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하여 질적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34편의 총 연구대상 수는 모두 74명이었으며, 남학생(64.9%)이 여학생(24.3%)보다 많았다. 장애영역은 지적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연구가 23편(67.6%)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구설계는 중다간헐기초선 설계가 14편(41.2%)으로 가장 많았다. 종속변인은 수업참여가 14편(41.2%)이고, 문제행동이 12편(35.3%)이었다. 독립변인은 긍정적 행동지원이 8편(23.5%)으로 가장 많았다. 34편 연구에서 모두 중재효과가 있었으며, 유지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24편(70.6%)이었고, 일반화 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8편(25.0%)이었다. 둘째,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하여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관련 단일대상 연구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통합교육이 실시되는 연구 환경, 중재자의 자격 및 배경정보, 종속변인에 대한 조작적 정의, 중재 충실도, 기초선, 내적 타당도, 사회적 타당도에 대한 질적 지표가 낮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에 대한 논의와 연구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ingle subject design studies on integr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 Thirty four single subject studies published from 2005 to 2016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 developed by Horner et al.(2005) and CEC (2014).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widely selected subjects of the studies wer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ltiple probe designs were the most widely used. The most widely selected dependent variables were academic engagement and problem behavior. The most widely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 was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the interventions of all studies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dependent variables. Out of 34 studies generalization effects were tested only by eighth studies, while maintenance effects were tested by twenty five studies. Second, the quality indicators of intervention settings, background informations and qualifications of experimenters, operant definitions of the dependent variables fidelity of intervention, baselines, and internal validity were not fully fulfille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현금인출기 사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박경석 ( Kyeong Seok Park ),방명애 ( Myong Ye Bang ),홍점숙 ( Jeom Suk H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현금인출기 사용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3명의 남자 지적장애 고등학생이었으며,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연구는 기초선, 중재, 및 유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현금인출기 사용기술 중 입금하기와 출금하기 기술을 향상시켰다. 둘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에 의해 습득된 입금하기와 출금하기 기술은 중재 종료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이 효과적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를 통해 자기 주도적이고 독립적으로 현금인출기 사용기술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지적장애 고등학생이 실제 생활에서 독립적으로 돈을 관리하도록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화폐교육이나 지역사회 활용기술 교수와 같은 체험학습과 연계하여 교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s based on visual cues on the skill of using automated teller machine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ree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mposed of baseline phase, intervention phase, and maintenance phase. The self-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 the independent variable, included the strategies such as task analysis, visual cues, self-monitoring, self-evaluation, time delay, and least prompt procedure.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deposit skill, and withdrawal skil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management interventions based on visual cues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deposit skill and withdrawal skill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deposit skill and withdrawal skill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maintained three week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the intervention.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ett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급차원의 사회적 통합 지원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학교폭력인식 및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유희 ( Yu Hui Kim ),방명애 ( Myong Ye Ba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급차원의 사회적 통합 지원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학교폭력인식 및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 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이며, 연구 대상은 장애학생 2명과 비장애학생 20명이 소속된 초등학교 3학년 통합학급 1학급을 편의목적표집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인 30회기의 사회적 통합 지원프로그램은 장애 이해교육, 학교폭력 예방교육, 또래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긍정적 상호작용 교육으로 구성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자료를 종속표본 t검증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학급차원의 사회적 통합 지원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장애학생의 학교폭력인식의 경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학교차원의 사회적 통합 지원프로그램과 학교폭력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효과 평가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lass wide social inclusion support program on: (a)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student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b) the awareness of school violence of nondisabled students, and (c)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n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design wa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22 class members in an inclusive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The interven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 class-wide social inclusion support program ‘Gam-Su-Seong’.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dependent samples t-test were implement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n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student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n the awareness of school violence of nondisabled students.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n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각장애 중등학생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김윤희 ( Kim Yun Hee ),방명애 ( Bang Myong Ye ),권보미 ( Kwon Bo Mi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 중등학생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청각장애 학교 2개교와 대구광역시, 충청북도, 전라북도에 소재한 청각장애 학교 각각 1개교에 재학 중인 청각장애 중등학생 115명과 전라북도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청각장애 중등학생 43명, 총 158명을 편의군집표집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과 각 변인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인 학교 유형,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 중등학생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교 유형,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 중등학생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정체감의 하위변인은 자아존중과 친화력이며,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은 도전적 과제선호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 중등학생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봄으로써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와 제한점에 기초하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후속 연구와 교육현장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s influencing communication- relate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One-hundred fifty eight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selected from five special schools and eighteen special education class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ent by mail.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hool type, self-identity, and self-efficacy had impact on the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Second, the sub-scales of the self-identity scale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were self-esteem and affinity. The sub-scale of the self-efficacy scale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was preference of difficult tasks. Limitations of the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ett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인터넷 중독 위험군과 비위험군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및 정서행동 문제 비교 분석

        송은혜 ( Eun Hye Song ),방명애 ( Myong Ye Bang ),홍점숙 ( Jeom Suk H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중독 위험군과 비위험군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및 정서행동 문제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2개교와 고등학교 2개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들 가운데 인터넷 중독 척도에서 41점 이상을받은 위험군 청소년 60명과 16점 이하를 받은 비위험군 청소년 61명, 총 121명을 선정하였다. 두 집단 간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및 정서행동 문제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기 위하여 두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넷 중독 위험군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및 정서행동 문제 간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중독 위험군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비위험군 청소년의 자기통제력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중독 위험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비위험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중독 위험군 청소년의 정서행동 문제가 비위험군 청소년의 정서행동 문제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중독 위험군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통제력과 정서행동 문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예방 및 중재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해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elf-control, self-esteem,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adolescents at risk for internet addiction and those of adolescents without risk. The participants were 60 adolescents at risk for internet addition who scored higher than 41 points based on the internet addiction scale and 61 adolescents without risk who scored lower than 16 points based on the internet addiction scale.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implemented for data analyse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control of adolescents at risk for internet addi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dolescents without risk. Second,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at risk for internet addi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dolescents without risk. Third,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adolescents at risk for internet addi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dolescents without risk. Fourth, the self-control of adolescents at risk for internet addiction was correlated with the self-esteem positively and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negative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ett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