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나라 張氏 묘지석 補釋 : 「金贈光祿大夫張行願墓誌」, 「金張汝猷墓誌」를 중심으로

        박현규(Park, Hyunkyu)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9 No.2

        본 논문은 「金贈光祿大夫張行願墓誌」, 「金張汝猷墓誌」를 통해 장씨 일족의 제반 사항과 고구려계 북방민족 유예의 실상을 살펴보았다. 고구려가 멸망한 뒤 발해, 요나라를 거쳐 금나라에 이르기까지 5백여 년이 지났어도 고구려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살아간 장씨 일족들이 있다. 장씨 일족은 항상 멀리는 고구려 유예, 가까이는 발해 유예라는 잠재의식을 가지고 활동했다. 장씨 일족의 선조는 원래 고구려 동명왕의 유예였다. 고구려가 멸망한 뒤 발해를 거쳐 요양으로 옮겨 요나라에서 활동했다. 요동 공훈 집안 가운데 장씨 집안이 제일이라는 묘지석의 명문은 결코 과장된 표현이 아니었다. 장씨 일족은 금나라 건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중앙 무대로 진출하였다. 이후 후손들은 분분히 진사 급제와 음서로 출사하여 자신들의 집안 세력을 형성하였다. 또 요동 명문 집안과의 통혼, 관료 생활에서 자신들의 탁월한 재능과 뛰어난 정무 감각을 발휘하여 황실 권력과 가까이 지내면서 집안의 위상을 드높였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overall aspects of Jang(張; Zhang) s family during Jin Dynasty and the actual status in life of the displaced persons of Goguryeo‘s Northern Peoples(高句麗系 北方民族) by examining 『Geum jeung gwanglog daebu Jang haeng-won myoji(金贈光祿大夫張行願墓誌)』 and 『Geum Jang yeoyu myoji(金張汝猷墓誌)』. Jang s family had lived with keeping the identity of Goguryeo for about 500 years after a fall of Goguryeo, passing through Balhae(渤海) and Liao Dynasty(遼朝), reaching Jin Dynasty(金朝). Jang s family had always lived subconscious notion that they were the displaced persons of either Goguryeo from the long-standing perspective or Balhae that was not too long ago. The Jang s family were originally stemmed from King Dong myeong(東明王) of Goguryeo. After Goguryeo collapsed, they moved to Balhae and finally settled in Liaoyang of Liao Dynasty, since then had lived there. The carved sentences on the gravestone, which says that the Jang s family is the first ranked as a prestigious house of Liaodong, were never rhetorically expressed. They played a major role actively in the founding of Jin Dynasty to advance to the core of political power. Afterwards, they had frequently been taken positions as a government official via passing the Jinsa(進士) exam or the hereditary position as a success of the father, thereby forming the family influence. In addition, the Jang s family was able to raise the prestige of the family by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ower of imperial family of Jin Dynasty through marriage to distinguished families in Liaodong area as well as outstanding talent and political acumen of individuals in terms of bureaucratic life.

      • 시트 착좌감 정량화 평가법 개발_롱텀 컴포트

        박현규(Hyunkyu Park),김영식(Yungsik Kim),이재원(Jaewon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3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3 No.5

        In recent years, requests for automotive seat comfort are increasing. An important issue of them is long-term seat comfort. Until now, The study for long-term seat comfort has been studied mainly using driver’s questionaire, changing adrenalin, electromyogrm. Actually, the results and methods of them are difficult to apply to seat development and design, because of money and time required. In this study, we made long-term seat comfort evalu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development and design using seat support loss and vibration transmissibility lossduring long-term driving.

      • KCI등재

        담헌(湛軒) 홍대용(洪大容) 화상(畵像)의 종류와 정본 선정에 관한 고찰

        박현규 ( Park Hyunkyu )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3

        본 논문은 향후 홍대용 화상의 정본을 정하기 위해 화상의 제작 과정과 전래, 현존본 상황과 특징에 대해 조사 분석한 것이다. 1766년(영조 42)에 조선 홍대용과 청 엄성은 북경에서 우연히 만나 흉금을 터고 학문과 세상사에 대해 필담을 나누며 천애지기로 삼았다. 이들은 헤어진 후각자 고향 집으로 돌아가 장문의 서찰을 주고받으며 우애를 쌓아갔다. 그러나 1년여 만에 엄성이 급작스럽게 죽으면서 생전의 교류는 중단되었지만, 이들이 남긴 진솔한 우정은 책자로 기술되어 세상에 널리 전해졌다. 엄성 사후에 주문조의 의해 북경 모임을 담아 『일하제금집』을 편찬되었는데, 여기에 홍대용 화상이 들어가 있다. 1766년(건륭 31) 고향으로 돌아간 엄성은 홍대용을 그리워하여 화상을 그리고 화상찬을 제했다. 엄성은 홍대용을 고결한 선비라는 뜻에서 `高士`를 화제를 삼고, 홍대용이 얼굴에 온화한 빛을 띠고 공손한 모습으로 두 손을 모아 소매 속으로 집어넣고 무릎을 구부려 마루에 대고 꿇어앉아 있는 장면을 포착해서 화상구도로 삼았다. 홍대용 화상은 병술년(1766) 엄성 원본, 정해년(1767) 모사본 계통, 경인년(1770) 재모사본 계통으로 나뉜다. 현존 홍대용 화상은 북경대학장본, 중국 국가도서관장본, 서울대학장본, 하버드대 옌칭도서관장본, 국사편찬위원회장 사진판, 북한 인민대학습당 사진판 등총 6부이다. 현존 홍대용화상은 모두 엄성 원본에서 출발했지만, 아쉽게도 나중에 거듭 모사된 것들이다. 향후 홍대용 화상의 정본을 만들 때 엄성 원본을 한번 모사한 정해년(1767) 모사본 계통의 북경대학장본과 제작년도가 가장 빠른 경인년(1770) 재모사본인 국사편찬위원회장 사진판을 기본 텍스트로 삼는다. I in this paper studied and analyzed the production process, the introduction, the condition of extant edition, and its characteristics of Hong Daeyong`s portrait to decide the original copy of the portrait hereafter. In 1766(the 42<sup>nd</sup> year of Yeongjo`s reign), Hong Daeyong of Joseon and Yan Cheng(嚴誠) of Qing met by chance in Beijing and became close friend as they spoke their bosom freely by writing about the worldly affairs. After parting and going home they developed their friendship through long letter exchange. However, their exchange during their lifetime had to stop because of Yan`s sudden death after a year of parting, their true friendship was well known to the world as their story came to be described in a book. Rixia tijin ji(日下題襟 集) was compiled after Yan`s death by Zhu Wenzao(朱文藻) who told the story of the two men`s meeting in Beijing and Hong Daeyong`s portrait was included in the book. In 1766(the 31<sup>st</sup> year of Qianlong reign), after returned to hometown Yan Cheng who missed Hong Daeyong drew the portrait of Hong Daeyong and composed a writing on the portrait. Yan Cheng took `gaoshi` as the title of the picture because Yan considered Hong as an elegant scholar. The editions of Hong`s portrait are divided into threee lines as that of Yan Cheng`s manuscript in 1766(the 31<sup>st</sup> year of Qianlong`s reign), the copied text made in the year of Jeonghae, 1767(the 32<sup>nd</sup> year of Qianlong`s reign), and the recopied one in the year of Gyeongin, 1770(the 35<sup>th</sup> year of Qianlong reign). The extant portraits of Hong Daeyong are housed in Beijing University, National Library of China, Seoul National University, Yenching Library, Harvard University. Photograph versions of Hong`s portrait are housed in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The Grand People`s Study House of North Korea. However, all of the extant portraits of Hong are origined from Yan`s original copy, these are that of copied several times later.

      • KCI등재

        임진왜란 양주 蟹踰嶺전투 勝將 申恪의 참형 기록 고찰

        朴現圭(PARK, HYUNKYU)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58 No.-

        본 논고는 임진왜란 때 양주 蟹踰嶺전투에서 申恪이 승전을 거둔 장수임에도 불구하고 참형을 당한 기록을 찾아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양주 해유령전투는 임진왜란 발발 이후 계속 패전을 거듭해온 조선군이 육지에서 거둔 최초로 승전이었다. 이번 승전은 조선군도 일본군과 맞서 싸워도 이길 수 있다는 투지력과 사기를 높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신각은 양주 해유령전투에서 승전을 거둔 장수였지만, 조정의 그릇된 판단으로 억울한 죽임을 당한 비운의 장수였다. 앞서 한강 방어 실패한 도원수 김명원은 자신의 잘못을 신각에게 전가시키고자 신각을 명령 불복종이라는 죄목으로 엮어 장계를 올렸다. 조정에서는 일본군과 맞서 싸워야 하는 절박한 심정과 승전을 얻고자 하는 조급증으로 김명원의 말에 따라 처형하였다. 신각의 참형은 당대의 여러 인사가 억울하다는 말을 남겼고, 후대에도 여러 문헌에 계속 거론될 정도로 널리 퍼졌다. 오늘날 양주 해유령에 해유령전적비와 신각 등을 추모하는 충현사가 세워졌다. 앞으로도 우리들은 선현들이 세운 양주 해유령전투를 새롭게 조명하고, 다시는 이처럼 억울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역사적 반성을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considering the overall military activities of Sin Gak(申恪) that has led to a victory in the Battle of Yangju Haeyulyeong (楊州蟹踰嶺) during the Imjin War(Japanese Invasion, 1592~1598; 壬辰 倭亂). The Battle of Yangju Haeyulyeong was the very first victory of the Joseon troops, which had been defeated repetitively since the outbreak of the Imjin War in 1592. This victory became a trigger to increase the fighting spirit and confidence that Joseon troops can also defeat the Japanese troops. Sin Gak was an unfortunate commander who was falsely killed by the Royal Court due to the wrong judgment even though he won the Battle of Yangju Haeyulyeong. Kim Myung-won(金命元), who previously failed to defend the Han River(漢江), placed a false report under the charge of disobedience in order to pass on his own fault to Sin Gak. And the Royal Court executed Sin Gak based on the report by Kim Myung-won, with desperate feeling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 troops and impatience of victor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for us to newly shed light on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Battle of Yangju Haeyulyeong as well as the sacred accomplishments of our ancestors.

      • 강우시 복합지목유역의 유출 초기 24시간 채수간격에 따른 SS와 TOC 부하량 차이 분석

        박현규 ( Hyunkyu Park ),정민혁 ( Minhyuk Jeung ),범진아 ( Jina Beom ),김영석 ( Youngsuk Kim ),윤광식 ( Kwangsik Yoon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비점오염원은 주거지역이나 공장, 축사, 도로 등에 쌓였던 오염물질들이 강우 시 유출되는 현상으로 토사, 영양물질, 박테리아, 유기물질 등 종류가 다양하고 강우특성, 토지이용 등 유역특성에 따라 배출량이 다르기 때문에 관리하기가 힘들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효율적인 관리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현재 환경부에서는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해 강우-유출수 조사방법을을 단일피복, 복합피복을 구분하여 모니터링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유출지속시간이 길어 질수록 수질분석 시간과 비용이 증가한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강우 시 초기 24시간 실측 자료를 활용하여 채수간격에 따른 부하량 차이를 분석하였다. 대상지역으로는 풍영정천 유역을 지정하였으며 유역을 농촌소유역(WJ), 도시소유역(JS), 유역말단(PYJ)로 분류하였다. 대상수질항목은 TOC, SS이며, 수질 및 유량조사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실시하였다. 13개의 강우사상 모니터링결과 평균(최소∼최대) 조사한 결과 WJ의 경우 TOC는 6.7(3.4∼28.5) mg/L, SS 46.7(3.1∼737.1) mg/L로 나타났으며 JS는 TOC 7.8(2.1∼57.5)mg/L, SS 352.7(8.37∼4025.3) mg/L, PYJ는 TOC 7.7(2.5∼30.8) mg/L, SS 90.6(3.1∼767.1) mg/L로 나타났다. 1시간 채수간격일 때 산정한 부하량과 2,3,4,6 시간간격 채수 시 부하량의 차이를 R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TOC와 SS 모두 1시간간격 채수 시 부하량과 4시간 간격채수 시 부하량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1시간간격 채수시 부하량과 각 채수간격별 부하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TOC의 경우 WJ, PYJ에서 4시간 간격까지, JS에서 2시간 까치 차이가 10%이하로 나타났고, SS는 WJ, PYJ의 경우 2시간 간격 채수시 부하량이 1시간간격 채수 시 부하량와 10%이하의 차이가 나타지만 JS는 2시간간격 채수시에서도 10%이상의 차이가 나타났다. JS의 경우 유역면적이 작고 불투수층이 많아 강우시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 차이가 크기 때문에 채수간격 시 부하량의 차이가 커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1시간 간격 채수빈도와 채수간격별 부하량의 차이가 10% 합리적이라고 판단하였을 때 TOC의 경우 2시간 간격에서 채수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SS의 경우 농촌소유역과 복합유역에서 4시간간격 채수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1880년 朝鮮 庇仁縣에 표착한 潮州ㆍ泰國 상인의 표류 사정과 교역 활동

        박현규(Park, Hyunkyu)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3 島嶼文化 Vol.0 No.42

        본 논문은 1880년(고종 17)에 한반도 庇仁縣에 표착한 청 조주인과 태국인의 제반 사항을 분석한 논문이다. 현존 기록에 의하면 조선시대에 청 조주인과 태국인이 함께 선박에 타고 한반도에 표착한 것이 이번이 유일한 사례이다. 1880년(고종 17)에 태국에서 출발하여 발해만까지 올라와 산동 연태와 요동 영구에서 교역 활동을 한 다음 귀환하다가 산동 해역에서 기상악화로 조난당했다. 비인현에 표착한 표류민은 당초 중국인 9명, 태국인 18명으로 알려졌다가, 나중에 조주 거주인 9명, 해남 거주인 1명, 태국인 17명으로 수정되었다. 표착 당시에 가져온 물품에는 .祖神像이라는 신앙용품, 영구에서 구입한 홍삼, 표류생활에 필요한 음식과 기물, 그리고 반려동물인 개와 고양이가 있었다. 그 중 긴박한 탈출 과정에서 가져온 홍삼이 있는데, 조선에서 중국에 수출된 물품으로 추측된다. 이것으로 통해 조선홍삼이 멀리 중국 남부 지역과 태국 화교에게 전매되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조주 상인들은 중국 대륙 각지와 동남아 사이를 오가는 기존 남북 항로에다 “香(홍콩) - 叻(싱가포르) - 暹(태국) - 汕(산두)” 항로 네트워크를 본격적으로 구축하여 물자 교역을 크게 활성화시켰다. 조주 상인 가운데 태국에서 건조된 紅頭船을 몰고 국제 물자 교역에 나선 許必濟가 있는데, 이가 바로 1880년(고종 17)에 비인현에 표착한 허필제와 동일한 인물이다. 한반도에 표착한 중국 표류민 가운데 중국에서 활동한 상항을 찾아보기 매우 힘든데, 허필제의 경우를 통해 이들의 활동상을 파악하는데 좋은 자료이다. I analyzed in this paper all the matters of merchants from Chaozhou and Thailand who were cast away on the coast of Biinhyun in 1880. According to existing documents, it was the only case that Chaozhou Chinese and Thais came together and cast away on the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Joseon(朝鮮) dynasty. They departed from Thailand for the Gulf of Balhae(渤海灣) in 1880 and traded in Yantai(煙臺) of Shandong(山東) Province and Yingkou(營口) of Liaodong(遼東) Province. They met with a disaster in areas of sea near Shandong because of bad weather on their return voyage. The number of people who drifted on the shore near Biinhyun was known at first as 9 of Chineseand 18 of Thai and later modified as 9 of Chaozhou people and 1 from Hainan(海南), and 17 of Thai. Things that they brought at the time of drifting include a Mazu(媽祖) figurine as religious goods, red ginseng from Yingkou, food and objects which were necessary to survive on the float, and dogs and cats as companion animal. Among those, red ginseng which were taken by them at the urgent situation might have been a Korean export item to China. We can grasp the process of Korean ginseng" monopolizing sale to southern China and Chinese living in Thailand. Chaozhou merchants vitalized trade greatly by constructing a new network linking Hongkong, Singapore, Thailand, and Shantou adding to the existing network of linking China with Southeast Asia. Among Chaozhou merchants, there was a man named Xu Biji(許必濟) who left for trade by a ‘Red Head Ship(紅頭船)’ which was built in Thailand. He was the same person with Xu Biji who was cast way on the coast near Biinhyun in 1880. It is difficult to find the situation of activities in China by Chinese people who were drift on the coast of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case of Xu Biji was a good material to grasp their activitie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