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비타민나무(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부위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유화(Yu Hwa Park),임상현(Sang Hyun Lim),헌주(Hun Ju Ham),정햇님(Haet Nim Jeong),이광재(Kwang Jae Lee),김경희(Kyung Hee Kim),김성문(Songm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7

        국내에서 재배된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의 생리활성을 부위별(줄기, 잎, 뿌리, 열매), 용매별(물, 에탄올)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α-Glucosidase 활성 억제 실험에서, 비타민나무의 저해활성은 줄기의 에탄올 추출물이 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이 88.7% 순으로서 대조구 acarbose의 20.2%보다 훨씬 높았다. Pancreatin 기원의 α-amylase 억제 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잎의 물 추출물이 54.7%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가장 높았다. HT-29 cell과 DU-145 cell의 암세포에 대한 항암효과 시험 결과 뿌리의 물 추출물에서 각각 47.1%, 32.3%의 항암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항균활성 실험 결과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위해균주인 Clostridium butyricum, Proteus mirabilis, Shigella flexneri에 대한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생리활성 효과가 나타난 물질에 대한 분리, 정제 등의 연구가 계속 수행되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Biological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stems, leaves, roots, fruits) and solvents (water, ethanol) of 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grown in Korea were tested as follows. In the experiment of inhibiting α-glucosidase activity, ethanol extract of Hippophae rhamnoides L. stem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by 93% and the next highest was the ethanol extract of its leaf by 88.7%. In the case of these two extracts, the effect of inhibiting α-glucosidase activity was extraordinarily great when comparing with control group, acarbose. In the experiment of inhibiting α-amylase activity, water extract of leaf showed the highest result by 54.7%, among all extracts. Regarding anticancer effect for HT-29 cell and DU-145 cell, water extract of root showed 47.1% and 32.3% activities, respectively. The experiment on antibacterial activity showed that the ethanol extract from the leaf inhibitory activity of Clostridium butyricum, Proteus mirabilis, and Shigella flexneri which are the several food borne pathogenic strains. In future research, materials for biological activity appear isolated and purified and research should continue.

      • KCI등재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줄기로부터 항염 활성물질 β-Sitosterol의 분리

        유화(Yu Hwa Park),임상현(Sang Hyun Lim),헌주(Hun Ju Ham),김희연(Hee Yeon Kim),정햇님(Haet Nim Jeong),김경희(Kyung Hee Kim),김성문(Songm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7

        이번 연구는 강원도 춘천에서 재배된 비타민나무의(Hippophae rhamnoides L.) 부위별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염활성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고, 이에 함유되어 있는 항염활성물질을 fraction directed isolation 방법으로 단리 하였다. 항염활성 측정을 위하여 비타민나무의 줄기, 잎, 뿌리, 열매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nitric oxide(NO) 생성량 측정 결과 염증 유발 물질인 lipopolysaccharide(LPS) 대비 각각 56.0, 31.9, 49.1, 18.9%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비타민나무 줄기를 다시 극성을 달리하여 용매로 분획을 실시하였고 각각의 분획층에 대하여 NO 생성량 측정 결과 CH₂Cl₂ 분획층(1 ㎎/㎖)에서 염증유발물질인 LPS 단독 처리군 대비 80%의 높은 항염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항염활성이 가장 높았던 dichloromethane 분획층을 MCA-MCK까지 총 11개 분획층으로 분리하였고, 이 11개의 분획층에 대하여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MCD 분획층이 0.1 ㎎/㎖ 농도에서 LPS 대비 65%의 가장 높은 항염활성을 나타내었다. MCD의 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GC/MS, ¹³C-NMR, ¹H-NMR 분석을 수행한 결과, 항염활성물질 MCD는 분자량 414.71 g/㏖, 화학구조식이 C₂?H??O인 β-sitosterol로 결정하였다. 향후 비타민나무 줄기는 염증예방 효능을 지닐 수 있는 기능성식품 및 의약품의 원료, 가공품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and identify anti-inflammatory chemicals in Hippophae rhamnoides L. which was grown in Chuncheon, Korea. Treatment of ethanol extracts from stems, leaves, roots, and fruits to RAW 264.7 cells reduced amounts of nitrite by 56.0, 31.9, 49.1, and 18.9% respectively, compared to only lipopolysaccharide (LPS) treatment which is well-known as a inflammation-inducing agent. The stems were extracted with hexan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and their nitrite contents in RAW 264.7 cells were measured. The dichloromethane extracts showed the highest inflammatory activity, exhibiting 80% reduction of the nitrite content at 1 mg/mL treatment. Activity-directed fractionation of dichloromethane extract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β-sitosterol as the anti-inflammatory chemical. 0.1 ㎎/㎖ treatment of β-sitosterol inhibited strongly the production of nitrite by 65%, compared to only LPS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em of H. rhamnoides L. may be useful for inflammation treatment.

      • KCI등재
      • KCI등재

        오갈피나무 속(屬) 식물의 항당뇨 및 혈당강하 효과

        임상현(Sang Hyun Lim),유화(Yu Hwa Park),권창주(Chang Ju Kwon),헌주(Hun Ju Ham),정햇님(Haet Nim Jeong),김경희(Kyung Hee Kim),안영섭(Young Sup A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12

        오갈피나무 속의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 섬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gracilistylus), 오가나무(Eleutherococcus sieboldianus),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의 잎 부위를 이용하여 α-glucosidase와 α-amylase 활성 저해 효과를 통한 혈당강하 효과를 평가하였다. α-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를 비교한 결과 섬오갈피 잎 추출물이 acarbose 대비 약 43.38%의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가시오갈피 잎 추출물이 41.24%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α-Amylase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acarbose가 10 ㎎/mL의 농도에서 73.25%의 활성 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가시오갈피 잎 추출물이 acarbose 대비 91.90%의 높은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treptozotocin(STZ)으로 당뇨를 유도한 모델에 2주간 오갈피나무 속 식물 추출물을 섭취시킨 후 혈당과 지질 개선 효과를 탐색한 결과 STZ 투여로 인하여 모든 당뇨 유발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혈당 수준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당뇨 유발 대조군(C)과 대비하여 시료 투여군인 가시오갈피(T1), 섬오갈피나무(T2), 오가나무(T3), 오갈피나무(T4)군 모두 혈당이 크게 감소하였다. 혈중 지질 농도 변화 실험 중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당뇨 유발 대조군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반면 약물 투여군인 가시오갈피(T1), 오가나무(T3), 오갈피나무(T4)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HDL-cholesterol은 오가나무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55.61% 가장 크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LDLcholesterol의 경우 정상군과 대조군과의 큰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섬오갈피나무, 오가나무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가시오갈피와 오갈피나무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중 중성지방의 경우 또한 총 콜레스테롤과 유사하게 대조군의 경우 혈중 농도가 증가하였다. 약물 투여군인 오가나무군은 60.16%, 오갈피군은 60.80%, 가시오갈피군은 50.16%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적출한 간 내의 중성지방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정상군에 비교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가시오갈피군, 섬오갈피나무군은 각각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에서 오갈피나무 속 추출물들은 혈당강하 및 당뇨대사 이상으로 인한 지질대사의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Hypoglycemic effect through activity inhibition of α-glucosidase and α-amylase was evaluated using leave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 Eleutherococcus gracilistylus, Eleutherococcus sieboldianus and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which belong to Acanthopanax sessiliflorus genus. As a result of measuring α-glucosidase activity inhibition, extract of Eleutherococcus gracilistylus showed around 43.38% of activity inhibition compared with acarbose and extract of Eleutherococcus senticosu showed 41.24% inhibitory effect. As a result of measuring α-amylase activity inhibition, acarbose showed 73.25% of activity inhibition in 10 mg/mL concentration, and the extract of Eleutherococcus senticosu leaves showed 91.90% higher activity inhibition compared with acarbose. Also, after subjects in a model were induced diabetes with streptozotocin (STZ) intake plant extract from Acanthopanax sessiliflorus for 2 weeks, effect of improving blood glucose level and fat was examined. In all groups with specimen, Eleutherococcus senticosu (T1), Eleutherococcus gracilistylus (T2), Eleutherococcus sieboldianus (T3) and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T4), blood glucos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group (C). In an experiment of examining changes in fat concentration in blood, total cholesterol content increased in a control group compared with a normal, while in T1, T3 and T4, it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s for HDL-cholesterol, it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diabetes induced groups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and in T3, it increased the most significantly by 55.61%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case of LDL-cholesterol, specific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found; however, significant increase was detected in T2 and T3, whereas in T1 and T4, it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s for triglyceride, its concentration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like total cholesterol. It decreased 60.16% in T3, 60.80% in T4 and 50.16% in T1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 in extracted liver,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whereas T1 and T2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The above results show that extracts from Acanthopanax sessiliflorus genus are effective for hypoglycemic and improving fat metabolism due to diabetes.

      • KCI등재

        돌단풍 잎 용매추출물의 생리활성

        임상현(Sang-Hyun Lim),김희연(Hee-Yeon Kim),민희(Min Hee Park),유화(Yu Hwa Park),헌주(Hun Ju Ham),이기연(Ki Yun Lee),김경희(Kyung-Hee Kim),동식(Dong Sik Park),김성문(Songm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12

        돌단풍 잎의 항산화, 항염, 항당뇨, 항비만 활성을 탐색하고자 강원도 양구에서 자생하고 있는 돌단풍의 잎을 채집하여 에탄올과 증류수로 각각 추출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반응,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여 검정하였다. 돌단풍 잎의 에탄올과 물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IC50값은 각각 549.86과 62.14 ㎍/mL이었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이 307.63 ㎎/g으로 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인 86.96 ㎎/g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과 물 추출물 각각 118.98과 110.16 ㎎/g으로 비슷한 함량을 나타냈다. 항염 활성은 RAW264.7 세포에 LPS와 돌단풍 잎 추출물을 동시에 10 ㎎/mL 처리하여 NO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나 효과는 없었다. 항당뇨 활성은 α-glucosidase와 α-amyl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돌단풍 에탄올과 물 추출물의 α-glucosidase IC50값은 각각 5.62와 425.63 ㎍/mL이었고, α-amylase IC50값은 각각 4,623.87과 10,000 ㎍/mL 이상으로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의 항당뇨 활성은 매우 뛰어났다. 항비만 활성 탐색은 pancreatic lipase의 활성저해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돌단풍 잎의 에탄올과 물 추출물의 IC50값은 모두 10,000 ㎍/mL 이상으로 항비만 활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돌단풍 잎 추출물의 항산화, 항당뇨의 기능성활용 가공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의 개발이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bioactivities of ethanol (EEAR) and water extract (WEAR) from the leaf of Aceriphyllum rossii were investigated. In the anti-oxidative activity, IC50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respectively 549.86 and 62.14 ㎍/mL by EEAR and WEAR.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EAR and WEAR has been evaluated on inhibition of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c oxide (NO) release by the macrophage RAW 264.7 cells. EEAR and WEAR inhibited inflammatory by 5.58 and 16.85% in 10 ㎎/mL, respectively. In the anti-diabetic activity, IC50 of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5.62 and 425.63 μg/mL by EEAR and WEAR. IC50 of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EEAR and WEAR was 4,623.87 and over 10,000 ㎍/mL, respectively. In the anti-obesity, all lipase inhibitory activity (IC50) of EEAR and WEAR was up 10,000 ㎍/mL. Finally, EEAR and WEAR exhibited anti-oxidative and anti-diabetic activity. It suggests that Aceriphyllum rossii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a resource of bioactive material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 KCI등재

        정량 PCR을 이용한 비위생 매립지의 특정 세균 및 효소 유전자와 수질인자와의 상관관계 평가

        한지선(Ji Sun Han),성은혜(Sung Eun Hae),박헌주(Hun Ju Park),김창균(Chang Gyun Kim) 大韓環境工學會 2007 대한환경공학회지 Vol.29 No.8

        매립지를 직접 생태학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매립지 내의 생화학적 반응에 관여하는 세균들과 효소의 양을 정량함과 동시에 지하수 수질인자와 상호 연관성을 조사하여 생태학적 인자와의 연계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4개의 매립 종료된 비위생 매립지(천안(C), 원주(W), 논산(N), 평택(P) 매립지)에서 계절별로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동시에 16S rDNA 방법을 사용하여 미생물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매립지에서 주로 발견되는 세균과 효소를 대표하는 유전자를 정량하기 위한 특이 프라이머 쌍을 제작하였으며 상관계수에 기초하여 수질인자와 유전자 지표 인자간의 정량적 관련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DSR(황환원 세균) gene과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사이의 상관관계는 0.8 이상인데 반해 NSR(질산화 세균-Nitrospira sp.) gene과 질산성 질소는 0.9 이상이었다. 안정화지표(BOD/COD)와 MTOT(메탄 산화 세균), MCR(Methyl coenzyme M reductase), Dde(Dechloromonas denitrificans) gene들은 0.8 이상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나 3가 철과 Fli(Ferribacterium limineticm) gene은 0.7로 낮았다. MTOT gene의 경우, BOD/COD과의 관련성이 100%에 가깝게 높았다. 또한, 혐기성 유전자들(nirS-아질산 환훤효소, MCR, Dde, DSR)과 DO 역시 0.8 이상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매립지 혐기성 반응들이 DO에 크게 의존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분자생물학적 조사와 수질인자가 높은 상호연관성이 있었으며 real-time PCR이 전통적인 모니터링 인자들과 동시에 상호 보완적으로 모니터링에 사용됨으로써 매립지안정화 및 주변 영향을 평가하는데 효율적으로 사용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s for the increasing demanding on the development of direct-ecological landfill monitoring methods, it is needed for critically defining the condition of landfills and their influence on the environment, quantifying the amount of enzymes and bacteria mainly concerned with biochemical reaction in the landfills. This study was thu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ates of contaminants in association with groundwater quality parameters. For the study, groundwater was seasonally sampled from four closed unsanitary landfills(i.e. Cheonan(C), Wonju(W), Nonsan(N), Pyeongtaek(P) sites) in which microbial diversity was simultaneously obtained by 16S rDNA methods. Subsequently, a number of primer sets were prepared for quantifying the specific gene of representative bacteria and the gene of encoding enzymes dominantly found in the landfills.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gene quantification were compared based on correlation factors. Correlation between DSR(Sulfate reduction bacteria) gene and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was greater than 0.8 while NSR(Nitrification bacteria-Nitrospira sp.) gene and nitrate were related more than 0.9. A stabilization indicator(BOD/COD) and MTOT(Methane Oxidation bacteria), MCR(Methyl coenzyme M reductase), Dde(Dechloromonas denitrificans) genes were correlated over 0.8, but ferric iron and Fli(Ferribacterium limineticm) gene were at the lowest of 0.7. For MTOT, it was at the highest related at 100% over BOD/COD. In addition, anaerobic genes(i.e., nirS-Nitrite reductase, MCR, Dde, DSR) and DO were also related more than 0.8, which showing anaerobic reactions generally dependant upon DO. As demonstrated in the study, molecular biological investigation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are highly co-linked, so that quantitative real-time PCR could be cooperatively used for assessing landfill stabiliz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conventional monitoring parameters.

      • KCI등재

        강원도 자생 산채 추출물의 α-Amylase, α-Glucosid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 탐색

        김희연(Hee-Yeon Kim),임상현(Sang-Hyun Lim),유화(Yu Hwa Park),헌주(Hun Ju Ham),이광재(Kwang-Jae Lee),동식(Dong Sik Park),김경희(Kyung-Hee Kim),김성문(Songm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2

        본 연구는 강원도 자생 산채류의 다양한 약리 기능 중 α-glucosidase, α-amyl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이 우수한 식물소재를 탐색하는데 있다. 강원도 양구, 평창, 태백에서 자생하고 있는 산채 90종을 채집하여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였다. 항비만 활성 탐색은 α-amylase, α-glucosidase, lipase 저해활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산채 90종 중 α-amyl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3종, 물추출물 2종, α-glucosid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13종, 물 추출물 3종, lip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7종, 물 추출물 1종이 선발되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는 비만과 당뇨 등 대사성 질환에 대해 예방 혹은 치료 효과가 있는 기능성식품으로 개발하는데 있어 좋은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We investigated α-amylase, α-glucosidase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s collected from wild plants in Gangwon-do. 90 wild plants were collected and their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obtained. Results of measuring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indicated more than 80% of activity inhibition in 10 ㎎/㎖ concentration for ethanol extracts of three plants and water extracts of two plants. For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ethanol extracts of thirteen plants and water extracts of three plants showed more than 80% of activity inhibition in 10 ㎎/㎖ concentration. In the experiment of inhibiting lipase activity, ethanol extracts of seven plants and water extracts of one plants showed above 80% of activity inhibition in 10 ㎎/㎖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lected extracts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a resource of bioactive material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