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백서의 심근경색 모델에서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심근형성술의 효과

        박해남,연태진,권진숙,김영화,김기석,배장환,손보라,황경국,김동운,이명묵,조명찬 대한심장학회 2004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4 No.11

        Background and Objectives:Cellular cardiomyoplasty (CCM) is considered to be a novel therapeutic approach for post-myocardial infarction (MI) heart failure. In this study, the functional effects of culture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transplantation and the associated histopathologic changes were evaluated in a rat model of MI. Materials and Methods:Rats were subjected to 5 hours of coronary ligation followed by reperfusion, and 10 days after MI, animals were randomized into either the MSCs transplantation (MI-MSC, n=8) group or the control (n=8) group. Allogeneic MSCs (3×106 cells) or media were epicardially injected into the center and the border area of the infarct scar. Results:Four weeks after the MSCs transplantation, the echocardiogram showed preserved anterior regional wall motion and increases in fractional shortening in the MI-MSC heart relative to the control heart. Left ventricular (LV) end diastolic pressure was smaller in the MI-MSC than in the control group. Implanted MSCs formed islands of cell clusters on the border of the infarct scar, and the cells were positively immunostained by sarcomeric α-actinin and cardiac troponin T. In addition, the number of microvessels on the border area of the infarct scar was greater in the MI-MSC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Allogeneic MSCs transplanted into the MI scar formed clusters of cell grafts on the border of the infarct, expressed cardiac muscle proteins, increased microvessel formation, and improved regional and global LV function. Our data indicate that CCM using MSCs may have a significant role in the treatment of post-MI heart failure. 배경 및 목적: 세포를 이용한 심근형성술(cellular cardiomyoplasty)이 심근경색 후 심부전 치료의 새로운 방법으로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백서의 심근경색 모델에서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s)의 이식이 경색 심장의 심기능 및 조직병리학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백서에서 5시간 동안 관동맥을 결찰한 후 결찰을 풀어 재관류가 이루어진 통벽성 심근경색을 유도한 뒤, 10일 후 무작위로 MSCs를 이식한 군(MI-MSC, n=8)과 대조군(n=8)으로 나누었다. MI-MSC군은 3×106개의 배양된 MSCs를 심근경색의 중앙 부위와 주변 부위에 총 3~5회에 걸쳐 주입하였다. 결 과: 세포 이식 4주 후 심초음파를 이용해 측정한 좌심실 내경은 MI-MSC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MI-MSC군에서는 심근경색의 주변부인 좌심실 전벽의 운동성이 대조군과는 달리 어느정도 유지되었으며, 좌심실 분획단축률은 MI-MSC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27.1±1.4 vs. 19.8±2.6%, p<0.05). 또한, 좌심실 확장말기압도 MI-MSC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학적 검사에서 심근경색의 크기는 양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경색 반흔의 두께는 MI-MSC군이 유의하게 두꺼웠다(1.54±0.05 vs. 1.14±0.1 mm, p<0.05). 이식된 MSCs는 주로 경색의 주변부에서 군집을 이룬 형태로 발견되었으며, 이식 세포의 군집에서 sarcomeric α-actinin과 cardiac troponin T가 발현되는 많은 수의 이식 세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식 세포의 군집 주위에서는 von Willebrand factor에 염색되는 많은 혈관들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경색 주변부의 미세혈관 개수는 MI-MSC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9.5±1.0 vs. 5.3±0.5 vessels/HPF, p<0.05). 결 론: 백서의 심근경색 반흔에 이식된 MSCs는 경색의 주변부에서 군집을 이루며 생존하였고 수축 조절 단백질들을 발현하였으며, 경색 반흔 두께의 감소를 억제하였고 경색 주변부 미세혈관의 형성을 증가시켰으며, 국소 벽운동 및 전반적인 심기능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MSCs를 이용한 심근형성술이 심근경색 후 심부전 치료의 새로운 방법으로서 고려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일본 사회와 꿈의 사회사:이상의 시대부터 불가능성의 시대까지

        박해남 한국문화사회학회 2018 문화와 사회 Vol.26 No.3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dreams, aspirations for a future different to the present, have been appearing and then disappearing at a faster pace in East Asian societies than others. For this reason, Kim Hong-Jung, an avant-courier of the sociological study of dreams in Korea, suggested that we need a social history of dreams. The present study aims to introduce research on the social history of dreams by Japanese cultural sociologists and, through this, to offer a suggestion for the socio-historical analysis on dreams in Korea. Mita Muneske classifies the people’s dreams in postwar Japan into three periods. In the ‘Period of Ideals’ (1945-1960), political actors on both the left and right competed to win favor for the ideals of their favored Cold War power. After the Left’s failure, many people were able to realize the life they had longed for in the ‘Period of Dreams’ (1960-1975): an affluent life like that of Americans. In the ‘Period of Fiction’(1975-1990), ‘dream spaces’ were built in Tokyo and the difference between reality and hyper-reality became difficult to discern in everyday life. Osawa Masachi and Azuma Hiroki, followers of Mita’s theory, argue that Japanese society lost its grand narrative during the 1990s and the 2000s. Azuma called this era the ‘Period of Anima’, as Japanese youths were buried in a repetitive circuit of desire and satisfaction. Osawa, on the other hand, argued that the period was characterized by the disappearance of transcendental instances, and termed the era the ‘Period of Impossibility’. It is found that these researchers utilize some key analytical elements to depict the social history of the dream in post war Japan: the contents of the dream, the bearer of dream, the distance between dream and reality and the practical effort to realize dreams. This study argues that these elements are useful for the socio-historical explanation of young people’s changing dreams in Korea. 동아시아에서 현재와 다른 미래를 희망하고 현실화시키려는 시도(꿈)는 빠른 생성과 소멸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착안하여 김홍중은 몽상사라는 이름으로 사회사적 꿈 연구를 제시한 바 있다. 이 글은 미타 무네스케, 아즈마 히로키, 오사와 마사치 같은 현대 일본 문화사회학자들이 수행한 사회사적 꿈 연구를 소개하고, 한국사회를 대상으로 한 연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미타 무네스케에 따르면, 전후 일본 사회는 15년을 주기로 세 시기로 구분된다. 1945년에서 1960년 사이의 ‘이상의 시대’는 미국과 소련이라는 체제를 꿈 내용으로 하고 각기 이를 추구한 보수와 진보세력 사이의 경합으로 특징 지워진다. 이 경합은 안보투쟁을 기점으로 진보세력의 꿈 실천이 성공을 거두지 못하면서 일단락된다. 1961년부터 1974년 사이의 ‘꿈의 시대’는 풍요로운 도시적 삶이라는 꿈 내용이 경제적 고도성장 속에서 주거와 소비라는 실천을 통해 현실에 자리를 잡아가던 시대였다. 1975년부터 1990년까지는 ‘허구의 시대’로 정의된다. 지속된 풍요 속에서 사람들은 꿈의 공간을 도시 내에 창출하기 시작했고, 일상에서 현실과 허구의 경계는 희미해져 갔다. 일본의 대중은 일상에서 꿈 내용을 유지하기 위해 현실을 일부를 재단하고 배제하는 실천을 수행했다. 1995년의 옴진리교는 그러한 실천의 극단적 사례였다. 미타의 논의를 이어받은 아즈마 히로키는 1995년 이후의 시대를 ‘동물의 시대’로 파악한다. 거대서사의 종말 이후 욕구와 만족이 반복되는 회로 속에서 (오타쿠가 그러하듯) 욕구 충족을 위한 실천만이 남았다는 것이다. 오사와 마사치는 같은 시기를 시간적 타자로서의 미래가 사라진 시대 이후 현재의 자신을 부정하는 모든 타자를 캡슐화하면서 동일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서사가 불가능한 시대로 현재를 정의하며 ‘불가능성의 시대’로 부르고 있다. 이들의 연구는 꿈과 현실의 거리, 꿈의 내용, 꿈의 담지자, 꿈을 현실화하기 위한 실천 등을 중요한 분석 요소로 삼고 있음이 발견되며, 이것들은 1980년대 이후 한국 사회 청년들의 꿈의 변화 역시 설명하는 변수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다.

      • KCI등재
      • 안동인의 맥

        박해남 안동대학 안동사연구회 1986 安東史硏究 Vol.1 No.1

        인간이란 태어나서 사고를 가지게 된 후부터 생명을 다할때까지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이런 생각들은 크게 과거-현재-미래의 세부분으로 세분할 수 있다. 과거는 '우리가 어떻게 살아 왔는가' 현재는 '우리는 어떤 행동을 하고 있는가' 미래는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가'란 문제일 것이다. 그러나 이중에서 인간은 보다 더 과거에 얽매인 생활을 하면서 산다. 이는 우리 스스로가 사고하고 행동하는 것이 과거의 실적을 토대로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도시의 기억과 초국경적 교류협력: 독일 북동부 도시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해남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9 문화와 정치 Vol.6 No.4

        In Lüneburg, a city where tens of thousands of German immigrants from Eastern Europe settled down after World War II, there have been conflicts over the memory of East Prussia. But the historical memory has been positively changed over the last 20 years. Local intellectuals use the memory of East Prussia for the promotion of transnational cooperation. Based on this, they are engaged in the cultural and academic activities with the multiple cities of Eastern Europe. 역사를 둘러싼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오늘날, 교류와 협력을 위한 기억의 활용은 어떻게 이뤄질 수 있을까? 이 글은 기억의 공간이자 사람과 물자가 이동하는 공간으로서의 도시에 주목하여, 도시들이 초국경적 교류와 협력에 기억을 활용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한자동맹의 중심도시였던 뤼벡(Lübeck)과 동유럽거주 독일인들의 대량 이주 경험을 지닌 뤼네부르크(Lüneburg)라는 독일 북동부의 두 도시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들 도시에서 한자동맹과 동유럽으로부터의 이주에 관한 기억을 어떻게 변용시켰는지, 초국경적인 교류와 협력에 기억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독일 제2제국과 제3제국 시기 한자동맹은 독일인들의 제국주의적 확장으로 기억되었지만, 유럽연합(EU) 출범 이후 도시 간 상업네트워크이자 유럽연합의 선례로 기억되기 시작하였다. 뤼벡의 지역 지식인들은 한자동맹을 도시 간 교류와 협력의 네트워크로 재현하는 박물관을 만들고, 새로이 만들어진 한자동맹 네트워크를 주도하고 있으며, 한자동맹에 관한 초국경적 학술 네트워크를 조직하는 등의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2차 대전 시기부터 동유럽으로부터의 피난과 이주한 이들의 정착지였던 도시 뤼네부르크는 이들이 거주하던 동프로이센의 기억과 박물관을 둘러싼 갈등을 경험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지역의 지식인들은 동프로이센의 기억을 동유럽과의 교류와 협력을 위한 기억으로 변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동유럽 도시들과의 문화적 및 학술적 교류를 수행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발전국가 시기 사회정치와 부랑인의 사회적 배제

        박해남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19 민주주의와 인권 Vol.19 No.4

        This study seeks to explain what caused the cruel confinement and violence against the vagabonds during the developmental state period of 1961-1988. Unlike existing researches which argues that the developmental state allowed the horrible situation in order to make the vagabonds into ‘normal’ members of society, this study focuses on the aspect of social exclusion by the state and civil society. The state determined that the causes of social question in Korean society lay in the behaviour of its members. It carried out the behavioural reform, and the segregation of those who were determined to be a social evil by the government. Civil society was not a valid competitor to the state during the process of the social politics. This was especially with regard to vagabonds - they shared an idea of ‘social purification’ with the state. No social groups argued that the Korean society should include the vagabonds and give an opportunity them to be inserted into the society. The owner of Hyungje Workhouse didn’t try to change the inmates’ behaviour so that they could be reinserted society later. What the owner concentrated was to force the inmates to obey the order of the workhouse. The inmates were socially excluded for they lost all life chances and were totally segregated from the everyday life of wider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