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초임교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을 저해하는 학교문화에 대한 내러티브적 접근

        박한숙 ( Han Sook Park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7 교육인류학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연구 대상자로 교사 경력 3-4년 정도의 초임교사 3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중학년과 고학년 담임을 하는 가운데 통합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탐색하였다. 초임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통합해서 가르치는데 있어 대학에서 배운 이론과 학교 현실 사이에서 심한 괴리감을 가지고 갈등을 경험하며 특히, 그것을 실행해 가는 과정에서 시간, 환경, 관리자와의 관계 등에서 어려움을 강하게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을 이야기하고 나누는 가운데 교사들은 통합교육과정 수업 운영에 있어 자신의 위치와 역할을 재인식하게 되고 기존에 겪었던 갈등을 ‘교실 안의 장소’에서 ‘교실 바깥의 장소’로 가져 나와 보다 적극적이고 안정적인 통합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을 모색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는데 본 연구의 교육적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describe three beginning teacher`s experience 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8 months i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ing were three teachers on their first 3-4 years of teaching. Their first 3-4 years experience and its meaning are explained. Narrative inquiry was adopted to reveal the teacher`s whole school life developing and managing integrated curriculum in 3rd-6th grades. Data are collected and extracted from teacher journals, e-mail and open interviews. The data are classified into domain and taxonomic analysis and a series of systematized events. By the teacher`s retelling of their experiences, the events are confirmed and compil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eginning teachers have experienced deep estrangement between practice and theories. And they are faced with the problems organizing their time schedule, persuading colleague teachers and relating with administrators. They fit their behavior and thinking to their surrounding consequently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While the beginning teacher talking about their disagreements and troubles, they recognize their status and position in try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eventually solutions are found. The solutions are gained by revealing and talking about their secret story, which they confront in the school with peer teachers group, administrators and parents. They found their new role and a new understanding in managing classrooms in integrated curriculum.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is that narrative inquiry can be a useful method in exploring the field of classroom curriculum related to a beginning teacher`s experience.

      • KCI등재

        초등교사 인식에 근거한 교육공동체 개념 요인 탐색

        박한숙 ( Han Sook Park ),이상수 ( Sang Soo Lee ),김대현 ( Dae Hyun Kim ),황순영 ( Soon Young Hwang ),이유나 ( Yu Na Lee ),송연주 ( Yeon Joo Song ),권다남 ( Da Nam Kwo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교육공동체 활성화를 위하여,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공동체 구성 개념 요인을 이론적 연구와 통계적 방법을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교육공동체 구성 개념들을 연구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후, 기존 선행연구에서 핵심적으로 거론되는 교육공동체 구성 개념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추출된요인을 중심으로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초등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 411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공동체 구성 개념으로 4개의 구성 요인들이 규명되었다. 4개의 요인들은 ‘관계적 돌봄’, ‘민주적 참여’, ‘공유된 비전’, ‘연대적 협력’으로서, 초등교사들은 이론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여러 가지 교육공동체 개념 가운데 이 4개의 개념 요인들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또 다수가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초등교사들은 학교 내에서 진정한 교육공동체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관계적 돌봄’이 바탕이 되어 ‘민주적 참여’나 ‘공유된 비전’,‘연대적 협력’ 등이 활성화되어야 함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empirical analysis. In doing so, this study provided a better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community in elementary school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45 items for testing drawn by literature review were performed with 411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Kyung-Sang providence. Item data were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the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concep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consists of 4 factors through the factor analysis, that is relational care, democratic participation, shared vision, and solidarity-based cooperation. The four factors are interpreted that,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in elementary schools, relational care provides a basis to vitalize democratic participation, shared vision, and solidarity-based cooperation. Based on the review,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시험치기 전략 훈련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박한숙(Han-Sook Park) 한국열린교육학회 2004 열린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시험치기 전략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을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를 측정해 도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 C초등학교6학년 2개 반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설정하고 4주간 훈련을 실시하고 배운 기술을 실천할 수 있도록 실험 후 4주간 체크리스트로 점검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시험을 잘 준비하기위한 방법, 시간을 계획하고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 시험불안을 해소하고 극복하는 방법, 선다형문항과 주관식 문항을 푸는 방법, 시험문제를 푸는 요령, 시험을 치고 나서 그 결과를 분석하는방법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사법대학 교수 1인과 박사학위를 소지한 초등학교 교사 1인에의해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쳐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시험치기 전략 훈련 프로그램은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학습전략과 학습동기 부분에서는 유의미한 훈련 효과가 나타났으나 자아개념 부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시험치기 훈련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의 학업성적을 향상시켜 주었다. 학업성적 전체에 대한 유의미한수치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st-taking strategies trai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effects do the test-taking strategies training have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2. What effects do the test-taking strategies training have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is pretest-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is test-taking strategies training. The dependent variables are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wo basic subjects including Korean arts, and mathematics.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on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control group. Both groups consist of 34 elementary school 6th graders in Pusan, Korea. The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for eight wee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test-taking strategies training has partially positive effect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learning strategy and motivation domain was significantly improved, but self-concept of learning domain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Secondly, strategies has partially positiv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fore the training, academic achievements of experimental group and those of control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after the training, academic achievement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Based on above findings,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further studies. First, strategies training need to be implemented as an official curriculum to improve students' independent learning abilities. Second, specific subject-related strategies training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improve low leve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 KCI등재

        학습기술 훈련이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박한숙 ( Han Sook Par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기술 훈련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어떤 효과를 가져 오는지 밝혀 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3, 4학년 141명 4개 반이었으며 각각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8주간 40시간을 처치하였다.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이론적 배경 탐색 과정을 거쳐 외국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국내 관련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구안하여 전문가 협의회와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형성평가를 거쳐 완성되었다. 실험 결과, 학습기술 훈련은 아동들의 학습기술 사용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도 의미 있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능력들이 실제 수업 활동에 적용되어 궁극적으로 학업성취의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기술 훈련을 통해 형성된 학습 공간의 조직과 활용, 수업 태도의 교정과 적극성 확보, 과제 해결과 정보 처리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훈련 등의 활동이 학습을 해 나가는데 있어 적극적인 작용을 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udy skills trai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employed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1 children sampled from 3rd grade 70 and 4th grade 71 of elementary school. It took 8 weeks to implement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MANOVA on SPSSWIN program. The major finding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y skills training has positive effects on study skills using ability improvement of all year graders and subordinate elements. Second, study skills training has positive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potential improvement of all graders and subordinate elements, that is, learning strategy, motivation and learning concept made considerable improvement. Third, study skills training has partially positiv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Before the training, academic achievements of experimental group and those of control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academic achievements of language, social study and science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ut those of math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between groups except interaction each variables. In conclusion, above results implied that study skills program training in elementary school 3rd and 4th children played an essential role in improvement of study skills us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 학부모 및 학생 인식에 근거한 교육공동체 개념 요인 탐색

        박한숙(Park Han Sook),이대용(Lee Dae y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여러 가지 교육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적 방법으로 제안되는 교육공동체 개념에 대하여 이론적 및 통계적 방법을 통한 요인 탐색을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헌고찰 및 전문가 협의를 통하여 교 육공동체 개념 요인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요인을 중심으로 45개의 설문문항을 구성하고, 초등학교 교사, 학부모와 학생 1,0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28개 문항의 4개의 요인이 탐색되었다. 즉 탐색된 4개의 요인은 ‘공유된 비전’, ‘민주적 참여’, ‘공동체적 협력’, ‘관계적 돌봄’ 등 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교육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실증적이고 실제적인 이론 정립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empirical methods in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on elementary schools. The study analyzed the existing theories of educational community and extracted items which can explain the model of educational community. In doing so, this study provided a better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community in elementary school. 45 items for testing drawn by literature review were performed with 1,007 subjcts(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in B and K. Item data were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the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concep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consists of 4 factors through the factor analysis, that is shared vision, democratic participation, relational care, solidarity-based cooperation.

      • KCI등재
      • 초등 자기관리 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박한숙 ( Han Sook Park ),조동관 ( Dong Gwan Ch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자기관리 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설계는 실험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이며 연구도구는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검사도구로 Guglielmino(1997)의 자기주도적 학습 준비도 검사를, 그리고 자기효능감 검사도구로 Sherer 등(1982)이 만든 「General Self-Efficacy Scale」를 토대로 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수준과 자기관리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내용을 고려하여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기관리 기술 훈련은 16일에 걸쳐 매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기술통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t검증을 통한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자기관리 기술 훈련에 참가한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자기효능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를 t검증을 해본 결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의 학습열성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효능감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단기간의 자기관리 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결론은 내릴 수 없으나 보다 장기간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on elementar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elf-efficacy with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 how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influences elementar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b) how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influences elementary students` self-efficacy. Data were from two sixth-grade classes consist of 56 students in O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Korea. Two adopted tes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Guglielmino, 1997)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Sherer, 1982) were used in the study considering the study participants` developmental level and contents of the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Th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had been trained self-management skill sixteen times and tested after the training while the students in control group had not been trained.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had been done for 16 consecutive school days, an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in SPSS 12.0.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on both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elf-efficacy. However, T-test showed that training brought positive change on learning eagerness of self-directed leaning attitude and self-control efficacy which is subordinate of self-efficacy in experimental group. Result also urge the long-term training and future research on self-management skill although this study showed that short-term training of self-management skill h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초등학교 중학년용 학습기술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박한숙 ( Han Sook Park ),설양환 ( Yang Hwan Sol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중학년용 `학습기술 검사`를 개발하는 과정으로 객관적인 문항검증과정과 타당도, 신뢰도 검증 과정을 통해 과학적인 학습기술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총 374명이었으며, 남자가 211명, 여자가 175명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문항의 양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자기관리 기술, 수업참여 기술, 과제해결 기술, 시험관리 기술 그리고 정보처리 기술의 5개 요인과 50개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들 요인들의 내적일관성 신뢰도는 Chronbach α 계수로 .718에서 .769사이였고 동형검사 신뢰도로는 .795에서 .879로 만족스러운 수준이었으며 하위 영역간 상관도는 .231-.452 사이로 서로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긴밀한 상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중학년용 학습기술 측정도구의 객관화를 위한 첫 시도로서 매우 의의가 있으며, 이후 이를 바탕으로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교육청 혹은 국가 수준에서 지원센터 개설 등을 통해 학습기술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udy Skills Inventory for middle grades student in primary school in Korea. The factors and items of this test were developed and categorized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of Gall & Gall(1990), Wang(2005) and so forth. The content validity of 189 items was examined by professional group including 2 professors, doctoral student 1, expert professional of developing curriculum 2, teacher of elementary school 2. 189 items for testing were performed with 374 students of six elementary schools in 3 cities, Seoul, Busan and Gwangju. Item data were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Study Skills Inventory consists of 5 factor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at is `self-management skills`, `class-participation skills`, `assignment solving skills`, `test-taking skill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Second, 50 items were involved with 5 factors in SSI(Study Skills Inventory) through analysis factors and the proving validation proces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respectively. Cronbach`s α ranged from .825 to .718 and parallel-form reliability ranged from .879 to .795. Third, the model fit, GFI, NFI, RMSEA was satisfied with the standar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conclusion, the newly developed SSI has acceptabl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and it can be used in future middle grade student in elementary school.

      • 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통합교과 실습 수업지도 경험에 대한 자서전적 연구 : 미운 오리새끼

        박한숙(Park, Han-Sook)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19 교육실습연구 Vol.1 No.1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실습지도 경험에 대한 나의 자서전적 연구이다. 나는 14년 동안 대학교수로서 상설 실습학교인 부설초등학교에서 매 실습 때마다 통합교과 수업을 지도하여 왔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Pinar의 자서전적 연구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4단계를 사용하였다: 회귀(regressive), 진보(progressive), 분석(analytical), 종합(synthetical).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들은 통합교과 수업을 질적으로 분석한 논문, 수업지도안 코멘트, 수업지도와 관련하여 교사들과 주고받은 이메일, 수업동영상, 협의회회의록 등이었다. 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나는 다시 과거로 돌아가서 수업지도와 관련된 나의 과거 사건들을 회상하였고, 이것들이 미래에 어떻게 바람직하게 존재하여야 할지 고민하였다. 그 과정에서 나의 교수로서의 삶이 ‘미운오리 새끼’였다는 생각을 하고, 나를 실습수업 지도에 대한 이상은 강하나 현실에 적응하지 못한 존재로 규정하였다. 향후 이 미운오리새끼는 변화가 더딘 학교현실을 인정하고, 다른 오리들과 화합하고 소통하며, 서로의 발전을 위해 살아가야 할 존재로 마무리 지었다. This study is autobiographical study on my experience of guidance integrated instruction in Affiliated School to the College of Education. I have given personal guidance to the integrated instruction teacher for 14 years in teaching practice college. This study’s method is Pinar(1975, 1994)’s 4 stages: regressive, progressive, analytical, synthetical. I described my life as guidance professor based on my article, lesson plan by made teacher, my comments, e-mail received by teacher, clips on instruction, proceedings of instruction conference etc.. I recollected my past events through back to the past based on theses materials and I suffered mental anguish on desirable existence of integrated instruction in the future. In these process, I realized I was the ‘ugly duckling’. Upcoming the Ugly Duckling should be live with communication to the teacher and be harmony to the organization school for more development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