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창의성 및 사회창의성이 창의적 산출에 미치는 효과 분석

        박춘성(Park, Choonsung),김진철(Kim, Jincheol)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6 창의력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개인창의성과 사회창의성이 창의적 산출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목적으로 연구를 하였다. 개인창의성, 사회창의성간의 관계에 따라 3가지 모형(기본모형, 부분매개모형, 완전매개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창의적 압력의 참여 여부에 따라 2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기본모형, 부분매개모형의 적합도가 높 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 압력 실천 집단의 개인창의성, 사회창의성의 관련이 정적이었고, 불참집단의 관련성은 부적이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개인창의성이 산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사회창의성과 함께 산출변인에 영향을 미치며, 창의적 압력이 가해지면 개인창의성과 사회창의성은 정적인 관련을 갖지만, 창의적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개인창의성은 사회창의성과 부적인 관련을 갖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how individual creativity and social creativity influence the output variables of creativity, which is based on empirical analysis. The research data was gathered from 445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through a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lso aimed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structural models, using AMOS 21.0.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or the first, it showed high goodness of fit between basic mediating model and a partially mediating model. Next, it indicated creative pressure group had a positiv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creativity and social creativity, whereas nonparticipation group had a negative relation between those. Moreover, it gives us a lesson that individual creativity is cultivated in an adequate atmosphere, which needs to be applied in a school educational setting. It is concluded that we should try to build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such as learning communities, which has a more positive influence than teacher’s creativity in creative output.

      • KCI등재

        학교기반 영재판별과 연구기반 영재판별에 대한 실증적 분석

        박춘성(Choonsung Park),김동일(Dongil Kim)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1

          One of the most troubling issues confronting teachers of the gifted is the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School based identification is usually used methods in school system. The identification process at the classes for the gifted includes the review of the results of ability and achievement tests to place students with high scores. In this research called this methods "School based identification". Research based identification process is operational definition on this research. If Intelligence test, Math test, Sci test are same time 20% upper, then research based identification gifted children.<BR>  The main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BR>  1. Do school based identification, research based identification precisely rate gifted population?<BR>  2. What is the main effect of the school based identification, research based identification process?<BR>  The participants were 36 gifted children from gifted schools, 42 regular students from the ordinary schools.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in term of descriptive statistics, logistic regression. <B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BR>  First, the effect of intelligence test and creative test are important for identification for gifted child.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cores of intelligence test, creative test, standardized test showed higher in gifted group than the general group.   본 연구는 학교 영재판별 방법에 의해 선발된 학생들이 영재교육관련 연구에 비추어 영재로 판별 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학교기반 영재판별과 연구기반 영재판별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였고 영재학급 두 학급과 일반학급 한 학급을 표집하여 지능, 국어, 수학, 과학, 창의성 자료를 수집하였다.<BR>  연구기반 영재는 지능, 국어, 수학, 과학, 창의성이 각각 상위 20%에 속하는 집단으로서, 어떤 한 변인이라도, 규준기준으로 상위 20%안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영재가 아닌 것으로 정의하였다. 학교기반 영재는 영재학급에 입급된 경우 영재로 판별하고 일반학급 학생은 영재가 아닌 것으로 구분하였다.<BR>  분석결과 학교기반 영재는 지능, 국어, 수학, 과학, 창의성의 평균점수가 상위 10%에 포함되었다. 연구기반 영재가 학교기반 영재에 비하여 평균 점수가 높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학교기반 영재의 판별 정확성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표를 작성한 결과 학교기반 영재로 분류한 학생의 71%가 연구기반 영재로 분류 될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기반 영재의 분류 정확성은 71%였다. <BR>  연구기반 영재판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기반 영재판별에는 창의성과 지능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학교기반영재의 경우에는 지능과 창의성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에서 영재판별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창의성과 지능의 판별 가중치를 높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창의ㆍ인성의 특성과 학교에서의 발현을 위한 방안 탐색

        박춘성(Choonsung, Park)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0 창의력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창의ㆍ인성 교육의 의미와 의의를 살펴보고, 대두 배경이된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창의ㆍ인성 교육이 학교현장에 구현되기 위해서 필요한 제반 조건들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창의ㆍ인성 교육은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교육의 방향이며, 궁극적으로 학교 현장의 변화를 견인하고자 하는 실제적인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창의교육과 인성교육이 별개의 내용으로 교육된 문제점을 집어보고, 이 문제점의 대안으로서 창의ㆍ인성 교육의 대두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학교에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veal the evolved of personality education in korea and argue the alternative approach of creativeㆍcharacteristic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is a important part to child development. Character Education is a national movement creating schools that foster ethical, responsible, and caring young people by modeling and teaching good character through an emphasis on universal values that we all share. It is the intentional, proactive effort by schools to instill in their students important core, ethical values such as respect for self and others, responsibility, integrity, and self-discipline. But unlike other lesson plan, personality education have many problems. Many other country have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world, because personality education is important. In our society must educate a child for personality educaion to preparation future society. Alternative approach is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The concept of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as a alternative approach is need and solve the problem in korea education. Conducting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or character building is not easy, so needed many energy. Teachers often struggle with how to get students to achieve at a higher level. CreativityㆍCharacter education made it up to higher level achievement.

      • KCI등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창의성, 지능, 학업성취 관계분석

        박춘성(Choonsung, Park)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8 창의력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창의성, 지능, 학업성취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들 간의 관련을 밝히는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영재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을 표집하고 이들에게 TTCT 언어, TTCT 도형, 지능, 표준화 학업성취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영재학급은 창의성, 지능, 학업성취 간에 별다른 상관이 없는 반면, 일반학급은 이들 간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의 역치이론을 검증하기 위해서 지능 130을 기준으로 나누어 창의성, 지능, 학업성취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능 130 이상의 집단에서는 이들의 관계가 거의 없는 반면 130 이하의 집단은 이들의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창의성의 역치이론이 확인되었으며, 영재집단은 지능, 창의성이 모두 높은 집단이기 때문에 특별한 교육적 처치가 있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nature of creativity threshold effec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0 elementary school students(gifted and nongifted). For this study, investigator use TTCT for measuring creativity,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especially language, science, secondary language(english) and mathematics.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found differently across the creativity continuum. This result was similar aspect from the findings that reported by Barron’s results. This paper provides empirical support for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 that this relationship appears to differ across the intelligence continuum.

      • KCI등재

        교사용 유아 리더십 검사 개발을 위한 1차 타당화 연구

        이경화(Kyunghwa Lee),김윤경(Younkyung Kim),박춘성(Choonsung Park)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9 창의력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교사용 유아 리더십 검사를 개발하고 표준화 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타당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쳤다. 첫째, 문헌분석을 통해 유아 리더십의 개념을 정의하고, 측정 구인을 검토하여 전문가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유아 리더십에 대한 구인을 확인하였다. 둘째, 이를 기반으로 문항 개발 후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고 예비 검사 실시 후 문항의 보완, 수정 과정을 거쳐 133문항을 확정하였다. 개발된 검사는 3개 차원, 7개 하위영역, 25개 요소이며, 각 차원은 영역을 포함하는 형태로 창의적 리더십, 셀프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으로 구성되었다. 창의적 리더십은 창의적 능력, 인지적 능력, 의사결정력을, 셀프 리더십은 자기관리와 건설적 사고를, 서번트 리더십은 타인존중과 공동체배려를 포함하였다. 셋째, 교사용 유아 리더십 검사의 타당화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지역 6, 7세 1,046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의 신뢰도(Cronbach α)를 확인하였으며(전체 신뢰도 .99, 창의적 리더십 .98, 셀프 리더십 .96, 서번트 리더십 .96), 타당도 확인을 위하여 구인들 간의 상호상관관계(.70∼.94)와 확인적 요인분석(적합도 지수 NFI 0.903, CFI 0.911, NNFI 0.900)을 실시하여 구인들 간의 관련성을 설정하고 다양한 적합도 지수를 알아본 결과 양호한 적합도를 보여주었다.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교사용 유아 리더십 검사의 구조 모형과 검사도구는 대체로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사용 유아 리더십 검사는 유아의 현재 리더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으로 인해 앞으로 유아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important to screen leadership at the level of infants schools. Because screening and measure of leadership is linked to program eligibility, developing an assessment tool for leadership is an important step to serve this population.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leadership scale for infants schools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46 students from 6 to 7 year infants and their teachers. Drawing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leadership ability domains were conceptualized and the Scale was developed. Although the areas to be assessed are similar for all students, for infants, the assessment techniques and tests require special characteristic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eachers' leadership scale were validated. 2. Infants leadership sub-variable were identified. In conclusion, even 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 in research desig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eadership Scale is a useful tool for infants education. Despite some limitations, the present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developed an effective measurement tool to enhance leadership education for infants. It also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stimulus to further study on leadership education for infants.

      • KCI등재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신혜경(Shin, Hyekyong),정광조(Jung, Kwangjo),박춘성(Park, Choonsung)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6 창의력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에서 실시된 유아 창의성 관련 논문들 중에서 종속변인이 창의성이고 독립변인이 미술, 음악, 신체활동 등인 76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R을 이용한 메타분석을 통해 전체 76편의 평균 효과크기와 각각의 독립변인별로 미술, 음악, 신체 활동 연구들에 대한 평균 효과의 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76편의 창의성에 대한 전체평균 효과의 크기는 1.00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인별로는 미술(SMD=1.12), 신체 활동(SMD=0.88), 음악(SMD=0.78) 중에서 미술 창의성 프로그램의 평균 효과의 크기가 1.12로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평균 효과의 크기의 이질성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미술, 음악, 신체 활동 외의 독립변인에 대한 평균 효과의 크기를 산출함과 동시에 프로그램 기간 등에 따른 효과 크기를 메타 회기 및 메타 아노바 분석 등을 실시하여 이질성의 원인을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Education to enhance creativity is being maximized around the world, it can be an important task to synthetically analyze the creativity researches, especially those for enhancing creativity. Being creative is effect from creative program as the necessary con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tically analyze the effect of creativity programs using meta-analysis. This study was analysed type of program that used in research on develop the creativ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licited mean effect sizes from 20 dissertation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of creativity programs was.6,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rogram and creative is moderate level of effect. But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rogram and other variable(except creative test) is more bigger. Effects of creativity programs varied considerably according to the their subject.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And suggested the creative program applicated activity that accessible within the kindergarten level curriculum to promote young children’s creative ability.

      • KCI등재

        장애예술영재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 인식 연구

        김동일(Dongil Kim),홍성두(Sungdoo Hong),박춘성(Choonsung Park)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1

        본 연구는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서 장애예술영재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 인식을 조사하였다. 장애예술영재의 추정비율, 선별시기, 교육시작시기, 교육범주, 교육지원체제의 필요성, 핵심과제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 334명과 특수교육요구아동의 학부모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교사와 학부모들은 장애학생 중 장애예술영재의 비율은 약 1-5% 사이로 추정하고 있었고, 음악과 미술을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한 주요 범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차별화된 교육과정과 개인사사제도를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해 필요한 핵심과제와 교육체제로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한 전문교원 양성이 필요하고 교사 연수시 장애영재에 대한 이해교육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parent’s perception about disabled arts talented. We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disabled arts talented. The responses of 334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100 parent were analyzed for crosstabs. The finding were as follows: (1) teacher and parent estimated the rate of disabled arts talented were 1-5%; (2) They recognized music and fine arts were major educational subjects; (3) adaptive curriculum and individual tutor were core task and system of education for disabled arts talented; (4) we needed to train teachers for disabled arts talented and to teach the trait of disabled gifted to teachers.

      • KCI등재

        초등학교 중학년의 창의성 교육 혁신 방안 연구

        이경화(Kyunghwa Lee),성은현(Eunhyun Sung),최병연(Byungyeon Choi),박춘성(Choonsung Park),전경원(Kyungwon Jeon),하종덕(Jongduk Ha),한순미(Soonmi Ha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9 창의력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중학년(3~4학년)의 창의성 교육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창의성 교육의 혁신방안을 마련하여 교육과정 개선작업에 도움을 주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 4학년의 교육과정과 국어, 수학, 과학 교과목에서 창의력 계발 목표, 수업활동 및 평가 등을 1단계로 분석하였으며, 2단계로 250여명의 현직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성 교육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창의성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교과별 창의성에 대해서 교사의 인식, 교수ㆍ학습 방법, 그리고 평가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교사교육과 교수ㆍ학습 프로그램 및 평가 프로그램 등의 자료개발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학교교육과정에서 다루게 되는 창의성의 요소들은 매우 한정적이고, 교사들은 창의성의 중요성은 인식하지만 교사의 창의성 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 수업방안, 평가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과서 개정,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의 구안을 비롯하여 창의성 교육을 위한 전반적인 교육과정 개선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uide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3rd-4th graders to improve creativity. The curriculums of Korean language, Math, and Science and the survey data of 250 teach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s of teachers about teaching and evaluation methods and program developments to enhancing students' creativity were needed. Second, resource systems to supporting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such as lesson plans and experts of creativity education were needed. Finally, it is urgent to revise the curriculum to improve students' creativity, including text 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 KCI등재

        사진치료 연구의 효과 분석

        신현자(Shin, HyunJa),원혜숙(Won, HyeSook),정광조(Jung, KwangJo),박춘성(Park, ChoonSung)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1 Global Creative Leader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부각 되기 시작한 국내 사진치료 연구들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04년부터 2020년까지 사진치료를 주제로 한 국내 학술지와 석⦁박사 학위 연구 중에서 선정 기준에 적합한 양적 연구 총 16편으로 이들의 종속 변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사진치료 전체 연구물들의 평균효과 크기는 .95로 큰 크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속 변인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평균효과의 크기는 .89 그리고 효능감에 대한 평균효과의 크기는 1.07, 마지막으로 자기의식, 자아 탄력성, 자기지각, 자기조절에 미치는 평균효과 크기도 1.29로 나타나 큰 크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질성 정도에서는 자아존중감이 이질성의 크기가 작아(Q = 15.50, df = 14, I²= 9.7%, p=.001) 자아존중감의 효과가 일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진치료가 증거-기반의 실제로 상담기법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국내 사진치료 연구의 종속 변인 효과성 크기만을 분석하였고 독립변인의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과 출간오류가 있다는 점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독립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및 출간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다양한 메타분석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hototherapy studies in Korea that have recently begun to emerge.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n their subordinate variables from 2004 to 2020 with a total of 16 quantitative studies that conformed to the selection criteria among domestic academic journals, master s and doctorate studies on phototherapy. Studies show that the average effect size of all domestic phototherapy studies is 0.95, which is high the average effect size for self-respect is 0.89, the average effect size for efficacy is 1.07, and the average effect size for self-consciousness self-awareness and self-control is 1.29, which is large. However, at the degree of heterogeneity, self-esteem is small (Q=15.50, df=14, I==9.7%, p=.001) The effect of self-respect was consistent. These results show that phototherapy can be applied as one of the evidence-based counseling technique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only the size of the effectiveness of the dependent variable of domestic phototherapy studies was analyzed and there was no analysis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publication errors. In subsequent studies, various meta-analysis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hat can correct meta-analysis and publication errors for independent variables that have not been address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