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지취득법상 협의에 대한 고찰

        박창석(Park, Changseok) 한국부동산법학회 2009 不動産法學 Vol.16 No.-

        우리 헌법에 의하여 토지재산권은 보장되지만, 토지가 가지는 사회적 구속성으로 인하여 법정의 요건을 갖춘 경우 '정당한 보상'을 전제로 그에 대한 공용침해가 정당화될 수 있다. 공익사업용 토지의 취득수단으로써는 민법상의 임의매수 방식에 의한 매매가 가장 일반적이고 무난한 방법이지만,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불가능한 경우 토지취득보상법은 강제취득의 근거를 두고 있다. 토지취득보상법상의 협의는 결국 수용절차 개시전의 협의취득과 사업인정 후의 협의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수용절차 개시전의 협의는 공익사업에 필요한 토지 등을 사업시행자가 토지소유자 등과 협의에 의하여 토지 등을 취득하는 것으로서 사업인정전 토지 등의 취득을 말하며, 이는 사법상 계약을 목적으로 한다. 공익사업에 필요한 토지 등은 비록 강제수용에 의하여 취득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사업시행자가 토지소유자 등을 상대방으로 협의에 의하여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업인정이 있기 전에 토지 증을 취득하여 공익사업에 착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사업의 원활화를 위해 필요하다. 이러한 협의에 의하여 사법상의 계약이 성립되면 계약내용대로 그 효과가 발생할 것이나, 그 공익적 성격으로 인하여 목적물ㆍ손실보상ㆍ보상액산정기준ㆍ채권보상ㆍ환매권 등에 있어서 수용에 의한 취득시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사업인정 후의 협의는 협의(Einigung)란 사업인정의 고시가 있은 후에 사업시행자가 수용할 토지 등에 관한 권리를 취득하거나 소멸시키기 위하여 토지소유자 및 관계인과 의논하여 이루어진 합의를 말한다. 즉, 협의는 수용 또는 사용할 토지 등의 범위와 사용방법ㆍ수용 또는 사용의 개시일과 기간ㆍ손실보상 등에 관한 사업시행자와 피수용자 사이의 교섭행위를 말한다. 이 협의는 공용수용에 있어서 제3단계의 절차이며, 이 협의가 성립된 경우에는 그것으로 공용수용절차는 종결되고 그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토지취득을 위한 절차 중 이러한 협의를 대상으로 하여 협의취득에서의 협의와 강제취득절차로서의 협의의 내용 및 차이점을 살펴 본다. The property rights of the citizen is guaranted by constitution, but the acquisition of land is permitted for public use. The acquisition of land for public use is the system, which take a person into custody property rights such as lands etc. for specific public works. So, the acquisition of land for public use follows in the process which the law decides and it does. For this purpose, 'ACT ON THE ACQUISITION OF LAND, ETC. FOR PUBLIC WORKS AND THE COMPENSATION THEREFOR' is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Act is to ensure a promotion of public welfare and a pertinent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through an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public works, by prescribing matters for indemnity of any loss incurred by the acquisition or use of the land, etc. required for the public works through consultations or expropriation. Consultation is middle of procedure of acquisition of land for public use. Consultation is devided into two parts. They are prior Consultation and post Consultation. If the Consultation broke down, Expropriation decision is the final stage to expropriate other's properties compulsorily for public use. In this study, the legal nature of the Consultation will be investigated.

      • KCI등재

        [철회논문]기본권으로서의 장애인의 이동권

        박창석 ( Park Changseok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8 No.4

        인간은 교통약자로 태어나 교통약자인 장애인으로서 삶을 마감한다. 이동은 원활한 사회활동을 위한 개인의 고유기능이며, 사회는 각 개인의 이동과 이동에 다른 제 활동에 의하여 유지된다. 따라서 이동의 권한을 확보하고 증진을 도모하는 것은 인간의 고유한 권리이며 평등의 척도로서 작용하며 그 보장을 통해 사회의 통합에 기여하는 근본적인 문제이다. 헌법 제10조는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보장하고 있으며 헌법 제11조는 제1항에서 평등권을 규정하고 있다. 나아가 헌법 제34조는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와 함께 신체장애자 및 질병·노령 기타의 사유로 생활능력이 없는 국민에 대한 국가의 보호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나 이같은 헌법 규정에 근거하여 장애인이 어떠한 권리를 보장받고 어떤 수준의 급부를 국가에 요구할 수 있는지 불명확하다. 헌법재판소는 사회적 기본권으로서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는 법적 성격상 장애인의 복지를 향상해야 할 국가의 의무가 다른 다양한 국가과제에 대하여 최우선적인 배려를 요청할 수 없으며 헌법의 규범으로부터 장애인을 위한 저상버스의 도입같은 구체적인 국가의 행위의무를 도출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인간의 존엄성’은 개인의 자유와 더불어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로 대표되는 사회적 기본권을 보장함으로써 실현되지만 장애인의 이동의 자유는 향유의 측면에서 고립과 단절의 위치에 오랫동안 놓여 있었다. 도로 및 건물은 장애인의 진입과 퇴거가 용이하지 않는 배제의 상태로 존립하여 왔고, 대중교통수단의 경우에도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기엔 부족한 제도와 환경 속에 방치되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는 적극적인 장애인운동으로 이어졌으며 장애인들은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받기 위해 기존의 권리개념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이동권’이라는 헌법이 예정하지 못한 형태의 권리를 고안해 냈다. 장애인의 이동권이란 장애인이 교통수단, 여객시설 및 도로를 비장애인들과 차별없이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권리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동권의 개념은 일상생활속에서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시설물을 제한없이 이용할수 있는 기본적인 권리인 접근권의 개념과 함께 구체화되었다. ‘접근권’이란 이동에 필요한 보행, 도로 그리고 지하철을 포함한 모든 대중교통수단에서부터 정보통신시설 및 공공건축물에서 주거에 이르기까지, 생활속에서 반복사용하는 생활필수 시설을 장애인이 접근·이용하는 데 지장이 없는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는 권리이다. 접근권의 확보를 위해 법률은 ‘편의시설’을 통해 권리 보장의 구체적인 방법을 정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편의시설’이라함은 장애인을 비롯하여 활동에 제약을 받는 사람들이 여러가지 시설을 이용할 때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당사자들이 사회 적응에 대한 불편을 제거 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기구나 시설, 설비를 말한다. 즉, 장애인 등이 비장애인과 차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설을 의미하며, 사회적 불리함(handicap)을 인적·물적·사회적자원의 이용과 협력을 통해 가능한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복지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일반적 행동자유의 영역에서 스스로 독립적으로 생활하며 사회구성원으로서 공동체속으로 동화·통합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 중 필수적인 요소가 법적으로 장애인의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Humans, who are natural people, are born as transportation vulnerable and end their lives as disabled people. Movement is an individual's unique function for smooth social activities, and society is maintained by different activities for each individual's movement and movement. Therefore, securing and promoting the authority to move is a fundamental problem that acts as a measure of equality and contributes to the integration of society through the guarantee.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guarantees “the right to pursue dignity, value, and happiness as a human being,” and Article 11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e right to equality in paragraph 1. Furthermore, Article 34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e right to live a human life, as well as the state's duty to protect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diseases, old age, or other reasons, but it is unclear what rights the disabled can guarantee and what level of benefits the state can demand.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ed that the right to live a human life as a basic social right cannot, due to its legal nature, demand top priority consideration for various national tasks, and derive specific national obligation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low-floor buses for the disabled. Human dignity is realized by guaranteeing the basic social rights represented by the “right to live a human life” along with individual freedom, but the freedom of movement of the disabled has long been in a position of isolation and disconnection in terms of enjoymen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roads and buildings have existed in a state of exclusion that is not easy for the disabled to enter and evict, and that even in the case of public transportation, they have been neglected in insufficient systems and environments to ensure free movement. This led to an active movement for the disabled, and in order to ensure a human life, the disabled devised a form of rights that could not be explained by the existing concept of rights. The right to move of the disabled can be defined as the right of the disabled to move by using transportation, passenger facilities, and roads without discrimination from non-disabled people. The concept of the right to move was embodied along with the concept of access, a basic right for everyone, including the disabled, to use facilities without restrictions in everyday life. The “right to access” is the right to live in an environmen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access and use of essential living facilities repeatedly used in daily life, from all public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walking, roads, and subway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and public buildings. In order to secure access rights, the law stipulates specific methods of guaranteeing rights through ‘convenience facilities’. The term “convenience facilities” here refers to organizations, facilities, and facilities to solve the difficulties fac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stricted activities when using various facilities and to eliminate or minimize inconvenience to social adaptation. In other words, it refers to a facility that allows the disabled and others to work without recognizing the difference from the non-disabled, and plays a role in reducing social disadvantages as much as possible through the use and cooperation of human, material, and social resources. The most desirable form of welfare means that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live independently in the realm of general freedom of action and assimilate and integrate into the community as members of society, and an essential element of the way to realize this is to create a system to legally guarantee freedom of movement.

      • KCI등재

        온라인게임 셧다운제의 위헌성여부에 대한 검토

        박창석(Park, ChangSeok) 한양법학회 2012 漢陽法學 Vol.23 No.1

        A large number of Korean children and teenagers are addicted to internet games. Some of them often play games until late at night. Game Addiction is a serious problem in Korean society. As a consequence, the Korean government has announced firmer measures to control and prevent online game addiction. The highlighting point of the measures which the government has proposed was a restriction on the youth people under the age of 16 to prevent them from logging on to the certain online game sites from p.m. 12 to a.m. 6. This is called ‘Online Game Shutdown System’. When this policy began, there was much dispute. But, there’s a strong argument for it is unconstitutional and useless. Someone says, this policy doesn’t have a hope of preventing children’s game addiction. First, foreign made games are excluded from the policy. If one could not play Korean games in night time, one will play foreign games that one can play any time. Therefore, this policy may also make the Korean games industry go bankrupt. Second, students could play games anytime by using other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This policy restraint students playing games by checking their social security numbers, but students could use their parents’ numbers. Some students will hack other peoples’ IDs. And there are claims that it is highly likely that this system is in breach of the constitution. That is first, the system infringes upon youth’s right to pursue happiness, especially right to play games. Second, the system violates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family autonomy, or infringes upon parents’ right to educate and foster children. Third, the system infringes upon online game publisher’ right to equal protection by discriminating online game publishers from arcade game, video game, pc game, mobile game publishers without reasonable rationales. But, I think that the government’s shut-down policy on online internet games is a wise decision and constitutional. Because, most importantly, the majority of these games are very violent even for adults. Playing computer games too much is not good for them in many ways. They may be harmful for children’s mental health. Also, playing them can lead to physical health problems. It could easily affect students’ performances at school. What’s more, Internet games can ruin social relationships, for example, with their family members and friends. The Internet game shutdown policy is really a necessary measure for both children and teenagers. It is extremely hard for them to control themselves, especially when it comes to games, playing and anything that is fun and I strongly believe that adults should do something to help them fix their Internet game addiction. I am confident that the Internet game shutdown policy is the answer to the call. I hope the government comes up with more realistic, effective and reliable measures to help solve this huge social problems in Korea: game addiction. And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especially right to play game, parents’ right to educate and foster children can be guaranteed in limited doses. Futhermore online games are stand apart from other games. So, it is not discrimination that government differentiate between online games and other games by the online game shutdown policy.

      • KCI등재
      • KCI등재

        미국 입법학연구를 통한 우리입법체계의 구체적 개선방안

        박창석 ( Park Changseok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8 No.2

        미국의 입법학 연구범위는 입법을 하는 의회와 입법이 이루어지는 과정뿐만 아니라 입법을 통한 실정법과 실정법을 해석하는 방법론 및 그 해석 원칙에까지 미친다. 다른 법학 분야와 마찬가지로 제정법과 법이론, 그리고 판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실용적 접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미국 입법학의 연구대상은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은 입법학 연구와 관련해 입법절차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다. 엄격한 권력분립원리(separation of powers)에 기초하여 연방과 주 모두 의회가 입법작용의 중심에서고 있다. 권력분립의 원리는 연방헌법으로 하여금 입법, 행정, 사법이라는 세 개의 권력을 각기 독립된 국가기관에 배분하도록 유도하고, 이러한 시스템은 각 주의 통치구조에도 동일하게 작동되고 있다. 입법절차를 통하여 생성된 법이 정당성을 가지려면 입법절차 그 자체도 합헌성과 합리성이 요구된다. 입법절차의 왜곡은 민주주의를 가장한 법실증주의의 지배를 불러오게 된다. 그러므로 입법절차의 어느 단계에 투입이 제한되거나 절차적 흐름이 막히는 경우 법은 당초의 입법목적을 벗어나게 될 우려가 많다. 따라서 법의 내용적 측면에 대한 해석뿐만 아니라 법이 변화되는 절차적 측면에 있어서도 그 해석의 기준이 필요하다. 미국의 연방과 주는 엄격한 권력분립에 바탕을 둔 공통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연방헌법은 입법절차를 구체적으로 규율하고 있지 않고, 입법권의 소재, 입법기관인 의회의 구성방법, 대통령의 거부권과 법률의 효력발생에 관한 일반적 규정만을 두고 있다. 연방헌법은 구체적인 입법절차가 상원과 하원, 그리고 양원에 속한 위원회(committee)나 소위원회(subcommittee)의 규칙(rule)에 의하여 정해지도록 허용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실질적 의미의 입법행위는 개별 국가기관에 맡겨져 있다. 미국 연방헌법 제1조는 “이 헌법에 규정된 모든 입법권은 연방의회에 부여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연방헌법의 요구에 부응하는 입법절차를 통하여 제정된 법률에 대하여는 ‘최고법의 지위’가 부여된다. 연방의회는 연방정부의 정책형성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연방헌법은 ‘necessary and proper clause’를 통하여 연방의회가 입법에 있어서 광범한 재량을 행사하도록 여지를 남겨 두었다. 또한, 연방에 대하여 주의 권한의 근거가 되는 수정헌법 제10조는 연방의회가 행사하는 입법권의 범위인 동시에 한계로 작용되어 연방헌법에 연방의 권한으로 명시되지 않은 부분은 원칙적으로 주의 관할로 인정된다. 개별 주의 입법부인 의회도 일반적으로 하원과 상원의 양원제도를 채택하고 있고, 주지사가 있기 때문에 개별 주에서의 입법과정도 연방의 입법절차와 유사하다. 다만, 연방과 주, 그리고 각 주마다 구체적인 입법절차가 다양한 규칙에 따라 정해지므로 각각의 규칙제정의 사례는 비교고찰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최근 미국 입법학의 발전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것은 주헌법에서 나타나는 입법절차에 관한 상세한 규칙의 등장이다. 여기에는 입법평가위원회제도, 법안수정의 시기와 방법에 일정한 한계를 설정하여 순수하게 절차만을 규정하거나, 개별 법률(private act)의 금지 및 제한, 법안표제의 명확화 등 법안내용을 규율하는 등 입법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규칙제정이다. The scope of U.S. legislative research extends not only to the legislative Congress and the process by which legislation takes place, but also to the methodology and interpretation principles through legislation. Like other legal fields, it is a practical approach to comprehensively examining legislation, legal theory, and precedents. As such, the subjects of U.S. legislature are diverse. The United States is discussing legislative procedures in relation to legislative research. Based on the strict separation of powers, Congress is at the center of legislative action in both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encourages the federal constitution to allocate three powers: legislation, administration, and judicial power to independent state institutions, and the system works the same for each state's governance structure. In order for the law generated through the legislative process to have legitimacy, the legislative process itself requires constitutionality and rationality. The distortion of the legislative process leads to the rule of legalism under the guise of democracy. Therefore, if input is restricted or procedural flow is blocked at any stage of the legislative process, the law is feared to deviate from its original legislative purpose. Consequently, a basis for interpretation is needed not only for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 aspects of the law, but also for the procedural aspects in which the law changes. The Commonwealth and States of the United States take a common form based on strict separation of powers. The Federal Constitution does not specifically regulate legislative procedures, but only general regulations concerning the whereabouts of legislative powers, how Congress constitutes legislative bodies, presidential vetoes, and the effectiveness of laws. The Federal Constitution allows specific legislative procedures to be set by the rules of the Senate, House of Representatives, and committees or subcommissions in both chambers. In reality, legislative action in the practical sense is left to individual national institutions. Article 1 of the U.S. Federal Constitution states that “all legislative powers prescribed in this Constitution are vested in the Federal Assembly.” Legislation enacted through legislative procedures that meet the needs of the Federal Constitution is given a “highest legal status”. Congress plays a central role in shaping federal policy. The Federal Constitution left room for Congress to exercise wide discretion in legislation through the necarious and proper clause. Furthermore, the 10th Amendment, which underlies the state's authority over the Union, is both the scope of legislative power exercised by Congress and the extent to which the Federal Constitution does not specify federal authority, in principle, is recognized as state jurisdiction. The legislative process in individual states is similar to that of the federal legislative process, since individual states generally adopt a two-way system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and the Senate, and have governors. However, specific legislative procedures are set in accordance with various rules for each federal, state, and state, so each case of rule enactment is subject to comparative consideration. What is notable about the recent development of American legislation is the emergence of detailed rules on legislative procedures in the state constitution. This is a specific rule on legislative procedures, such as the legislative evaluation committee system, setting certain limits on when and how to revise the bill, or disciplining the contents of the bill, such as prohibition and restriction of private acts, and clarification of the bill's.

      • KCI등재

        중국행정법의 WTO협약에의 합치성

        박창석 ( Park Changseok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서울법학 Vol.26 No.2

        WTO협정은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모든 회원국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합의의 내용’에 관한 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중국의 가입조건 및 그에 관한 부속사항’에 관한 규약들이다. 중국의 WTO 가입조건은 중국의 국내시장제도에 관한 조건과 시장개방에 관한 조건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국제자유무역과 정부행정시스템에 필요한 국내시장제도이다. 그리고 후자는 정부와 비관세 무역 장벽의 감소 또는 제거에 의해 부과된 관세이다. 중국은 WTO에 가입절차를 완료했던 2001년 이래로 시장개방 약속을 실현해왔을 뿐만 아니라, 법률, 행정규정 및 행정절차를 WTO협정에 합치시킬 의무를 준수해왔다. 그리고 중국은 WTO에 의해 조직된 국내 무역제도에 관한 모든 검토를 이행해왔다. 이 사실은 중국의 국내법규가 WTO협정에 적합한 허용수준에 도달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 첫째, 중국 공법이 WTO협정과 융합하는 이유에 대해 논의한다. 행정법은 국내법률, 행정규정, 행정절차를 WTO협정에 합치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WTO협정과 융합하게 된다. 국내 행정법이 국제자유무역규칙과 융합하게 되는 근본적인 이유는 경제적 세계화이다. 경제적 세계화가 나타나게 된 이유가 존재하는 한 경제적 세계화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고, 행정법과 국제자유무역규칙 사이의 융합과 충돌은 불가피할 것이다. 둘째, 중국의 입법이 WTO협정에 합치하는가에 대해 검토한다. 중국은 WTO 가입약정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국내법규를 WTO협정에 합치시킬 의무를 부담한다. 중국이 합치시켜야 하는 입법의 범위는 WTO에 의해 관리되는 국제무역에 관한 입법 또는 그러한 국제무역에 영향을 주는 입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입법의 내용은 그 범위가 넓고 복잡하기 때문에 무역에 관한 몇 가지 입법만으로 국내법규를 WTO협정에 완벽하게 합치시키기는 어렵다. 따라서 중국은 법 규정을 전국적 포괄적으로 정리하는 방법과 특별 입법을 목표로 하는 방법을 결합한 방식을 채택했다. 이러한 방식은 초기 가입단계에서 입법적 합치를 보다 체계적으로 도모하는 데 도움이 된다. 셋째, WTO협정의 운용방법에 대해 검토한다. WTO는 각 회원국의 국내법을 WTO협정에 합치시킬 것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균일하고, 공정하며, 합리적인 방법으로 운영하는 것에 대해서도 규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획일적 운영의 문제, 투명성 문제, 적법절차의 문제가 중국과 관련하여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검토한다. 넷째, 중국의 사법심사가 WTO협정에 합치하는가에 대해 논의한다. WTO 규칙에 따라 회원국은 행정절차에 관한 국내 사법심사 시스템의 개선을 촉구해야 한다. 중국도 국내 사법심사 시스템을 개선하겠다고 공식적으로 약정하고 이에 관한 적절한 입법적 노력을 기울여왔다. 요컨대, WTO는 중국의 의무이행을 평가하고 승인하는 일을 마무리하기 위해 과도적 검토 메카니즘을 만들었다. 이 메카니즘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가입에 관한 프로토콜’ 제18조에 규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중국은 ‘WTO협정’과 ‘중화인민공화국 가입에 관한 프로토콜’의 이행에 관한 사항을 8년간 매년 검토할 것이라고 선언하였다. 중국이 이 검토를 통과해왔다는 사실은 중국이 가입의무를 이행하고 있고, ‘WTO협정’과 ‘가입에 관한 프로토콜’을 실행하고 있으며, ‘WTO설립을 위한 마라케쉬 협정’ 제16조 4항을 이행한 노력을 인정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China, WTO agreements include two aspects. The first aspect is the text of the agreements, which are generally applied to each Member. The second aspect is the protocols with the accession conditions of China and the associated annexes. China's accession conditions are divided into the conditions of the domestic market system and the condition of the market opening. The former is the domestic market system required by the international free trade and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system, and the latter is the tariffs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and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non-tariff barriers to trade. Since 2001, when China completed the accession process, China has not only realized the commitment of market opening in the stipulated transitional period, but also fulfilled the obligation which ensures conformity to the laws, administrative provisions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with the WTO Agreements. Although there is domestic legislation, which has been adjudicated as being in violation of provisions by the WTO Dispute Settlement Body, China has got through all the reviews on the domestic trade system organized by the WTO. It shows that domestic legislation has reached an acceptable level of conformity with the WTO Agre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