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유산 자료의 딥러닝 분석을 위한 말뭉치 구축에 관한 연구

        박찬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Most of the cultural heritage so far has been kept in museums, and the reality is that some data are being converted to digital little by little and stored. Currently, the best place to digitize cultural heritage is the ‘e-museum (emuseum.go.kr)’ crea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total number of collections here is 2,123,357, and there are 297 institutions that have their collections open to the public. However, if you take a look inside, there are fewer than 100,000 descriptions of cultural properties, and the reality is that there are many cultural properties that simply list preservation methods or do not have detailed explanations at all. So, we are working on adding the contents centering on the curator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order to automatically classify cultural heritag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each wor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efine the relationship. However, as mentioned at the beginning, it is not easy for humans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e than 2 million cultural heritage data because it tak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in reality, so we are going to use an automatic tagging classificat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 In this paper, as a preliminary work for automatically tagging cultural heritage text data, we propose to define the properties of words used in the cultural heritage domain and build a text-based tagging system.

      • 담금 유형 및 효모 종류에 따른 쌀 막걸리의 품질 특성

        박찬우 경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쌀 막걸리의 담금조건 및 공정표준화를 위하여 발효제 종류에 따른 6가지 담금 유형과 효모 종류에 따른 막걸리 술덧의 품질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1. 쌀 막걸리의 발효제 종류 및 배합비율에 따른 담금 유형을 설정하여 술덧의 담금 유형별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 알코올 함량은 담금 (C)형이 13.6%로 가장 높았다. 발효 후 당도는 담금 (A)∼(E)형은 약 8.6 °Brix로 비슷하였으나 담금 (F)형에서는 5.4 °Brix로 낮게 나타났다. 적정산도는 발효 중 큰 변화는 없었으며, pH는 담금 (A)∼(E)형에서는 pH 3.8∼3.9, 담금 (F)형에서 pH 4.16으로 조금 높게 나타났다. 환원당 함량은 담금 (A)형에서 401.6 mg%로 가장 높았다. 알코올 성분 중 methanol, 1-propanol, 2-methyl-1-propanol 및 iso-amylalcohol이 검출되었다. 올리고당 함량은 담금 (D)형에서 1251.27 mg%로 가장 높았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담금 (B)형에서 781.4 mg%로 가장 높았으며, (F)형 328.7 mg%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휘발성 향기성분은 담금 (A)와 (B)형은 16종, (C)형 15종, (D)형과 (E), (F)형은 14종이 검출되었다. 전반적 기호도는 담금 (A)형과 (C)형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쓴맛이 강한 (D)형과 (E)형, 단맛이 적은 (F)형에서는 전반적인 기호도 수치가 낮게 나타났다. 2. 막걸리 술덧 담금 A형(입국·정제효소제)과 C형(입국·누룩)에 전통주 효모 2종(S. cerevisiae GRJ, S. cerevisiae H9)과 와인 효모 2종(S. cerevisiae Fermivin, S. bayanus EC-1118)을 사용하여 담금한 막걸리 술덧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알코올 함량은 막걸리 술덧 A9와 C9에서 12.7%와 12.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막걸리 술덧 AG와 CG에서 12.2%와 12.7%로 높게 나타나 전통주 효모가 와인 효모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당도는 막걸리 술덧 AG와 CG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적정산도는 막걸리 술덧 AE와 CE에서 0.83%와 0.85%로 가장 높았다. pH는 전통주 효모가 와인 효모를 사용한 막걸리 술덧에 비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 동안 감소하는 경향으로 막걸리 술덧 A9와 C9에서 310.1 mg%와 302.5 mg%로 가장 높았다. 총 올리고당 함량은 막걸리 술덧 A9와 C9에서 1237.8 mg%와 1138.3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유리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담금 A형에서는 S. bayanus EC-1118과 S. cerevisiae H9에서, 담금 C형에서는 S. cerevisiae GRJ와 S. cerevisiae H9를 사용한 막걸리 술덧에서 높게 나타났다. 휘발성 향기성분은 막걸리 술덧 AG 및 AF, AE, CG는 14종, A9와 CF는 15종, C9와 CE는 16종으로 검출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 기호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와인 효모를 사용한 막걸리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담금 유형 및 효모 종류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함으로써, 쌀 막걸리의 품질향상과 제조공정 표준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In this study, rice Makgeolli preparation process was investigated to standardize the fermentation conditions using six types of ferment mixtures and different yeast strains, whe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thoroughly compared. 1. The effect of various ferment mixtures of different mixing ratios (A: Koji+Purified enzyme, B: Koji+Crude enzyme, C: Koji+Nuruk, D: Koji+Purified enzyme+Nuruk, E: Koji+Crude enzyme+Nuruk, F: Purified enzyme+Nuruk) was examined and compared for the key quality parameters. Alcoholic contents were the highest (13.6%) in group “C” ferment mixture The sugar content of all groups was similar (8.6 °Brix) with the exception of group “F, which was least at 5.4 °Brix.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trated acidity among all groups. The pH of the group “A-E” were in range of 3.8 and 3.9, whereas the pH of the group “F” was slightly higher the value of 4.16.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the group “A” was the highest (401.6 mg%)., Methanol, 1-propanol, 2-methyl-1-propanol, and iso-amyl alcohol were detected in all samples. The oligosaccharides content was the highest (1251.3 mg%) in the group “D”.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ere highest 781.4 mg% in group “B” following group “F” (328.7 mg%). The group “A” and “B” contained 16, group “C” contained 15 and groups “D-F” contained 14 different type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preference among the between the group “A” and “B”. The group “D” and “E” were found with strong bitterness, while the group “F” having the least sweetness was rated lowest for the sensory acceptance. 2. The ferment mixture A and C were investigated using two types of traditional yeasts (S. cerevisiae GRJ, S. cerevisiae H9) and two types of wine yeast (S. cerevisiae Fermivin, S. bayanus EC -1118) aiming high quality makgeolli. The ferment mixture A and C with S. cerevisiae H9 showed highest alcoholic contents (12.7% to 12.9%) following the ferment mixture A and C with S. cerevisiae GRJ (12.7% to 12.2%),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fermented with wine yeast. The sugar content of the the ferment mixture A and C with S. cerevisiae GRJ showed the lowest titratable acidity, whereas the ferment mixture A and C with S. bayanus EC -1118 were highest (0.83% and 0.85%, respectively). The pH of makgeolli fermented with traditional yeast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wine yeast. Reducing sugar content de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where the ferment mixtures A and C with S. cerevisiae H9 had highest values of 310.1 mg% and 302.5 mg% respectively. The same mixtures also contained highest (1237.8 mg% and 1138.3 mg%, respectively) oligosaccharides contents. The total free amino acid and essential amino acid were found highest in the mixture A with S. bayanus EC-1118 and S. cerevisiae H9, and in the mixture C with S. cerevisiae GRJ and S. cerevisiae H9. 14-16 different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detected in all samp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acceptability with the highest scores of samples fermented using wine yeast. Different ferment mixtures and yeasts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quality characteristics makgeolli ,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rice makgeolli manufacturing process.

      • 부분 탈모 환자에 있어서 PRP(Platelet Rich Plasma) 주사 치료의 임상적 유용성

        박찬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러 가지 사회적, 환경적 요인들로 인해 탈모의 유병률은 점점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해 탈모치료에 대한 수요는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재의 추세이다. 그에 따라 다양한 탈모 치료법들이 등장하고 있지만, 탈모 자체가 진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확실한 치료법이 제시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보다 비침습적이고 예방적인 치료법에 대한 수요가 대두되게 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맞춰 등장한 치료법이 자가 PRP(platelet rich plasma) 주사치료라 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PRP에 내재되어 있는 성장인자들이 모발 생성 및 성장 촉진에 관여한다는 가설을 수립하게 되었고, 이 가설을 임상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010년 10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한양대학교 서울병원 성형외과에 내원한 부분탈모로 PRP 주사치료를 받았던 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차트 검토, 환자와의 면담 및 모발 사진 촬영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환자의 자가 혈액을 필요한 PRP 용량에 맞춰 미리 채혈하고, 채혈된 혈액을 원심분리 시킨 후 혈액을 정제하여 필요한 자가 PRP를 얻었다. 탈모치료에 있어서 PRP 주사치료의 유효율 평가는 치료 전후 사진비교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주관적 평가(모발의 수와 두께에 대한 환자 만족도 평가)와 객관적 평가(단위 면적 당 모발의 수, 한 모낭 당 다발 모발의 수)로 구분하여 이루어졌다. 환자의 자가 평가에서 4명 환자 모두 시술 후 모발의 수 및 두께에 대해서 탈모가 개선되었다고 평가하였다. 객관적 평가에서는 단위 면적(1.0cm2)당 모발의 수는 평균 6.56 증가된 소견을 보였고, 한 모낭당 다발 모발의 수 역시 평균 5.37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즉, 부분층 탈모 환자의 모발의 성장이 PRP 주입 전에 비해 주입 후 증가 소견을 보였고, 이는 보다 비침습적인 방법만으로도 탈모치료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PRP 주사 치료에 대한 임상적 결과를 통해 탈모 치료에 있어서 PRP 치료의 유용성에 대해 임상적으로 평가하였으며, PRP가 탈모치료 방법으로써 하나의 대안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The prevalence of alopecia is increasing due to various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s a result, the need for treatment of alopecia is also increasing. Diverse methods of treatment were introduced but there is no proven therapeutic agent yet. Therefore, a demand for noninvasive, preventive treatment rose sharply and PRP(platelet rich plasma) injection treatment for alopecia was introduced.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we set up a hypothesis that growth factors included in PRP play a key role in the growth of hair follicles. Verifying this hypothesis based on a clinical study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was based on 4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reconstructive and plastic surgery of Han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from October 2010 to November 2011. Data collection was based on the patient’s chart information, interviewing with the patient and pictures of the patients hair.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the patients according to the amount of blood needed for each patient. Then a process of centrifugation was used to separate the PRP from the patient’s blood sample. Th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PRP injection in the treatment of alopecia was made by comparing the picutres of the patient’s hair, before and after the PRP treatment was made. The evaluation was also made by Subjective evaluation(made by the patient’s thoughts about the thickness and richness of the hair) and Objective evaluation(made by the evaluation of the number of hair per 1.0cm² and the number of hair per hair follicle) separately. As for the subjective evaluation, all 4 patients were satisfied about the PRP injection treatment. As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the number of hair per 1.0cm² was increased to 6.56 and the number of hair per hair follicle was also increased to 5.37. As a result, PRP injection in the treatment of partial alopecia was effective and is blazing a trail in the field of noninvasive treatment of alopecia. The effectiveness of PRP injection was evaluated by clinical studies, therefore, PRP injection treatment can be an alternative candidate of treating alopecia.

      • 자전거 모빌리티 구성과 실천에 관한 연구

        박찬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을 주목하고 그 현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모빌리티 이론을 중심으로 자전거 모빌리티의 구성과 실천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2021년 7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년 이상 자전거를 이용하여 통근/여가/실내운동 참여 경험을 갖고 있는 3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심층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자전거 모빌리티를 작동시키는 주요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자전거 모빌리티 구성요소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차용하여 자전거 모빌리티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를 공간, 기계(자전거), 행위자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자전거 도로의 생성과 유형은 자전거 모빌리티를 발생시키는데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반면, 자전거 도로의 소멸은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경험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자전거 모빌리티와 기계의 관계에서 자전거의 유형은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장비의 차이는 참여자들에게 서로 다른 경험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모빌리티와 행위자의 관계에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건강에 대한 중요성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가 자전거를 타는 행위와 긴밀한 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자전거 모빌리티의 실천은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의 목적에 따라 통근이동, 여가이동, 가상이동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자전거 통근은 모빌리티의 일상화로 ‘거리’, ‘도로’, ‘시설’ 등이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여겨지고 있었으며, 자전거 통근의 긍정적 경험을 통해 습관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자전거 여가/여행은 모빌리티의 확장으로 지속적으로 자전거를 타는 것은 물리적 거리의 확장과 경험의 확장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가상이동은 현실에서의 다양한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게 하며 보다 운동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자전거 모빌리티의 사회적 의미는 ‘위험의 이중구조’, ‘속도의 위계화’, ‘사회적 규범의 부재’로 나타나고 있었다. 자전거와 관련하여 위험에 대한 인식은 두 가지 측면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자전거에 대한 진지함의 차이는 위험에 대한 인식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는 자전거를 타는 방식, 장비 등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자전거와 관련된 다양한 갈등은 속도에 따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는 단순히 자동차와 자전거의 갈등뿐만 아니라 자전거와 보행자, 자전거와 자전거 사이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전거와 관련된 규범은 주로 동호회 위주로 생성되고 있었으며, 도로를 공유하는 다양한 사람들이 공유하는 규범은 부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자전거 모빌리티의 구성과 실천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작업은 그동안 추상적인 수준으로 논의된 모빌리티 이론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그동안 자전거와 관련된 연구가 교통 또는 스포츠/여가활동으로 분리되었다는 점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라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pay attention to people who cycles in South Korea.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examines cycling mobility’s composition and practical aspects focusing on mobility theor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2021 to December 2022. 34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cycled for commute/leisure/indoor activity for more than 2 yea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The thre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ly, the construction that makes cycling mobility was analyzed. This study adopted Actor-Network Theory to classify cycling mobility’s key construction as space, bicycle, actor and analyze how each construction is related to mobility. To be specific, the space, that is cycling road, was affinitive with cycling mobility. Because of that, people who cycles recognize the dissolution of cycling road as negative experience. Also, the type of bicycle and difference of equipment were related to the moving distance and experience of participants. Lastly, the mobility shows strong connection with the importance of health and change of lifestyle of the actor. Secondly, people’s purpose of cycling was analyzed. The purpose have been assorted into commute, leisure and virtuality. Commuting through cycling is routinization of mobility. Through positive experiences, participants habituate cycling commute and ‘street’, ‘road’, ‘facilities’ were considered critical elements. Cycling leisure/travel is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mobility. The consistent cycling is an extension of physical distance and experience. The virtuality provides relatively free and focusable environment to cycle compared to reality that holds various restrictions. Thirdly, the social implication of bicycle mobility was categorized as ‘dual structure of risk’, ‘hierarchy of speed’ and ‘lack of social norms’. The risk related to bicycle is shown through two aspects. The seriousness of riding bicycle has been classified through the awareness of danger. The awareness of danger could be shown through the way of cycling or the gears the rider uses. Also, various conflicts related to cycling was shown to be related with speed. This conflict could be between bicycle and car, bicycle and pedestrian or even bicycle and bicycle. Lastly, the social norms regarding cycling have been generated through cycling clubs. Because of that, the norms among every type of people who shares road is missing. This study provides certain implications considering the analyzation and understanding of cycling mobility construction and practice was done through specific case. Also this study has overcame the fragmentary viewpoint against cycling mobility that categorizes it as traffic or sports/leisure.

      • 탈노숙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 지역자활센터 참여자 대상으로

        박찬우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ways in which homeless individuals escape homelessness and remain out of street. Th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system that provides individuals with psychological support and human resources to achieve emotional stability in the process of escaping homelessness and not to return to homelessness. This study interviewed eight people who escaped from homelessness among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local self-help center to conduct a qualitative case study. Through interviews and field participation observ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hich looked at how their surroundings affect the sustainability of their exiting homelessness,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four points. First, forming relationships with social welfare agencies was important in remaining out of street.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he person in charg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homeless individuals formed raport with those who are exiting homelessness, which then provide them with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and confidence in future success. Second, after visiting the resident's residence in person and analyzing the on-site observational data, the relationships participants had with renters or housing managers worked as a social support as well as a social control. Participants lived in various small one-room residential facilities, where the actual related housing costs were 10-20% higher than the state-funded housing subsidies. The fact the recipients did not afford housing expenditures works as a social control in which the participants had to behave well and have good relationships with housing owners or managers, but the network established in this process also worked as a social support for participants. If tenants are paid rent or need medical support due to illness, the social welfare service connection was also made available by housing managers. Third, for participants who exited homelessness, family support, peer support, and religious support are important social support that provides physical, informational, and emotional support. Participants who were homeless had up to two to five colleaguesat at the time of interview. Information sharing and support shared among homeless colleagues was very strong and this functioned as a strong social support, although their drinking together so often may be harmful in some cases. Because of this social support, if one gets a temporary housing without a new social support in the new residennce, one might return to street. The study also found the importance of experiences of marriage in the past, which encouraged participatns to stay out of streets, All these cases show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Providing the homeless housing is important, but more fundamental de-homelessness policy involve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homelessness, as well as human service network. To encourage de-homelessness, it is important to provide public assistance and social services, as well as customized counseling services for each homeless person, so not to allow homeless individuals to pass through the revolving door again and return to street. 본 연구는 노숙인들의 탈노숙과 탈피 후 유지 과정에 관한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탈노숙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자원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쪽방, 고시원과 같은 단기성 주거 지원으로 거리 노숙을 탈피한 개인들 중 다수가 다시 거리로 돌아오는 이른바 회전문현상이 사회의 문제로 부상하면서, 노숙인들을 위한 보다 근본적인 주거 안정 정책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다. 노숙인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흔히 논의되지만, 경제적 지원만으로는 안 되는 영역, 예를 들어 심리지원과 지지체계가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는 근본적인 인적 자원 필요 부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는 상담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지역자활센터에 참여하는 사람 중에서 노숙으로부터 탈피한 8명을 대상으로 노숙탈피과정을 탐색하였다. 참여자 인터뷰와 주거지방문 생활관찰을 통해 이들의 주변 환경이 탈노숙 지속가능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다음 네 가지의 연구 결과를 발견했다. 첫째, 참여자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기관 담당자와의 관계형성 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탈노숙을 위한 사회복지시설 담당자가 노숙인과 라포형성을 하고 끊임없이 노숙인 지원 상담이 이루어졌기에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숙인 스스로 할 수 없었던 부분을 상담을 하며 연계가 되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었고, 또 공공부조의 수혜자가 되고, 주거비지원을 받으면서 독립적인 주거지를 마련하고 참여자들은 심리적 정서적 안정을 갖고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했다. 둘째, 참여자의 거주지를 직접 방문하여 수집한 현장생활관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은 고시원, 쪽방, 여인숙에서 거주하고 있었는데 기본적으로 국가에서 지원되는 주거비보다 실질적 관련 비용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이유로 주거지 관리자와의 라포형성의 성공은 탈노숙에 더 큰 긍정적 영향 요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고시원 원장, 여인숙 사장, 쪽방 관리자 등 주거 관리자들은 입주자들이 방세가 채납되거나 질병에 걸려 치료비지원이 필요한 경우 긴급복지지원이라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연결하기도 했고, 유기적 관계를 형성해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기도 했다. 이렇게 관리자들은 탈노숙 한 이들이 거리로 돌아가는 회전문을 막아내는 결정적 자원 역할을 하는데 큰 동력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탈노숙인에게 동료지지와 종교적인 지지는 물적, 정보적,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중요한 사회적지지망으로 기능함을 알 수 있었고, 탈노숙 참여자들은 탈노숙 당시 2명에서 많게는 5명까지 탈노숙 동료가 있었다. 가정을 이루고 살아본 노숙인과 결혼을 하지 못한 탈노숙인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사실혼 관계나 결혼을 해서 가족을 한번이라도 가졌던 사람은 다시 그 상황으로 돌아가고 싶어 하고 노숙 탈피 기간도 짧다. 그러나 어린 시절부터 고아원에서 자라고 결혼을 해 보지 못한 탈노숙인은 노숙탈피 기간이 길고 회전문을 통해 다시 노숙으로 돌아가는 확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반복적인 탈노숙인의 경우를 분석해 본 결과 국가의 가시적이고 일괄적인 탈노숙 지원은 회전문 통과를 단시간에 할 수밖에 없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탈노숙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생활을 모니터링하고 자활할 수 있게 공공복지자원 연계가 이루어지면 탈노숙 생활이 안정화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숙인들의 주거 환경적 탈노숙화가 중요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탈노숙은 심리·정서적 탈노숙화라는 것이며, 휴먼서비스 네트워크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해 준다. 획일적인 탈노숙 주거지원이 아니라 노숙인 개인마다의 맞춤형 서비스 역시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한번 탈노숙한 이가 다시 회전문을 통과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 해양스포츠 참여자의 안전교육 및 안전지식이 응급처치 대처능력에 관한 연구

        박찬우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해양스포츠 참여자의 안전교육 및 안전지식이 응급처치 대처능력에 관한 연구 박 찬 우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응급구조학과 본 연구는 해양스포츠 참여자의 저변확대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해양스포츠 참여자들의 안전교육 및 안전지식이 응급처치 대처능력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2015년 7월 25일부터 8월 15일까지 강원도 삼척 해수욕장에 소재한 해양관광 스포츠센터를 이용하는 동호인 남, 여를 대상으로 편의추출(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400부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되거나, 기입누락 등과 같은 연구 자료로 부적합한 설문지 41부를 제외한 총 359명을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 t-test와 ANOVA를 수행하고, 사후검증 Scheffé,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해양스포츠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안전지식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교육의 하위요인인 만족도, 전문성, 활용성, 현장감, 교육 참석도 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평균 소득, 직업유무에 따른 안전교육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양스포츠 참여자들의 안전지식과 안전교육 및 응급처치 대처능력간의 상관관계에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양스포츠 참여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응급처치 대처능력 요인별 차이검증을 분석한 결과 도움요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증상에 대한 처치는 성별과 학력, 응급상황에서 적절한 응답은 성별, 연령, 결혼유무, 험한 장소에서 대피는 성별, 조직손상에 대한 처치는 성별, 결혼유무, 열, 추위, 이물질에 의한 손상은 성별, 비상 시 사람에 도움 제공은 성별, 연령, 학력, 구조 및 탈출은 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afety Education and Safety Knowledge on Ability to Cope With First-Aid in Marine Sports Participants Chan Woo Park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afety education and safety knowledge on ability to cope with first-aid in marine sports participants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increase the population of marine sports participa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male and female sports lover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among the users of a marine tourism sport center located on the Samcheok Beach in Gangwon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25 to August 15, 2015, and the answer sheets from 400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then the data from 359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41 ones that were inappropriate for data analysis such as the unfaithful or complete answer shee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1.0, and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utilized. Besides, Scheffe test was carried out to make a post-hoc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 marine sports participan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safety knowledge was analyzed.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academic credential.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safety education, which were satisfaction, professionalism, utility, practicality and participation in education, according to gender, age, marital status, academic credential, monthly mean income and having an occupation or not in general.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safety knowledge, safety education and ability to cope with first-aid of the marine sports participants. Third,,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 marine sports participants in the subfactors of fability to cope with first-ai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sking for help. Their first aid for common symptoms varied with gender and academic credential, and their ways of properly responding to emergency situations differed with gender, age and martial statu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vacuation from rough places according to gender, and their first aid for injured human tissues varied with gender and marital status. Their first aid for injuries by heat, cold or alien substance differed with gender,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ffering help for people in emergency situation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academic credentia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cue and escape according to gender, age.

      • 재조합 대장균을 이용한 메발론산 생산

        박찬우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메발론산은 대부분의 진핵생물에서 발견되는 메발론산 대사경로의 중요 전구체로서 아이소프레노이드 계열 화합물의 생합성의 기본 요소가 되는 아이소펜테닐피로인산의 합성에 이용된다. 아이소프레노이드는 자연계에 3만여 종이 넘게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전자전달계, 세포 구성물질, 신호 전달, 광합성 등 생명체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들을 수행한다. 이러한 특성에 힘입어 식품 첨가제, 화장품, 제약 원료등은 물론이고 식물 연료, 발견되지 않은 합성수지의 재료로 사용되며 높은 부가가치를 가진 물질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자연계에서의 아이소프레노이드 생산은 매우 미량이며 낮은 수율을 갖기에 미생물을 통한 아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이 연구되고 있다. 아이소프레노이드의 생합성에 대한 연구중에서도 아이소펜테닐피로인산의 전구체인 메발론산 생합성을 연구함으로써 아이소프레노이드 대량 생산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는 시도가 진행된다. 또한 메발론산은 특정한 수용액에서 메발로노락톤으로 전환되어 항산화, 노화방지에 대한 활성을 가지고 있어 화장품등의 원료로 사용될 뿐 만 아니라 기능성 화합물의 구성물질로도 연구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메발론산을 생합성하는데 필요한 atoB, mvaE, mvaS 유전자가 든 pSTVM 벡터로 형질전환 된 대장균 MG1655 균주를 이용하여 메발론산 생합성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아이소프레노이드 생산에 이용되는 TT 배지를 기반으로 Yeast extrat 농도, 배양 온도, 탄소원 등의 배양 조건 최적화를 시행하여 메발론산의 생산능이 가장 우수한 배양 조건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Yeast extract 5 g/L, 30℃의 배양온도와 글리세롤을 탄소원으로 정하였다. 이렇게 최적화 된 배지를 이용해 5 L 크기의 생물 반응기에서 조업 부피 2.5 L의 회분식 배양을 진행하였다. 20 g/L부터 160 g/L 까지 다양한 글리세롤 농도에서 배양온도 30℃로 회분식 배양을 한 결과, 80 g/L의 배양 조건에서 최대 세포농도 OD600 26.3 최대 메발론산 농도 15.55 g/L, 최대 수율 0.194 g-메발론산/g-글리세롤 값을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