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첫 수도의 정체성 세우기

        박진빈(Park, Jinbin) 도시사학회 2009 도시연구 Vol.2 No.-

        The international exposition has two main functions. The first is to show the progress of industries and new technologies, and the second is to reveal the power and pride of the hosting nation. Evaluating the 1876 Philadelphia Centennial Exposition, one may add one more purpose of the event: to create or to prove certain aspects of the city the event is held. This paper argues that Philadelphia tried to redetermine its identity as the first capital city of the republic by holding this internationally acclaimed event. First, the city tried to reestablish the history of American Revolution and Philadelphia’s role in it. For exhibition at the cite of the Centennial Exposition, historical artifacts of the revolution were rediscovered and the heroic stories were retold. Second, the Philadelphians reclaimed its status as the first capital and a booming industrial town by showing the representative manufacturers of the region. Its renown had already faded away as the new metropolis like Chicago took over the position of the leading industrial city. Therefore, Philadelphia used the occasion of the centennial as a chance to recover her losing fame. Though the city argued that Philadelphia was the center of the revolution and the Exposition proved its historical importance, the event also revealed the ironies and conflicts embedded in the city. Contrary to the revolutionary spirit of liberty and democracy, certain groups of people were under-represented at the centennial. Blacks and women asked the true meaning of the constitution and wanted more participation in preparation and execution of the exposition, but their demands were easily dismissed. Philadelphia’s effort to reinforce its historical importance continued through the city planning of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Constitution Center in 2003. These self-presentation schemes yielded some fruits, but also expressed clashes of various interests and contradictions residing in the city.

      • KCI등재후보

        전후 미국 도시 공공주택 정책의 실패

        박진빈(Jinbin Park) 도시사학회 2014 도시연구 Vol.12 No.-

        1950년 연방정부의 자금을 토대로 건설되어 1954년 입주를 시작한 세인트 루이스의 프루잇-아이고 아파트 단지는 쾌적하고 편리한 시설을 저렴한 가격에 빈민에게 제공할 현대 건축의 쾌거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입주 이듬해부터 프루잇-아이고에서는 각종 범죄와 사건 사고가 잇따랐고, 보수 유지가 원활하지 않아 급격히 낙후하기 시작했다. 결국 신축 18년 만인 1972년에 부분 철거가 시작되었고, 1976년 완전히 철거되어 지도에서 사라짐으로써, 이후 도시재개발 최악의 결과라는 오명을 쓰고 기억되는 이름이 되었다. 이 글은 프루잇-아이고 실패의 원인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부분에서 분석해 보았다. 첫째, 현대적 시설을 제대로 건설할 비용이 부족했고 유지 보수를 위한 예비비 역시 마련되지 않았다는 것이 큰 문제였다. 이는 저렴한 비용으로 빈민용 주거지를 건설하는 데에만 골몰했을 뿐 생활수준을 유지시키기 위한 지속적 노력의 결여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로, 대부분이 흑인이었던 주민들의 생활 태도 문제를 지적하며 주민을 탓하고 낙인찍으려 했던 주변 주민들과 지역 언론의 문제를 지적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간과한 것 가운데에는 프루잇-아이고의 주민들이 책임감을 가지고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꾸준한 노력을 개진했다는 사실이 있다. 세 번째 문제는 사업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슬럼 철거와 대규모 주택 단지의 건설이라는 재개발 방식을 고수하는 시민들의 인식이 보여주는 한계였다. 프루잇-아이고의 사례는 최근까지도 젠트화로 이어지는 전형적인 도심지 재개발의 근본적인 문제를 드러냄으로써 대안적 재개발의 방식을 모색하게 하는 계기라는 의미를 지닌다. The Pruitt-Igoe Housing was built in the early 1950s with the federal funding from the US. Housing Authority, and celebrated as a modern architectural accomplishment for the urban poor residents, providing clean and well-planned community for them. However, immediately after the first move-ins, the Pruitt-Igoe apartments became known for the cite of crimes and all kinds of accidents. Poor maintenance worsened the situation, and as a consequence, led to the decision to demolition and clearing-away of the whole projects. This paper discussed three elements of the Pruitt-Igoe debacle. First, the government funding for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was not enough to keep the condition of the facilities. Secondly, government, civil organization, and public opinion criticized the attitudes of the residents as the main reason for the deterioration, making this a racial problem. Lastly, the lack of understanding fundamental limits of the idea of redevelopment as slum clearance and mass projects construction continued even after the Pruitt-Igoe. The case of the Pruitt-Igoe revealed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urban redevelopment in the post-war American society and suggested a need for an alternative ideas of regeneration of the decaying cities.

      • KCI등재후보

        미국 도시 재생과 젠트리피케이션 :두 도시 이야기

        박진빈 ( Park Jinbin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8 學林 Vol.41 No.-

        이 논문은 미국의 두 도시 볼티모어와 뉴욕의 도시 재생 프로젝트의 추진과정을 분석하고, 서로 다른 주체가 시작하고 다르게 전개된 두 사례가 젠트리피케이션을 유발하게 된 경위를 추적한다. 볼티모어의 이너하버는 1950년대부터 지역 기업인에 의해 도시 경제 살리기 운동의 일환으로 추진되었고, 뉴욕의 하이라인은 2000년대에 역사적 공간을 보존하려는 주민들에 의해 재생사업이 시작되었다. 이너하버는 새로운 건설사업과 기념 행사들을 통해 재개발의 성공사례로 꼽히게 되었으나, 도시의 공공성이 약화되고 양극화 현상이 일어남으로써 젠트리피케이션 양상을 드러냈다. 하이라인은 폐철로의 공원화를 통해 주민과 방문객 모두에 기여하는 공공 공간을 창출했다는 찬사를 받았지만, 인근 지역의 고급화로 인해 일부 지역민을 밀어내는 결과를 빚는 젠트리피케이션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이와 같은 사례들은 시민권에 대한 고려없이 추진되는 대규모 재생사업에 불가피하게 뒤따르는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rocesses of urban renewal cases in two major American cities:the Inner Harbor of Baltimore and the High Line in New York City. In the 1950’s, the renewal of Baltimore’s Inner Harbor began with the Charles Center project, and expanded into the entire business district, which involved many construction project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events. These developments gave Baltimore reputation of a successful urban renewal example, but also weakened public nature of urban space and brought about bipolarization. The High Line project attempted to create a park open to residents and visitors on the disused railway. However, it also raised the property value of the nearby districts and caused gentrification. These two cases showed the large-scale renewal projects without a consideration of civil rights for all would end up gentrifying urban spaces and alienating some people from the renewed areas.

      • KCI등재

        카트리나 재난이 알려주는 미국 도시의 현재 - 신자유주의, 인종, 그리고 환경문제-

        박진빈 ( Park Jinbin ) 한국서양사학회 2016 西洋史論 Vol.0 No.130

        이 논문은 2005년 미국 남부 지방을 강타했던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초래한 재난의 원인을 분석하고, 지난 10년간 뉴올리언스 시의 복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평가하며, 이것이 오늘날 미국 도시의 어떤 특성들을 드러내주었는지 밝히는것을 목표로 한다. 카트리나는 강도 높은 허리케인이었지만, 그 재난은 제방 붕괴로 인한 홍수와 배수시설 고장으로 인한 침수의 장기화로 인해 악화되었다. 이는 197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도시 행정에 의해 공공시설과 재해 대책과 같은 부문에 투자가 축소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 도시는 카트리나 이후에도 다시 대규모 건설과 젠트리피케이션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시장의 논리에 복구를 맡겨둠으로써 카트리나이전과 같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도시의 빈민층은 복구 지원 혜택으로부터 소외되고 뉴올리언스로부터 밀려나는 양상을 보인다. 결국 이 연구는 뉴올리언스의 카트리나 재해는 도시문제에 대한 정치의 부재와 자본에 대한 과도한의존이 빚어낸 사건이었으며, 그 영향은 복구와 역사화 과정에도 반영되고 있음을밝혔다. Hurricane Katrina struck the Gulf Coast of the United States on August 29, 2005, with sustained winds of 100140 miles per hour. The storm itself caused a great deal of damage, but massive and prolonged flooding caused a greater catastrophe as several levees breached and drain facilities failed.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in Louisiana, Mississippi and Alabama were displaced from their homes, and experts estimate that Katrina caused more than $100 billion in damage. This paper discusses the experience of the city of New Orleans during and after Hurricane Katrina, and argues that the Katrina disaster was intensified as a result of the neo-liberal urban policies implemented since the 1970s. Neo-liberalism has cut the municipal budget for public facilities and natural disaster management programs. This also led to limited ability and inefficiency in the municipal government and public offices for handling a disaster like Katrina. Moreover, several recovery programs after Katrina were left in the hands of market-oriented investments, which promoted giant rebuilding projects and gentrification of urban spaces. Thus, economically disadvantaged racial groups were alienated by the newly developed spaces and once again pushed away from the city. Therefore, post-Katrina New Orleans revealed what an American city can encounter from a lack of politics and the deluge of capital.

      • KCI등재후보

        지역공동체 운동과 미국 도시학의 역할

        박진빈(Jinbin, Park)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0 인천학연구 Vol.12 No.-

        이 논문은 미국의 도시학 연구와 도시학자들의 성과를 논하고, 그들의 경험이 한국 도시학 연구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살펴본다. 이 연구는 특히 지역문제에 개입하여 활동하고 있는 연구집단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활동과 기능이 어떤 성과를 거두어왔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많은 도시학 관련 연구집단 가운데 이 글에서 선택한 것은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산하 네터공동체협동센터와 뉴욕시에 위치한 도시미학협회이다. 네터센터는 서필라델피아의 저임금 가정 어린이들을 상대로 방과후 학교를 제공한다. 네터센터를 통해 연결된 전문 도시 연구자 및 대학교, 학내 연구집단 등이 연구해 오던 교육방안을 직접 실험하면서 수정 보완할 기회를 지역사회에서 갖는 것이다. 물론 지역의 주민들은 믿을 만한 교육기관과 연계하여 저소득층에게 절실한 자녀 교육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혜택을 받게 된다. 도시미학협회는 여러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 및 일반인들이 모여 뉴욕을 더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기 위해 출범한 집단이다. 협회에서는 도시정부와 마을에 법적인 문제와 도시정책 관련 문제에 대한 자문을 주기도 하고, 보존이나 건설에 관련된 자료조사 및 현장조사를 보조하기도 하며, 다른 도시계획 관련 전문집단에 조언을 제공하기도 한다.??두 단체 모두 최근 도시에 벌어지고 있는 변화에 큰 관심을 갖고, 도시의 운명을 결정하는 정책적인 문제에 일반인들의 의견이 반영되도록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두 단체 모두 최근 젠트리피케이션, 즉 도시내 공간분리와 고급화의 문제에 대한 반응으로 도시 문제에 개입하고자 한다는 특징도 공유한다. 제인 제이콥스가 주장했던 마을 단위의 정체성 확립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도시학연구 관련자들의 끊임없는 관심과 참여활동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activities and functions of urban studies and urbanists in the United States and searches for the ways in which their experiences could suggest the future plans to Korean urban studies. The study focuses on the urban research organizations that engaged in local activities and policy making processes. Amongst many groups and organizations, I selected two: The Barbara and Edward Netter Center for Community Partnership at University of Pennsylvania and the Municipal Art Society of New York. The Netter Center provides the after school classes to the children of lower income families in West Philadelphia. The Center connects professors/researchers at Penn with the neighborhood residents, develops curriculum and programs, and evaluates the results. The Municipal Art Society includes various professionals and laymen who are interested in making New York a better place to live. The Society comments on municipal policies and laws related to urban development, provides research for preservation and construction, and advises local groups on neighborhood planning. Both organizations pay attention to the recent changes in the city and tries to empower neighborhood groups in their effort to establish neighborhood identity. This could be considered as a reaction to the gentrification, the tendency of urban renewal and rebuilding which is designed to produce space for more affluent class of people by pushing away the original residents. The fight against gentrification was also the theme of Jane Jacobs in the 1960s and on, from whom the Korean urbanists could learn how to build their future strategies.

      • KCI등재

        대학과 도시재생

        박진빈(Jinbin Park) 역사비평사 2018 역사비평 Vol.- No.125

        This paper explores a history of urban renewal in ‘University City,’ the neighborhood in West Philadelphia. It discusses how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one of the largest residents in the region, used the federal and state housing and redevelopment laws to expand its campus and to better the space they resided. Since 1949, the university leaders named the area around campus ‘University City’ and led the university-driven renovation and development of the town. In its efforts to improve the conditions of the neighborhood, the university also encouraged faculties and students to move into University City and offered community services to people in the area. However, the betterment was not without the sacrifice of the locals who could not survive through the change. As a result, the university, now boasting the better, renovated, and more expensive campus and town, is not free from the charges of causing gentrification in West Philadelphia.

      • KCI등재

        미국 여성사와 공공역사의 상호작용 - 현황과 새로운 시도들 -

        박진빈 ( Park Jinbin ) 한국여성사학회 2021 여성과 역사 Vol.- No.35

        이 글은 미국 공공역사와 여성사가 어떤 접점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간 역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왔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유물 및 유적 관리와 박물관 전시에 관련된 영역에서 여성의 역할과 여성의 삶을 전시하는 행위의 역사성을 논하고, 공공역사에서 여성을 전시하기 위한 새로운 기획이 어떻게 변화, 발전하고 있는지 밝혔다. 그리고 여성사의 깊이를 더해가면서 그 성과물이 공공역사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지 사례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공공역사의 다양한 방법이 여성사를 어떻게 도와줄 수 있는지 여러 제안과 아이디어들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숙고하였다. 역사를 대중적으로 다루는 매체가 발전하고 역사학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 더욱 확장되고 있는 시점에서 공공역사와 여성사의 만남이 이루어온 성과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지향점을 모색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This paper outlined what common areas of interests public history and women’s history have and how the two discipline have worked separately, as well as together,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history. First, the paper discussed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women’s roles in preservation and presentation of historical sites and museums and the meaning of presenting women’s lives in those places. Moreover, it showed how the advancements of women’s history were reflected in public history as some cases have revealed. This paper also considered various methods and ideas of public history that could help doing women’s history. By addressing achievements of public history and women’s history, it attempted to search better ways of doing history in this era of new public media and more public-inclined history.

      • KCI등재

        파인랜드와 랑가 -남아프리카연방의 정원도시 개발

        박진빈 ( Park Jinbi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20 도시인문학연구 Vol.12 No.1

        이 논문은 남아프리카연방 정원도시의 양상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20세기 초반에 건설된 파인랜드와 랑가의 사례를 함께 살펴본다.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안으로 제시된 정원도시가 영국의 전 식민지이자 인종 분리 사회인 남아프리카연방에 수출되면서, 본래의 사회주의 대안도시라는 취지와는 다른 차별적인 도시 구조를 만들어 내게 된 과정을 밝혔다. 파인랜드와 랑가는 모두 영국 정원도시와 직접적인 연결을 통해 건설되었으나, 영국의 원안과는 달리 계급적, 인종적으로 차별적인 공간을 형성하였다. 이는 두 도시의 건설 과정에서 탑다운식 의사결정과 진행, 인종분리 이념의 고수, 그리고 점차 진행되고 있던 아프리카 원주민에 대한 공간적 분리의 강화 등으로 인해 초래된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파인랜드와 랑가의 사례는 남아프리카연방의 정원도시 건설에서 지역 특성이나 지역민의 복지 보다는 제국 안에서의 식민지 교외 개발의 필요성이라는 맥락이 중시되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the English Garden Cities in South African Un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of the two towns: Pinelands and Langa. The Garden City was originally suggested as a socialist community to answer the urban problems of industrialization. As the idea of garden city was exported, it had to tackle regional issues, which were, in the South African case, racial division and colonial environments. This thesis discusses how the creation of the Pinelands Garden City and Langa tried to address the paradox of social equality and colonial reality. Pinelands and Langa were both constructed under the direct consulting of English Garden City, but they both departed from the English precedents, resulting in socially divided and racially unequal communities. The top-down process of construction, racial prejudices, and the on-going spacial separation of the African natives all contributed. As a result, the South African cases of Pinelands and Langa were realized to fulfill colonial ideologies of suburban development under the wings of empire, rather than the needs and welfare of the local people.

      • AHCISCOPUSKCI등재

        터스키기 실험 사건의 역사적 기원

        박진빈(PARK Jinbin) 대한의사학회 2017 醫史學 Vol.26 No.3

        The Tuskegee Study of Untreated Syphilis in the Negro Male was an observational study on African-American males in Tuskegee, Alabama between 1932 and 1972. The U. S. Public Health Service ran this study on more than 300 people without notifying the participants about their disease nor treating them even after the introduction of penicillin. The study included recording the progress of disease and performing an autopsy on the deaths. This paper explores historical backgrounds enabled this infamous study, and discusses three driving forces behind the Tuskegee Study. Firs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the Public Health Service was established in the U. S. Surgeon General’s office and was operated as a military organization. Amidst the development of an imperial agenda of the U.S.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e PHS was responsible for protecting hygiene and the superiority of “the American race” against infectious foreign elements from the borders. The U.S. Army’s experience of medical experiments in colonies and abroad was imported back to the country and formed a crucial part of the attitude and philosophy on public health. Secondly, the growing influence of eugenics and racial pathology at the time reinforced discriminative views on minorities. Progressivism was realized in the form of domestic reform and imperial pursuit at the same time. Major medical journals argued that blacks were inclined to have certain defects, especially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like syphilis, because of their prodigal behavior and lack of hygiene. This kind of racial ideas were shared by the PHS officials who were in charge of the Tuskegee Study. Lastly, the PHS officials believed in continuing the experiment regardless of various social changes. They considered that black participants were not only poor but also ignorant of and even unwilling to undergo the treatment. When the exposure of the experiment led to the Senate investigation in 1973, the participating doctors of the PHS maintained that their study offered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medical research.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mbination of the efficiency of military medicine, progressive and imperial racial ideology, and discrimination on African-Americans resulted in the Tuskegee Syphilis Experiment.

      • KCI등재

        전후 미국의 쇼핑몰의 발전과 교외적 삶의 방식

        박진빈 ( Jinbin Park ) 한국미국사학회 2013 미국사연구 Vol.37 No.-

        이 논문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교외의 주요 상업지구로 등장한 쇼핑센터의 발전 양상을 살펴보고 그 한계를 분석한다. 쇼핑센터는 이전의 백화점, 우편주문 판매, 그리고 스트립 몰 등을 대체할 소비의 장소를 제공하며 전후 미국 사회에 등장했다. 처음 설계한 사람은 빅터 그루엔이며, 그는 쇼핑센터를 소비자와 판매자를 편리하게 연결하는 장소인 동시에, 당시까지 교외에 결핍되어 있던 사회적 문화적 교류의 장으로 발전시키려 했다. 이에 따라 백화점과 상가를 연결시키고, 극장이나 전시장과 같은 다양한 문화시설까지 갖추었다. 그루엔식의 쇼핑센터 건설은 오늘날까지 미국의 쇼핑몰 설계의 교과서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쇼핑센터를 중심으로 교외 공동체를 형성하겠다는 이상은 현실화되기 어려웠다. 공동체적 정체성의 형성과는 거리가 먼 각종 행사들이 벌어졌고, 상업시설은 대체로 자본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결국 쇼핑센터는 공공의 시민 영역이라기보다는 소유주의 사적 소유물로 판명되고 말았다. 이 논문은 그 원인이 교외의 개발 방식과 유사한 형태로 소비 자본주의의 발전과 같은 맥락에서 개발된 그루엔식 쇼핑센터의 근본적 한계에 있다고 보았다. This paper traces the development of shopping centers in the post-war America and analyzes their limits. Shopping malls appeared in American society as an alternative to the previous commercial centers, such as department stores, mail-order catalogues, and the strip malls. The designer was Victor Gruen, who wanted to provide a place where the social and cultural interactions amongst people happen as well as the consumers and sellers meet. The department stores and the connecting malls were affiliated along with cultural facilities to promote these goals. Gruen style shopping centers became a textbook for shopping center development in the states. However, the ideal for suburban community centered around the shopping malls was hard to achieve. Various events far from forging communal identity took place, and the commercial facilities were developed to maximize capitalistic profits. Also, the legal cases proved that the ‘public’ space in shopping centers were not quite public, but more under the private ownership. This paper discusses that these problems grew out of the fundamental limitations Gruen’s shopping centers ho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