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고령 학습자의 학점은행제 학위취득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박지애(Park, Jiae),이경희(Lee, Gyeounghee) 한국노년교육학회 2019 노년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오프라인 중심의 수업을 하는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사 학위를 취득한 중고령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점은행제 참여 동기와 학위취득과정에서 겪게 되는 학습경험, 학점은행제 학습경험이 이후의 삶에 미친 영향 등을 탐색하고, 학점은행제의 발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경기북부 소재 A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 학점은행제로 학위를 취득한 중고령 학습자를 대상으로 2018년 6월부 터 11월에 걸쳐 라포 형성 과정을 거쳐 2018년 12월 3일부터 12월 10일까지 심층인터 뷰로 하였다. 근거이론에 따른 질적 분석 결과 9개의 범주, 18개의 하위범주, 4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중고령 학습자들의 학점은행제 참여 동기는 공부에 대한 열망, 제2의 인생 설계였고, 학습경험은 학습을 통한 성장, 대인관계 형성이었으며, 학점은행제 학습 경험이 삶에 미친 영향으로는 나에 대한 인식변화, 학습에 대한 인식 변화, 취업과 삶의 활성화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학습자들의 학점은행제 학위취득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earned a bachelor s degree through a credit banking system . This study focuses on providing an implication of th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cademic credit bank system that takes an offline-oriented class, aimed at the middle and old aged adult learners who have acquired a bachelor degree from academic credit bank system, through surveying for their motives to participate in academic credit bank system,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at they have got in the course of degree acquisition and how the learning experience influences on their post-lives after acquiring their degree.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ing in depth with those who have acquired a degree in academic credit bank system at the life-long learning center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located in the northern area of Gyeonggido from Dec 3, 2018 to Dec 10, 2018 following the rapport establishment with them form June to November 2018.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data, based on grounded theory, 9 categories, 18 sub-categories and 48 concepts are derived. As a result,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academic credit bank system is an aspiration for learning and newly mapping out their post lives, their learning experiences are helpful for their growth in academic field and for establishing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finally the influence that the learning experience has got on their lives are represented as an change of their self-perception by themselves, change of their perception to their learning and an activation of their lives and employ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acquisition of credit banking degree by middle and old aged adult learner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국내 교사연구 동향에 대한 고찰

        박지애 ( Jiae Park ),소경희 ( Kyunghee S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3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국내에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교사연구의 동향을 탐색하고 그 특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 교육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교사연구물을 대상으로 그 특징을 연구의 목적, 연구 방법, 연구 결과의 제시 방식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의 교사연구는 교사들로 하여금 스스로 전문성 신장의 주체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교사를 변화의 추동력을 지닌 전문가 집단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교사연구의 대다수는 문제에 접근하는 관점을 근본적으로 수정하기보다는, 문제 해결의 전략을 조금씩 수정하는 것에 머문다는 점과, 교사 자신의 실천적 지식을 좀 더 큰 사회적 문화 적 정치적 쟁점들과 연계시켜 탐색하는 데까지는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rends in the rapidly increasing teacher research in Korea over the last 15 years to review its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llected articles on teacher research from major educational journals from 2000 to 2014 and analyzed them in terms of the purpose of the research, research methods, and presentation of research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eacher research lets teachers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by themselves, and allows them to be recognized as experts with the impetus for change. However, despite these achievements, most of the teacher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which are as follows. Teachers merely modify the strategy for solving problems instead of fundamentally changing the approach to the problems, and fail to connect their own practical knowledge to the larger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issues.

      • KCI등재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다시 생각하는 역량 교육 : Deleuze의 존재론에 기초하여

        박지애 ( Jiae Park ),소경희 ( Kyunghee So ),장연우 ( Yeon-woo Chang ),허예지 ( Yae-ji Hu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2

        역량 교육은 근대적 지식 교육의 문제를 해결할 획기적인 대안으로 등장했으며 현장에서도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급격히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역량 교육이란 어떠한 관점에서 접근하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근대 교육과 별반 다르지 않을 수도, 근대 교육의 문제를 타개할 대안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어떠한 관점에서 역량 교육에 접근할 것인지가 그 혁신성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역량 교육을 포스트모던 관점으로 접근할 때에 역량 교육이 지닌 잠재력과 혁신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보고, 역량 교육을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다시 생각해 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역량 교육의 초석이 되는 학습자와 지식에 대한 관점을 Deleuze의 존재론에 기초하여 탐색하였으며, 이에 비추어 종래의 역량 교육 접근이 내포한 한계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드러내고, 역량 교육의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대안적 접근 방향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된 역량 교육은 학습자를 타자와 독립된 이성적 주체로 상정하고, 학습자의 사유 방식을 특정 지식의 형태로 고정시킬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근대 교육이 지닌 한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그 대안적 방향으로 역량교육이 ‘-하기(doing)’보다는 ‘-되기(becoming)’에 주목할 것과, 지식을 학습의 참조 자료이자 진원으로 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Competence-based education was acclaimed as a breakthrough in modern education and spread rapidly throughout the field. However, whether competence-based education can be a real alternative to modern education or not depends on the point of view taken.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ideals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can be achieved when it is understood from a post-modern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think competence-based education from that post-modern perspective. To accomplish this, the researchers explore a post-modern perspective of learners and knowledge based on the Deleuzian ontology. In light of this, the study includes a critical review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at has been deemed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Also examined is an alternative approach to competence-based education through which the full potential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is realized. Study results show that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 emphasized with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till retains basic assumptions of modern education; it articulates learners as rational subjects independent from others and fixes their thoughts on knowledge of school subject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competence-based education focus on ‘becoming’ rather than ‘doing’ and see knowledge as reference materials and epicenters of learning.

      • KCI등재

        문화지형도의 변화에 따른 여성민요의 전승과 소통 : 성주지역을 중심으로

        박지애(Park Ji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4

        This study inspects how women’s folk songs have changed over time. More specifically, it analyses the characteristic of the folk songs of today’s women. As cultural products, folk songs reveal the creeds and lifestyle of a given traditional community by combining various cultural elements including age, gender, and status. In addition to personal features such as age and gender, community features such as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ideological background also contribute to the creeds of a performance community. Thus, folk songs can reveal different creeds and perceptions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to which they belong, even though they belong to the same gender and social class. Distinguishing the tradition areas of folk songs and considering the creeds of tradition communities within their sociocultural environments can shed light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folk songs. In Central Nakdonggang, the women’s folk songs that were transmitted proved to be multifaceted folksongs that exhibited various creeds as women’s folk songs of various types, including merged types, were being passed on and subtypes were created according to the local perception of life realities. 이 글은 민요를 둘러싼 다양한 문화적 요소가 변화하면서 여성민요의 소통과 전승 현장이 어떻게 변화했는가에 대한 구체적 현황을 점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성주군 현장 조사를 바탕으로 40여 년의 기간 동안 여성민요의 변모 과정을 살펴 현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여성민요의 미래를 전망하고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성주군은 영남 북부권과 남부권의 민요가 보여준 차이를 수용하면서 다양한 창의적 변모 과정을 거쳐 가장 중층적이고 다양한 여성민요의 전승 양상을 보여주는 지역으로서 가치를 갖는다. 그러나 현장 조사 결과, 성주지역의 여성민요는 양적·질적으로 쇠퇴한 모습을 보였다. 20여 종이나 전승되는 민요는 현재 4종 정도만 전승될 뿐만 아니라, 전승되는 사설 또한 기존 사설의 일부이거나 사설이 아닌 간략한 서사 구조 정도만 기억되고 있었다. 칠곡군, 고령군 등 도시화와 근대화의 속도가 비슷한 인접 지역에 비해 성주군의 민요 쇠퇴가 더욱 가속화된 것은 ‘잠재적 전승’ 상태의 민요가 발현될 기회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마을공동체가 와해되고 노동방식이 변화한 것은 어느 지역이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인접 지역의 사례를 통해 인위적 장치를 동원해서라도 마을공동체가 구축되고 유지된다면, 그 공동체 의식을 기반으로 구성원 간의 노력과 연대로 잠재적 전승 상태의 민요가 표출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주지역은 과거 가장 다양한 여성민요가 전승되던 지역으로서 풍부한 지역문화자원이 내재되어 있는 지역이다. 그리고 현재 마을 공동체를 구성하는 60~80대의 연령들은 과거에 민요를 들었던 잠재적 전승의 가능성이 있는 마지막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을 대상으로 잠재적 전승 상태의 민요를 표출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주는 것, 이것이 여성민요의 현재적 전승과 소통을 가능하게 해 줄 방법이 될 것이다.

      • 클라우드 컴퓨팅 비지니스 모델 개발

        박지애(Jiae Park),이영호(Youngho Lee),소현진(Hyunjin So) 대한산업공학회 2010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6

        In this paper, we develop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finding new business opportunities in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in designing a cloud computing business model, we propose a service mapping with service and revenue concept. We also propose an evolution framework for planning a sustainable business strategy of IT companies in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In the service concept, we categorized service beneficiaries and service offering function. In the revenue concept, we analyze service stream among market players. In addition, we assess cloud computing market drivers for finding an evolution path of cloud computing business. Finally, we analyze Korean. IT companies cloud computing business model and suggest cloud computing business strategies for coping with the change of business environment.

      •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Designing Cloud Computing Business Model

        Jiae Park(박지애),Youngho Lee(이영호),Gigyoung Park(박기경) 한국경영과학회 2009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0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cloud computing system that provides new business opportunities in IT industry. We clarify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nd analyze key drivers of cloud service market. Motivated by the distribution process of cloud services, we design a set of cloud service models that pave the way for firm to identify profitable business cases. In addition, we propose revenue model for cloud service models according to services transaction system. Furthermore, we develop a modeling framework for selecting a suitable business model.

      • 클라우드 컴퓨팅 비지니스 모델 개발

        박지애(Jiae Park),이영호(Youngho Lee),소현진(Hyunjin So) 한국경영과학회 2010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6

        In this paper, we develop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finding new business opportunities in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in designing a cloud computing business model, we propose a service mapping with service and revenue concept. We also propose an evolution framework for planning a sustainable business strategy of IT companies in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In the service concept, we categorized service beneficiaries and service offering function. In the revenue concept, we analyze service stream among market players. In addition, we assess cloud computing market drivers for finding an evolution path of cloud computing business. Finally, we analyze Korean. IT companies cloud computing business model and suggest cloud computing business strategies for coping with the change of business environment.

      • KCI등재

        인구통계특성 기반 디지털 마케팅을 위한 클릭스트림 빅데이터 마이닝

        박지애(Jiae Park),조윤호(Yoonho Cho)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6 지능정보연구 Vol.22 No.3

        인구통계학적 정보는 디지털 마케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터넷 사용자에 대한 타겟 마케팅 및 개인화된 광고를 위해 고려되는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정보이다. 하지만 인터넷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은 익명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인구통계특성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정기적인 설문 조사를 통해 사용자들의 인구통계특성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지만 많은 비용이 들며 허위 기재 등과 같은 위험성이 존재한다.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익명으로 활동하기 때문에 인구통계특성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더욱 더 어려워지고 있다. 반면, 인터넷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을 기록한 클릭스트림 데이터는 해당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인터넷 사용자의 온라인 행위 특성 중 하나인 페이지뷰는 인구통계학적 정보 예측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 연구를 토대로 클릭스트림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인터넷 사용자의 온라인 행위 특성을 추출하고 이를 해당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예측에 사용한다. 또한, 1)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변수 축소, 2)주성분분석을 활용한 차원축소, 3)군집분석을 활용한 변수 축소의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에 적용함으로써 많은 설명변수를 이용하여 예측 모델 생성 시 발생하는 차원의 저주와 과적합 문제를 해결하고 예측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범주의 수가 많은 다분형 종속변수에 대한 예측 모델은 모든 설명변수를 사용하여 예측 모델을 생성했을 때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들을 적용했을 때 예측 모델에 대한 정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클릭스트림 분석을 통해 추출된 인터넷 사용자의 온라인 행위는 해당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예측에 활용 가능하며, 예측된 익명의 인터넷 사용자들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디지털 마케팅에 활용 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제안 방법론들을 통해 어느 종속변수에 대해 어떤 방법론들이 예측 모델의 정확도를 개선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는 추후 클릭스트림 분석을 활용하여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예측할 때,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보다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예측 모델을 생성 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demographics of Internet users are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sources for target marketing or personalized advertisements on the digital marketing channels which include email, mobile, and social media. However, it gradually has become difficult to collect the demographics of Internet users because their activities are anonymous in many cases. Although the marketing department is able to get the demographics using online or offline surveys, these approaches are very expensive, long processes, and likely to include false statements. Clickstream data is the recording an Internet user leaves behind while visiting websites. As the user clicks anywhere in the webpage, the activity is logged in semi-structured website log files. Such data allows us to see what pages users visited, how long they stayed there, how often they visited, when they usually visited, which site they prefer, what keywords they used to find the site, whether they purchased any, and so forth. For such a reason, some researchers tried to guess the demographics of Internet users by using their clickstream data. They derived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likely to be correlated to the demographics. The variables include search keyword, frequency and intensity for time, day and month, variety of websites visited, text information for web pages visited, etc. The demographic attributes to predict are also diverse according to the paper, and cover gender, age, job, location, income, education, marital status, presence of children. A variety of data mining methods, such as LSA, SVM, decision tree, neural network, logistic regression, and k-nearest neighbors, were used for prediction model building. However, this research has not yet identified which data mining method is appropriate to predict each demographic variable. Moreover, it is required to review independent variables studied so far and combine them as needed, and evaluate them for building the best prediction mode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hoose clickstream attributes mostly likely to be correlated to the demographics from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n to identify which data mining method is fitting to predict each demographic attribute. Among the demographic attributes, this paper focus on predicting gender, age, marital status, residence, and job. And from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64 clickstream attributes are applied to predict the demographic attributes. The overall process of predictive model building is compose of 4 steps. In the first step, we create user profiles which include 64 clickstream attributes and 5 demographic attributes. The second step performs the dimension reduction of clickstream variables to solve the curse of dimensionality and overfitting problem. We utilize three approaches which are based on decision tree, PCA, and cluster analysis. We build alternative predictive models for each demographic variable in the third step. SVM, neural network, and logistic regression are used for modeling. The last step evaluates the alternative models in view of model accuracy and selects the best model. For the experiments, we used clickstream data which represents 5 demographics and 16,962,705 online activities for 5,000 Internet users. IBM SPSS Modeler 17.0 was used for our prediction process, and the 5-fold cross validation was conducted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our experiments. As the experimental results, we can verify that there are a specific data mining method well-suited for each demographic variable. For example, age prediction is best performed when using the decision tree based dimension reduction and neural network whereas the prediction of gender and marital status is the most accurate by applying SVM without dimension reduction. We conclude that the online behaviors of the Internet users, captured from the clickstream data analysis, could be well used to predict their demographics, thereby being utilized to the digital marketing.

      • KCI등재

        교육개혁 실천에 있어서 교사들의 ‘의미-만들기(sense-making)’ 과정에 대한 개념적 이해

        소경희 ( Kyunghee So ),박지애 ( Jiae Park ),최유리 ( Yuri Choi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4

        국가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일련의 교육개혁의 흐름 속에서, 교육개혁을 실천하는 교사들의 교육개혁에 대한 이해 및 해석의 과정은 주목받지 못했다. 이 연구는 국가 주도의 교육개혁에 대한 교사들의 실천에는 필연적으로 그 개혁 메시지에 대한 해석, 즉 ‘의미-만들기(sense-making)’ 과정이 동반된다고 보고, 이러한 교사들의 의미-만들기의 과정 및 그 구성 요인들을 개념적으로 이해해 보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여러 학문 분야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교육개혁 맥락에서 점차 주목해 온 의미-만들기 개념에 대한 국외의 여러 논의들을 검토했다. 그 결과, 이 연구는 교육개혁에 대한 교사들의 실천은 개혁 메시지의 단순한 전달이라기보다는 교사 편에서의 적극적인 해석과 번역 과정이 연루된다는 점에서 해석적 실천, 즉 의미-만들기 과정에 의해 중재된 실천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했다. 또한 이 연구는 교육개혁에 대한 교사들의 의미-만들기 과정에는, 교사 개인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인 해석 틀, 교사가 처해 있는 사회적ㆍ조직적 맥락, 그리고 교육개혁 정책 문서의 영향력들이 상호교차적으로 관여될 수 있음을 개념적으로 드러냈다. 연구의 함의로는, 교사들의 교육개혁 실행의 실패 원인을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할 필요성, 교사들의 교육개혁 실천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교사들을 둘러싼 다양한 조건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성, 교육개혁 정책 문서의 역할과 이것의 행위성에 주목할 필요성 등이 제시되었다. During the state-leading educational reform,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teachers’ interpretation for educational reform. Given that teachers’ practices of state-leading educational reforms inevitably entail teachers’ interpretation process of reform message, which is referred to as ‘sense-making’,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ly understand teachers‘ sense-making process and its components. As research on educational reform has recently been interested in sense-making, which diverse fields of study has already addressed, this study reviews relevant international literature on this concept. This study first presents the reason why teachers’ practices of educational reform should be understood not just as a simple delivery of reform message but as an activ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process by teachers, that is, sense-making. Next, it conceptually demonstrates the process of teachers‘ sense-making of educational reform, where teachers’ individual interpretation frameworks, social and organizational contexts, and agency of educational reform policy documents are interactively involved. Based on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eachers’ sense-making process, this study suggests to explain failure of educational reform from a different angle, to consider various conditions influencing teachers’ sense-making in an integrated manner, and to pay attention to the agency and roles of educational reform policy doc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