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섬유강화플라스틱 복합집성재의 강도 성능

        박준철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ending strength of the unreinforced glulam beams and the FRP laminated glulam beams according to the volume ratio of FRP. The 7-layer glulam beams(100 mm(b) x 140 mm(h) x 1,800 mm(l) and 100 mm(b) x 175 mm(h) x 3,600 mm(l)) were manufactured, using Larix(Larix kaempferi Carr.) laminae(20 mm(h) x 100 mm(b) x 3,600 mm(l) and 25 mm(h) x 100 mm(b) x 3,600 mm(l)), which were dried to the moisture content of 8 % and specific gravity of 0.54. FRP of 1 and 3 mm was reinforced between the outmost layer of bottom and next layer. When the glulam beams were reinforced with GFRP at the volume ratio of 0.7 % and 2.1 %, the bending strength of the reinforced beams was increased by 12 % and 28 %,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lulam beams. When the glulam beams were reinforced with CFRP at the volume ratio of 0.7 % and 2.1 %, the bending strength of the reinforced beams was increased by 28 % and 61 %,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lulam beams. Also, the GFRP reinforced layer of the glulam beams with GFRP laminations blocked the progression of rupture, and the unbroken part held about 90 % of the bending strength. In the glue joint test, the block shear strength is higher than 7.1 N/mm², the standard of KS F 3021, in only glulams glued with PVAc adhesive, and in the delamination test, the adhesive strength is good, and the rate of water soaking and boiling delamination was less than 5%. In the glulam beam deflection,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reliability of theory formula, because of wood anisotropy and wood qualities(knot and slop of grain). In this experiment, when bending stress was loaded on glulam, the practice deflection of glulam measured with AICON DPA-Pro 3D system was compared with predicted deflection calculated as substituting MOE with non-destructive testing and static MOE with bending test in the different equation of deflection curve. MOE using ultrasonic wave tester of laminae, MOE using natural frequencies of longitudinal vibrations(E_(cu) and E_(cf)), MOE using ultrasonic wave tester of glulam(E_(gu)) and MOE using natural frequencies of longitudinal vibrations(E_(gf)) were substituted in this experiment. When practice deflection measured by 3D system was compared with predicted deflection calculated with different equation of deflection curve, within proportional limit range the ratio of practice deflection and predicted deflection was similar as 1.12 and 1.14, respectively. Deflection using ultrasonic wave tester was 0.89 and 0.95, respectively, and deflection using natural frequencies of longitudinal vibrations was 1.07 and 1.10,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predicted deflection calculated by substituting non-destructive MOE of glulam with anisotropy in differential equation of deflection curve agrees well with practice deflection. Shearing strength test in tension type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shear resistance of GFRP reinforced glulam. The control glulams, the sheet type GFRP reinforced glulams, the cloth type GFRP reinforced glulams and the coated cloth type GFRP reinforced glulams were manufactured to use as shearing specimens in tension type. The diameter of bolt used in the experiment is 12 mm. The hole of bolt was drilled at the end distance 5D and 7D. In the shearing strength test in tension type, the yield load of the GFRP reinforced glulams was improved by 5 to 20 %,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lulams. The yield load calculated with the Lasen's prediction equation of yield load agrees with the experimental yield load. In the prototype design, the addition and reduction factor was calculated by non-dimensionizing the yielding load in the standard of bolt spacing(Control glulam 7D). The addition and reduction factor was 1.03 at the sheet type GFRP reinforced glulam, 1.19 at the cloth type GFRP reinforced glulam and 1.08 at the coated cloth type GFRP reinforced glulam. 섬유강화플라스틱(FRP : Fiber reinforced plastic) 보강 집성재를 제작하여 섬유강화플라스틱의 체적비에 따른 휨강도 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균함수율 10 %, 비중 0.6의 국내산 낙엽송(Larix kaempferi Carr.) 제재판(20 mm(h) x 100 mm(b) x 3,600 mm(l)와 25 mm(h) x 100 mm(b) x 3,600 mm(l) )을 7층 적층하여 집성재(100 mm(b) x 140 mm(h) x 1,800 mm(l)와 100 mm(b) x 175 mm(h) x 3,600 mm(l))를 제작하였다. 섬유강화플라스틱은 인장응력을 받는 하층의 최외각층과 윗층 사이에 두께 1 mm(체적비 0.7 %)와 3 mm(체적비 2.1 %)로 보강하였다.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체적비 0.7 % 보강한 집성재의 경우 낙엽송 집성재보다 휨강도가 12 % 증가하였으며 체적비 2.1 %를 보강한 집성재의 경우 휨강도가 28 % 증가하였다.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을 체적비 0.7% 보강한 집성재의 경우 낙엽송 집성재보다 휨강도가 28 % 증가하였으며 체적비 2.1 %를 보강한 집성재의 경우 휨강도가 61 % 증가하였다. 또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보강층이 파단의 진행을 억제하였으며 파괴되지 않은 부분은 약 90 %의 휨강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접착성능 평가 결과 블록 전단 강도는 KS F3021의 합격기준 7.1 N/mm²를 만족하였으며 침지박리시험과 삶음박리시험 결과 박리율 5% 이하로 접착성능도 양호하였다. 집성재 보의 처짐의 경우 목재의 이방성 및 목재의 재질 특성(옹이, 목리경사등) 때문에 이론식의 신뢰성 검토가 필요하다. 비파괴 탄성계수와 휨강도 시험을 통한 실측 탄성계수를 처짐곡선 미분방정식에 대입하여 휨처짐을 산출하였으며 화상처리 방법을 통해 얻어진 실제 처짐과 비교하여 이론식에 의한 변형 예측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방정식에 적용된 탄성계수는 초음파시험기를 이용한 제재판의 탄성계수와 종진동의 고유진동수를 이용한 제재판의 탄성계수로 구해진 예측 탄성계수(E_(cu), E_(cf))와 제작된 집성재의 초음파의 통과속도를 이용한 탄성계수(E_(gu))와 종진동의 고유진동수를 이용한 탄성계수(E_(gf))를 대입하였다. 화상처리에 의한 실제 처짐과 처짐곡선 미분방정식에 의한 예측치을 비교한 결과, 휨탄성계수에 의한 경우 비례한도 영역내에서 실측치와 예측치 비가 중앙집중하중에서는 1.12, 4점하중에서는 1.14로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초음파 시험기를 이용한 처짐은 실측치와 예측치 비가 중앙집중하중에서는 0.89와 중앙집중하중에서는 0.95였으며 종진동을 이용한 처짐은 중앙집중하중 1.07과 4점하중은 1.10으로 모두 근사치를 나타냈다. 실험결과 집성재 보도 비파괴 탄성계수를 처짐곡선 미분방정식에 대입하여 구한 예측 처짐과 실제 처짐이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GFRP 복합집성재 볼트 접합부의 내력성능 평가를 위하여 인장형 전단강도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형 전단 시편은 낙엽송 집성재와 시트형 GFRP 복합집성재, 직물형 GFRP 복합집성재, 코팅된 직물형 GFRP 복합집성재를 제작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볼트의 직경은 12 mm이었다. 시편의 접합구멍은 5D와 7D로 제작하였고 섬유평행방향으로 인장하중을 가하였다. 인장형 전단 실험 결과 GFRP 복합집성재는 낙엽송 집성재보다 항복하중이 약 5∼20%정도 향상되었다. Lasen의 항복추정식으로 구한 예측항복하중과 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설계표준시 기준 볼트 간격(낙엽송 집성재 7D)에 따른 항복하중의 증감계수를 산출하였다. 시트형 복합집성재의 경우 1.03이었고 직물형은 1.19, 코팅된 직물형은 1.08이었다.

      • 시설아동의 안과적(眼科的) 장애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박준철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사회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다양한 문화시설이 증대되고 식생활이 개선됨으로써 현대인의 체위는 계속 향상되고 있다. 그렇지만 입시위주의 교육제도와 학부모들의 과열된 교육열로 말미암아 학생들이 공부에 몰두한 결과 시력이 갈수록 저하되고 있다. 특히 시설아동의 경우 정기적인 안 검사의 부재, 안과적 장애에 대한 적절한 교정의 부재, 정부차원이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정책적 지원 부재, 사회적인 무관심, 영양결핍 등으로 안과적 장애의 정도가 더욱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따라 시설아동의 안과적 장애정도를 일반아동과 비교해 그 실태를 파악하고 시설보건 측면에서 시력문제 해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상적인 가정에 자란 아동의 시력에 대한 일반적 실태, 시설아동의 안보건 실태, 일반 가정 아동과 시설아동의 시력검사 결과의 비교, 학교 또는 시설, 행정기관 등에서 시설아동의 안과적 장애에 대한 대책 등에 관하여 조사, 분석하여 보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아동에 대한 체계적이고 주기적인 시력검사가 미흡하는 등 안과적 장애와 관련된 체계적인 기록과 관리 등의 실태파악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었다. 둘째, 사례조사를 통해 본 결과, 시설아동의 안과적 장애정도는 예상보다 극심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교정자의 비율이 23.59%로 안과적 장애가 나타났을 경우에도 적기에 교정을 거의 하지 못하는 등 시설아동의 안과적 장애가 방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설아동의 안 보건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이 전무하고 학교, 시설, 사회적인 무관심으로 시설아동의 안과적 장애에 대한 치료나 교정 등 대책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아동의 안과적 장애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있어야 하며 본 연구와 관련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시설아동에 대한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정기적인 안 검사가 필요하다. 또 안과적 장애가 나타날 경우 적절한 시기의 교정 및 치료가 요구되며 추후 확인지도에도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보건소 등 보건행정기관 혹은 의사회, 안경사회 등 민간 보건기관과 연계해 정기적인 안검사와 교정을 실시하는 제도적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것이다. 둘째, 안과적 장애를 겪고 있는 아동들의 교정·치료, 아동복지시설의 조명 개선 등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특히 교정이 필요한 아동들에게 제 때 교정해 줄 수 있도록 시설아동의 안과적 장애실태에 관한 전국적인 조사가 필요하며 이를 근거로 매년 실 교정비가 지급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예산편성 및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바른 건강 습관의 생활화와 정확한 안보건 정보의 교류를 위해서도 아동시설과 학교와의 연계를 통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재학중인 시설아동의 경우 반드시 시력겸사결과를 각 시설로 통보하는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넷째, 시설 주변의 시력저하 요인을 분석하여 아동들의 시력저하를 조기에 예방할 수 있는 지도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시설아동의 안과적 장애가 일반아동에 비해 심각한 원인에 대해 정밀한 조사 및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시설아동의 안보건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지도방법의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일반아동의 안과적 장애 인식시기와 교정시기, 시설아동의 안과적 장애 인식시기와 교정시기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시설아동의 적기 교정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Conjugated Linoleic Acid의 급여가 돼지의 생산성, 돈육의 품질 및 면역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준철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합성 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의 급여가 돼지의 생산성, 돈육의 품질 및 면역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3개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에서는 번식모돈에 대한 CLA의 급여가 임신기간 중의 체중변화와 번식능력 및 자돈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임신돈 및 포유돈 사료의 지방 공급원으로 우지를 이용한 대조구와, CLA 첨가수준을 임신기와 포유기에 각 2수준씩 (임신돈 사료, 0.75%와 1.50%; 포유돈 사료, 1.25%와 2.50%), 급여시기를 종부 전 15일~이유시 및 종부 후 74일~이유시 까지 2기간을 두고, 모돈 사료에의 CLA 첨가수준과 급여기간의 효과를 구명하였다. 시험결과 번식모돈의 체중은 사료중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이유시 모돈의 등지방두께에 있어서는 사료중 지방 공급원으로 CLA를 100% 이용하고 (사료중 CLA 함량은 임신돈 사료 1.50%, 포유돈 사료 2.50%), 종부 15일 전부터 이유시 까지 CLA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가 CLA를 50% 이용하고 (사료중 CLA 함량은 임신돈 사료 0.75%, 포유돈 사료 1.25%) 종부 후 74일부터 이유시 까지 CLA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얇은 등지방두께를 보였다 (P < 0.05). 전반적으로 CLA의 첨가수준이 높을 수록, 동일한 CLA 첨가수준에서는 급여기간이 길 수록 모돈의 이유시 등지방두께가 얇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P < 0.1). 복당산자수에 있어서는 모돈 사료중 CLA의 급여수준 및 급여기간에 따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P > 0.05). 자돈체중의 경우 지방공급원으로 CLA를 100% 이용하고, 종부 15일 전부터 이유시 까지 CLA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생시체중 및 21일령 이유체중이 유의하게 가벼웠으나 (P < 0.05), 이유 후 35일령 및 56일령 체증에는 처리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CLA 첨가수준이 높고 급여기간이 길 수록 생시체중이 가벼웠으며 (P < 0.05 또는 P < 0.01), 21일령 이유체중도 CLA 사료의 급여기간이 길수록 유의적으로 가벼웠다 (P < 0.05). 모돈 사료에 CLA 첨가에 따른 자돈의 근육내 지방산 조성 변화에 있어서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5). 또한 자돈 근육내 CLA 축적량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나, CLA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분만직후와 10일령에 각각 지방 g당 2.08~2.57mg과 2.36~4.47mg이 검출되었으며, 사료내 CLA 함량이 높은 처리구 (임신돈 사료 1.50%, 포유돈 사료 2.50%)에서 유의하게 높은 CLA 축적율을 나타내었다 (P < 0.05). 시험 2에서는 CLA의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육성·비육돈의 성장능력과 돈육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육성돈 (체중 45kg 정도)에게 우지 5%를 함유한 사료를 급여하는 대조구와, CLA를 0.625%, 1.25% 및 2.50% 함유한 사료를 도축전 2, 4, 6 및 8주간 급여한 시험구로 구분하여, 체중 105~110kg까지 사육하였다. 시험 종료 후 각 처리구별 동일한 방법으로 도체 조사를 실시하고 돈육 등심부위를 함기포장하여 4℃에서 14일간 보관하면서 돈육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육성·비육돈의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에 있어서는 CLA의 첨가수준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P > 0.05). CLA 사료의 급여기간에 따른 효과에 있어서는 CLA 사료를 도축전 8주간 급여한 구가 4주간 급여한 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일당증체량을 보였다 (P < 0.05). 각 처리구별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에 따른 혈청내 성분의 변화에 있어서 total protein, albumin, glucose, calcium 및 inorganic phosphorus는 처리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triglyceride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CLA 급여구가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blood urinary nitrogen은 CLA 1.25% 급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비교적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콜레스테롤 함량은 CLA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약 5~6% 낮은 경향을 보였다. 도체조사 결과 CLA 급여구들의 등지방두께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P < 0.05), CLA 사료 급여기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등심단면적은 CLA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작았다 (P < 0.05). 육색을 비교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CLA 급여구가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5), 명도와 적색도도 CLA를 급여한 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저장기간 중 돈육의 보수력은 대조구와 CLA 급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돈육의 지방산패도 (TBARS)에 있어서는 대조구에 비해 CLA 급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P < 0.05). 등심내 지방산조성의 변화에 있어 CLA 수준과 급여기간이 증가할 수록 myristic, palmitic 및 stear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oleic, linoleic 및 arachidon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P < 0.05), 포화지방산 함량은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험 3에서는 이유자돈 사료에의 CLA의 첨가가 자돈의 면역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사료중 지방공급원으로 우지 5% (CLA 0%)를 첨가한 대조구와, 우지의 25% 50% 및 100%를 순도 50%의 CLA로 대체하여 사료중 CLA를 각각 0.625%, 1.25% 및 2.50% 함유한 사료를 공급한 처리구를 두고, 각 시험사료 처리별로 LPS (Escherichia coli lipopolysaccharide) 투여구와 무투여구로 구분하여 4×2 요인시험을 수행하였다. LPS는 체중 kg당 0.2mg 농도로 시험개시 후 14일과 28일에 투여하였으며, 증체와 사료섭취량의 변화, 혈액성상 및 혈액내 백혈구 아집단 분포비율 등을 조사하였다. 자돈체중은 1차 LPS 투여 (d14) 1주일 후인 d21 및 2주일 후인 d28에 대조구에 비해 CLA 2.5% 첨가구가 유의하게 무거웠다 (P < 0.05). 또한 1차 LPS 투여 후 1주일간 (d14~d21)의 사료섭취량은 대조구가 CLA 첨가구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P < 0.05). LPS 투여 시 CLA 2.5%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basophils의 량과 비율, 평균혈구용적 및 plateletcrits가 유의하게 많았다 (P < 0.05). 혈중 total cholesterol 함량은 LPS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에는 CLA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LPS 투여시는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중 glucose 함량은 LPS 무투여시는 CLA 2.50%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다른 처리구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LPS 투여시는 모든 CLA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blood urea nitrogen은 CLA 첨가수준에 관계없이 LPS 투여구가 무투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CLA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CLA의 첨가가 특이 면역반응에는 큰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나, CLA 첨가구의 경우 1차적인 방어기전에 관여하는 N cell (Non T/ Non B) 및 granulocyte의 분포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bacteria 및 virus 등에 대한 비특이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임신돈 및 포유돈에 CLA 첨가사료를 급여시 모돈의 체중 및 산자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첨가수준이 높고 급여 기간이 길 수록 모돈의 등지방두께가 얇아지고 자돈의 생시체중 및 이유체중이 가벼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모돈사료에 CLA를 급여시 태반 및 젖을 통하여 태아와 자돈에 CLA가 전달되었다. 육성·비육돈에게 CLA 사료를 급여시 성장능력과 사료섭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CLA의 첨가수준이 높고 및 급여기간이 길 수록 도체내 CLA 축적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CLA 급여는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및 돈육의 저장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육색, 가열감량 및 보수력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돈사료에 CLA의 첨가는 비특이 면역반응을 증가시켜서, 면역학적 스트레스 (immunologic stress)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인 사료섭취량 감소 및 이에 따른 체중 감소를 방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n productivity, pork quality and immunity in swine. In Experiment 1, effects of dietary level of CLA and the duration of feeding CLA-containing diets on the changes in sow's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piglet growth were studied. Tallow was incorporated as a fat source in control diet, and 50% (0.75% dietary CLA level in gestation diet, and 1.50% in lactation diet, respectively) or 100% (1.50% dietary CLA level in gestation diet, and 2.50% in lactation diet, respectively) of tallow was replaced by a commercial CLA preparation containing 50% CLA isomers. Diets containing CLA were fed either from d15 pre-mating to weaning or d74 post-mating to weaning. Body weights of sows were not affected by the level and duration of CLA feeding. Backfat thickness at weaning was thinner. (P < 0.05) in sows fed diets containing 1.50% and 2.50% of CLA in gestation and lactation diets, respectively, for d15 pre-mating to weaning than in those fed diets containing 0.75% and 1.25% of CLA in gestation and lactation diets, respectively, for d74 post-mating to weaning. In general, backfat thickness tended to be thinner in treatments with higher dietary level of CLA and longer feeding duration (P < 0.1). Litter size was not affected by the level and duration of CLA feeding. Piglet weights at birth and weaning were lower (P < 0.05) in sows fed diets containing 1.50% and 2.50% of CLA in gestation and lactation diets, respectively, for d15 pre-mating to weaning than in those fed control diets containing 3.0% and 5.0% of tallow in gestation and lactation diets, respectively. No difference was found in body weights at d35 and d56 post-weaning among dietary treatments. In general, piglet weights at birth were lower in treatments with higher dietary level of CLA and longer feeding duration (P < 0.05 or P < 0.01). The longer the duration of CLA feeding, the lower the piglet weaning weight at d21 (P < 0.05). Regarding the fatty acid profile of femoral muscle of piglets, feeding CLA diets increased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in the muscle (P < 0.05). CLA contents of femoral muscle of piglets were 2.08 to 2.57mg per g of fat at birth, and 2.36 to 4.47mg at 10 days of age in CLA groups. CLA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the group with 1.50% CLA in gestation diet, and 2.50% CLA in lactation diet (P < 0.05), while CLA was not detected in the control group. In Experiment 2, the effects of the dietary level and duration of feeding CLA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growing-finishing pigs and pork quality were studied. Pigs were provided with a diet containing either 0% (5% of tallow, control), 0.625%, 1.25%, or 2.50% of CLA for the last 2, 4, 6 or 8 weeks before slaughter. At the end of the feeding trial (105~110kg of body weight), pigs were slaughtered, and various carcass and meat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No effects of dietary level of CLA were found in growth performance, feed intake, and feed/gain. Average daily gain, however, was greater (P < 0.05) in pigs fed CLA diets for eight weeks before slaughter than in those fed for four weeks. No difference was found in serum total protein, albumin, glucose, calcium and inorganic phosphorus among treatments. Triglyceride was lower in CLA groups than in control group, and blood urea nitrogen was the lowest in CLA 1.25% group. Total cholesterol was lower by five to six percent in CLA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Backfat thickness was thinner in CLA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P < 0.05), while the duration of feeding CLA did not exert any effect in this regard. Loin muscle area was smaller in CLA groups (P < 0.05). Yellowness of loin (CIE b^(*)) was higher (P < 0.05) and rancidity of fat (TBARS) was lower (P < 0.05) in CLA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when stored at 4℃. Myristic, palmitic and stearic acid contents in loin muscle were higher (P < 0.05) in CLA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while oleic, linoleic and arachidonic acid were lower (P < 0.05). In general, feeding CLA diets increased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In Experiment 3,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LA on immunity of piglets were studied. Piglets, challenged with LPS (Escherichia coli lipopolysaccharide, serotype o55:B5) or not, were provided with diets containing either 0% (5% of tallow, control), 0.625%, 1.25%, or 2.50% of CLA, respectively. Piglets from CLA 2.50% group were heavier (P < 0.05) than those from control group at one week (d21) and two weeks (d28) after the 1st LPS challenge on d14. Feed intake during one week after the 1st LPS challenge was lower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CLA g개ups (P < 0.05). When piglets were challenged with LPS, basophils, mean corpuscular volume and plateletcrits were higher in CLA 2.50%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 < 0.0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otal blood cholesterol tended to be low in CLA groups when piglets were not challenged, while high when challenged. Blood urea nitrogen tended to be higher in LPS-challenged group than in unchallenged group irrespective of dietary CLA level. Blood urea nitrogen tended to decrease as the dietary CLA level increases. Dietary CLA did not affect the proportion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related with specific immune response. However, the proportion of N cell and granulocyte responsible for non-specific immune response tended to be increased (P < 0.1). In conclusion, the backfat thickness of sow and piglet weights at birth and weaning appear to decrease as the dietary level of CLA and feeding duration increase, while the body weight of sow and total litter size were not affected. Dietary CLA in sow diet can be transferred to fetus and piglets through the placenta and milk, respectively. As the dietary level and feeding duration increase in growing-finishing pigs, CLA content in pork increases, while not affecting the growth rate and feed intake. In practical terms, dietary supplementation of CLA may have both positive effects in backfat thickness, intramuscular fat and storage characteristics, and some negative effects in meat color, cooking loss, and water holding capacity. Dietary supplementation of CLA also appears to prevent the reductions in feed intake and body weight by improving the non-specific immunity in piglets under immunologic stress.

      • Vacuum bagging process를 이용한 폴리이미드/탄소섬유 및 폴리이미드/유리섬유 복합소재의 제조 및 평가

        박준철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R&D about materials having excellent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mechanical and heat stability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addi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high performance materials which can withstand extreme environments such as aerospace and defense. Although organic polymer materials have various advantages such as light weight and excellent processability, they are limited in application due to their weak thermal stability compared to metal and ceramic materials. Polyimide (PI) is a high heat-resistant polymer that does not degenerate at over 500℃. Besides, it’s one of the great popular materials due to its superior mechanical properties. In this study, poly(amic acid) (PAA), a precursor of PI, was prepared by solution polymerization, and silica and POSS were introduced to improve mechanical, thermal, and dielectric properties. Carbon fiber (CF) fabric and glass fiber (GF) fabric were impregnated with PAA using hand lay-up technique. The preform was sealed around the perimeter of the mold by vacuum bag and evacuated within the mold cavity using a vacuum pump. Then, PI composites could be obtained by thermal imidization of the preform in a near-infrared (NIR) oven.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고강도, 고내열성의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소재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항공 우주 및 국방 등 극한의 환경에서 버틸 수 있는 소재가 필연적인 산업에서의 고기능성 소재에 대한 관심은 더욱이 높아져 가고 있다. 기존 유기계 고분자 소재는 경량화, 가공성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열적 안정성이 금속 세라믹 소재에 비해 취약하여 적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폴리이미드(Polyimide, PI)는 플라스틱 중 500도 이상의 고온에서도 변성하지 않는 고내열성 고분자로서 고내열성 뿐 아니라 높은 하중을 지탱하기 때문에 각광받고 있는 소재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내열성 고분자인 PI를 중합하기 위해 용액 중합하여 전구체인 폴리아믹산(Poly(amic acid), PAA)을 제조하였고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Fumed silica와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POSS)를 도입하였다. PAA는 탄소섬유직물과 유리섬유직물에 hand lay-up 방식으로 함침한 후 진공 백을 씌워 열적 이미드화하여 두 가지 종류의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소재는 물리적 특성과 열적특성 그리고 유전 특성을 측정하였다.

      • 퍼지이론을 이용한 종합유통단지 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박준철 명지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Between manufacturers and consumers, the distribution industry plays an important role of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mproving consumer's welfare, stabilizing prices, creating employment, and so on. Therefore, the government provides much support with aggressive attitudes to build distribution complexes by proposing "2010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 Distribution Industry."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build distribution complexes, but decision making for the site selection of a certain facility can produce optimal solution only when accurate data are input to satisfy objective functions or limiting conditions. In reality, however, many decisions are made in situations where objectives and limiting conditions cannot be known accurately.Furthermore, the real world makes it difficult to evaluate objectively about various and negative effects and decreases the reliability of evaluation results by evaluating variable and vague parts with analyzer's subjectivity. With these backgrounds, this study intends to make the most rational decisions in vague environments based on decision making problems of previous decisions about site and scale by developing a model for selecting the site of distribution complex with the fuzzy theory. Developing such model would provide ways to solve the problems of distribution cost increase, environment contamination, congested traffic,etc. which are caused by distribution complexes developed recklessly in individual sites due to the quantity increase of goods transported. Moreover, large-scaled distribution complexes would contribute to lowering distribution costs and product prices. It is prospected that they would bring many benefits to manufacturers and consumers. 오늘날 유통산업은 생산자와 소비의 중간에서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와 소비자 후생 증진, 물가 안정, 고용 창출 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런 연유로 정부에서는 종합유통단지 조성을 위해 적극적 자세로 “2010년 유통산업발전전략”등을 제안하면서 많은 지원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합유통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제안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어떤 시설의 입지를 선정하기 위한 의사결정은 목적함수나 제약조건들을 완전하게 만족시키기 위해 정확한 데이터 값들을 입력시켰을 때만이 최적해를 계산해 낸다. 그러나 현실의 많은 의사결정들은 목표와 제약조건들을 정확하게 알 수 없는 상황에서이루어지며 의사결정의 대상인 현실세계 역시 가변적이고 불확실하거나 애매모호한 부분에 대해서 분석가의 주관이 내재되어 평가함으로서 다양한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어렵게 하며 평가결과에 대한 신뢰성도 저하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경 하에서의 본 연구는 제약조건을 반드시 만족해야만 했던 기존의 입지 및 규모결정에 관한 의사 결정 문제를 바탕으로 애매한 환경에서의 의사결정을 가장 합리적으로 이루어 보려는 의도에서 퍼지 이론을 이용하여 유통단지 입지 결정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형의 개발은 물동량이 늘어남에 따라 개별적인 입지에 난개발되고 있는 물류센터로 인해 발생되는 물류비 증가, 환경 오염, 교통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며, 더불어 종합유통단지의 대단위 개발은 물류비 및 제품의 가격을 저하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며, 생산자와 소비자에게도 많은 혜택을 가져다 줄 큰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 150MW급 가스터빈의 압력비 증가시 운전자료를 이용한 열효율 변동 예측

        박준철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국내 S복합발전본부의 150MW급 가스터빈 축류압축기(18단)에서 저압단(1~9단)을 교체하여 기존 13.5의 압력비를 증가시킬 때 가스터빈 3호기를 대상으로 열효율을 예측하였다. 압력비 13.5일때의 운전자료에서 구한 압축기 단열효율과 터빈 단열효율을 이용하여 브레이턴사이클 이론식으로 압력비 증가시의 열효율을 예측하였다. 압력비 14.2부터 압력비를 1씩 증가시켜 터빈일이 최대가 되는 압력비인 18.2까지 열효율을 예측하였다. 열효율은 압력비 증가에 따라 36.95%에서 38.6%까지 예측되었다. 열효율 예측 범위 중 압력비 16.2에 대하여 성능시험을 시행하여 얻은 열효율과 이론열효율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방법에 의해 압력비 증가시의 열효율을 성능시험 열효율의 7.86% 범위내에서 예측할 수 있다.

      • 웹 기반 홴 설계 플랫폼 및 고효율, 저소음 후향식 원심형/횡류형 홴 개발

        박준철 仁荷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공조용 고효율, 저소음 후향익 원심형 홴 및 냉장고 냉기 순환을 횡류홴을 설계하였으며, 홴 설계 전문가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온라인에서의 홴 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을 체계화한 전문가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1차 데이터베이스 검색에서 실패 하였을 경우, 단계적으로 입력변수를 받아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설 계된 데이터를 Java3D와 2차원 그래프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형상 및 성능을 확인하게 하여준다. 또한 저소음 터보기계설계, 전산유동해석 등의 상호적인 설계의 인터넷 서비스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측의 지역 컴퓨터에서의 소프트웨어 유지비용을 절감하며 국내 전문가들의 온라인 컨설팅의 제공을 가능케 하였다. 공조용 플레늄 홴에 사용되는 터보 홴으로 임펠러 직경 250mm, 효율 70%, 풍량 15 ㎥/min, 전압 21.95mmAq, 회전수 1,800 rpm, 축동력 73 ~ 78 W로 설계하였으며, 성능 예측 및 프로그램 iDesignFan TM으로 설계를 수행하였다. 또한 저소음 횡류 홴은 5사 냉장고의 냉기순환용 홴으로 기하학적, 동역학적 구속조건을 만족하며 주어진 임펠러에 대한 최적 스테빌라이저를 개발하였다. In this study, an HVAC fan of centrifugal, back-ward blade and a cross-flow fan used as a flow distributor in a household refrigerator were developed. The second part of this thesis is about the platform development of an on-line expert design system for various fans. In the expert system, the user can have access to the web3D design module, finally providing the fan geometry and performance on the web unless the user can find any fan matching the input specification. The turbo fan has the design specifications as follows: 250mm diameter, 70% efficiency, flow-rate of 15㎥/min, 1,800 rpm and shaft power of 73 78 W. This fan was designed by using iDesignFan 8/W which gives the optimal geometry and predicts its performance. The cross-flow fan was designed to satisfy the performance goals by changing its stabilizer design parameters in a systematic way and applied to the air distribution system.

      • 비격막식 전해수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수처리

        박준철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VOCs을 처리공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비격막식 전기분해수를 흡수액으로 메털계 및 방향족계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효과를 실험하였다. 전해수는 비격막식 전해장치에 순수, 20%NaCl 그리고 HCl/20%NaCl을 공급하여 제조하여 흡수액으로 사용하였다. 흡수실험은 버블식 접촉방식인 간단한 기초실험과 실험실 규모의 선회류 흡수탑, 파이롯트 규모의 선회류 흡수탑에서 흡수효과에 대한 성능실험을 하였다. 버블식 기초실험장치에서 VOCs의 흡수세정효율을 통하여 흡수액의 성능을 간단히 예측할 수 있었다. 실험실 규모의 선회류 흡수탑 실험에서 전기분해수의 대한 흡수 세정효율은 순수< 물 이온수< NaCl 이온수 < HCl + NaCl 이온수 순으로 나타났다. 반응속도는 초기에 급격한 ORP 값의 변화가 VOCs 의 흡수속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용성 VOCs의 경우 우수한 흡수세정 효율을 나타내었으나, BTX 포함한 VOC의 경우 낮은 흡수세정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Surfactant와 같은 첨가제를 전해장치에 소량 투입하여 흡수효율 향상의 흡수액 개발이 더욱 필요하며, 파이롯트 플랜트 흡수장치의 경우 흡수액이 물인 경우 실시한 결과 실험실 규모 선회류 흡수장치와 비교해서 우수한 흡수세정효율을 보였다. In this paper on the removal VOCs, For mixture gas control the experimental equipments were used VOCs gas feeding system. The studies on main absorption water selected by NaOCl water. The present absoption experiment attendence on water, 20%NaCl absoption water, HCl/20%NaCl absoption water. The experimental analyzers were used ORP & pH & THC meter. methyl compound and atomatic compound experiment go on during 60minite. absoption water using NaOCl water. initial entrance density 100ppm detected methyl compound and atomatic compound. Absoption water using NaOCl water. initial entrance density 100ppm detected methyl compound and atomatic compound. pH, ORP of absoption water measurement a part 60minite interval 10minite. A series of mass transfer experiments were conducted while a shower was operated within an spray absorption tower. VOCs and Odor gas were used as volatile tracers. Chemical-specific stripping efficiencies and mass transfer coefficients were determined. An assessment of the importance o( gas-phase resistance to mass transfer from water to gas phase was also completed. As described in this paper, data resulting from this study allow for the determination of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s, and corresponding volatilization rates, Partitioning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to surfactant micelles affects the apparent vapor-liquid equilibrium of VOCs in surfactant sol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